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573A -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 Google Patents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573A
KR20210093573A KR1020200007322A KR20200007322A KR20210093573A KR 20210093573 A KR20210093573 A KR 20210093573A KR 1020200007322 A KR1020200007322 A KR 1020200007322A KR 20200007322 A KR20200007322 A KR 20200007322A KR 20210093573 A KR20210093573 A KR 2021009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clip
sub
module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116B1 (ko
Inventor
이관용
이해선
Original Assignee
이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용 filed Critical 이관용
Priority to KR102020000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에 관한 것이다.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은 체결 부분(11a, 11b), 체결 부분(11a, 11b)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 유도 부분(111) 및 클립이 고정되는 고정 부분(12)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서브 조(10a); 및 제1 서브 조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제2 서브 조(10b)를 포함하고, 제1 서브 조의 체결 부분(11a, 11b) 또는 이동 유도 부분(111)에 회전 과정이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An Operating Angle Regulating Type of a Jaw Module for a Clip Applier}
본 발명은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결찰을 위한 클립의 개방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부의 수술 과정에서 혈관 또는 맹장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체 기관의 파지 또는 절제를 위하여 의료용 클립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수돌기 절제 수술 과정에서 맹장 또는 혈관을 파지하거나, 결찰하거나 또는 지혈하기 위하여 클립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의료용 클립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술 과정에서 혈관 또는 맹장의 일부와 같은 신체 일부의 결찰을 위하여 다수 개의 클립이 어플라이어에 차례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클립 어플라이어에 배치된 다수 개의 클립은 차례대로 조 모듈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수술 부위를 결찰시킬 수 있다. 미국 특허등록번호 7,316,696은 유연성 힌지 영역에 의하여 끝 부분에서 결합되고 곡면 형상의 마주보는 내부 표면 사이에 혈관을 파지하기 위하여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곡선 다리를 가지는 고분자 소재의 외과 클립에 대하여 개시한다. 미국 특허등록번호 7,052,504는 구동 기기, 한 쌍의 마주보는 조(jaws) 및 그들 사이에 배치된 연장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연장 어셈블리에 배치된 클립 구동 디바이스가 조에 결합되도록 연장 어셈블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클립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 기기에 의하여 작동되고, 클립 제어 부품이 연장 어셈블리의 끝 부분에 배치되고, 클립 제어 부품은 제1, 2 및 3 클립 제어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클립 제어 표면은 클립의 제1 끝 부분에 접촉하여 클립이 제1 끝 부분 주위로 회전하도록 만들고, 제2 및 제3 제어 표명은 조와 결합되도록 클립이 이동되기 전 클립의 끝 부분을 수용하는 자동 공급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에 대하여 개시한다. 미국 특허공개번호 US 2014/0052157A1은 핸들 부분; 핸들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몸체; 몸체 내부에 배치된 다수 개의 외과용 클립; 및 몸체의 끝 부분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조 유닛으로 이루어진 신체 조직을 위한 외과용 클립의 적용을 위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조 모듈은 서로 마주보면서 서로 맞물리도록 회전되는 두 개의 서브 조로 이루어지고, 서브 조의 작동에 의하여 클립이 어플라이어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브 조의 작동 과정에서 클립이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조의 작동 각이 적절하지 않으면 클립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클립이 조 모듈로부터 이탈되거나, 적절하게 결찰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조 모듈은 서브 조의 작동 각이 확보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지만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조 모듈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US 7,316,696 B2(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2008년01월08일 공개) Ligating Clip with Integral Interlocking Latch Mechanism 특허문헌 2: US 7,052,504 B1(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2004년05월20일 공개) Automated-feed Surgical Clip Applier and Related Methods 특허문헌 3: US2014/0052157A1(Covidien LP, 2014년2월20일 공개) Endoscopic Surgical Clip Applier
본 발명의 목적은 결찰을 위하여 어플라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클립의 개방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은 체결 부분, 체결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 유도 부분 및 클립이 고정되는 고정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서브 조; 및 제1 서브 조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제2 서브 조를 포함하고,제1 서브 조의 체결 부분 또는 이동 유도 부분에 회전 과정이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섭 회피 구조는 주변 부위에 대하여 오목한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섭 회피 부분에 의하여 세1, 2 서브 조의 개방 각도가 커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은 서로 맞물리도록 작동되는 두 개의 서브 조의 개방 각도가 커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결찰을 위하여 조 모듈에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클립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은 서브 조가 간섭을 받지 않고 작동되어 조 모듈로 클립이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도록 하면서 결찰 과정에서 클립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을 형성하는 제1, 2 서브 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에 클립이 고정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의 간섭 회피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을 형성하는 제1, 2 서브 조(10a, 10b)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은 체결 부분(11a, 11b), 체결 부분(11a, 11b)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 유도 부분(111) 및 클립이 고정되는 고정 부분(12)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서브 조(10a); 및 제1 서브 조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제2 서브 조(10b)를 포함하고, 제1 서브 조(10a)의 체결 부분(11a, 11b) 또는 이동 유도 부분(111)에 회전 과정이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이 형성된다.
