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271A -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271A
KR20210094271A KR1020200007819A KR20200007819A KR20210094271A KR 20210094271 A KR20210094271 A KR 20210094271A KR 1020200007819 A KR1020200007819 A KR 1020200007819A KR 20200007819 A KR20200007819 A KR 20200007819A KR 20210094271 A KR20210094271 A KR 2021009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ircular member
hinge
fasten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470B1 (ko
Inventor
차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베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베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베츠
Priority to KR102020000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일측 끝단에 플랜지부를 갖고, 타측 끝단이 서로 힌지로 연결된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종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갖는 클램프; 및 상기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거치홀과, 상기 거치홀에 삽입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시 상기 원형부재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용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가 원형 부재와 특정간격 이격되게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 사이는 특정 이격공간을 가지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가지며, 서로 대향되는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플랜지부 사이 이격공간에 이격재가 삽입되고, 상기 원통 절반형 보강재 내면에 구비되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적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Stressed clamped hinge type connection for circular cross section members and its installation sequence}
본 발명은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말뚝 또는 원형 부재로 제작되는 해양구조물의 지지능력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단면의 용량을 증가하여야 하나 이미 시공된 구조물의 단면을 증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보강이 필요한 원형 부재 주변을 감싸는 원형 클램프를 형성, 설치하고 그 내부를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비가압형 그라우트 연결 클램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압형 그라우트 연결 클램프는 그라우트가 경화될 때까지 원형부재의 길이방향이나 횡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해야 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가압형 기계적 클램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한 보강과, 보강의 효과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원형부재 주변에 지그를 형성하고 보강하고자 하는 원형부재와 지그 사이에 탄성체를 삽입한 후 기계적인 체결을 가하는 가압형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876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2382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878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11530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원형 파일이나 부재(이하 원형 부재로 지칭함)를 보강하기 위해 인접하여 신규로 설치하는 원형부재와 기존의 원형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연결하기 위한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와 그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원형 부재를 보강하거나 신규로 설치되는 부재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힌지 적용 클램프 연결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가압형 그라우트 연결 클램프를 기본으로 하되, 가압형 연결 클램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우트 충전시 원형부재와 클램프 사이에 상대변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그라우트 경화시까지 클램프를 효과적으로 원형부재에 거치할 수 있으며, 클램프 연결장치 체결시 도입하고자 하는 가압력을 미리 설계하여 도입할 수 있으므로 보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클램프 장치가 서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클램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가 서로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1대의 크레인으로 시공이 가능한,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일측 끝단에 플랜지부를 갖고, 타측 끝단이 서로 힌지로 연결된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종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갖는 클램프; 및 상기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거치홀과, 상기 거치홀에 삽입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시 상기 원형부재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가 원형 부재와 특정간격 이격되게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 사이는 특정 이격공간을 가지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가지며, 서로 대향되는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플랜지부 사이 이격공간에 삽입되는 이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향후 클램프에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 간의 이격공간를 설계하는 단계; 힌지를 통해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상기 원형부재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통해 이격공간을 갖도록 체결한 후, 거치홀에 삽입되는 거치용 볼트를 이용하여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체결부재 볼트에 이격재를 연결하여 이격공간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원형부재와 클램프에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그라우트 경화 후, 상기 이격재와 상기 거치용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력을 클램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적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기존 원형부재와 신규 원형부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서로 횡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한 쌍의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횡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향후 클램프에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앞서 언급한 제3목적에 따른 연결용 힌지적용 클램프 장치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 간의 이격공간를 설계하는 단계; 힌지를 통해 각각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기존 원형부재와 신규 원형부재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통해 이격공간을 갖도록 체결한 후, 거치홀에 삽입되는 거치용 볼트를 이용하여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체결부재 볼트에 이격재를 연결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기존 