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714A -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714A
KR20210094714A KR1020200008237A KR20200008237A KR20210094714A KR 20210094714 A KR20210094714 A KR 20210094714A KR 1020200008237 A KR1020200008237 A KR 1020200008237A KR 20200008237 A KR20200008237 A KR 20200008237A KR 20210094714 A KR20210094714 A KR 20210094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wivel
locking memb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원
박상도
윤상휘
유소영
정찬호
한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714A/ko
Priority to US16/902,519 priority patent/US11208012B2/en
Publication of KR2021009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aki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origina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탑재되는 시트를 18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전후 위치에서 강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3차원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트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킨 후 18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 조절 전후에는 시트를 본래 위치로 하강시켜 강건하게 락킹되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조절 전후의 시트를 강건하게 락킹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SWIVEL DEVICE FO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탑재되는 시트를 18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전후 위치에서 강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의 3차원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차량의 출시를 대비하여, 승객 간의 대화 및 회의, 릴렉세이션 및 취침, 승하차 보조 등을 위한 다양한 메카니즘이 적용된 시트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특히, 다자 간의 회의 및 대화, 외부 경관 관람, 승하차 보조 등을 위하여 시트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180°이상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타입(회전형) 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대개, 종래의 스위블 시트에는 시트를 H축(차량의 상하 높이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메커니즘이 적용되거나, 원형 레일을 이용한 스위블 메커니즘이 적용되고 있으나, 그 회전 중심부에 대한 강성이 취약하여 충돌 사고시 파손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스위블 시트는 회전 중심부에 대한 별도의 보강없이 스위블 메커니즘에 의하여 2차원 평면 상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스위블 시트의 회전 중심부에 대한 강성이 취약하여 충돌 사고시 파손이 발생될 소지가 있고, 결국 스위블 시트 전체가 한쪽으로 넘어가게 되어 승객 상해치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킨 후 18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 조절 후에는 시트를 본래 위치로 하강시켜 강건하게 락킹되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 조절된 후의 시트를 강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제1락킹부재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시트레일 위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부에 장착되는 제2모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제2모터의 출력축과 스위블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스위블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기구; 저면에 상기 제1락킹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락킹부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암나사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락킹부재는 원형 핀 형상으로 구비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영역 중 스위블 플레이트의 외경부를 벗어난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락킹부재는 제1락킹부재가 삽입되도록 홈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승강 플레이트의 저면 영역 중 스위블 플레이트의 외경부를 벗어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락킹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락킹부재는 승강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피봇축을 갖는 피봇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저면 중앙부에는 피봇 커버의 피봇축이 삽입되는 피봇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력 전달기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제2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원호형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호형 슬롯에 삽입된 구동기어의 회전축에는 원호용 슬롯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구동기어 이탈 방지용 기어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2개 이상의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는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시트레일의 이동레일에 장착되는 장착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판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위하여 먼저 시트를 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작동이 선행된 다음 시트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3차원 공간을 활용한 시트의 스위블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시트의 스위블 작동 후에 시트를 다시 본래 위치로 하강시켜서, 시트가 락킹부재에 의하여 강건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에 강건한 시트의 강성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스위블 플레이트의 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승강 플레이트의 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을 위하여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상태를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완료 상태를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완료 후 승강 플레이트가 다시 하강한 상태를 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스위블 플레이트와 승강 플레이트의 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에 대한 조립 상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존의 시트에 포함된 스위블 장치는 2차원 평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트를 