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26A -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026A
KR20210093026A KR1020200006691A KR20200006691A KR20210093026A KR 20210093026 A KR20210093026 A KR 20210093026A KR 1020200006691 A KR1020200006691 A KR 1020200006691A KR 20200006691 A KR20200006691 A KR 20200006691A KR 20210093026 A KR20210093026 A KR 20210093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electrostatic
waste plastics
separato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
이경희
Original Assignee
강현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 이경희 filed Critical 강현
Priority to KR102020000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026A/ko
Publication of KR2021009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26A/ko
Priority to KR1020220108206A priority patent/KR20220124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7/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7/02Separators
    • B03C7/06Separators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2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using electrical caracteristics
    • B29B2017/0265Electrosta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29B2017/0272Magnetic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 폐플라스틱 재료를 세척후 탈수시키는 세척부; 세척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건조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건조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어벨트와, 컨베어벨트에서 이송된 재료가 투입되는 분리통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통을 회전시켜서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묻은 플라스틱 가루를 제거하는 이물 분리기; 수분이 건조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정전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1차정전 분리기; 정전 분리된 폐플라스틱 재료의 먼지나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 집진 후 폐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정전 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2차 정전 분리기; 폐플라스틱 재료에 포함된 도금된 플라스틱 입자를 선별하는 도금 선별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을 재생 또는 재활용 하기 위한 펠릿을 제조하되 플라스틱 재료인 ABS, PS, PP가 혼합된 폐플라스틱에서 각각의 재료들의 마찰을 통해 정전 분리하여, ABS와 PS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전하에 의한 분리와 도금된 플라스틱이 포함된 입자에 대한 마그네틱 분리 작용을 실시하여 선별에 대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Electrostatic Separation Apparatus for Recycling Pallets of Waste Plastics}
개시되는 내용은 폐플라스틱의 분쇄한 후 파쇄물을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이송하되 정전하 또는 자력 부착을 이용하여 재질별로 선별되도록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라스틱은 초기에 금속, 목재, 유리, 도자기, 피혁 등의 대용품으로 등장하였으나 경량성, 강인성, 내부식성, 착색성, 대량생산 가능성 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탁월한 가공성의 장점 때문에 현대에는 전기, 전자, 기계, 건축, 기타분야에서 필수
불가결한 재료로서 대용품이 아닌 새로운 재료로의 자리를 확고히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플라스틱은 가열이나 가압 또는 이 두가지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성형이 가능한 재료나, 이러한 재료를 사용한 성형품의 총칭으로 분자량이 크며 제조과정중 유동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들게 된다.
플라스틱은 성형의 용이함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활용분야가 많은 만큼 활용되고 버려진 폐플라스틱 처리에 관한 문제도 심각하다.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발생하기 시작한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해 우리나라가 관심을 가지고 법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한 것은 1979년 "합성수지 폐기물 처리사업법"의 제정에 따라 1980년 "한국자원재생공사"가 설립되면서부터 이며, 1992년말 "자원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1993년 총리령으로 "제품의 포장방법 및 포장재의 재질 등의 기준에 관한 법률" 등에서 발생원 감량화를 꾀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의 발생량은 국내 실수요량의 함수이나 각 플라스틱의 품목별, 용도별로 사용기간 또는 회수에 소요되는 기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간단하지는 않다.
일반 가정의 생활 쓰레기를 비롯하여 산업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그 처리에 있어서, 이제까지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켜 왔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1차로 분리되어 수거되지만, 이를 적절히 재활용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1차로 분리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은 대체적으로 플라스틱류가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종이류가 약20% 그리고 나무나 기타 불순물이 약 10%를 차지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이제까지 매립지를 선정하여 매립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은 이러한 매립지를 선정하기가 어렵고, 매립지를 찾아 매립한다 하여도 각종 수질오염을 비롯한 환경문제를 야기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6065호에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펠렛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은 습식 세척방식을 활용하여 폐합성수지의 오물을 제거하고, 탈수과정으로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한 후 펠렛 제조장치로 운반하게 된다.