원형부재와 클램프에 사이 및 상기 신규 원형부재와 클램프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그라우트 경화 후, 상기 이격재와 상기 거치용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력을 클램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원형 부재를 보강하거나 신규로 설치되는 부재와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비가압형 그라우트 연결 클램프를 기본으로 하되, 가압형 연결 클램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그라우트 충전시 원형부재와 클램프 사이에 상대변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그라우트 경화시까지 클램프를 효과적으로 원형부재에 거치할 수 있으며, 클램프 연결장치 체결시 도입하고자 하는 가압력을 미리 설계하여 도입할 수 있으므로 보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한 쌍의 클램프 장치가 서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클램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가 서로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1대의 크레인으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비가압형 그라우트 연결 클램프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가압형 기계적 클램프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의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의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이격재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볼트에 삽입된 이격재의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재의 평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재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의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가 원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b에서 클램프와 원형부재 사이에 그라우트를 주입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그라우트 경화 후 이격재와 거치용 볼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8a은 도 7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평면도,
도 8b는 도 7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정면도,
도 8c는 도 7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가 기존 원형부재와 신규 원형부재에 삽입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이격재를 두고 볼트, 너트를 결합한 후, 클램프와 신규 원형부재 사이, 및 클램프와 기존 원형부재 사이에 그라우트를 주입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그라우트 경화 후 이격재와 거치용 볼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2a는 도 11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평면도,
도 12b는 도 11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정면도,
도 12c는 도 11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측단면도와,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를 크레인 1대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측면도, (크레인 1대로 시공 가능)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를 크레인 2대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 그리고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의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의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는 전체적으로 클램프(10)와 거치용 볼트(20), 볼트(16), 너트(1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0)는 원통 절반형 보강재(11) 2개가 한 세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원통 절반형 보강재(11) 각각의 일측은 힌지(18)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힌지(18)를 통해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는 서로 연결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원통 절반형 보강재(11) 각각의 타측 끝단에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랜지부(12)에 종방향을 따라 체결홀(13)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는 원형부재(1)와 특정간격 이격되게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절반형 보강재(11)의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거치홀(21)과, 거치홀(21)에 삽입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시 원형부재(1)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용 볼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11)가 원형 부재(11)와 특정간격 이격되게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플랜지부(12) 사이는 특정 이격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되는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플랜지부 사이 이격공간에 이격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원통 절반형 보강재 내면 또는 원형부재 외면에 스터드 등 전단 보강재가 부가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이격재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도 4a에서 볼트에 삽입된 이격재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재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플랜지부(12)의 평면방향 연장선과, 힌지(18)에 의한 접착면의 평면방향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180°보다 작은 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2쪽을 서로 맞댔을 때 이격공간(15)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이격공간(15), 이격량은 향후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설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통 절반형 보강재(11)의 플랜지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13) 사이, 주변에 보강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 절반형 보강재(11)의 몸체 일측에 복수의 거치홀(21)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이러한 거치홀(21) 각각에 거치용 볼트(20)가 삽입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원형부재(1)에 설치시 원형부재(1)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힌지(18)를 통해 클램프(10)를 보강 대상이 되는 원형부재(1)에 효과적으로 거치하고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용 볼트(20)가 보강 대상 방향으로 클램프(10) 외부에서부터 거치홀(21)을 관통하여 다수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거치용 볼트(20)의 수량과 상세 배치도 거치 목적에 따라 설계적으로 결정,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원통 절반형 보강재(11) 내부 표면 또는 원형부재(1) 외면에는 목적에 따라 설계적으로 스터드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용 클램프 장치(100)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재(3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볼트(16)가 삽입되는 걸림턱(31)을 가지며, 서로 대향되는 원통 절반형 보강재(11)의 플랜지부(12) 사이 이격공간(15)에 설치되게 된다. 대향하여 배치된 이격공간(15)은 설치의 용이성에 따라 대향한 양쪽 뿐 만 아니라 일측에만 배치할 수 있다.