조 모듈은 클립 어플라이어의 일부를 형성하고, 클립 어플라이어의 유도 튜브를 통하여 유도된 클립을 고정시키고, 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 인체 부위를 클립으로 결찰을 하여 지혈이 되도록 한다. 조 모듈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2 서브 조(10a, 10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2 서브 조(10a, 10b)은 각각 제1 고정 부분(12)과 제2 고정 부분(14)이 서로 열리거나, 닫히면서 클립으로 혈관을 결찰을 시킬 수 있다. 제1, 2 서브 조(10a, 10b)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고정 부분(12, 14)에 클립의 한쪽 끝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서브 조(10a)는 체결 홀(CH)이 형성된 체결 부분(11a, 11b); 체결 부분(11a, 11b)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 유도 부분(111); 및 이동 유도 부분(111)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부분(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부분(11a, 11b) 및 이동 유도 부분(111)은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이 될 수 있고, 이동 유도 부분(111)은 체결 홀(CH)을 기준으로 체결 부분(11a, 11b)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체결 부분(11b)은 제1 체결 부분(11a)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면서 끝 부분에 걸림 턱(112)이 형성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폭이 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체결 부분(11b)은 이동 유도 부분(111)과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이 된다. 이에 비하여 제1 체결 부분(11a)은 이동 유도 부분(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이동 유도 부분(111)의 한쪽 끝에 체결 홀(CH)을 기준으로 한쪽 부분이 볼록하도록 돌출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2 체결 부분(11a, 11b)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이동 유도 부분(111)에 고정 부분(12)이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분(12)은 전체적으로 제1, 2 체결 부분(11a, 11b)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 유도 부분(111)을 따라 이동된 클립은 고정 부분(12)에 고정되어 대기 상태가 되고, 이후 조 모듈의 작동에 의하여 체결 홀(CH)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고정 부분(12, 14)이 맞물리면서 혈관과 같은 인체 부위를 결찰을 시킬 수 있다. 고정 부분(12)은 바닥 면과 이동 유도 부분(111)과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부분(12)의 끝 부분의 클립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부위(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분(12)의 바닥 면에 클립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면의 바깥쪽 면에 유도 홈(122)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 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부분(12)의 양쪽 측면 벽은 전체적으로 연장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이 될 수 있다. 고정 부분(12)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서브 조(10a, 10b)에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에 의하여 제1, 2 서브 조(10a, 10b)의 개방 각도가 커질 수 있다.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은 예를 들어 체결 부분(11a, 11b, 13a, 13b)과 이동 유도 부분(111, 131)을 연결하는 경계 부분의 바깥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은 제1, 2 서브 조(10a,, 1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 부분으로부터 고정 부분(12, 14)의 방향으로 앞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은 제1, 2 서브 조(10a, 10b)가 열리는 방향으로 서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속인 빈 실린더 형상의 커넥터의 끝 부분이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분에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이 형성되어 제1, 2 서브(10a, 10b)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제1, 2 서브 조(10a, 10b)의 개방 각도가 커지도록 한다. 또한 제1, 2 서브 조(10a, 10b)가 충분한 각도로 열리지 않고 이로 인하여 클립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은 이동 유도 부분(111, 131)의 바깥쪽 부분에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U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홈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A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은 체결 홀(CH)에 인접하여 양쪽 측면 곡면이 되면서 수평 방향의 연장 길이가 측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오목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은 제1, 2 서브 조(10a, 10b)가 열리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간섭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제2 서브 조(10b)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2 서브 조(10b)는 체결 홀(CH)을 기준으로 고정 부분(12, 14)이 서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구조로 제1 서브 조(10a)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브 조(10b)는 제1 서브 