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797A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797A
KR20200043797A KR1020180124623A KR20180124623A KR20200043797A KR 20200043797 A KR20200043797 A KR 20200043797A KR 1020180124623 A KR1020180124623 A KR 1020180124623A KR 20180124623 A KR20180124623 A KR 20180124623A KR 20200043797 A KR20200043797 A KR 2020004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olyamide resin
fiber
resin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원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3797A/ko
Publication of KR2020004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수지 혼합물, 열 안정제 및 장섬유 강화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5:1 내지 3:2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강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신뢰성이 향상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강도를 요구하는 부품에 적용이 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리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는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비중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금속 대체 재료로서 자동차의 기구 부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강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샤시 부분으로의 적용을 위한 개발이 진행 중이다. 특히 높을 물성이 요구되는 샤시 부품의 경우 강도, 진동 피로 특성 등이 요구되는 것에서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적합해, 다양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유리섬유 강화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금속 대체 재료에 의한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가 진행되는 것에 따라, 부품에 요구되는 성능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를 자동차의 구조 부재에 적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카울크로스빔에 적용 시에는 고강성, 내진동 피로 특성 향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에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함유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카르복실산 무수물 함유 불포화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 공중합체를 내충격 개량제로서 이용하는 기술, 에틸렌/아크릴산에틸/무수 말레산 3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10-1861496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용착했을 때의 용착부의 강도 향상을 목적으로 한, 폴리 말레산무수물을 함유하는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 한국등록특허 제10-1893709호에 개시되어 있지만, 기재된 기술로는 높은 수준에 요구되어 있는 강성 및 내진동 피로 특성을 발휘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에 열 안정제 마스터 배치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을 통해 열 안정제 마스터 배치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구현예는 폴리아미드 수지; 열 안정제; 및 장섬유 강화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5:1 내지 3:2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열 안정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및 금속염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열 안정제는 마스터 배치용 수지를 포함하여 마스터 배치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마스터 배치용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10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012,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12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10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012,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12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MACM10-18, PACM10-18, MACMI, MACMT, MXDI, MXD6, PA 6I, PA 6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PA 6T 및 PA 6I가 혼합된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장섬유 강화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규산 칼슘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붕산 알루미늄 섬유, 현무암 섬유, PE 섬유, PAN 섬유, 아릴레이트 섬유, PEEK섬유 나일론섬유, PET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1 구현예로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강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신뢰성이 향상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구현예는 폴리아미드 수지; 열 안정제; 및 장섬유 강화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5:1 내지 3:2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서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5:1 내지 3:2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지방족 폴리아미드의 혼합물로써, MACM12, MACMI/12, MACM12/PACM12, 6T/66, 6T/6I/66, 6T/610, 6T/1010, 6T/12 및 PA66/6T/6I을 포함할 수 있으며, PA66/6T/6I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5:1 내지 3:2의 중량비율로 포함함으로써, PA66의 높은 결정성에 따른 생산성에 유리하며 6T/6I의 기계적 강성의 효과를 얻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미드 수지를 구성하는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10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012,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12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내지 3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96% 황산 100㎖ 중에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1g을 첨가하였을 때, 측정된 용액의 상대점도는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38인 것이 기계적 강도와 인발 연속 공정의 생산성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미드 수지를 구성하는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MACM10-18, PACM10-18, MACMI, MACMT, MXDI, MXD6, 6I, 6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ACM, PACM, MACMI, MACMT, MXDI, MXD6, PA 6I, PA 6T 중 선택된 2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조합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A 6T 및 PA 6I가 혼합된 방향족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6 내지 2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와의 혼합시 물성 효율을 유리하게 발현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는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의 융점보다 높은, 27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정형에서는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열 안정제]
본 발명에 따른 열 안정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및 금속염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안정제로서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및 금속염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마스터 배치용 수지를 포함하여 이를 마스터 배치로 첨가된 것이 좋다.
상기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방법 중 임의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생략한다.
상기 마스터 배치는 상기 마스터 배치용 수지와 상기 열 안정제를 농축하고 분산시켜 제조된 펠렛(PELLET) 모양의 원료를 의미한다.
