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851A -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851A
KR20210089851A KR1020200002896A KR20200002896A KR20210089851A KR 20210089851 A KR20210089851 A KR 20210089851A KR 1020200002896 A KR1020200002896 A KR 1020200002896A KR 20200002896 A KR20200002896 A KR 20200002896A KR 20210089851 A KR20210089851 A KR 20210089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ug
slide cover
upper bod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648B1 (ko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to KR102020000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6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케이블작업이 간편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는 플러그핀이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블이 접속되는 케이블단자가 장착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러그몸체가 안착되는 플러그공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케이블단자를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Multi concent}
본 발명은 다수의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케이블작업이 간편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여러개를 접속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는 서로 조립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로 구성된다.
하부몸체에는 플러그핀이 접속되는 플러그단자들과,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케이블단자 등이 장착되고, 상부몸체는 하부몸체를 덮어 플러그단자와 케이블단자 등의 부품을 은폐시키고, 상부면에는 플러그몸체가 안착되는 플러그공이 형성된다.
멀티 콘센트에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케이블작업은 볼트를 풀어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하게 된다.
상부몸체가 분리되면 하부몸체에 장착된 플러그단자 등의 부품이 노출되고, 부품들이 노출된 상태에서 케이블작업을 하면 부품의 조립 상태에 변형이 오거나 부품이 제자리를 이탈하는 일이 발생되어서 부품을 재조립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은 콘센트의 접속불량과 작업시간의 지연이라는 폐단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래서 등록특허 10-0772732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구조"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 구 이상 2 ∼ 6 구의 다수의 플러그핀 삽입공이 구비된 상부 캡과, 내부에 접속단자 등이 구비된 하부 캡이 볼트로 결합되어 콘센트 몸체를 구성하는 노출형 다공 콘센트에 있어서,
상부 캡(1)의 전,후측 단부가 분할되어 전,후 동일한 구조의 입,출력선 연결캡(3)(3')이 구비되고, 그 내측 단부에 볼트(5)가 삽입되는 통공(6)을 형성하기 위한 리브(7)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 캡(1)의 외측 단부에 상기 리브(7)가 삽입되는 절취부(9)와 볼트공(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캡(12)의 내부에 공지된 2 개의 접속단자(14)(14')와 접지단자(15)가 상기 상부 캡(1)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그 전,후측 단부에 입,출력선 연결홈(17)(17') 및 접지선 연결홈(18)과, 너트(19)(19')(20)가 끼워진 연결 볼트(22)(22')(23)가 체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구조』를
제안하여서 케이블작업(입,출력선과 접지선의 콘센트 연결 또는 분리 작업) 과정에서 하부몸체에 장착된 부품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10-0772732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구조"는 볼트(5)를 이용해 연결캡(3)(3')을 상부 캡(1)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볼트(5)를 풀거나 조이는 번거로움과 시간 지연의 문제가 있고, 드라이버를 필히 준비해야 하고 작업 중에 볼트를 분실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상부몸체의 가장자리에 슬라이드커버를 구비하여 케이블단자만을 노출시켜 케이블작업이 가능하고, 슬라이드커버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 없이 슬라이드 이동되어서 간편하고 신속한 케이블작업이 가능하고, 상부몸체의 일측에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케이블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 고정볼트를 사용하는 케이블단자가 구비되어서 케이블의 종류에 제한 없이 간편한 작업이 가능한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는
플러그핀이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블이 접속되는 케이블단자가 장착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러그몸체가 안착되는 플러그공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케이블단자를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양측 사이드에는 상기 상부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양측 사이드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어서 상기 슬라이드커버가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블단자는 상기 하부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되,
일측의 케이블단자는 케이블을 탄성력으로 고정시키는 판스프링을 사용하고, 타측의 케이블단자는 케이블을 가압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는 케이블단자만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블작업을 하게되어서 작업 중에 다른 부품이 손상되거나 제 위치를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슬라이드커버는 손가락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개폐되어서 케이블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케이블단자로 일측에는 판스프랑을 사용하고 타측에는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케이블의 종류에 무관한게 간편하고 신속한 케이블작업이 가능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콘센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는 개폐 상태에서 슬라이드커버와 상부몸체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는 하부몸체(10), 상부몸체(20) 및 슬라이드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2에는 위에서 부터 상부몸체(20)의 평면도([A] 참조), 하부몸체(10)의 평면도([B] 참조),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10)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 정면도([C] 참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2의 [A]를 보면, 상부몸체(20)의 상부면에는 플러그몸체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플러그공(21)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접속된 플러그에 전원공급을 개별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개별스위치(19)가 배치되는 스위치공(29)이 3개 형성되어 있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드커버(30)가 결합된다.
