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462A -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462A
KR20210091462A KR1020200004643A KR20200004643A KR20210091462A KR 20210091462 A KR20210091462 A KR 20210091462A KR 1020200004643 A KR1020200004643 A KR 1020200004643A KR 20200004643 A KR20200004643 A KR 20200004643A KR 20210091462 A KR20210091462 A KR 2021009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fiber
polyamide composition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
안부연
김대식
한인수
장경훈
안진기
공병석
서성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462A/ko
Priority to US17/109,792 priority patent/US11685833B2/en
Publication of KR2021009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4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9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re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 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흐름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및 폴리프탈아미드, 낮은 직경을 갖는 장섬유를 포함하는 폴리 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표면특성이 우수하며 높은 경량화가 실현된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Polyamide composition and molding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hich have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are lightened}
본 발명은 폴리 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흐름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및 폴리프탈아미드, 낮은 직경을 갖는 장섬유를 포함하는 폴리 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표면특성이 우수하며 높은 경량화가 실현된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차량의 카울 크로스 빔(CCB)은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으로 제작되었으나, 이는 차량의 중량을 많은 부분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프탈아미드를 장섬유와 혼합한 장섬유강화플라스틱(LFT)으로 카울 크로스 빔의 금속을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기계적 강도가 금속에 비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프탈아미드는 일반적으로, 멜트 플로우,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와 같은 성질을 컨트롤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폴리아미드 6T, 폴리아미드 6I 및 폴리아미드 6/6을 가지는 코폴리머인데,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6T를 주요 기재로 포함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038266호는 장섬유 강화 사출 성형품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장섬유에 대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침율을 향상시켜 사출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기존의 차량 CCB에 적용되는 금속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갖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038266호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카울 크로스 빔(CCB)에 사용되는 금속과 유사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LFT)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표면 품질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할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폴리프탈아미드를 포함하는 보조 수지; 장섬유; 및 내열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본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는 23℃ 내지 55℃에서 열팽창 계수(CTE) 55.0㎛/m℃ 내지 70.0㎛/m℃이고, 녹는점(melting point) 260℃ 내지 300℃이고,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 110℃ 내지 15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지는 폴리프탈아미드 6I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17㎛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섬유는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고분자 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열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금속염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본 수지는 상기 장섬유 100중량부 기준 50 내지 58.5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지는 상기 장섬유 100중량부 기준 5.8 내지 14.2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열제는 상기 장섬유 100중량부 기준 1.6 내지 3.4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혼합하고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물은 ISO 527에 의해 측정된 인장강도가 315 MPa 이상이고, ISO 178에 의해 측정된 굴곡강도가 450 MPa 이상이고, ISO179/1eA에 의해 측정된 샤르피 충격강도가 35 KJ/m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카울 크로스 빔(CCB)에 사용되는 금속과 유사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LFT)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품질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폴리프탈아미드를 포함하는 보조 수지, 장섬유 및 내열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본 수지, 보조 수지, 장섬유 및 내열제에 관해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기본 수지
본 발명의 기본 수지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기본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T, 폴리아미드 6/6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기본 수지는 폴리아미드 66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66은 헥사메틸렌디아민 단량체와 아디픽산 단량체를 축중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폴리아미드 66의 상대점도는 포믹산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34.0 내지 37.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1,000g/mol 범위이다.
상기 기본 수지는 본 발명의 유리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58.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기본 수지가 58.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보조 수지 효과가 미미하게 되어 결정화 온도의 감소 효과가 저하되고 성형물의 외관 표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 수지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 되면, 상대적으로 보조 수지 효과가 과하게되어 수지간 상분리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성형물의 기계적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보조 수지
본 발명의 보조 수지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수지는 폴리프탈아미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의 밀도는 1.00g/cc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1.10 내지 2.00g/cc 이다. 또한 상기 폴리프탈아미드의 성형 수축(mold shrinkage) ISO 294-4, ISO 2577으로 측정시 0.001cm/cm 내지 0.005cm/cm, 23~55℃에서 열팽창 계수(CTE) ISO 11359-1로 측정시 55.0㎛/m℃ 내지 70.0㎛/m℃, 녹는점(melting point) ISO 11357-1로 측정시 260℃ 내지 300℃ 및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 11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탈아미드는 바람직하게 비결정성을 갖는 폴리프탈아미드 6I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폴리프탈아미드는 폴리아미드 6I만을 기재로 한다.