조(10b)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면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 부분(13a, 13b), 체결 부분(13a, 13b)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이동 유도 부분(131) 및 고정 부분(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체결 부분(13a)에 걸림 턱(132)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부분(14)의 바닥 면에 유도 홈(142)이 형성되고, 고정 부분(14)의 바깥쪽 면에 돌기 면(14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분(14)의 끝 부분에 이동 제한 부위(14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 제한 부위(141)는 제1 서브 조(10a)에 형성된 제한 부위(121)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제한 부위(141)는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가지(141a, 141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이동 제한 부위(141)는 고정 부분(14)과 함께 H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동 제한 부위(141)는 클립의 끝 부분의 형상에 따라 그에 적합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제2 서브 조(10b)에 간섭 회피 부분(133a, 133b)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서브 조(10b)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2 서브 조(10a, 10b)는 클립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1, 2 서브 조(10a, 10b)의 작동 구조에 따라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 133a, 133b)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에 클립이 고정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립 어플라이어는 작동 모듈(21); 작동 모듈(21)로부터 연장되는 유도 튜브(22); 유도 튜브(22)의 끝 부분에 형성된 작동 커플러(23); 및 작동 커플러(23)에 의하여 유도 튜브(22)에 결합된 조 모듈(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모듈(21)은 작동 몸체(211), 조 모듈(10)의 작동을 위한 트리거(212) 및 트리거(212)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노브(2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튜브(22)의 내부에 다수 개의 클립(C)의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고, 트리거(212)의 작동에 의하여 차례대로 조 모듈(1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아래쪽 부분을 참조하면, 작동 커플러(23)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위에서 설명된 제1, 2 서브 조(10a, 10b)의 체결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트리거(212)의 작동에 따라 작동 커플러(23)의 내부에 배치된 푸셔 부재(24)가 조 모듈(10)의 방향을 이동되면서 클립(C)의 중심 부분이 고정 탭(25)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클립(C)은 전체적으로 옆으로 누운 V 형상의 될 수 있고, 한 쌍의 서브 조(10a, 10b)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양쪽 끝 부분이 제1, 2 서브 조(10a, 10b)의 고정 부분(12, 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 유도 부분(111, 131)은 작동 커플러(2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클립(C)이 이동되는 고정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고정 부분(111, 131)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이 점차로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작동 커플러(23)의 끝 부분에 의하여 간섭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고정 부분(12, 14)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 각도(W)가 클립(C)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수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클립(C)의 탄성으로 인하여 클립(C)의 조 모듈(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1, 2 서브 조(10a, 10b)에 형성된 간섭 회피 부분(113a, 133a)은 이와 같이 조 모듈(10)의 작동 과정에서 작동 커플러(23)에 의하여 간섭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간섭 회피 부분(113a, 133a)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의 간섭 회피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립은 유도 튜브에 형성된 클립 경로(CP)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2 서브 조(10a, 10b)는 체결 홀(CH)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열리거나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닫힐 수 있다. 간섭 회피 부분(113a, 133a)은 체결 홀(CH)에 인접하여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동 유도 부분(111, 131)의 바깥쪽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간섭 회피 부분(113a, 133a)은 체결 부분(11a, 11b) 또는 이동 유도 부분(111, 131)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체결 홀(CH)의 형성 위치에 따라 작동 커플러(23)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은 서로 맞물리도록 작동되는 두 개의 서브 조의 개방 각도가 커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클립이 결찰을 위하여 조 모듈에 대기 상태에 있는 동안 클립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 모듈은 서브 조가 간섭을 받지 않고 작동되어 조 모듈로 클립이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도록 하면서 결찰 과정에서 클립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a, 10b: 서브 조 11a, 11b: 체결 부분