도2의 [B]를 보면, 하부몸체(10)의 내부에는 플러그핀이 접속되는 플러그단자(11) 3쌍과, 접지단자(12)와, 플러그단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두 전원단자(13), 전원단자(13)와 플러그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개별스위치(19)가 장착되고, 내부 양측 가장자리에는 케이블(C1, C2, C3)이 접속되는 케이블단자(14, 16)가 장착된다.
외부전원을 멀티 콘센트에 공급하는 케이블은 전원선(C1, C2) 2개와 접지선(C3) 1개로 이루어지고, 전원선(C1, C2)과 접지선(C3)은 하부몸체(10)의 양측 중에서 어느 한측의 케이블단자(14, 16)에 접속된다.
도2의 [B]와 [C]를 보면, 하부몸체(10)의 좌측에는 판스프링(14)을 사용한 케이블단자가 장착되고, 우측에는 고정볼트(16)를 사용한 케이블단자가 장착되어 있다.
판스프링(14)은 탄성력으로 케이블의 전원선(C1, C2)이나 접지선(C3)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해체블럭(15)을 하강시키면 해체블럭(15)이 판스프링(14)의 단부가 눌리도록 하여 케이블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하고, 해제 상태에서 케이블을 당기면 케이블은 판스프링(14)에서 분리된다.
고정볼트(16)는 조임력으로 케이블의 전원선(C1, C2)이나 접지선(C3)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고정판(17)과 고정볼트(16)의 헤드 사이에 케이블의 전원선(C1, C2)이나 접지선(C3)을 밀어넣고 조여 고정시킨다. 전원선(C1, C2)이나 접지선(C3)이 연성이어서 판스프링(14)의 단부로 밀어넣기 곤란하거나 판스프링(14)의 가압력으로 손상될 위험이 있는 경우 고정볼트(16)를 사용하는 케이블단자를 이용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커버(30)는 상부몸체(20) 가장자리의 상부면을 덮는 수평부(31)와, 측면을 덮는 수직부(32)로 구성되어서,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커버(30)의 수평부(31)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밀거나 당겨서 슬라이드커버(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33)가 형성되고, 수평부(31)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살(34)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커버(3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상부몸체(2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35)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홈(35) 아래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36)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슬라이드커버(30)가 상부몸체(20)의 가장자리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슬라이드커버(30)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부몸체(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개구부(23)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서, 상부몸체(20)의 개구부(23)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몸체(10)의 케이블단자를 노출시키거나 은폐시킨다.