회전시키는 메커니즘을 채택한 반면, 본 발명의 스위블 장치는 시트를 회전시킬 때 2차원 평면 외에 상하방향의 축(Z)를 더한 3차원 공간을 활용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블 장치는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시트레일(10) 위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20)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블 플레이트(30)와, 스위블 플레이트(30)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동시에 시트쿠션 프레임(50)에 장착되는 승강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판체 구조로서, 그 상면에 제1락킹부재(21)가 돌출 형성되고, 양측부에 시트레일(10)에 장착되는 장착단(24)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시트레일(10)은 플로어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레일(11)과, 이 고정레일(11)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일(12)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장착단(24)을 시트레일(10)의 이동레일(12)에 장착하며, 그 이유는 시트의 전후 슬라이딩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 영역 중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외경부를 벗어난 위치에 원형 핀 형상으로 된 제1락킹부재(21, locking member)가 상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락킹부재(21)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예, 6개)가 등간격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저부 소정 위치에는 스위블 플레이트(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모터(23)가 장착되고, 이 제2모터(23)의 출력축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관통홀(25)을 통해 위쪽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는 원형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위에 상기 제2모터(2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중앙부에는 피봇축(27)을 갖는 피봇 커버(26)가 장착되고,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저면 중앙부에는 피봇 커버(26)의 피봇축(27)이 삽입되는 피봇홈(31)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피봇홈(31)에 피봇 커버(26)의 피봇홈(27)에 피봇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스위블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 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모터(23)의 회전 구동력을 스위블 플레이트(30)에 전달하기 위하여상기 제2모터(23)의 출력축과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저부에 회전력 전달기구(6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력 전달기구(60)는 기어열을 이용하여 제2모터(23)의 회전력을 스위블 플레이트(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력 전달기구(60)는 제2모터(23)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구동기어(62)와,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저면에 형성되어 구동기어(62)와 맞물리는 종동기어(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모터(23)에 출력축에 장착된 구동기어(6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기어(62)를 지지해줄 필요가 있고,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구동기어(62)의 회전축(63)이 삽입되는 원호형 슬롯(3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원호형 슬롯(32)에 삽입되어 위로 돌출된 구동기어(62)의 회전축(63)에 원호용 슬롯(32)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구동기어 이탈 방지용 기어커버(61)가 부착된다.
이에, 상기 구동기어(62)의 회전축(63)이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원호용 슬롯(32)에 삽입되어 기어커버(61)로 체결됨으로써, 제2모터(23)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기어(62)가 제자리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저부에 형성된 종동기어(64)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테두리 부분이 원호용 슬롯(32)에 삽입된 구동기어(62)의 회전축(63) 및 기어커버(61)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위블 플레이트(30)도 흔들리지 않고 구동기어(62)로부터 종동기어(64)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40)는 원형 판체 구조로서, 스위블 플레이트(30)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동시에 시트쿠션 프레임(5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는 암나사홀(46)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면에 제1모터(43)가 장착되며, 이 제1모터(43)의 출력축에는 상기 암나사홀(46)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리드스크류(4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2개 이상의 가이드 핀(33)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에는 가이드 핀(33)이 삽입되는 가이드홀(44)이 관통 형성되며, 가이드홀(44)에 삽입된 가이드 핀(33)의 상단부는 제1모터(43)의 양측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양측부에는 시트쿠션 프레임(50)에 장착되는 장착판(45)이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가이드 핀(33)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44)에 삽입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장착판(45)이 시트쿠션 프레임(50)에 장착됨에 따라,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회전시 승강 플레이트(40)와 시트쿠션 프레임(50)이 함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도 3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락킹부재(21)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락킹부재(41)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저면 영역 중 스위블 플레이트의 외경부를 벗어난 위치에 제1락킹부재(21)가 삽입되도록 홈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된 제2락킹부재(41)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락킹부재(41)는 승강 플레이트(40)의 저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예, 제1락킹부재와 동일하게 6개)가 등간격을 이루며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의 스위블 작동 전후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하강에 의하여 제2락킹부재(41) 내에 제1락킹부재(21)가 삽입 체결되어 충돌에 강건한 시트의 강성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의 스위블 작동시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승에 의하여 제2락킹부재(41)로부터 제1락킹부재(21)가 분리되는 상태가 되어 시트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트 스위블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다.
