KR20210095073A - 발열 매트 - Google Patents

발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073A
KR20210095073A KR1020210008452A KR20210008452A KR20210095073A KR 20210095073 A KR20210095073 A KR 20210095073A KR 1020210008452 A KR1020210008452 A KR 1020210008452A KR 20210008452 A KR20210008452 A KR 20210008452A KR 20210095073 A KR20210095073 A KR 2021009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dhesive layer
base part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남
Original Assignee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3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Glov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발열 보호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발열부 각각의 일측 과 접촉하는 제1 기재부; 상기 발열부의 타측과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의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기재부에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발열부의 타측 상의 상기 접착층과 이격되어 상기 접착층과의 사이에 에어(air) 또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들 사이의 접착층에 접착되는 제2 기재부; 및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는 외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 매트{HEATABLE MAT}
본 발명은 발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야외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동절기 추위를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동절기에 야외에서 일을 하거나 캠핑과 같은 여가 활동을 할 때 추위로부터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여러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품들 중 매트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방석이나 매트리스 형태로 나오고 있으며, 취급 활용성이 높고 열효율이 좋은 제품에 대한 요청이 지속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20-0113398 (공개일 2020년10월07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는 취급성 및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발열 보호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발열부 각각의 일측 과 접촉하는 제1 기재부; 상기 발열부의 타측과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의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기재부에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발열부의 타측 상의 상기 접착층과 이격되어 상기 접착층과의 사이에 에어(air) 또는 충진재가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들 사이의 접착층에 접착되는 제2 기재부; 및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발열 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기재부,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제2 기재부는 서로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제2 기재부 및 상기 접착층은 열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서로 융착되고, 상기 외측부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질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외측부와 열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융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발열 매트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제1 기재부 사이 또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압력을 센싱하는 사용자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센싱부는 상기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하며 플렉서블(flexible)한 면상 센싱 부재, 상기 면상 센싱 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 도전성 메쉬 및 제2 도전성 메쉬, 상기 제1 도전성 메쉬 및 상기 제2 도전성 메쉬와 각각 연결된 제1 도선 및 제2 도선, 상기 제1 도전성 메쉬 및 제2 도전성 메쉬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상기 외측부 영역은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마다 상기 발열부와 상기 사용자 센싱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사용자를 감지한 상기 사용자 센싱부가 구비된 영역의 상기 발열부만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상기 외측부 영역은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마다 상기 발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에 구비된 상기 발열부들은 복수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FPCB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복수의 FPCB의 연결부위는 상기 외측부의 접히는 상기 경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는 에어 또는 충진재, 사용자 센싱부 및 FPCB를 통하여 취급성 및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센싱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센싱부 및 이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발열 매트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는 공기층이 도시되어 있으나, 공기층 대신에 충진재가 채워질 수도 있다. 충진재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는 복수의 발열부(110),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제2 기재부(140), 및 외측부(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열부(110) 각각은 발열체(111)와, 발열체(111)를 감싸는 발열 보호층(113)을 포함한다. 발열체(111)는 탄소 펠트 발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 보호층(113)은 난연성 및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 보호층(113)은 폴리이미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재부(120)는 복수의 발열부(110) 각각의 일측과 접촉한다.
접착층(130)은 발열부(110)의 타측과 접촉하고, 복수의 발열부(110) 사이의 영역에 해당되는 제1 기재부(120)에 접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30)은 복수의 발열부(110) 사이의 영역(A)에 접착할 수 있다.
접착층(130)이 제1 기재부(120)에 접착함으로써 발열부(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발열부(110)가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130)은 열융착 공정 또는 고주파 융착 공정을 통하여 제1 기재부(120)와 접착될 수도 있고, 접착제를 통하여 제1 기재부(120)에 접착될 수도 있다.
