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844A - 전기자동차용 소켓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844A
KR20210094844A KR1020200008579A KR20200008579A KR20210094844A KR 20210094844 A KR20210094844 A KR 20210094844A KR 1020200008579 A KR1020200008579 A KR 1020200008579A KR 20200008579 A KR20200008579 A KR 20200008579A KR 20210094844 A KR20210094844 A KR 20210094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pring
pin
ho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509B1 (ko
Inventor
성경모
Original Assignee
성경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정밀(주) filed Critical 성경정밀(주)
Priority to KR102020000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5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아웃렛의 소켓이나 배터리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소켓에 안정적인 탄성력과 접점을 제공하는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하고, 그 장구형 스프링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배터리 연결용 커넥터 소켓과 외부의 충전소켓에 사용되는 소켓핀에는 핀홀을 형성하고, 그 핀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핀홀로 삽입되는 플러그핀에 스프링이 접속되어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핀에는 2개의 직경을 갖는 홀을 가공하여 직경이 작은 1단 홀은 핀홀로, 직경이 큰 2단 홀은 스프링홀로 구비하고, 상기 소켓핀 선단부의 내측 스프링홀에는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홀에는 2개의 접속만곡부와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한 후, 상기 요홈에 고정링을 결합하여 장구형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소켓을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소켓{Socket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아웃렛의 소켓이나 배터리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소켓에 안정적인 탄성력과 접점을 제공하는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하고, 그 장구형 스프링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휘발유나 경유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직접 연소하여 동력을 얻었으나, 이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촉진하는 주범이 되고 있어 유해가스 경감 차원으로 LPG와 LNG 등을 사용하는 자동차가 많이 보급되었으나, LPG와 LNG를 사용하는 자동차 역시 적은 양이지만 여전히 유해가스를 배출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와 같은 녹색 교통수단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졌고, 이제는 화석 연료 자동차 대비 전기자동차의 사용비율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돌려서 운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차체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여 탑재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로 모터를 돌려서 전기자동차를 운행한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의 사용에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용 충전소에 설치된 충전기(1)에서 충전소켓(2)을 전기자동차(4)의 충전플러그(5)에 연결하여 충전소켓(2)의 소켓핀(3)과 충전플러그(5)의 플러그핀(6)을 결합함으로써 전기자동차(4)의 배터리를 고속으로 충전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고속으로 안정적인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고전압, 고전류의 AC 전기를 충전소켓(2)을 통해 전기자동차(4)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기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의 결합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소켓핀(3)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안정된 접속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4)에서 배터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배터리를 착탈할 때마다 배터리와 전기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해야 하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 쌍의 커넥터(7)(8)로 전기를 연결하거나 차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커넥터(7)(8)에도 각각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을 설치하여 한 쌍의 커넥터(7)(8)를 결합하면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을 통하여 고전압, 고전류의 DC 전기가 안정적으로 전달되거나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켓핀(3)에 스프링을 설치하는 구성은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래의 구성들 중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종래구성은 충전소켓에 구성되는 다수의 소켓핀(3) 내에 플러그핀(6)이 삽입되는 핀홀(11)을 형성하되, 그 핀홀(11)에 요입장홀(12)을 추가로 가공하여 판스프링을 원통형으로 말은 원통스프링(13)을 요입장홀(12)에 삽입 구성하였다.