시트의 스위블 작동 전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4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제2락킹부재(41) 내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제1락킹부재(21)가 삽입 체결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시트쿠션 프레임(50)에 장착된 승강 플레이트(40)의 제2락킹부재(41) 내에 시트레일(10)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제1락킹부재(21)가 삽입되어 락킹됨에 따라 충돌에 강건한 시트의 강성 보강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위블 시트는 회전 중심부에 대한 별도의 보강없이 스위블 메커니즘에 의하여 2차원 평면 상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스위블 시트의 회전 중심부에 대한 강성이 취약하여 충돌 사고시 회전 중심부의 파손에 의하여 스위블 시트 전체가 한쪽으로 넘어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 시트의 경우에는 제1락킹부재(21)와 제2락킹부재(41) 간의 결합에 따른 강성 보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충돌 사고시 회전 중심부의 파손 방지 및 스위블 시트 전체가 한쪽으로 넘어갈 수 있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구성 중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을 위하여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시트의 스위블 작동을 위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승 작동이 우선 선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면에 장착된 제1모터(43)가 구동되어 리드스크류(42)가 일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42)는 승강 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는 암나사홀(46)에 나사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가이드 핀(33)이 승강 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44)에 삽입 관통된 상태이다.
이에, 도 8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리드스크류(42)의 일방향 제자리 회전시 암나사홀(46)을 갖는 승강 플레이트(40)가 상승하게 되고, 도 10a 및 도 10b에서 보듯이 승강 플레이트(40)가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5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승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40)의 제2락킹부재(41)도 상승하게 되므로,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제1락킹부재(21)로부터 제2락킹부재(41)가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락킹부재(21)로부터 제2락킹부재(41)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회전 작동시 승강 플레이트(40) 및 시트쿠션 프레임(50)도 함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승 작동 후 실질적인 시트 스위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저부에 장착된 제2모터(23)가 구동됨과 함께 구동기어(62)가 일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62)의 회전력이 스위블 플레이트(30)의 저부에 형성된 종동기어(64)로 전달됨으로써, 스위블 플레이트(3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가이드 핀(33)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44)에 삽입 관통된 상태이므로,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회전력이 승강 플레이트(4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회전시 도 11a 및 도 11b에서 보듯이 승강 플레이트(40) 및 시트쿠션 프레임(5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도 12a 및 도 12b에서 보듯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를 비롯하여 승강 플레이트(40) 및 시트쿠션 프레임(50)이 최대 180도까지 회전하게 된다.
첨부한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의 스위블 작동 완료 후 승강 플레이트가 다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스위블 플레이트(30)의 회전시 승강 플레이트(40) 및 시트쿠션 프레임(50)이 함께 회전하여 시트 자체가 180도 회전되는 스위블 작동이 완료되면, 승강 플레이트(40) 및 시트쿠션 프레임(50)이 다시 하강 작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상면에 장착된 제1모터(43)가 구동되어 리드스크류(42)가 타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42)는 승강 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는 암나사홀(46)에 나사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30)의 가이드 핀(33)이 승강 플레이트(40)의 가이드홀(44)에 삽입 관통된 상태이다.