상기 비결정성을 갖는 폴리프탈아미드가 기본 수지인 폴리아미드 66과 혼합되어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결정화 온도를 낮추게되고 결과적으로 성형물의 외관 표면이 개선되고 물리적 강도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생긴다. 이때 본 발명의 폴리프탈아미드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6T 또는 폴리아미드 6/6 등의 결정성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게 될 경우,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흐름성이 향상되지 않게되고 결과적으로 장섬유의 단사 발생 및 장섬유와의 접촉 면적이 향상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보조 수지는 본 발명의 유리섬유 100중량부 기준 5.8 내지 14.2중량부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9 내지 12중량부 포함된다. 이때 5.8중량부 미만이되면,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흐름성 개선이 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고, 14.2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아미드 조성물 내에서 수지간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장섬유
본 발명의 장섬유는 직경 10 내지 17㎛인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 13 내지 14㎛이다. 이때 상기 장섬유의 직경이 10㎛ 미만이면, 수지를 함침시 가해지는 전단응력을 버티지 못하고 단사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장섬유 직경이 17㎛ 초과하면, 수지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장섬유는 단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경이 비교적 높은 것을 사용하게되나, 본 발명에서는 흐름성이 좋은 기본 수지 및 비결정성의 보조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장섬유의 단사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이 작은 장섬유를 사용하여 수지(resin)와 장섬유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높여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장섬유의 길이는 5 내지 25㎜이고, 바람직하게 9 내지 12㎜이다.
상기 장섬유는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고분자 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섬유는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액정 폴리머 섬유, 폴리아크로니트릴 섬유, 아릴레이트 섬유, 레이온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내열제
본 발명의 내열제는 고분자의 분해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고온의 환경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고분자의 분해를 막아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와 같은 고온의 환경에서 고분자 분해를 억제해줄 수 있는 것이 상기 내열제이다.
상기 내열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금속염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제는 본 발명의 장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6 내지 3.4중량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내열제가 1.6중량부 미만이면, 내열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4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제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사용되어 상기 내열제 자체가 불순물로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성형물
본 발명의 성형물은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혼합하고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차량용 부품에 적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금속 재질로 되어 있는 차량의 카울 크로스 빔(CCB, Cowl Cross Beam)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물은 기계적 강도가 차량의 CCB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높고, 또한 기존의 금속 재질 보다 훨씬 높은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성형물은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샤르피 충격강도에 있어서 기존의 폴리아미드 조성물로 제작된 성형물보다 우수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성형물은 ISO 527에 의해 50mm/min 시험속도로 측정된 인장강도는 315MPa 이상이고, ISO 178에 의해 10mm/min 시험속도로 측정된 굴곡강도는 450MPa 이상이고, ISO 179/1eA에 의해 23℃에서 샤르피 충격강도가 35KJ/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조성물은 하기와 같다.
폴리아미드 66: 21ZLV(Acend社)
폴리프탈아미드 6I: M5000(Evonik社)
장섬유: 423H(NEG社)
내열제: KN333HSMB(코오롱플라스틱社)
실시예1: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물 제조
평균 길이 10㎜, 직경 13㎛인 유리섬유를 준비하였다. 상기 유리섬유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본 수지인 폴리아미드 66 54.2중량부, 보조 수지인 폴리프탈아미드 6I 10중량부 및 내열제 2.5중량부가 되도록 별도로 준비하고 이들을 이축 혼련기(TEX-30)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상기 준비된 유리섬유를 투입하여 함침시켰다. 그 후 길이 약 10㎜인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1 내지 비교예8
하기 표1과 같이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식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장섬유(중량부) 기본 수지(중량부) 보조 수지(중량부) 내열제(중량부)
실시예1 100 54.2 10 2.5
비교예1 50.0 5 2.5
비교예2 58.0 15 2.5
비교예3 54.2 10 2.5
비교예4 54.2 10 1.5
비교예5 54.2 10 3.5
비교예6 54.2 15 1.7
비교예7 54.2 5 1.7
비교예8 54.2 10 2.5
비교예1 내지 2, 4 내지 7의 기본 수지, 보조 수지, 장섬유 및 내열제 종류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3의 장섬유는 직경 18㎛이다.
비교예8의 보조 수지는 폴리아미드 6T 및 폴리아미드 6I 가 1:2 중량비로 포함된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8의 펠렛을 사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한 후 하기 표2와 같이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MPa) 굴곡강도(MPa) 충격강도(MPa)
실시예1 320 460 37.8
비교예1 305 430 30.6
비교예2 315 435 31.5
비교예3 280 380 28.7
비교예4 302 415 31.8
비교예5 310 412 32.4
비교예6 312 428 30.4
비교예7 301 426 30.0
비교예8 315 415 32.8
인장강도는 ISO 527에 의해 50mm/min 시험 속도로 측정되었다.