또한, 제1 종래구성의 소켓핀(3)은 핀홀(11)을 1차 가공하고, 그 핀홀(11)의 선단부(11a)를 남겨둔 채로 요입장홀(12)을 내측으로 길게 가공하여 그 요입장홀(12)에 판스프링을 원통형으로 말은 원통스프링(13)을 삽입함으로써 원통스프링(13)의 양측 단부(13a)(13b)가 요입장홀(12)의 양측 단턱(12a)(12b)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1 종래구성은 핀홀(11)에 원통스프링(13)이 삽입될 요입장홀(12)을 가공해야 하지만, 핀홀(11)은 직경이 1.5mm~9mm정도로 얇은 플러그핀(6)이 삽입되는 핀홀(11)이므로 그 핀홀(11)에 공구를 삽입하여 핀홀(11)의 선단부(11a)를 남겨두고 직경이 조금 큰 요입장홀(12)을 길게 가공하는 작업은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정밀가공설비가 필요한 작업이므로 결국 생산원가도 매우 높아지고,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제1 종래구성의 원통스프링(13)은 중앙에 다수의 절개장홀(14)과 다수의 탄성편(15)을 반복형성시킨 판스프링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구성하되 그 원통스프링(13)의 탄성편(15)들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하나의 만곡부(15a)를 형성하여 핀홀(11)로 삽입되는 플러그핀(6)이 원통스프링(13)의 만곡부(15a)에 접촉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1 종래구성의 소켓핀(3)에 플러그핀(6)이 삽입되도록 하면 플러그핀(6)은 소켓핀(3)의 핀홀(11)에 구비된 원통스프링(13)의 만곡부(15a)를 밀면서 삽입되므로 원통스프링(13)의 만곡부(15a)는 플러그핀(6)에 밀려 펼쳐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만곡부(15a)가 형성된 탄성편(15)의 탄성력에 의해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의 접속이 이루어져 충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원통스프링(13)에 형성된 하나의 만곡부(15a)가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을 접속시키는 것이므로 플러그핀(6)이 핀홀(11) 내에서 흔들리는 형태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의 접속 안정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제2 종래구성은 소켓핀(3)의 선단 외경에 단턱(22)을 형성하여 연결핀(23)을 결합하되, 연결핀(23)에 코일스프링(24)을 삽입한 상태로 결합하여 플러그핀(6)이 코일스프링(24)의 내경에 접촉되면서 핀홀(21)로 삽입되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24)의 내경으로 플러그핀(6)이 삽입되도록 한 제2 종래구성은 코일스프링(24)을 만들 때 크고 작은 여러 개의 스프링을 조합하여 코일스프링(24)을 만드는 것이므로 코일스프링(24)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소켓핀(3)의 선단 외경에 결합되는 연결핀(23)은 단순하게 압입하여 결합시킨 것이므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연결핀(23)이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제3 종래구성은 소켓핀(3)의 핀홀(31)선단부분에 2개의 반원홈(32)을 형성하고, 각각의 반원홈(32)에 링형상으로 말은 링형 코일스프링(33)을 삽입하여 플러그핀(6)이 핀홀(31)에 삽입되면 링형 코일스프링(33)을 통해 소켓핀(3)과 플러그핀(6)이 접속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제3 종래구성은 링형 코일스프링(33)이 소켓핀(3)이나 플러그핀(6)을 통하여 외력을 받으면 링형 코일스프링(33)의 나선형상이 눌리면서 링의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접속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1, 제2, 제3 종래구성의 소켓은 충전기(1)의 충전소켓(2)에 적용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제2, 제3 종래구성의 소켓은 도 2의 커넥터(7)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커넥터(7)에 상기 제1, 제2, 제3 종래구성의 소켓을 적용하면 배터리에서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고전압, 고전류의 DC 전기에 사용되는 것일 뿐, 상기 충전소켓(2)에 적용되어 고전압, 고전류의 AC 전기를 전기자동차(4)에 공급할 때 발생되는 상기 문제점들이 커넥터(7)에 설치한 소켓에서도 모두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아웃렛의 소켓이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커넥터의 소켓에 2개의 접속만곡부와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하여 안정적인 접속 탄성력을 제공하고, 그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하기 위한 가공을 핀홀 가공과 동시에 한번에 완료하여 작업효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홀 입구에 고정링을 끼워서 장구형 스프링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연결용 커넥터 소켓과 외부의 충전소켓에 사용되는 소켓핀에는 핀홀을 형성하고, 그 핀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핀홀로 삽입되는 플러그핀에 스프링이 접속되어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핀에는 2개의 직경을 갖는 홀을 가공하여 직경이 작은 1단 홀은 핀홀로, 직경이 큰 2단 홀은 스프링홀로 구비하고, 상기 소켓핀 선단부의 내측 스프링홀에는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홀에는 2개의 접속만곡부와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한 