12, 14: 고정 부분 13a, 13b: 체결 부분
21: 작동 모듈 22: 유도 튜브
23: 작동 커플러 24: 푸셔 부재
111: 이동 유도 부분 112: 걸림 턱
113a, 113b: 간섭 회피 부분 121: 제한 부위
122: 유도 홈 133a, 133b: 간섭 회피 부분

Claims (3)

  1.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에 있어서,
    체결 부분(11a, 11b), 체결 부분(11a, 11b)으로부터 연장되는 이동 유도 부분(111) 및 클립이 고정되는 고정 부분(12)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서브 조(10a); 및
    제1 서브 조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제2 서브 조(10b)를 포함하고,
    제1 서브 조의 체결 부분(11a, 11b) 또는 이동 유도 부분(111)에 회전 과정이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간섭 회피 구조는 주변 부위에 대하여 오목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3. 청구항 1에 의하여, 간섭 회피 부분(113a, 113b)에 의하여 세1, 2 서브 조(10a, 10b)의 개방 각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KR1020200007322A 2020-01-20 2020-01-20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KR10229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22A KR102292116B1 (ko) 2020-01-20 2020-01-20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22A KR102292116B1 (ko) 2020-01-20 2020-01-20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573A true KR20210093573A (ko) 2021-07-28
KR102292116B1 KR102292116B1 (ko) 2021-08-20

Family

ID=7712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322A KR102292116B1 (ko) 2020-01-20 2020-01-20 작동 각 조절 구조의 클립 어플라이어용 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1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4566A (ja) * 2009-04-24 2012-10-18 アエスキュラップ アーゲー 複数のc形の結紮クリップを備えたカートリッジ
CN104490448A (zh) * 2014-12-17 2015-04-08 成都快典科技有限公司 外科结扎用施夹钳
KR20180054233A (ko) * 2016-11-15 2018-05-24 한준모 클립 애플라이어용 슬립 방지 구조의 조 유닛 및 이를 가진 클립 애플라이어
KR20180105783A (ko) * 2017-03-16 2018-10-01 한준모 클립 이탈 및 변형 방지 구조의 조 유닛 및 이를 가진 애플라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4566A (ja) * 2009-04-24 2012-10-18 アエスキュラップ アーゲー 複数のc形の結紮クリップを備えたカートリッジ
CN104490448A (zh) * 2014-12-17 2015-04-08 成都快典科技有限公司 外科结扎用施夹钳
KR20180054233A (ko) * 2016-11-15 2018-05-24 한준모 클립 애플라이어용 슬립 방지 구조의 조 유닛 및 이를 가진 클립 애플라이어
KR20180105783A (ko) * 2017-03-16 2018-10-01 한준모 클립 이탈 및 변형 방지 구조의 조 유닛 및 이를 가진 애플라이어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1: US 7,316,696 B2(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2008년01월08일 공개) Ligating Clip with Integral Interlocking Latch Mechanism
특허문헌 2: US 7,052,504 B1(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2004년05월20일 공개) Automated-feed Surgical Clip Applier and Related Methods
특허문헌 3: US2014/0052157A1(Covidien LP, 2014년2월20일 공개) Endoscopic Surgical Clip Appl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116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9554B2 (ja) 改良型ヒンジ付き結紮クリップ
US9271737B2 (en) Automatic surgical ligation clip applier
KR101296092B1 (ko) 정렬형태부를 갖는 클립 전진기
US5409498A (en) Rotatable articulating endoscopic fastening instrument
US5618306A (en) Endoscopic micro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KR101283902B1 (ko) 클립의 분리를 억제하도록 구성된 클립 적용기
US5700276A (en) Surgical forceps
US6824547B2 (en) Endoscopic clip applier and method
JP5641812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
US6063103A (en) Endoscope forceps
CN110856662A (zh) 手术施夹器和结扎夹
US20040133215A1 (en) Clip apply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vascular ligation
US20100042116A1 (en) Cycling suturing and knot-tying device
US20080132919A1 (en) Cycling suturing and knot-tying device
JP2011056242A (ja) 止血ク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る止血クリップ操作装置
KR20070026136A (ko) 상이하게 형성되는 스테이플 높이를 갖는 스테이플을형성하기 위한 스테이플 카트리지
US6159223A (en) Surgical clip applicator
US20100262181A1 (en) Endo psi and cabinet therefor
CA27139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ulating the wrist of a laparoscopic grasping instrument
JPH07265323A (ja) 手術用留め具及びステープル装置
JP7357170B2 (ja) 3アームクランプ
KR102036055B1 (ko) 의료용 클립 어플라이어
US20220047269A1 (en) Clip applier
KR101965936B1 (ko) 클립 애플라이어용 슬립 방지 구조의 조 유닛
KR20200073008A (ko) 클립 이동 조절 구조의 클립 애플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