즉, 원통 절반형 보강재(11)가 서로 맞댔을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 사이에 이격공간(15)이 형성되며, 이러한 이격공간(15)에 이격재(30)를 설치하게 된다. 이격공간(15)이 대향 양측이 아니라 한 쪽에만 배치한 경우, 그 이격공간(15)에만 이격재(30)을 설치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볼트(16)에 이격재(30)의 걸림턱(31)이 거치되면서 이격재(30)가 이격공간(15) 내에 설치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격재(30)의 상부에는 클램프(10) 상단과 위치를 맞춤 수 있도록 소형 위치조절부(3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라우트(3) 경화 후 볼트(16)와 너트(17)를 풀지 않고도 이격재(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100)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향후 클램프(10)에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앞서 언급한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100)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11) 간의 이격공간(15)를 설계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원형부재에 클램프 장치를 위치시키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상태의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힌지(18)에 의해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를 닫고, 플랜지부(12)의 체결홀(13)에 볼트(16)를 삽입하여 너트를 통해 체결하고, 거치홀(21) 각각에 거치용 볼트(20)를 삽입하여 클램프 장치(100)와 원형부재(1) 사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즉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를 볼트(16)와 너트(17)를 통해 이격공간(15)을 갖도록 체결한 후, 거치홀(21)에 삽입되는 거치용 볼트(20)를 이용하여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원형부재(1) 외측으로 삽입하고, 볼트(16)에 이격재(30)를 연결하여 이격공간(15)을 폐쇄하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가 원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원형부재(1) 외면과 클램프(10) 내면에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3)를 주입하게 된다. 도 6은 도 5b에서 클램프와 원형부재 사이에 그라우트를 주입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그라우트(3) 경화 후, 이격재(30)와 거치용 볼트(20)를 제거하게 된다. 도 7은 도 6에서 그라우트 경화 후 이격재와 거치용 볼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볼트(16)와 너트(17)를 재차 체결하여 가압력을 클램프(10)에 도입하게 된다. 도 8a은 도 7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도 7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c는 도 7에서 볼트와 너트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110)의 구성과 그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가 기존 원형부재와 신규 원형부재에 삽입되는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110)는 앞서 언급한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100)를 2개를 한세트로 하여 서로 횡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연결부재(120)를 통해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110)를 통해 기존 수중파일(기존 원형부재(1))과 신규 수중파일(신규 원형부재(2))을 연결할 수 있다.
먼저 향후 클램프(10)에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연결용 클램프 장치(110)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11) 간의 이격공간(15)를 설계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8)를 통해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를 개방한 상태로 원형부재(1)와 신규 원형부재(2) 측에 위치시킨 후, 힌지(18)를 통해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를 닫고, 원통 절반형 보강재(11)를 볼트(16)와 너트(17)를 통해 이격공간(15)을 갖도록 체결한 후, 거치홀(21)에 삽입된 거치용 볼트(20)를 이용하여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최상단 볼트(16)에 이격재(30)를 연결하여 이격공간(15)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 원형부재(1)와 클램프(10)에 사이 및 신규 원형부재(2)와 클램프(10) 공간에 그라우트(3)를 주입하게 된다. 도 10은 도 9에서 이격재를 두고 볼트, 너트를 결합한 후, 클램프와 신규 원형부재 사이, 및 클램프와 기존 원형부재 사이에 그라우트를 주입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그라우트(3) 경화 후, 이격재(30)와 거치용 볼트(20)를 제거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그라우트 경화 후 이격재와 거치용 볼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볼트(16)와 너트(17)를 재차체결하여 신규 원형부재(1)의 클램프(10)와, 기존 원형부재(2)의 클램프(10) 각각에 가압력을 도입하게 된다. 도 12a는 도 11에서 볼트(16)와 너트(17)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b는 도 11에서 볼트(16)와 너트(17)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c는 도 11에서 볼트(16)와 너트(17)를 재차 체결하여 클램프에 가압력을 도입한 후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측단면도와,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를 크레인 1대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측면도(크레인 1대로 시공 가능)를 도시한 것이며, 도 14b는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를 크레인 2대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실시예에 따른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클램프 장치는 서로 연결부재(120)에 의해 연결되고, 클램프(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11)가 서로 힌지부(18)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1대의 크레인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기존 원형부재
2:신규 원형부재
3:그라우트
10:클램프
11:원통 절반형 보강재
12:플랜지부
13:체결홀
14:보강재
15:이격공간
16:볼트
17:너트
18:힌지
20:거치용 볼트
21:거치홀
30:이격재
31:걸림턱
32:위치조절부
100:보강용 클램프장치
110:연결용 클램프장치
120:연결부재

Claims (5)

  1.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일측 끝단에 플랜지부를 갖고, 타측 끝단이 서로 힌지로 연결된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종방향을 따라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갖는 클램프; 및
    상기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거치홀과, 상기 거치홀에 삽입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시 상기 원형부재와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거치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가 원형 부재와 특정간격 이격되게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 사이는 특정 이격공간을 가지며,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턱을 가지며, 서로 대향되는 원통 절반형 보강재의 플랜지부 사이 이격공간에 삽입되는 이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3.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향후 클램프에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 간의 이격공간를 설계하는 단계;
    힌지를 통해 한 쌍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상기 원형부재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통해 이격공간을 갖도록 체결한 후, 거치홀에 삽입되는 거치용 볼트를 이용하여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체결부재 볼트에 이격재를 연결하여 이격공간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원형부재와 클램프에 사이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그라우트 경화 후, 상기 이격재와 상기 거치용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력을 클램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적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
  4. 기존 원형부재와 신규 원형부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서로 횡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한 쌍의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횡방향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5.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향후 클램프에 도입할 가압력에 따라 제 4항에 따른 연결용 힌지적용 클램프 장치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 간의 이격공간를 설계하는 단계;
    힌지를 통해 각각의 원통 절반형 보강재를 기존 원형부재와 신규 원형부재에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통해 이격공간을 갖도록 체결한 후, 거치홀에 삽입되는 거치용 볼트를 이용하여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체결부재 볼트에 이격재를 연결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기존 원형부재와 클램프에 사이 및 상기 신규 원형부재와 클램프 공간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그라우트 경화 후, 상기 이격재와 상기 거치용 볼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부재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력을 클램프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재 횡방향 연결용 클램프 장치의 시공방법.