후, 상기 요홈에 고정링을 결합하여 장구형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소켓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홈은 고정링이 삽입되는 방향인 선단부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보다 크도록 가공한 후 요홈을 가공하여 고정링을 용이하게 삽입하면서 고정링이 스프링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소켓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구형 스프링은 평판의 중앙에 다수의 절개장홀과 다수의 탄성편을 반복하여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접속만곡부 사이에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후, 2개의 접속만곡부가 내측을 향하고 1개의 지지만곡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평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소켓핀의 스프링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소켓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구형 스프링의 지지만곡부는 플러그핀이 삽입되면 스프링홀에 지지되어 2개의 접속만곡부가 균일한 탄성력으로 플러그핀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소켓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켓은 전기자동차의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아웃렛의 소켓이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에 연결하는 커넥터의 소켓에 2개의 접속만곡부와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하여 2개의 접속만곡부가 플러그핀에 균일한 탄성력으로 안정적으로 접속되는 효과가 제공하고, 그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하기 위한 2단 홀 가공을 핀홀 가공과 동시에 한번에 완료하여 작업효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홀 입구에 고정링을 끼우는 요홈을 가공할 때 입구의 직경을 조금 더 크게 가공하여 고정링을 결합함으로써 고정링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로 인하여 장구형 스프링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충전기 내부의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제1 종래구성의 소켓핀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 종래구성의 소켓핀 단면도
도 5는 제1 종래구성의 플러그핀 결합상태를 보인 소켓핀 단면도
도 6은 제2 종래구성의 소켓핀 분해사시도
도 7은 제2 종래구성의 소켓핀 단면도
도 8은 제2 종래구성의 플러그핀 결합상태를 보인 소켓핀 단면도
도 9는 제3 종래구성의 소켓핀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3 종래구성의 소켓핀 단면도
도 11은 제3 종래구성의 플러그핀 결합상태를 보인 소켓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소켓핀의 발췌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소켓핀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소켓핀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소켓핀에 플러그핀이 결합되기 시작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소켓핀에 플러그핀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관한 일반적인 예시도와 같이 충전기(1) 외부의 충전소켓(2)이나 전기자동차(4)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커넥터(7)(8)의 소켓에 사용되는 소켓핀(100)에 관한 것으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켓핀(100)은 선단부(110)로부터 2개의 직경을 갖는 홀을 한번에 가공하여 직경이 작은 1단 홀은 핀홀(120)로 사용하고, 직경이 큰 2단 홀은 스프링홀(130)로 사용되게 하며, 선단부(110)에 근접한 스프링홀(130)에는 요홈(140)을 가공하여 고정링(3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홀(130)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장구형 스프링(200)은 평판의 중앙에 다수의 절개장홀(210)과 다수의 탄성편(220)을 반복하여 형성하고, 2개의 접속만곡부(240)(250) 사이 중앙에 1개의 지지만곡부(230)를 형성한 후, 2개의 접속만곡부(240)(250)가 내측을 향하고 지지만곡부(230)가 외측을 향하도록 평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장구형 스프링(200)을 형성하며, 그 장구형 스프링(200)을 소켓핀(100)의 스프링홀(130)에 삽입한다.
또한, 고정링(300)이 삽입되는 요홈(140)은 선단부(110)의 직경이 후단의 스프링홀(130) 직경보다 크도록 가공한 후 요홈(140)을 가공하여 고정링(300)을 용이하게 삽입하면서 고정링(300)이 스프링홀(130)로 밀려 들어가는 것은 방지함과 동시에 장구형 스프링(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상태를 보인 예시도에서와 같이 충전기(1)의 충전소켓(2)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4)의 충전플러그(5)에 설치된 플러그핀(6)이 삽입 접속되도록 한 소켓핀(3)에 관한 발명이며, 도 2에 도시한 일반적인 충전기 내부의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에서와 같이 충전기(1) 내부에서 전선 연결에 사용하는 커넥터(7)의 소켓핀(3)에 관한 발명이기도 하다.