즉, 상기 열안정제는 마스터 배치용 수지와 혼합하여 농축 및 분산되어 마스터 배치로 제조되고,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는 마스터 배치로 제조됨으로써,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혼련성이 높아져 열 연장제의 분산 불량, 내열성 저하, 변형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용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10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012,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12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수지일 수 있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에 포함되는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에 비해 융점이 낮거나, 용융 유동성이 우수한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결정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 안정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및 금속염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금속염 화합물을 선택하는 것이 지방족 폴리아미드보다 높은 가공온도가 요구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가공함에 있어서 우수한 안정성을 유지하여, 우수한 기계적 강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 화합물은 CaCl2, LiCl, NaCl, KCl, LiBr, KBr, CuI 및 KI 등과 같은 할로겐화 알칼리 금속염 또는 할로겐화 알칼리 토금속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무기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열 안정제는 마스터 배치 총 중량 기준, 3 내지 1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중량%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에 국재화 또는 편재화되어 외부 열환경으로부터 내구층이 형성되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내부에서 진행되는 열화 반응을 차폐하는 효과를 얻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장섬유 강화재]
본 발명에서 장섬유 강화재는 연속 섬유 다발의 형태이며, 유리섬유, 탄소섬유, 규산 칼슘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붕산 알루미늄 섬유, 현무암 섬유, PE 섬유, PAN 섬유, 아릴레이트 섬유, PEEK섬유 나일론섬유, PET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장섬유인 것으로서, 길이가 3 내지 50mm이며, 평균 직경이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강화재는 유리섬유, 현무암 섬유, 탄소섬유, PE 섬유, PAN 섬유, 아릴레이트 섬유, PEEK섬유 나일론섬유, PET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섬유가 생산성, 함침성 및 강도와 강성을 증대시키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E-유리장섬유, A-유리장섬유, C-유리장섬유, D-유리장섬유, M-유리장섬유, S-유리장섬유 및/또는 R-유리장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있고, E-유리장섬유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미노 코팅 또는 에폭시실란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섬유 강화재는 섬유의 길이 범위가 3 내지 50 mm이면, 장섬유의 특징을 가지면서 큰 하중이 요구되는 용도에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성형 용이성이 우수하다. 또한, 직경 범위가 5 내지 30 ㎛이면, 섬유 사이사이로 수지의 침투가 자유롭게 이루어져서 함침성이 우수하고, 중량 평균 섬유 길이 및 수평균 섬유 직경의 어스펙트비(L/D)가 10 내지 100을 만족하여 기계적 물성 향상에 적합하다.
상기 잠성유 강화재의 함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치의 기계적 강성을 얻는 효과를 얻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산화방지제, 내마모제, 슬립제, 자외선 안정제, 중화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광택제, 이형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조성물은 고온에서 치수 안정성에 기여하여 기계적 물성,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은 ISO 527 측정기준 300MPa 이상의 인장강도, ISO 178 측정기준 380MPa 이상의 굴곡강도 및 22.0MPa 이상의 굴곡탄성율, ISO 179 측정기준 30.0 KJ/m2 이상의 샤르피 충격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ISO 179 측정기준 32.0 KJ/m2 이상의 샤르피 충격강도를 구현가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사출 및 압출 성형 가공에 유리하여, 전도 성능 및 기계적 특성이 요구되는 전기전자 분야, 전도성 케이블등과 같은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폴리아미드66 수지(Acend社, 21ZLV),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PA 6T 수지 (Evonik社, M1000) 및 PA 6I 수지(Evonik社, M5000), 열 안정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코오롱플라스틱社, KN333HSMB)를 각각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지름이 30 mm의 이축 혼련기 TEX-30로 혼합하고, 여기에 로빙으로부터 제공되는 E-유리섬유(오웬스코닝社, SE1200, 직경 10~17㎛)를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함침하여 길이가 10 mm인 장섬유 강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열 안정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코오롱플라스틱社, KN333HSMB)는 마스터 배치용 수지로서 폴리아미드6(이하, PA6)를 포함하고 열 안정제로서 CuI 및 KI의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방향족 폴리아미드인 PA 6T 및 PA 6I의 중량비율을 2:3에서 3:2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섬유 강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열 안정제 마스터 배치의 열 안정제를 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 안정제 마스터 배치(Ciba Geigy社, Irgafos 168)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섬유 강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열 안정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Ciba Geigy社, Irgafos 168)는 마스터 배치용 수지로서 폴리아미드6를 포함하고 열 안정제로서 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의 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4
열 안정제 마스터 배치의 열 안정제를 황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 안정제 마스터 배치(American Cyanamid社, Cyanox STDP)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섬유 강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열 안정제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American Cyanamid社, Cyanox STDP)는 마스터 배치용 수지로서 폴리아미드6를 포함하고 열 안정제로서 Distearyl thiodipropionate의 황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비교예 1 내지 3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비율을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섬유 강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폴리아미드 마스터 배치
(중량%)
열안정제1) 유리
섬유
(중량%)
지방족
(중량%)
방향족 6T
(중량%)
방향족 6I
(중량%)
PA6 및
인계
화합물
(중량%)
PA6 및
황계
화합물
(중량%)
PA6 및
금속염 화합물
(중량%)
실시예1 31.6 2.7 4.0 1.6 - - 4 60.1
실시예2 31.6 4.0 2.7 1.6 - - 4 60.1
실시예3 31.6 2.7 4.0 1.6 4 - - 60.1
실시예4 31.6 2.7 4.0 1.6 - 4 - 60.1
비교예1 38.3 - - 1.6 - - 4 60.1
비교예2 36.0 0.9 1.3 1.6 - - 4 60.1
비교예3 33.8 1.8 2.7 1.6 - - 4 60.1
주석: 1) 열안정제 함량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마스터 배치의 함량(1.6중량%)을 100중량%로 하여 마스터 배치 내에 포함된 함량을 의미한다.