KR1020200007819A 2020-01-21 2020-01-21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7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19A KR102373470B1 (ko) 2020-01-21 2020-01-21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19A KR102373470B1 (ko) 2020-01-21 2020-01-21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271A true KR20210094271A (ko) 2021-07-29
KR102373470B1 KR102373470B1 (ko) 2022-03-14

Family

ID=7712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19A KR102373470B1 (ko) 2020-01-21 2020-01-21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491B1 (ko) * 2023-07-26 2024-01-19 주식회사 성신중공업 건축 부재 설치를 위한 가설 구조 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855B1 (ko) 1996-12-28 2005-05-09 케메탈 게엠베하 금속 표면 처리법
KR100838736B1 (ko) * 2007-02-27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및 접합장치
KR20130061536A (ko) * 2011-12-01 2013-06-11 주식회사 포스코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JP2013160023A (ja) * 2012-02-08 2013-08-19 Fuji Dengyosha:Kk 既設鋼管柱補強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80115304A (ko) 2016-03-04 2018-10-22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KR20190023823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하림엔지니어링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KR20190087612A (ko) 2016-12-02 2019-07-24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프로파일된 클램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855B1 (ko) 1996-12-28 2005-05-09 케메탈 게엠베하 금속 표면 처리법
KR100838736B1 (ko) * 2007-02-27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및 접합장치
KR20130061536A (ko) * 2011-12-01 2013-06-11 주식회사 포스코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JP2013160023A (ja) * 2012-02-08 2013-08-19 Fuji Dengyosha:Kk 既設鋼管柱補強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80115304A (ko) 2016-03-04 2018-10-22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프로파일형 클램프용 프리-포지셔너 및 프리-포지셔너를 가지는 연결 장치
KR20190087612A (ko) 2016-12-02 2019-07-24 노르마 저머니 게엠베하 프로파일된 클램프
KR20190023823A (ko) 2017-08-30 2019-03-08 주식회사 하림엔지니어링 연결구와 볼트를 이용한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491B1 (ko) * 2023-07-26 2024-01-19 주식회사 성신중공업 건축 부재 설치를 위한 가설 구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470B1 (ko) 202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6012A1 (en) Recess former for concrete panels
KR100923565B1 (ko)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KR102373470B1 (ko) 원형부재 보강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힌지 적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10291A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KR102334190B1 (ko) 원형부재 보강용 클램프 장치, 그 시공방법, 원형부재 연결용 클램프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07145477A1 (en)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KR101202372B1 (ko)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100605327B1 (ko) 섬유보강판 프리스트레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방법
JP6814537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CN217517547U (zh) 一种混凝土预制桩无端板连接装置及混凝土预制桩
KR200407613Y1 (ko) 볼트 체결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0448265Y1 (ko) 파형강판용 결합구
WO2018061075A1 (ja) 型枠
JP6148697B2 (ja) 型枠
WO2022129942A1 (en) Pipe cover
KR102102522B1 (ko) 체결유닛이 적용된 미분리형 블록 프리캐스트 거푸집 조립체
JP728514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1631526B1 (ko) 외부 긴장재를 이용한 교각의 내진보강 공법
KR101518034B1 (ko) 자기구속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및 이의 시공방법
JP7039867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100489785B1 (ko) 전단키보강용 섬유보강쉬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WO2019021704A1 (ja) プレキャスト板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7313689B2 (ja) 接合システム
KR100347257B1 (ko) 콘크리트암거의 연결방법
JP2015510062A (ja) 構造物要素を接続するターン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