종래 기술은 습식 세척방식을 활용하여 폐합성수지의 오물을 제거하더라도 단순히 탈수과정만으로는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어 성형된 펠릿에 수분이 포함되기에, 이후 활용시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며, 세척시 사용된 수분의 완벽한 제거를 위하여 탈수과정에 이어 별도로 열풍 등을 이용한 건조를 행할 경우 재생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아지므로 단가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습식공정만으로는 유사한 비중의 재질을 완벽히 분류할 수 없어 순도가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고자 펠릿제조 공정 전에 정전 분리공정을 적용함으로 고 순도로 재질별 분류가 가능하다.
개시되는 내용은 폐플라스틱을 재생 또는 재활용 하기 위한 펠릿을 제조하되 플라스틱 재료인 ABS, PS, PP가 혼합된 폐플라스틱에서 각각의 재료들의 마찰을 통해 정전 분리하여, ABS와 PS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전하에 의한 분리와 도금된 플라스틱이 포함된 입자에 대한 마그네틱 분리 작용을 실시하여 선별에 대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폐플라스틱 재료를 정전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정전 분리기에 있어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는 양,음전하 드럼; 양,음전하 드럼 각각의 표면에 외접하되, 드럼의 회전방향에 역행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표면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양,음전하 드럼이 회전가능하도록 드럼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양,음전하 드럼에 축으로 결합되는 베어링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제거부가 장착되는 기대; 양,음전하 드럼 각각에 전하를 인가하는 전하인가부; 양,음전하 드럼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제거부는 드럼의 표면에 접촉하는 선단부에 뾰족하게 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수직하게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는 판상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양,음전하 드럼의 사이의 하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양,음전하 드럼 사이를 통과하는 전하를 갖지 않는 재료를 수거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드럼과 제2드럼 사이에 복수개가 수직하게 배열되는 분리벽;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분리벽은 전하를 띄지 않은 플라스틱 재료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드럼 또는 제2드럼 각각은 외주면에 외접하도록 스크래퍼;가 형성되어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드럼의 축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상기 벨트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금 선별기는 회전되며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드럼; 회전드럼에 권취되어 회전되며 플라스틱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회전드럼은 내부에 영구자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드럼은 전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드럼은 10,000~15,000 가우스의 자력세기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드럼에 외접하며 회전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을 긁어내도록 하는 분리경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 분리기는 분리통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분리통을 고속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을 재생 또는 재활용 하기 위한 펠릿을 제조하되 플라스틱 재료인 ABS, PS, PP가 혼합된 폐플라스틱에서 각각의 재료들의 마찰을 통해 정전 분리하여, ABS와 PS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전하에 의한 분리와 도금된 플라스틱이 포함된 입자에 대한 마그네틱 분리 작용을 실시하여 선별에 대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에서 '정전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에서 '도금 선별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에서 '정전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르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에서 '도금 선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는, 폐플라스틱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2); 호퍼(2)에서 유입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세척후 탈수시키는 세척부(4); 세척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건조시키는 가열부(5); 가열부(5)에서 건조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어벨트(62)와, 컨베어벨트(62)에서 이송된 재료가 투입되는 분리통(64)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통(64)을 회전시켜서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묻은 플라스틱 가루를 제거하는 이물 분리기(6); 수분이 건조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정전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정전 분리기(7); 정전 분리기(7)에서 분리된 폐플라스틱 재료 중에 도금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선별하는 도금 선별기(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 분리기(7)에서 정전 분리된 폐플라스틱 재료의 먼지나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9)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9)에서 집진 후 폐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정전 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2차 정전 분리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 재료는 플라스틱 폐품을 분쇄한 것으로 대략 30×30mm 이하 크기이며, 이송 중에서 세척부(4)를 통과하면서 물로 세척된다.
세척부(4)는 호퍼에서 유입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컨베이어 벨트를 통과하시면서 외부에서 고압의 물을 뿌려서 세척후 탈수시킨다.
이후 세척된 폐플라스틱 재료는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열부(5)의 열풍기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건조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송되는 과정에서 폐플라스틱 재료는 이미 1차 분쇄된 상태에서 뒤섞이면서 이송되므로 이송 과정에서 작은 플라스틱 가루들이 정전기에 의해 표면에 달라붙은 상태가 된다.