이에, 상기 리드스크류(42)의 타방향 제자리 회전시 암나사홀(46)을 갖는 승강 플레이트(40)가 하강하게 되고, 도 13a 및 도 13b에서 보듯이 승강 플레이트(40)가 장착된 시트쿠션 프레임(50)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40)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 플레이트(40)의 제2락킹부재(41)도 하강하게 되므로, 도 13b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제1락킹부재(21)가 제2락킹부재(41) 내에 다시 삽입되어 락킹됨으로써, 시트 스위블 작동 후에도 충돌에 강건한 시트의 강성 보강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10 : 시트레일 11 : 고정레일
12 : 이동레일 20 : 베이스 플레이트
21 : 제1락킹부재 23 : 제2모터
24 : 장착단 25 : 관통홀
26 : 피봇 커버 27 : 피봇축
30 : 스위블 플레이트 31 : 피봇홈
32 : 원호용 슬롯 33 : 가이드 핀
40 : 승강 플레이트 41 : 제2락킹부재
42 : 리드스크류 43 : 제1모터
44 : 가이드홀 45 : 장착판
46 : 암나사홀 50 : 시트쿠션 프레임
60 : 회전력 전달기구 61 : 기어커버
62 : 구동기어 64 : 종동기어
63 : 회전축

Claims (10)

  1. 상면에 제1락킹부재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시트레일 위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부에 장착되는 제2모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블 플레이트;
    상기 제2모터의 출력축과 스위블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스위블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기구;
    저면에 상기 제1락킹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락킹부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암나사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재는 원형 핀 형상으로 구비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영역 중 스위블 플레이트의 외경부를 벗어난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락킹부재는 제1락킹부재가 삽입되도록 홈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승강 플레이트의 저면 영역 중 스위블 플레이트의 외경부를 벗어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락킹부재는 승강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피봇축을 갖는 피봇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저면 중앙부에는 피봇 커버의 피봇축이 삽입되는 피봇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기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는 상기 제2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원호형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슬롯에 삽입된 구동기어의 회전축에는 원호용 슬롯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구동기어 이탈 방지용 기어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2개 이상의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는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시트레일의 이동레일에 장착되는 장착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판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KR1020200008237A 2020-01-22 2020-01-22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KR20210094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237A KR20210094714A (ko) 2020-01-22 2020-01-22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US16/902,519 US11208012B2 (en) 2020-01-22 2020-06-16 Swivel device of seat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237A KR20210094714A (ko) 2020-01-22 2020-01-22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14A true KR20210094714A (ko) 2021-07-30

Family

ID=7685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237A KR20210094714A (ko) 2020-01-22 2020-01-22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08012B2 (ko)
KR (1) KR202100947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6627S1 (en) * 2020-05-08 2023-01-31 Jinguang Wen Swivel
JP2022014373A (ja) * 2020-07-06 2022-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WO2023230373A1 (en) * 2022-05-27 2023-11-30 Magna Seating Inc. Modular carrier assembly for swivel mechanism
WO2024057112A1 (en) 2022-09-14 2024-03-21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 motor-vehicle seat rotatably mounted around a vertical axi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8472A1 (en) * 2006-03-18 2008-02-28 Rainer Kuenzel Extendable Seat System for a Host
DE102008032162B3 (de) * 2008-07-08 2009-12-03 Keiper Gmbh & Co. Kg Sitzverstelleinrichtung
US8936295B2 (en) * 2011-11-05 2015-01-20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Articulated seating system
GB201320380D0 (en) * 2013-11-19 2014-01-01 Auger Laurent Powered vehicle mechanism
CA2957892C (en) * 2014-05-30 2022-05-17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Vehicle access seating
JP2017039468A (ja) * 2015-08-21 2017-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KR102496196B1 (ko) * 2018-09-28 2023-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및 틸팅 장치
KR102576172B1 (ko) * 2018-12-24 2023-09-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08012B2 (en) 2021-12-28
US20210221260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4714A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장치
KR10248493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 및 스위블 장치
KR10249619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위블 및 틸팅 장치
US4600239A (en) Vehicular seat for handicapped and elderly persons
US8936295B2 (en) Articulated seating system
WO2024040923A1 (zh) 旋转机构、座椅结构总成及车辆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WO2018235695A1 (ja) 乗物用シート
WO2024040924A1 (zh) 连接机构、座椅结构总成及车辆
WO2005049367A1 (ja) 揺動装置
KR102264389B1 (ko) 자동차용 파워 테이블 장치
CN208306407U (zh) 座椅驱动装置
JPH0126900B2 (ko)
JP4091370B2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
CN100475601C (zh) 伸长行程式转动机构
US7293952B2 (en) Lift apparatus for vehicle for the handicapped
KR20210081773A (ko) 자동차용 시트의 부분 스위블 장치
US20220363170A1 (en) Foldable vehicle seat
KR92000058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회전시트
JP2003341393A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US5212868A (en) Method of making an adjustable seat recliner apparatus
CN206917448U (zh) 能够对移动门予以锁闭的锁具
CN219989055U (zh) 座椅调节装置及具有其的座椅
JP7259584B2 (ja) テーブル装置
KR20200066974A (ko) 차량용 시트의 각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