굴곡강도는 ISO 178에 의해 10mm/min 시험 속도로 측정되었다.
충격강도는 ISO 179/1eA에 의해 23℃에서 측정되었다.
상기 표2의 측정 결과를 참고하면, 비교예1의 경우 보조 수지의 함량이 매우 적게 포함되어 수지의 흐름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실시예1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비교예2의 경우 보조 수지의 함량이 일정 함량 이상으로 과하게 되어 오히려 수지간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 기계적 강도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3의 경우 장섬유의 직경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증가되어 수지와의 접촉면적이 오히려 줄어들었고 그로인해 기계적 강도가 매우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4의 경우 내열제의 효과가 현저히 낮아져 소재의 안정성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5의 경우 내열제 자체가 오히려 불순물로 작용하여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6 및 비교예7의 경우 상기 비교예1 및 비교예2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8의 경우 수지의 흐름성 저하가 발생했고 결과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
    폴리프탈아미드를 포함하는 보조 수지;
    장섬유; 및 내열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6/6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탈아미드는 23℃ 내지 55℃에서 열팽창 계수(CTE) 55.0㎛/m℃ 내지 70.0㎛/m℃이고, 녹는점(melting point) 260℃ 내지 300℃이고,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 110℃ 내지 150℃인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지는 폴리프탈아미드 6I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17㎛인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유리섬유, 금속섬유, 탄소섬유, 고분자 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금속염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수지는 장섬유 100중량부 기준 50 내지 58.5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지는 상기 장섬유 100중량부 기준 5.8 내지 14.2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제는 상기 장섬유 100중량부 기준 1.6 내지 3.4중량부 포함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11. 제1항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혼합하고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ISO 527에 의해 측정된 인장강도가 315 MPa 이상이고,
    ISO 178에 의해 측정된 굴곡강도가 450 MPa 이상이고,
    ISO179/1eA에 의해 측정된 샤르피 충격강도가 35 KJ/m2 이상인 것인 성형물.
KR1020200004643A 2020-01-14 2020-01-14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KR20210091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43A KR20210091462A (ko) 2020-01-14 2020-01-14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US17/109,792 US11685833B2 (en) 2020-01-14 2020-12-02 Polyamide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of the same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reduced 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43A KR20210091462A (ko) 2020-01-14 2020-01-14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62A true KR20210091462A (ko) 2021-07-22

Family

ID=7676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643A KR20210091462A (ko) 2020-01-14 2020-01-14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85833B2 (ko)
KR (1) KR202100914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266A (ko) 2016-10-06 2018-04-16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사출 성형품 및 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2547A1 (en) * 2016-05-04 2019-03-13 EMS-Patent AG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 made herefrom
KR20200043797A (ko) 2018-10-18 2020-04-28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266A (ko) 2016-10-06 2018-04-16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사출 성형품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5833B2 (en) 2023-06-27
US20210214554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1479A (ja)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15046290A1 (ja) 一方向性繊維強化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29057A (ko) 저수축성 폴리에틸렌 성형 조성물
KR102338700B1 (ko) 장섬유 강화 폴리아릴렌설피드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91462A (ko)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 성형물
KR101325584B1 (ko)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KR101535398B1 (ko) 연신 재료용 옥시메틸렌 공중합체 조성물, 연신 재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JPS6019334B2 (ja) 強化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組成物
US5276107A (en) Polymer composition for forming in-situ composite molded articles
EP0397881A1 (en)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US6579943B1 (en) Method of producing modified polyester moulded articles, and said moulded articles
JPH0116737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952621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2073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60152B1 (ko) 장섬유 강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076869A (ko) 섬유 강화 복합재용 조성물,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섬유 강화 복합재의 제조방법
KR20200032120A (ko) 폴리아세탈 섬유의 제조 방법
JP7443324B2 (ja) ペレットの製造方法
KR102321899B1 (ko) 발포사출용 유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팩 하우징
KR102150420B1 (ko)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성형품
KR20180038266A (ko) 장섬유 강화 사출 성형품 및 그 조성물
JP5717480B2 (ja) サンドイッチ成形体
KR20210038118A (ko) 리저브 탱크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860550A (ja) メソフェーズピッチ系炭素繊維チョップドストランド
KR100880726B1 (ko)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