특히, 상기 충전소켓(2)과 상기 커넥터(7)에 사용되는 상기 소켓핀(3)들은 동일한 소켓핀(3)이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소켓핀(100) 역시 충전소켓(2)에 설치하여 고전압, 고전류의 AC 전기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7) 소켓에 설치하여 배터리의 고전압, 고전류 DC 전기를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 소켓핀(100)은 선단에 절연소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므로 외부물질에 의한 합선이나 감전의 염려가 없도록 전기자동차 내부에서 배터리와 전기자동차를 연결하고 차단하는 커넥터(7)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켓핀(100)이 설치된 커넥터(7)를 다른 커넥터(8)에 결합시키거나 본 발명의 소켓핀(100)이 설치된 충전소켓(2)을 전기자동차(4)의 충전플러그(5)에 삽입하면 소켓핀(100)에 플러그핀(400)이 삽입된다.
이때, 본 발명의 소켓핀(100)에는 지그형 드릴공구로 플러그핀(400)이 삽입되는 핀홀(120)과 장구형 스프링(200)이 삽입되는 스프링홀(130)을 동시에 가공하고,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소켓핀(100)의 선단부(110)측 스프링홀(130)에 요홈(140)을 형성할 때 선단부(110)의 직경을 확대가공하여 스프링홀(130)의 직경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하면 장구형 스프링(200)을 삽입하고 고정링(300)을 요홈(140)에 끼워 넣을 때 고정링(300)이 스프링홀(130)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링(300)을 상기 요홈(140)에 끼워 넣으면 스프링홀(130)에 삽입된 장구형 스프링(200)은 양측 단부(201)(202)가 스프링홀(130)의 단턱(131)과 고정링(300) 사이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여유 유격을 갖은 상태로 고정되므로 고정링(300)을 끼워 넣는 간단한 작업으로 장구형 스프링(200)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구형 스프링(200)이 핀홀(120) 쪽이나 소켓핀(100) 밖으로 빠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장구형 스프링(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플러그핀(400)이 소켓핀(100)의 선단부로 삽입되면 도 15와 같이 플러그핀(400)의 선단부분이 고정링(300)을 지나서 장구형 스프링(200)의 첫 번째 접속만곡부(240)에 접속되면서 접속만곡부(240)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접속만곡부(240)가 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지만곡부(230)가 스프링홀(130) 면에 접촉하여 지지되게 한다.
이어서 플러그핀(400)이 계속 삽입되어 도 16과 같이 삽입되면 플러그핀(400)은 장구형 스프링(200)의 두 번째 접속만곡부(250)을 외측으로 밀면서 핀홀(120)로 삽입되므로 2개의 접속만곡부(240)(250)는 모두 펴진 상태가 되어 소켓핀(100)과 플러그핀(400)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때, 장구형 스프링(200)은 양측 단부(201)(202) 사이의 길이가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되지만 그 길이는 스프링홀(103)의 단턱(131)과 고정핀(300) 사이의 여유 유격범위 내에서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장구형 스프링(200)은 양측 단부(201)(202)와 지지만곡부(230)가 스프링홀(130) 면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그 사이의 접속만곡부(240)(250)은 균일한 탄성력으로 플러그핀(400)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접속만곡부(240)(250)가 균일한 탄성력으로 플러그핀(400)에 접속되므로 접속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된 2개의 접속만곡부(240)(250)에 의해 접속포인트가 늘어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통전되는 전류량을 증가시켜 고전압, 고전류의 AC 및 DC 전기를 안정되게 고속충전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소켓핀 110 : 선단부
120 : 핀홀 130 : 스프링홀
131 : 단턱 140 : 요홈
200 : 장구형 스프링 201, 202 : 단부
210 : 절개장홀 220 : 탄성편
230 : 지지만곡부 240, 250 : 접속만곡부
300 : 고정링 400 : 플러그핀

Claims (4)

  1. 배터리 연결용 커넥터 소켓과 외부의 충전소켓에 사용되는 소켓핀에는 핀홀을 형성하고, 그 핀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핀홀로 삽입되는 플러그핀에 스프링이 접속되어 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핀에는 2개의 직경을 갖는 홀을 가공하여 직경이 작은 1단 홀은 핀홀로, 직경이 큰 2단 홀은 스프링홀로 구비하고, 상기 소켓핀 선단부의 내측 스프링홀에는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홀에는 2개의 접속만곡부와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장구형 스프링을 삽입한 후, 상기 요홈에 고정링을 결합하여 장구형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소켓.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고정링이 삽입되는 방향인 선단부의 직경이 후단의 직경보다 크도록 가공한 후 요홈을 가공하여 고정링을 용이하게 삽입하면서 고정링이 스프링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소켓.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형 스프링은 평판의 중앙에 다수의 절개장홀과 다수의 탄성편을 반복하여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접속만곡부 사이에 1개의 지지만곡부를 형성한 후, 2개의 접속만곡부가 내측을 향하고 1개의 지지만곡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평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소켓핀의 스프링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소켓.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구형 스프링의 지지만곡부는 플러그핀이 삽입되면 스프링홀에 지지되어 2개의 접속만곡부가 균일한 탄성력으로 플러그핀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소켓.