제2 기재부(140)는 발열부(110)의 타측 상의 접착층(130)과 이격되어 접착층(130)과의 사이에 에어(air) 또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충진재는 우레탄 폼이나 메모리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기재부(140)는 발열부(110)들 사이에 있는 접착층(130)에 접착된다.
공기층 또는 충진재는 쿠션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열 성능이 우수하므로 발열부(110)에서 방출된 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층 또는 충진재는 발열부(110), 접착층(130) 및 제1 기재부(120) 사이의 공간에 있을 수 있다. 발열부(110)는 공기층이나 충진재가 채워질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원인은 탄소 펠트 발열체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10-2018-0002463)를 보유하고 있으며, 출원인의 탄소 펠트 발열체는 쉬트 형태의 면상 발열체나 도선 형태의 선상 발열체와는 다르게 공기층이나 충진재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발열부(110)의 두께에 의하여 공기층이나 충진재가 형성될 공간이 마련될 정도로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및 발열부(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150)는 제1 기재부(120) 및 제2 기재부(140)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는 외측부(150)가 제1 기재부(120)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부(150)는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이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거나 덜 느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부(150)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및 제2 기재부(140)는 서로 열융착이나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및 제2 기재부(140)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및 제2 기재부(140)가 열융착이나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기재부(120) 및 접착층(130)과, 제2 기재부(140) 및 접착층(130)은 열이나 고주파에 의하여 서로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외측부(150)는 사용자의 불편함과 거부감을 낮출 수 있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및 제2 기재부(140)의 재질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부(150)와 열이나 고주파에 의하여 융착될 수 있다.
즉, 제1 기재부(120), 제2 기재부(140) 및 접착층(130)은 서로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측부(150)의 섬유 재질과도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측부(150)와 제1 기재부(120) 사이 또는 외측부(150)와 제2 기재부(140) 사이에 사용자의 압력을 센싱하는 사용자 센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150)와 제1 기재부(120) 사이에 복수의 사용자 센싱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압력은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의 무게일 수 있다.
사용자 센싱부(16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발열 매트에 앉거나 누을 경우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발열 매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센싱부(160)는 면상 센싱 부재(161), 제1 도전성 메쉬(163), 제2 도전성 메쉬(mesh)(165), 제1 도선(167), 제2 도선(169) 및 절연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면상 센싱 부재(161)는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하며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 매트는 굽히거나 접을 수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 센싱부(160) 역시 일정 정도의 가요성(flexibility)을 지녀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센싱부(160)의 면상 센싱 부재(161)는 벨로스탯(velosta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는 면상 센싱 부재(161)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를 통하여 압력 센싱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사용자 센싱부(160)를 나타낸고, 도 4의 (b)는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는 면상 센싱 부재(161)의 일단에서 면상 센싱 부재(161)의 중앙 영역을 지나 면상 센싱 부재(161)의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비교예는 면상 센싱 부재(161)의 일단 및 타단 영역에만 도전 부재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 센싱 부재(161)의 동일한 위치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도 4의 (a)와 같이 연장된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에 의하여 전류의 경로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도 4의 (b)의 경우, 도전 부재가 면상 센싱 부재(161)의 양끝단에 위치하므로 전류의 경로가 길어질 수 있다. 전류의 경로가 길어질 경우 압력 센싱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면상 센싱 부재(16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된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에 의하여 압력의 센싱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홀이 있는 도전성 메쉬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발열 매트가 휘거나 접을 수 있어야 사용자의 취급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즉, 홀이 있는 도전성 메쉬가 홀이 없는 도전성 쉬트에 비하여 가요성이 좋기 때문이다.
