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48A -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48A
KR20210094948A KR1020200008849A KR20200008849A KR20210094948A KR 20210094948 A KR20210094948 A KR 20210094948A KR 1020200008849 A KR1020200008849 A KR 1020200008849A KR 20200008849 A KR20200008849 A KR 20200008849A KR 20210094948 A KR20210094948 A KR 2021009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eather observation
elevating
plate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532B1 (ko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아이티
Priority to KR102020000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5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 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기상관측타워에 설치되는 기상관측장비를 기상관측타워를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관측타워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기상관측타워의 일측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구비한 레일부재와, 제1 레일과 제2 레일 사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레일부재를 따라 승강하며, 전면에는 기상관측장비가 장착된 붐대가 기상관측타워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장착되는 사각 판상의 승강 플레이트 및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레일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되게 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상관측장비를 승강시키는 승강 플레이트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레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의 흔들림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Lifting device for observation equipmen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 tower}
본 발명은 기상관측장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상관측장비를 작업자가 기상관측타워에 직접 올라가지 않고도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켜 기상관측장비를 고정할 수 있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상황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안전한 생활을 위해서는 기상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맞게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
그러나, 기상의 변화는 수많은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히 알아내기 어렵고, 특히 지역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순간적인 돌풍 등과 같은 국지적 돌발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구역 별로 기상관측소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상관측소를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는 통상적으로 기상관측소를 대신하는 기상관측타워가 마련된다.
여기서 기상관측타워는, 지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철탑에 관측용 센서를 지지하는 붐대를 설치하고, 센서에서 관측되는 정보를 취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기상관측타워는 통상적으로 지면에서 약 60 미터 까지 연장되고, 센서들도 고공에 설치되기 때문에 센서의 파손 또는 교환주기에 따라 센서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크레인을 이용하여 붐대를 해체한 다음 지상에서 센서를 교체한 후 다시 작업자가 설치위치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센서의 교체작업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센서 교체방법은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붐대를 해체할 때의 안전사고의 위험과 다수의 작업자가 교체작업을 실시해야 하는데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565호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철골 구조물 상에서 슬라이더의 승강 위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음으로써 기상관측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슬라이더에 설치되는 관측장비의 특성상, 관측장비가 설치된 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되기에 철골 구조물의 측방향을 향해 무게 중심이 쏠려 관측장비가 장착된 붐대의 길이를 철골 구조물의 측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길게 연장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골 구조물을 따라 슬라이더의 승강 구동시에 슬라이더의 심한 흔들림이 발생하여 철골 구조물을 따라 슬라이더가 안정적으로 승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565호(2013년 11월 20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기상관측장비를 승강시키는 승강 플레이트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레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의 흔들림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승강 플레이트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레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기상관측장비가 장착된 붐대의 길이가 연장되어 승강 플레이트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안정적으로 기상관측장비를 승강시킬 수 있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지면으로 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기상관측타워에 설치되는 기상관측장비를 상기 기상관측타워를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서, 상기 기상관측타워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기상관측타워의 일측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구비한 레일부재,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 사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승강하며, 전면에는 상기 기상관측장비가 장착된 붐대가 상기 기상관측타워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장착되는 사각 판상의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일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되게 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재는, 판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각각 몸체부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한 쌍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봉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후면 테두리에 볼트체결되며,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승강 플레이트의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보조 샤프트 및 상기 보조 샤프트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보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 사이에 상기 레일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롤러가 레일부재의 전후 양면에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를 따라 정역회전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롤러는, 상기 레일부재의 일측면에 상하로 접촉한 상태에서 레일부재를 따라 정역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부재에 상기 보조 롤러가 밀착되도록 레일부재를 향해 상기 롤러부재를 가압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 사이에 위치하며, 상측에는 와이어가 권취된 회전 도르래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제3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후면 중앙에는, 상기 제3 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제3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판상의 리프트 부재가 승강 플레이트와 직교한 상태로 승강 플레이트의 후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기상관측타워의 하측 지면에 마련된 윈치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가 레일부재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일측 단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리프트 부재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의 개구부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리프트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상관측장비를 승강시키는 승강 플레이트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레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레일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의 흔들림과 진동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플레이트에 장착된 롤러가 레일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레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기상관측장비가 장착된 붐대의 길이가 연장되어 승강 플레이트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안정적으로 기상관측장비가 승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에서 롤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에서 롤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 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기상관측타워에 설치되는 기상관측장비를 기상관측타워를 따라 승강시켜 원하는 높이에 기상관측장비를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는, 레일부재(100), 승강 플레이트(200) 및 롤러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부재(100)는, 횡단면이 정사각의 형태이며, 기상관측타워(T)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기상관측타워(T)의 일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레일부재(100)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을 구비한다.