이물 분리기(6)는 이러한 폐플라스틱 재료에 묻어있는 플라스틱 가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폐플라스틱 재료를 분리통(64)에 넣고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표면에 달라붙어있던 플라스틱 가루가 떨어지도록 하여 분리시키는 것이다.
분리통(64)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가루가 통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덩어리로 된 폐플라스틱 재료는 분리통(64) 내에 남게 된다.
이물 분리기(6)에서 분리된 폐플라스틱 재료는 실리콘 분리기(8)로 이송된다.
실리콘 분리기(8)는 고무와 실리콘 재료로 분리하는 것으로, 실리콘 선별유닛을 이용하여 고무와 실리콘 재료를 분리하고, 고압 에어로 불어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후 진동 이송기로 이송되어 진동과 동시에 이송된다.
선별된 폐플라스틱 재료는 정전 분리기에 공급되어 전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게 된다.
한편 정전 분리기(7)는 다수개가 배치되어 1회 내지 수 회의 정전 분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고, 정전 분리 횟수가 증가할 수록 분리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 분리기(7)는, 양측에 축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전하가 흐르는 제1드럼(71)과, 음전하가 흐르는 제2드럼(72);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의 양 축이 결합되는 지지대(73);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에 전하를 인가하는 전하인가부(74);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드럼(71)과 제2드럼(72)은 동일한 높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1드럼(71)과 제2드럼(72) 사이에 복수개가 수직하게 배열되는 분리벽(75);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분리벽(75)은 전하를 띄지 않은 플라스틱 재료가 낙하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제1드럼(71)에는 양전하가 인가되고, 제2드럼(72)에는 음전하가 인가되므로 분쇄된 폐플라스틱 가루가 각기 고착된다.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은 외주면에 외접하도록 스크래퍼(76);가 형성된다.
스크래퍼(76)는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긁어내어서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하를 띄는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의 표면에 상시 폐플라스틱 재료가 달라붙은 후 스크래퍼로 긁어내어 분리시키게 된다.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럼(71) 또는 제2드럼(72) 각각의 축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상기 벨트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 선별기(8)는 회전되며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드럼(82); 회전드럼(82)에 권취되어 회전되며 플라스틱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84); 회전드럼(82)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드럼(82)은 자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이송중인 도금된 플라스틱 재료를 자착력에 의해 선별해낼 수 있다.
회전드럼(82)은 10,000~15,000 가우스의 자력세기를 발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따르면, 회전드럼(82)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형성된다.
또는 회전드럼(82)은 전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이 발생될 수 있다.
10,000~15,000 가우스의 자력이 가해지면 도금된 플라스틱 재료(P), 즉 비철이라하더라도 소량의 철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강한 자력에 의해 자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82)에 접선방향으로 외접하며 회전되는 방향에 역방향이 되도록 수직되게 분리경막(86)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해보면, 분리경막(86)의 선단은 회전드럼(82)의 수평사분점(T1)에서 가상으로 수직하게 이어지는 수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84)에 적재된채 이송되다가 회전드럼(82)의 수평사분점(T1)에서 낙하하는 비자성의 플라스틱 재료(P1)는 도 5 기준으로 전방쪽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84)의 표면에 자착된 도금 플라스틱 재료(P2)는 회전드럼(82)의 수평사분점(T1)을 통과한 후 보다 안쪽으로 이송되다가 중력으로 낙하됨으로써 도 5 기준으로 분리경막(86)의 후방쪽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분리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분리경막(86)에 의해 분리된 비자성 플라스틱 재료(P1) 또는 도금 플라스틱 재료(P2)로 분리되어 수납부(미도시)에 수거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호퍼 4 : 세척부
5 : 가열부 6 : 이물 분리기
7, 7' : 정전 분리기 8 : 도금 선별기
8 : 실리콘 분리기 9 : 집진기
71 : 제1드럼 72 : 제2드럼
73 : 지지대 74 : 전하인가부
75 : 분리벽 76 : 스크래퍼
82 : 회전드럼 84 : 컨베이어 벨트
86 : 분리경막

Claims (9)

  1. 폐플라스틱 재료가 투입되는 호퍼;
    폐플라스틱 재료를 세척후 탈수시키는 세척부;
    세척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건조시키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서 건조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어벨트와, 컨베어벨트에서 이송된 재료가 투입되는 분리통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통을 회전시켜서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에 묻은 플라스틱 가루를 제거하는 이물 분리기;
    수분이 건조된 폐플라스틱 재료를 정전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1차정전 분리기;
    정전 분리된 폐플라스틱 재료의 먼지나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
    집진 후 폐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정전 효과에 의해 분리하는 2차 정전 분리기;
    상기 폐플라스틱 재료에 포함된 도금된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도금 선별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정전 분리기 또는 2차정전 분리기 각각은,
