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048A -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048A
KR20210090048A KR1020200003368A KR20200003368A KR20210090048A KR 20210090048 A KR20210090048 A KR 20210090048A KR 1020200003368 A KR1020200003368 A KR 1020200003368A KR 20200003368 A KR20200003368 A KR 20200003368A KR 20210090048 A KR20210090048 A KR 20210090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water level
liquid cargo
storage tank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중
이석오
김종식
김기연
이은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0048A/ko
Publication of KR2021009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저장탱크별 수위로 액체화물의 저장을 시작하는 단계;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설정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기준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 각각의 현재수위와 상기 기준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화물의 오프로딩 유량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은 액체화물의 저장 작업을 할때 각 저장탱크별로 저장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기 때문에 저장탱크별로 운영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Storage flow control method for a cargo of liquid}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의 저장을 위한 유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화물의 저장에는 보통 2개의 화물탱크가 사용된다. 화물탱크별로 저장 시작수위(Storage Starting Level)와 저장 목표수위(Storage Target Level)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각 화물탱크별로 요구되는 목표수위가 동시에 도달될 수 있도록 작업자는 각 화물탱크에 유입되는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해 주어야 한다.
저장탱크의 유입구에는 유량 조절 밸브(Flow control valve)는 없고 수동 밸브(Manual valve)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작업자는 수동으로 저장탱크의 수위을 조절해 준다. 따라서 저장탱크의 시작수위(Starting Level) 그리고/또는 목표수위(Target Level)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현재의 수위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만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또한, 2개의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을 거의 동시에 저장하는 것이 작업자의 목표인것에서 작업자가 계속 변경되는 저장탱크의 수위를 매시간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유량 제어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9-0060743호 (공개 2019.06.03.)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시작수위와 목표수위을 가진 저장탱크들에서 액체화물의 저장 작업을 할때 각 저장탱크별로 저장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저장탱크별 수위로 액체화물의 저장을 시작하는 단계;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설정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기준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 각각의 현재수위와 상기 기준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각 저장탱크별로 설정된 시작수위 및 목표수위값을 기준으로 상기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별로 현재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각각의 저장탱크로 흘러 들어가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유량을 각각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은 액체화물의 저장 작업을 할때 각 저장탱크별로 저장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기 때문에 저장탱크별로 운영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체 흐름도에서 제어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을 도시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체 흐름도에서 제어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은 연산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런 컴퓨터 장치는 저장탱크와 펌프에 구성된 수위 표시기, 펌프 제어 장치, 수위 제어 장치 및 밸브 제어 장치 등에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은 설정된 저장탱크별 수위로 액체화물의 저장을 시작하는 단계(S100),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 상기 평균설정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기준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S300),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 각각의 현재수위와 상기 기준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400),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S500) 및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의 저장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는 각 저장탱크별로 설정된 시작수위 및 목표수위값을 기준으로 상기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여 구성된다.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별로 현재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각각의 저장탱크로 흘러 들어가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유량을 각각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정된 저장탱크별 수위로 액체화물의 저장을 시작(S100)되면 다음 단계인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로 넘어가기 전에 저장탱크별로 설정된 목표수위의 초기 설정값은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의 저장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0)에서 저장탱크에 저장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을 때,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는 각 저장탱크별 시작수위와 목표수위를 기준으로 하여 평균 시작수위와 평균 목표수위를 계산한다. 이를 바탕으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상기 평균설정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기준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S300)는 복수의 저장탱크별 현재수위정보를 가지고 기준 수위를 결정한다. 저장탱크가 2개일 때를 기준으로 저장탱크 1의 수위와 저장탱크 2의 수위를 더하고 이를 반으로 나눈 값으로 기준 수위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저장탱크가 2개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평균설정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기준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S300)에서 계산된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 각각의 현재수위와 상기 기준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400)에서 저장탱크들의 현재수위와 상기 기준 수위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를 통해 도출된 정보를 가지고 각각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S500)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복수의 저장탱크가 각 탱크별로 순차적으로 유량의 제어가 수행된다. 즉 저장탱크 1의 유량을 제어하고, 그 다음에 저장탱크 2의 유량을 제어한다.
먼저 저장탱크 1의 현재수위와 저장탱크 1의 기준수위를 비교한다.(S510) 저장탱크 1의 현재수위가 저장탱크 1의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저장탱크 2보다 저장탱크 1에 더 많은 유량이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저장탱크 1에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된다.(S511) 반대로 저장탱크 1의 현재수위가 저장탱크 1의 기준수위보다 낮으면 저장탱크 2보다 저장탱크 1에 더 적은 유량이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저장탱크 1에 유입되는 유량은 유지된다.(S512)
다음으로 저장탱크 2의 현재수위와 저장탱크 2의 기준수위를 비교한다.(S520) 저장탱크 2의 현재수위가 저장탱크 2의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저장탱크 1보다 저장탱크 2에 더 많은 유량이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저장탱크 2에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된다.(S521) 반대로 저장탱크 2의 현재수위가 저장탱크 2의 기준수위보다 낮으면 저장탱크 1보다 저장탱크 2에 더 적은 유량이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저장탱크 2에 유입되는 유량은 유지된다.(S522)
그리고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의 저장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600)에서 각 저장탱크들이 초기에 설정된 목표수위에 도달했다고 확인되면 자장 작업은 종료된다. 종료 기준은 각 저장탱크들 모두가 목표수위에 도달하거나 각 저장탱크별로 목표수위에 도달하는 것이다. 종료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로 돌아가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