승강 플레이트(200)는, 직사각의 판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기상관측장비(E)가 장착된 붐대(210)가 승강 플레이트(200)와 직교하여 기상관측타워(T)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레일부재(100)를 따라 승강된다.
그리고, 승강 플레이트(200)의 전면 테두리에는 와이어(10)에 연결된 붐대(210)를 지지하기 위한 고리(240)가 더 마련된다. 부연하면, 와이어(10)의 일단이 붐대(210)에 연결되고, 와이어(10)의 타단은 고리(240)에 연결되어 붐대(2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롤러부재(300)의 끼움봉(340)이 삽입되는 수용부(220)가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테두리를 따라 볼트체결된다. 부연하면, 수용부(220)는, 내부에 끼움봉(34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끼움봉(340)이 삽입되도록 승강 플레이트(200)의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롤러부재(3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승강 플레이트(20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승강 플레이트(20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승강 플레이트(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승강 플레이트(200)를 승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롤러부재(300)는, 판상의 몸체부(310)와 한 쌍의 샤프트(320)와 한 쌍의 회전 롤러(330)와 끼움봉(340)으로 구성된다.
샤프트(320)는, 몸체부(310)의 양측에서 각각 몸체부(310)의 전후방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전 롤러(330)는, 샤프트(3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상태로 몸체부(31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끼움봉(340)은, 몸체부(31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테두리에 볼트체결된 수용부(220)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승강 플레이트(20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장착된 롤러부재(300)의 회전 롤러(330) 사이에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이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롤러(330)가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의 전후 양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100)를 따라 정역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롤러부재(300)는, 한 쌍의 보조 샤프트(350)와 한 쌍의 보조 롤러(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샤프트(350)는, 회전 롤러(330)가 장착된 샤프트(320)에 직교한 방향으로 롤러부재(300) 몸체부(31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구비된다.
보조 롤러(360)는, 보조 샤프트(35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다.
부연하면, 승강 플레이트(20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장착된 롤러부재(300)의 회전 롤러(330) 사이에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이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 롤러(330)가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의 전후 양면에 각각 접촉되고, 보조 롤러(360)는,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의 일측면에 상하로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한 쌍의 보조 롤러(360)가 레일부재(100)를 따라 정역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 롤러(330)와 보조 롤러(360)는, 캠플로워 베어링에 고강도 우레탄이 피복 형태로 제작된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테두리에 볼트체결된 수용부(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레일부재(100)에 보조 롤러(360)가 밀착되도록 레일부재(100)를 향해 롤러부재(300)를 가압하는 탄성 스프링(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스프링(400)으로 인해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간의 사이 간격에 관계 없이 롤러부재(300)에 구비된 롤러(330, 360)들을 레일부재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레일부재(100)는,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에 위치하며, 상측에는 와이어(10)가 권취된 회전 도르래(20)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31)이 형성된 제3 레일(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중앙에는, 제3 레일(130)에 형성된 레일홈(131)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제3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판상의 리프트 부재(230)가 승강 플레이트(200)와 직교한 상태로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힌지결합된다.
부연하면, 리프트 부재(23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승강 플레이트(200)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회전 도르래(20)에 권취된 와이어(10)의 일단은, 리프트 부재(23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10)의 타단은 기상관측타워(T)의 하측 지면에 마련된 윈치(30)에 연결되어 윈치(30)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200)가 레일부재(100)를 따라 승강된다.