제1 도선(167) 및 제2 도선(169)은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도선(167) 및 제2 도선(169)은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와 납땜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연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도선(167) 및 제2 도선(169)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센싱됨으로써 면상 센싱 부재(161)의 저항이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저항에 따라 면상 센싱 부재(161)에 가해진 압력이 도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171)는 제1 도전성 메쉬(163) 및 제2 도전성 메쉬(165)를 감쌀 수 있다. 이 때 절연부(171)는 제1 도전성 메쉬(163)와 제1 도선(167)의 연결 영역 및 제2 도전성 메쉬(165)와 제2 도선(169)의 연결 영역 역시 감쌀 수 있다. 절연부(171)는 가요성이 있는 접착성 절연 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외측부(150)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는 영역 1 내지 영역 3으로 구획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영역의 구분은 도 5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외측부(150) 영역은 접힐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는 경계 부분(HB)의 제1 기재부(120)와 제2 기재부(140)는 서로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발열 매트는 외부의 공기나 충진재를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Ai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Ain)로 유입된 공기나 충진재가 각 영역에 주입되기 위하여 접히는 경계 부분의 제1 기재부(120)와 제2 기재부(140)의 일부는 융착되지 않음으로써 유로용 홀(A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영역들마다 발열부(110)와 사용자 센싱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사용자를 감지한 사용자 센싱부(160)가 구비된 영역의 발열부(110)만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역 2에 앉는다면 영역 2의 발열부(110)만 열을 방출하고, 영역 1 및 영역 3의 발열부(110)는 열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각 영역의 사용자 센싱부(160)와 발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컨트롤러(180)는 사용자 센싱부(160) 전체에서 압력이 센싱되지 않는다면 전체 발열부(110)에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80)는 전체 사용자 센싱부(160) 중 적어도 하나가 압력을 센싱할 경우, 전체 발열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외측부(150)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외측부(150) 영역은 접힐 수 있다.
복수의 영역들마다 발열부(110)가 구비되고, 복수의 영역들에 구비된 발열부(110)들은 복수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7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FPCB(175)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FPCB(175)의 연결부위는 외측부(150)의 접히는 경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위 CA1 및 CA2는 영역 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다르게 연결부위가 영역들의 경계에 배치될 경우, 발열 매트가 접힐 경우 FPCB(175)의 연결부위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연결부위가 상기 영역에 배치될 경우, 상기 경계를 따라 접히더라도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을 제외하여 표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 매트의 사시도로서 도 8의 상측에는 발열 매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하측은 발열 매트가 의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는 경계 영역(HB)가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경계 영역은 앞서 도 5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융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계 영역(HB)에는 유로용 홀(AH)이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영역(HB) 및 유로용 홀(AH)의 개수 및 위치는 도 7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풀어 오르는 영역이 서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풀어 오르는 영역 BA1은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부풀어 오르는 영역 BA2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BA1 및 BA2의 개수 및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 매트가 의자에 놓일 경우, 발열 매트의 일부는 의자의 엉덩이 받이에 위치하고, 발열 매트의 다른 일부는 의자의 등받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열 매트의 다른 일부는 의자의 등받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영역 BA2는 상기 다른 일부가 등받이를 따라 서 있을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발열부(110)
발열체(111)
발열 보호층(113)
제1 기재부(120)
접착층(130)
제2 기재부(140)
외측부(150)
사용자 센싱부(160)
FPCB(175)

Claims (7)

  1.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발열 보호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열부;
    상기 복수의 발열부 각각의 일측과 접촉하는 제1 기재부;
    상기 발열부의 타측과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발열부 사이의 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 기재부에 접착하는 접착층;
    상기 발열부의 타측 상의 상기 접착층과 이격되어 상기 접착층과의 사이에 에어(air) 또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부들 사이의 접착층에 접착되는 제2 기재부; 및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는 외측부
    를 포함하는 발열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제2 기재부는 서로 열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접착층과, 상기 제2 기재부 및 상기 접착층은 열에 의하여 서로 융착되고,
    상기 외측부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질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외측부와 열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와 상기 제1 기재부 사이 또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압력을 센싱하는 사용자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센싱부는
    상기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하며 플렉서블(flexible)한 면상 센싱 부재,
    상기 면상 센싱 부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1 도전성 메쉬 및 제2 도전성 메쉬,
    상기 제1 도전성 메쉬 및 상기 제2 도전성 메쉬와 각각 연결된 제1 도선 및 제2 도선,
    상기 제1 도전성 메쉬 및 제2 도전성 메쉬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매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상기 외측부 영역은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마다 상기 발열부와 상기 사용자 센싱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사용자를 감지한 상기 사용자 센싱부가 구비된 영역의 상기 발열부만 열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의 경계에 해당되는 상기 외측부 영역은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마다 상기 발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에 구비된 상기 발열부들은 복수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FPCB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복수의 FPCB의 연결부위는 상기 외측부의 접히는 상기 경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매트.