상기 개구부(23)가 있는 상부몸체(20)의 상부면 내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커버(30)의 걸림돌기(36)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26)이 형성되어서, 슬라이드커버(30)의 개방 상태나 폐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슬라이드커버(30)를 밀거나 당겨서 상부몸체(20)의 개구부(23)를 완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 상태로서, 걸림돌기(36)와 걸림홈(26)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슬라이드커버(30)가 비의도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부몸체 11 : 플러그단자
12 : 접지단자 13 : 전원단자
14 : 판스프링 16 : 고정볼트
20 : 상부몸체 21 : 플러그공
23 : 개구부 26 : 걸림홈
30 : 슬라이드커버 31 : 수평부
32 : 수직부 33 : 손잡이
35 : 슬라이드홈 36 : 걸림돌기

Claims (4)

  1. 플러그핀이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블이 접속되는 케이블단자가 장착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플러그몸체가 안착되는 플러그공이 형성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케이블단자를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양측 사이드에는 상기 상부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양측 사이드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결합되어서 상기 슬라이드커버가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단자는 상기 하부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되,
    일측의 케이블단자는 케이블을 탄성력으로 고정시키는 판스프링을 사용하고, 타측의 케이블단자는 케이블을 가압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1020200002896A 2020-01-09 2020-01-09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102298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96A KR102298648B1 (ko) 2020-01-09 2020-01-09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96A KR102298648B1 (ko) 2020-01-09 2020-01-09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51A true KR20210089851A (ko) 2021-07-19
KR102298648B1 KR102298648B1 (ko) 2021-09-07

Family

ID=7712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96A KR102298648B1 (ko) 2020-01-09 2020-01-09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64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371U (ko) * 1988-09-09 1990-03-22
JPH0257567U (ko) * 1988-10-20 1990-04-25
JPH08162179A (ja) * 1994-12-02 1996-06-21 Watanabe Seisakusho:Kk 端子装置
KR19980035074U (ko) * 1996-12-12 1998-09-15 이대원 카메라의 슬라이드 커버 흔들림 방지구조
KR200287515Y1 (ko) * 2002-05-21 2002-09-05 김석주 콘센트
KR20070016421A (ko) *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위너스 다공 멀티 콘센트
KR20080076003A (ko) * 2007-02-14 2008-08-20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노출형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장치
KR20090004699U (ko) * 2007-11-14 2009-05-19 서성교 내구성이 향상된 콘센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371U (ko) * 1988-09-09 1990-03-22
JPH0257567U (ko) * 1988-10-20 1990-04-25
JPH08162179A (ja) * 1994-12-02 1996-06-21 Watanabe Seisakusho:Kk 端子装置
KR19980035074U (ko) * 1996-12-12 1998-09-15 이대원 카메라의 슬라이드 커버 흔들림 방지구조
KR200287515Y1 (ko) * 2002-05-21 2002-09-05 김석주 콘센트
KR20070016421A (ko) * 2005-08-03 2007-02-08 주식회사 위너스 다공 멀티 콘센트
KR20080076003A (ko) * 2007-02-14 2008-08-20 주식회사 일신전기산업 노출형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장치
KR20090004699U (ko) * 2007-11-14 2009-05-19 서성교 내구성이 향상된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648B1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6499A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5893772A (en)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05633716B (zh) 高压连接器
CN105846242A (zh) 手柄式高压连接器
US8784139B2 (en) Push-pull interconnection system
US10050380B2 (en) Locking device for electric connectors and electric connectors equipped with the device
MX2008014090A (es) Conexion de enchufe de acoplamiento.
US20080248699A1 (en) Electric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685731A (en) Strain-relief device for use with cable-plug assemblies
DE4447023A1 (de) Stecker
KR20190019794A (ko) 접속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유닛을 갖는 콘센트
DE102006001130A1 (de) Steckvorrichtung nach EN 60 309 mit einem Drehkörper zur Abdichtung und Verriegelung ohne Klappdeckel
US20110318947A1 (en) Unlocking device,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KR102298648B1 (ko) 케이블작업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CA3168910A1 (en) Power input terminal block
ITMI20080652A1 (it) Presa o spina industriale provvista di morsetti a molla con attuatori
US10910781B2 (en) Power plug conversion unit
CN214542699U (zh) 一种线缆连接装置
EP169145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12304032U (zh) 一种用于电缆快速连接的结构
EP3713017A1 (en) Short-circuiting device
DE4309563C2 (de) Netzkabelsteckanschluß
KR101389228B1 (ko)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CN210137161U (zh) 箱内电缆接地装置
EP2988312B1 (de) Sicherungsmod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