  1.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저장탱크별 수위로 액체화물의 저장을 시작하는 단계;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수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설정 값으로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기준 수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 각각의 현재수위와 상기 기준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각 저장탱크별로 설정된 시작수위 및 목표수위값을 기준으로 상기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별로 현재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각각의 저장탱크로 흘러 들어가는 액체화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저장탱크의 유량을 각각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KR1020200003368A 2020-01-09 2020-01-09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KR20210090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368A KR20210090048A (ko) 2020-01-09 2020-01-09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368A KR20210090048A (ko) 2020-01-09 2020-01-09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048A true KR20210090048A (ko) 2021-07-19

Family

ID=7712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368A KR20210090048A (ko) 2020-01-09 2020-01-09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00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743A (ko) 2017-09-01 2019-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식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743A (ko) 2017-09-01 2019-06-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식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2690B2 (en) Controlled hydronic distribution system
US45265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pipeline compressors
EP0398436B1 (en) Compressor control system to improve turndown and reduce incidents of surging
US10125584B2 (en) Well control system
KR20160013910A (ko) 지능형 조절기 조립체 내 압력을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229824A1 (en) Intelligent Sea Water Cooling System
CN106574545B (zh) 智能海水冷却系统
EP3239590A1 (en) St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lng gas station
CN110632962A (zh) 控制从至少两个单独输入管线到供水网络扇区的供水的控制系统和方法
KR20210090048A (ko) 액체화물의 저장 유량 제어방법
AU2012216693A1 (en) Setting the value of an operational parameter of a well
KR101951577B1 (ko) 지능형 해수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474U (ko)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하는 가스의 가용 유동의 함수로서 압축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와, 이러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압축기
JP6133672B2 (ja) ポンプ装置
US20230333575A1 (en) Flowrate control device, flowrate control method, and fluid supply system
JP6133676B2 (ja) ポンプ装置
KR101533238B1 (ko) 선박엔진용 연료첨가제 가변 주입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4175248A1 (ja) ポンプ装置
CN113983692A (zh) 用于控制热水供应设备的方法、装置及热水供应设备
JPH1162876A (ja) 給水システムの末端圧力一定制御装置
JPH07168627A (ja) 弁制御装置
JP2009301257A (ja) 複数系列整圧器制御システム
JP2008063982A (ja) 送水制御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水制御システム
JPH1182362A (ja) 複数ポンプを用いた給水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20150064776A (ko) 선박용 유압오일펌프의 오일 디스차징 자동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