KR1020210008452A 2020-01-22 2021-01-21 발열 매트 KR20210095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164A KR102503338B1 (ko) 2020-01-22 2021-02-22 발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8393 2020-01-22
KR1020200008393 2020-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073A true KR20210095073A (ko) 2021-07-30

Family

ID=771486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52A KR20210095073A (ko) 2020-01-22 2021-01-21 발열 매트
KR1020210023164A KR102503338B1 (ko) 2020-01-22 2021-02-22 발열 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164A KR102503338B1 (ko) 2020-01-22 2021-02-22 발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950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98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이레테크 카본파이버발열선을 이용한 겨울철 낙상방지용 발열매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2156A (ja) * 2006-01-13 2009-04-23 Mycoal Products Corp 発熱体及び発熱体包装物
KR100843048B1 (ko) * 2007-11-14 2008-07-01 이경복 공기정화기능을 가진 참숯흙침대
KR100980740B1 (ko) * 2008-07-03 2010-09-07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신호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KR101388944B1 (ko) * 2011-10-21 2014-04-24 김호칠 난방 매트
KR101970796B1 (ko) * 2012-04-24 2019-04-2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선택적 발열시스템을 갖는 발열매트
KR20140013434A (ko) * 2012-07-24 2014-02-05 이유진 전기 장판
KR20190012914A (ko) * 2017-07-31 2019-02-11 주식회사 네오피지오텍 발열 필름기둥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98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이레테크 카본파이버발열선을 이용한 겨울철 낙상방지용 발열매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338B1 (ko) 2023-02-24
KR20220105999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0670B2 (en) Heating element with a plurality of heating sections
US7189944B2 (en) Warming mattress and mattress pad
JP4971196B2 (ja) パッド用バネ装置
US8692168B2 (en) Infrared heating panels, systems and methods
US20120279953A1 (en) Heated under-body warming systems
JP4312176B2 (ja) 複合部分体マットレス又はマットレス上敷き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84107B1 (ko) 전기 담요/카펫을 위한 가열 기구, 그의 제조 방법 및 가열 시스템
US20210243843A1 (en) Ptc heating element and warming device including same for use in a patient warming system
JP2012164547A (ja) 面状電熱採暖器具の製造方法
KR20210095073A (ko) 발열 매트
US7105782B2 (en) Electrothermal article
JP4746047B2 (ja) 面状発熱体、床暖房用電熱ボード、および床暖房用電熱ボード集合体
ES2300081T3 (es) Base de arrollamiento que se puede calentar.
WO2022115501A1 (en) Heating blanket having one or more heating segment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KR101948562B1 (ko) 다층열선 매트
US20230284801A1 (en) Medical Heater Blanket with Temperature Sensor
KR20190012477A (ko) 보온성을 구비하는 전기요
JP7412756B2 (ja) 面状採暖具
KR200393704Y1 (ko) 온수호스가 내장된 온열매트구조
KR20240041698A (ko) 온열 매트
CA2729500C (en) Infrared heating panels, systems and methods
JP5601938B2 (ja) 電気こたつ
KR200307377Y1 (ko) 물튜브가 구비된 온열 매트
JP5853803B2 (ja) 布材
KR20230168832A (ko) 난방 기능이 구비된 에어 매트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