이때, 리프트 부재(230)의 일측 단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리프트 부재(23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와이어(10)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돌기(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레일(130)에 형성된 레일홈(131)의 개구부의 양측 끝단에는, 제3 레일(130)에서 리프트 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돌기(231)가 걸리는 걸림턱(13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횡단면이 사각의 형태의 레일에 'ㄷ'자 형태로 전면, 후면 및 측면으로 롤러가 부착되어 무게 중심에 관계없이 구동이 원활하도록 설계되어, 승강 플레이트(200)에 붐대(210)의 길이를 기상관측타워(T)에서 길게 연장(약 3미터 이상)할 수 있어 기상관측타워(T)의 영향을 최소화 시킨 양질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으며, 캠플로워 베어링에 우레탄 피복 형태로 제작된 롤러가 안전하고 부드럽게 구동하여 어디에 정지하여도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또한, 승강 플레이트(200)에 붐대(210)를 길이에 상관없이 안정되게 구동된다.
또한, 고강도 우레탄 피복 롤러가 레일부재(100)의 정면, 후면 및 측면을 감싸기 때문에 기상관측타워(T)의 크기에 따라 안전하게 고정되어 흔들림과 진동이 최소화된다.
또한, 기상관측타워(T)로 미치는 데이터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 플레이트(200)에는, 레일부재(100)를 따라 승강된 승강 플레이트(200)를 레일부재(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500)은, 회전모터(510), 회전축(520), 승강너트(530), 관절암(540), 가압블럭(550) 및 가이드 하우징(560)을 구비한다.
회전모터(510)는,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장착되고, 회전축(520)은 회전모터(510)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모터(510)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된다. 이때, 회전축(520)의 외경면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승강너트(530)는, 회전축(520)의 외경에 장착되며, 내경에는 회전축(520)의 외경에 형성된 나선에 치합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여기서, 승강너트(530)는, 회전축(520)의 외경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축(520)이 정역회전되면 회전축(520)을 따라 승강된다.
관절암(540)은, 승강너트(530)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때, 관절암(540)은 한 쌍의 암이 서로 힌지결합된 상태로 구성된다.
가이드 하우징(560)은,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양측 모서리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가이드 하우징(560)은,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양측이 각각 개방된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압블럭(550)은, 일측이 관절암(540)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 하우징(560) 내부에 수용된다. 가압블럭(550)은, 레일부재(100)의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의 일측면에 접촉하여 승강 플레이트(200)가 레일부재(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회전축(520)이 회전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너트(530)가 회전축(520)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승강너트(530)에 힌지결합된 관절암(540)은 직선 형태로 펴지게 된다.
이러한 관절암(540)의 관절운동으로 인해 관절암(540)의 단부에 연결된 가압블럭(550)은 가이드 하우징(56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레일부재(100)의 일측면을 향해 전진하여 레일부재(100)를 가압하여 승강 플레이트(200)가 레일부재(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회전축(520)이 회전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너트(530)가 회전축(520)을 따라 승강하게 되고, 승강너트(530)에 힌지결합된 관절암(540)은 약간 구부러진 형태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관절암(540)의 관절운동으로 인해 관절암(540)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레일부재(100)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블럭(550)은 가이드 하우징(56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진하게 되어 승강 플레이트(200)의 레일부재(10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와이어 20: 회전 도르래
30: 윈치 100: 레일부재
110: 제1 레일 120: 제2 레일
130: 제3 레일 131: 레일홈
131a: 걸림턱 200: 승강 플레이트
210: 붐대 220: 수용부
230: 리프트 부재 231: 고정돌기
300: 롤러부재 310: 몸체부
320: 샤프트 330: 회전 롤러
340: 끼움봉 350: 보조 샤프트
360: 보조 롤러 400: 탄성 스프링
E: 기상관측장비 T: 기상관측타워

Claims (7)

  1. 지면으로 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기상관측타워(T)에 설치되는 기상관측장비(E)를 상기 기상관측타워(T)를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서,
    상기 기상관측타워(T)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기상관측타워(T)의 일측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을 구비한 레일부재(100);
    상기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레일부재(100)를 따라 승강하며, 전면에는 상기 기상관측장비(E)가 장착된 붐대(210)가 상기 기상관측타워(T)의 측방향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장착되는 사각 판상의 승강 플레이트(200);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양측 모서리를 따라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레일부재(100)에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승강 플레이트(200)를 승강되게 하는 복수의 롤러부재(300);
    를 포함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300)는,
    판상의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의 양측에서 각각 몸체부(31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한 쌍의 샤프트(320);
    상기 샤프트(3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310)의 전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330); 및