<측정예>
형체력 170톤의 사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펠렛을 각각 ISO 시험 규격에 맞도록 시편으로 제작한 후, 다음과 같이 시편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및 충격강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ISO 527에 의거하여 50 mm/min의 시험속도로 측정하였다.
(2)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률: ISO 178에 의거하여 10 mm/min의 시험속도로 측정하였다.
(3) 샤르피 충격강도: ISO 179/*eU 기준에 의거하여 샤르피 노치(Charpy Notched) 충격강도를 상온 23℃에서 측정하였다.
성형품(시편)
인장강도
(MPa)
굴곡강도
(MPa)
굴곡탄성율
(MPa)
샤르피 충격강도
(KJ/m2)
실시예1 315 415 22.3 32.8
실시예2 310 408 23.6 31.6
실시예3 302 398 22.1 30.1
실시예4 305 404 22.2 30.6
비교예1 285 370 19.8 27.8
비교예2 288 376 20.8 28.7
비교예3 292 384 21.2 29.6
상기 표 2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비율을 만족하여, 우수한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및 샤르피 충격강도를 가지는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3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지 않거나,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비율이 본 발명에서요구되는 범위를 만족하지 않아,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샤르피 충격강도가 저조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폴리아미드 수지; 열 안정제; 및 장섬유 강화재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5:1 내지 3:2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안정제는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및 금속염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안정제는 마스터 배치용 수지를 포함하여 마스터 배치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배치용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10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012,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12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1010,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012,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121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MACM10-18, PACM10-18, MACMI, MACMT, MXDI, MXD6, PA 6I, PA 6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PA 6T 및 PA 6I가 혼합된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 강화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규산 칼슘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붕산 알루미늄 섬유, 현무암 섬유, PE 섬유, PAN 섬유, 아릴레이트 섬유, PEEK섬유 나일론섬유, PET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180124623A 2018-10-18 2018-10-18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200043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623A KR20200043797A (ko) 2018-10-18 2018-10-18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623A KR20200043797A (ko) 2018-10-18 2018-10-18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797A true KR20200043797A (ko) 2020-04-28

Family

ID=7045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623A KR20200043797A (ko) 2018-10-18 2018-10-18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37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5833B2 (en) 2020-01-14 2023-06-27 Hyundai Motor Company Polyamide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of the same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reduced weight
WO2023234582A1 (ko) * 2022-05-31 2023-12-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5833B2 (en) 2020-01-14 2023-06-27 Hyundai Motor Company Polyamide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of the same with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reduced weight
WO2023234582A1 (ko) * 2022-05-31 2023-12-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6316B2 (ja) 強化ポリアミド成形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射出成形品
TWI434889B (zh) 以平面玻璃纖維強化之聚醯胺模塑材料以及其所製成之注入模塑部件
EP2060607B2 (de)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JP5198893B2 (ja) 吸水性低減を示す充填ポリアミド成形材料(発明の詳細な説明)
US20100227972A1 (en) Material for sliding component
JP611675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及び炭素長繊維を含む輸送手段用複合材料
EP3209713B1 (en) Reinforced polymer molding composition
JP6172279B2 (ja) 結晶性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
KR20160106611A (ko) 장섬유 보강된 폴리아미드
JP2016525586A5 (ko)
KR2020004379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JP6889912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てなる成形体
KR102493432B1 (ko)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용융 혼합을 통한 고강성 장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306382B1 (ko) 유동성이 개선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EP3877445A1 (de) Polyamidformmasse, hieraus gebildeter formkörper sowie verwendungsmöglichkeiten
US7888434B2 (en) Aromatic polyamide and epoxy group-containing phenoxy resin
KR102463416B1 (ko)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하이브리드 조성물
KR20170043720A (ko) 경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EP4036172A1 (en) High-strength long-fiber reinforce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melt blending aliphatic polyamide resin and aromatic polyamide resin
EP2987831B1 (en) Polyamide-based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lexural modulus and impact strength
JP2011201990A (ja) ガラス長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ペレット
KR20200082735A (ko) 폴리아미드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65701A (ko) 장섬유 복합재
KR102020606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009690A1 (ja) 無機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