    양측에 축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양전하가 흐르는 제1드럼과 음전하가 흐르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 각각의 양 축이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 각각에 전하를 인가하는 전하인가부;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과 제2드럼 사이에 복수개가 수직하게 배열되는 분리벽;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분리벽은 전하를 띄지 않은 플라스틱 재료가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 각각은
    외주면에 외접하도록 스크래퍼;가 형성되어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럼 또는 제2드럼의 축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상기 벨트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 선별기는
    회전되며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어 회전되며 플라스틱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은 자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내부에 영구자석이 형성되거나 또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자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에 외접하며 회전되는 방향에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을 긁어내도록 하는 분리경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분리기는
    분리통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분리통을 고속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KR1020200006691A 2020-01-17 2020-01-17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KR20210093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91A KR20210093026A (ko) 2020-01-17 2020-01-17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KR1020220108206A KR20220124132A (ko) 2020-01-17 2022-08-29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91A KR20210093026A (ko) 2020-01-17 2020-01-17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06A Division KR20220124132A (ko) 2020-01-17 2022-08-29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26A true KR20210093026A (ko) 2021-07-27

Family

ID=771254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691A KR20210093026A (ko) 2020-01-17 2020-01-17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KR1020220108206A KR20220124132A (ko) 2020-01-17 2022-08-29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06A KR20220124132A (ko) 2020-01-17 2022-08-29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930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039B1 (ko) 2022-04-08 2022-12-06 주식회사 우리산업 재활용 플라스틱의 라벨 분리 장치
CN115464807A (zh) * 2022-08-29 2022-12-13 佛山市致佳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处理混合废塑料提纯用高压静电分选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039B1 (ko) 2022-04-08 2022-12-06 주식회사 우리산업 재활용 플라스틱의 라벨 분리 장치
CN115464807A (zh) * 2022-08-29 2022-12-13 佛山市致佳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处理混合废塑料提纯用高压静电分选机
CN115464807B (zh) * 2022-08-29 2023-12-12 安徽千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混合废塑料提纯用高压静电分选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132A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4132A (ko)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분리장치
CN101274322A (zh) 生活垃圾分选方法
CA2209381C (en) Process and plant for processing mixed plastics
JP5058203B2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KR950004658B1 (ko) 쓰레기로부터 플라스틱 재료 또는 종이등의 부도체 재료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642645A (zh) 城镇混合垃圾干式自动化精细分选方法及其设备
KR20150010061A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CA2094035C (en) Method of separating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and polyvinylchloride (pvc)
US20140306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JP5841598B2 (ja) 耐久消費財の耐用期間終了時の該耐久消費財の破砕廃棄物から出る再利用可能なポリマー材料の少なくとも1つのグループの同時の予備濃縮および予備選択
CN103537470A (zh) 固体废弃物净化回收再利用系统
CA3026736A1 (en)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 materials, products and components thereof, and e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JP5412409B2 (ja) プラスチック選別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CN110370499A (zh) 一种用于回收废旧塑料工艺
CN204220604U (zh) 城镇混合垃圾干式自动化精细分选设备
CN107344405B (zh) 一种生活垃圾中可塑塑料回收减容的方法
KR20210133929A (ko)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팰릿 제조용 정전 분리기
KR102179675B1 (ko) 포장재 생활계 폐기물의 펠릿형 재가공 시스템
CN202862448U (zh) 对塑料的分离及干洗系统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20210093025A (ko) 폐플라스틱 재활용 팰릿 제조에 적용되는 도금 플라스틱 선별장치
JPH09248551A (ja) ガラス製品のリサイクルプラント
JP6985672B1 (ja) リサイクル材料の製造装置、廃棄物の比重選別処理装置
CN211613789U (zh) 一种垃圾分类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