    상기 몸체부(31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기 수용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봉(340);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테두리에 볼트체결되며,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승강 플레이트(200)의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300)는,
    상기 샤프트(320)에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보조 샤프트(350); 및
    상기 보조 샤프트(35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보조 롤러(3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롤러(330) 사이에 상기 레일부재(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롤러(330)가 레일부재(100)의 전후 양면에 접촉한 상태로 레일부재(100)를 따라 정역회전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롤러(360)는, 상기 레일부재(100)의 일측면에 상하로 접촉한 상태에서 레일부재(100)를 따라 정역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부재(100)에 상기 보조 롤러(360)가 밀착되도록 레일부재(100)를 향해 상기 롤러부재(300)를 가압하는 탄성 스프링(4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100)는,
    상기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 사이에 위치하며, 상측에는 와이어(10)가 권취된 회전 도르래(20)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31)이 형성된 제3 레일(13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 중앙에는, 상기 제3 레일(130)에 형성된 레일홈(131)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제3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되는 판상의 리프트 부재(230); 가 승강 플레이트(200)와 직교한 상태로 승강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와이어(10)의 일단은, 상기 리프트 부재(23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10)의 타단은 상기 기상관측타워(T)의 하측 지면에 마련된 윈치(30)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30)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200)가 레일부재(100)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부재(230)의 일측 단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리프트 부재(23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10)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돌기(231);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레일(130)에 형성된 레일홈(131)의 개구부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리프트 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231)가 걸리는 걸림턱(1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KR1020200008849A 2020-01-22 2020-01-22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KR10230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49A KR102309532B1 (ko) 2020-01-22 2020-01-22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49A KR102309532B1 (ko) 2020-01-22 2020-01-22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48A true KR20210094948A (ko) 2021-07-30
KR102309532B1 KR102309532B1 (ko) 2021-10-07

Family

ID=7714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49A KR102309532B1 (ko) 2020-01-22 2020-01-22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5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1485A (ja) * 2011-06-15 2013-01-07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ローラガイドアッセンブリ
KR101331565B1 (ko) 2013-04-08 2013-11-20 임종갑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1485A (ja) * 2011-06-15 2013-01-07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ローラガイドアッセンブリ
KR101331565B1 (ko) 2013-04-08 2013-11-20 임종갑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532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US20160229671A1 (en) Tower crane and method of mounting a wind turbine rotor blade
EP1516846A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persons along the shaft of a wind generator.
CN113966310B (zh) 自升式起重机系统及起升自升式起重机的方法
DE69821248T2 (de) Steuerung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CN113329965A (zh) 风力涡轮机和用于在风力涡轮机内运输货物的方法
KR102309532B1 (ko)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CN208916761U (zh) 一种曲臂式升降机
DE102010060639A1 (de) Arbeitsbühnenanlage
EP0010620B1 (de) Fassadenaufzug
EP0629577A1 (en) Load-lifting and orienting apparatus
CN112110317A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物料提升机
DE202009016924U1 (de) Zusammenlegbarer Kleinkran
KR200485089Y1 (ko) 흔들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CN214167160U (zh) 遥控移动吊放设备和系统
CN113998616A (zh) 基于举升车的架棚钢梁安装方法
US4640383A (en) Movable staging scaffold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DE102009053514B4 (de) Bodengestütztes Transportsystem und schwebende Hebeeinrichtung für geringe Massen
KR102613953B1 (ko)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CN220578666U (zh) 施工电梯轿厢结构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KR101614655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CN219689277U (zh) 高空作业车及其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