KR1020200008579A 2020-01-22 2020-01-22 전기자동차용 소켓 KR10235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579A KR102358509B1 (ko) 2020-01-22 2020-01-22 전기자동차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579A KR102358509B1 (ko) 2020-01-22 2020-01-22 전기자동차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44A true KR20210094844A (ko) 2021-07-30
KR102358509B1 KR102358509B1 (ko) 2022-02-07

Family

ID=7714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579A KR102358509B1 (ko) 2020-01-22 2020-01-22 전기자동차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5784B4 (de) * 2019-09-25 2021-02-11 Audi Ag Ladebuchse für eine Energieversorgungsanordnung, entsprechende Energieversorgungs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debuch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1013A (ja) * 1998-09-10 2000-03-31 Yazaki Corp 雌型端子,雌型端子の組立方法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0733849B1 (ko) * 2006-06-16 2007-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암단자
KR20160039796A (ko) * 2014-10-02 201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CN107317124A (zh) * 2016-04-26 2017-11-03 苏州艾希迪连接器科技有限公司 电连接装置
CN109193218A (zh) * 2018-08-28 2019-01-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接触面斜冠带插孔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1013A (ja) * 1998-09-10 2000-03-31 Yazaki Corp 雌型端子,雌型端子の組立方法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0733849B1 (ko) * 2006-06-16 2007-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암단자
KR20160039796A (ko) * 2014-10-02 201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CN107317124A (zh) * 2016-04-26 2017-11-03 苏州艾希迪连接器科技有限公司 电连接装置
CN109193218A (zh) * 2018-08-28 2019-01-11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接触面斜冠带插孔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509B1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574B2 (ja) コネクタ
US8414339B1 (en) Electrical terminal and receptacle assembly
US8282429B2 (en) Electrical terminal with coil spring
US3794957A (en) Plural-poled, genderless electrical connector
JP2018163876A (ja) 自動車充電プラグコネクタ
US20130337702A1 (en)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US20120003883A1 (en) Electrically conducting terminal
KR102358509B1 (ko) 전기자동차용 소켓
CN103718387A (zh) 连接器
US6840784B2 (en) Adapter with foldaway plug components
US7422473B2 (en) Power adapter cable with commonly configured interfaces
CN102394406A (zh) 具有螺旋弹簧的电端子
KR102396127B1 (ko) 전기자동차용 소켓
US6188042B1 (en) Cigarette lighter with spring biased contact member enabling switching between battery charging and heating
US1079744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ith built-in lockout function
US11588275B2 (en) Electrical interface assembly
CN209929591U (zh) 一种用于电动车快速插拔的电池连接器
CN103883992B (zh) 快速拆装结构及具有该拆装结构的自行车灯
JP6259628B2 (ja) 電源プラグおよび前記電源プラグを備えたタイヤパンク応急修理キット用コンプレッサー
TWM509452U (zh) 插接器
CN219419786U (zh) 一种充放电组件
JP3195270B2 (ja) 車両用シガーライターソケットからの電力取出構造
CN219874282U (zh) 一种房车插头转换器
CN103887673A (zh) 电动汽车的快慢速充电共用充电口组件、插头及插座
CN216983596U (zh) 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