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843A - 중탕 조리기 - Google Patents

중탕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843A
KR20210089843A KR1020200002873A KR20200002873A KR20210089843A KR 20210089843 A KR20210089843 A KR 20210089843A KR 1020200002873 A KR1020200002873 A KR 1020200002873A KR 20200002873 A KR20200002873 A KR 20200002873A KR 20210089843 A KR20210089843 A KR 20210089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dissipation
control unit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281B1 (ko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Priority to KR102020000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2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10Mixing apparatus; Roller mills for preparing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15Mixing, knea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탕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조리공간과 배출홀이 형성된 용기; 상기 조리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공간의 조리물을 저어주는 눌음방지부; 상기 용기와 떨어져 있는 온도조절부;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고 상기 온도조절부의 열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탕 조리기{Double boiler cooker}
본 발명은 중탕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중탕(bath)은, 조리하고자 하는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직접 가열하지 않고, 물이나 기름과 같은 용매가 담긴 용기에 넣어 간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조리물을 데우거나 끓이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중탕은 식당, 가정 등에서 요리를 할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초콜릿을 녹이거나 죽, 앙금 따위를 끓일 때 또는 팩에 들어 있는 음식이나 한약 등을 가열할 때에도 이용한다.
초콜릿을 녹이거나 죽, 앙금 따위(이하, 조리물이 함)를 끓일 때 조리물이 용기에 눌어붙지 않도록 조리물을 지속해서 저어야 한다. 이에 가정 등에서 소량으로 중탕 조리하는 경우 큰 불편함은 없지만, 식당, 급식소 등에서 대량으로 중탕 조리하는 경우 조리가 계속해서 조리물을 저어야 하므로 다소 불편하였다.
이처럼 중탕 조리하는 조리기는 조물이 다기는 내부용기, 용매가 담긴 외부용기로 이루어져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가열수단을 통해 용매를 가열하게 되면서 용매의 열이 내부용기의 조리물에 전달되어 중탕 조리가 된다. 이때 용매의 온도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없어 중탕 조리물의 조리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었다.
등록특허 제10-2055259호 (2019.12.06.) 등록특허 제10-1847205호 (2018.04.03.)
본 발명은 방열판을 이용하여 용기에 담긴 조리물을 간접 가열하여 중탕 조리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 조리기는, 조리공간과 배출홀이 형성된 용기; 상기 조리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공간의 조리물을 저어주는 눌음방지부; 상기 용기와 떨어져 있는 온도조절부;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고 상기 온도조절부의 열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온도조절부가 위치하는 배치홀이 형성된 방열몸체; 및 상기 방열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는 복수의 방열편;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탕 조리기는,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방열부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이 형성된 방열 하우징; 그리고 상기 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단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상기 복수의 방열편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조절부와 연결된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조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눌음방지부는, 상기 조리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샤프트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드; 및 상기 복수의 로드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리공간의 둘레와 접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는 조리물을 상기 배출홀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고정바;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바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이동바;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탕 조리기는, 상기 이동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조리공간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탕 조리기는,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단속하는 배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제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배출덕트;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단속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 방향으로 가압하는 락킹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부 바닥은 폭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내부 바닥은 길이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져 조리물은 상기 용기의 내부 바닥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조리공간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해 상기 조리물을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편과 용기의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로 방열편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온도조절부의 온도를 제어하여 방열편에서 용기로 전달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어 용기로 전달되는 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조절부가 상승되면 방열편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온도센서로 방열편의 온도를 감지하여 용기로 전달되는 방열편의 온도를 미리 제어함으로써 조리물이 조리공간의 내부 바닥에 눌어붙거나 타지 않아 조리물 조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 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을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배출 제어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가압부재가 도어를 가압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b)는 가압부재가 도어를 가압하지 않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1의 눌음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4의 눌음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중탕 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 조리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 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출 제어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가압부재가 도어를 가압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이며, b)는 가압부재가 도어를 가압하지 않아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눌음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탕 조리기(1)는 용기(60), 눌음방지부(80), 온도조절부(40), 방열부(3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며 방열판을 이용하여 용기에 담긴 조리물을 간접 가열하여 중탕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중탕 조리기(1)는 본체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설치공간(10a)을 형성하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에 패널이 결합되어 설치공간(10a)을 한정한다. 본체부(10)의 하면에는 바퀴 또는 받침대 따위가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위에는 내부에 배치공간(20a)이 형성된 방열 하우징(20)이 배치되어 있다. 배치공간(20a)은 방열 하우징(20)의 상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방열 하우징(20)의 내부 둘레에는 기설정된 두께의 글라스울(glasswool) 따위로 이루어진 단열부(21)가 배치되어 있다. 단열부(21)는 배치공간(20a)의 열이 방열 하우징(2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열부(21)를 글라스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열방출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방열 하우징(20)의 위에는 조리물이 담기는 조리공간(61)이 형성된 용기(60)가 배치되어 있다.
배치공간(20a)에는 단열부(21)의 내측으로 방열부(30)가 배치되어 있으며, 방열부(30)는 온도조절부(40)가 배치된 방열몸체(31) 및 방열편(32)을 포함하고, 온도조절부(40)의 열을 용기(60)로 전달한다.
방열몸체(31)와 방열편(3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방열몸체(31)에는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되어 온도조절부(40)가 위치하는 배치홀(31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면 [도 1]에서 배치홀(311)이 방열몸체(31)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배치홀(311)은 방열몸체(31)의 폭 방향(Y)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편(32)은 기설정된 두께로 방열몸체(31)의 상면에서 용기(6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방열편(32)의 상면은 용기(60)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 방열편(32)은 방열몸체(31)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열부(30)는 열 전달이 우수한 알루미늄(Aluminum)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배치홀(311)에 위치한 온도조절부(40)는 시즈히터(Sheath Heater), 카트리지히터, 열선, 파이프히터, 세라믹히터, 카본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40)는 기설정된 온도의 열을 발산한다. 온도는 조리물의 종류, 조리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온도조절부(40)에서 발생한 열은 단열부(21)에 의해 방열 하우징(2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며, 방열몸체(31)를 통해 방열편(32)으로 전도된다. 전도된 방열편(32)의 열은 방열편(32)이 접하고 있는 용기(60)의 하면으로 전달되어 조리공간(61)의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온도조절부(40)가 용기(60)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방열편(32)이 용기(60)의 하면과 접하고 있으므로 온도조절부(40)의 열이 방열부(30)를 통해 용기(60)에 담긴 조리물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용매가 담긴 용기에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넣어 용매를 통해 조리물을 데우거나 끓이는 중탕 조리가 가능하다.
제어부(50)는 온도센서(51), 회로부(52) 및 조작부(53)를 포함하며 조리물의 종류, 조리 시간 등에 따라 온도조절부(40)를 컨트롤한다.
온도센서(51)는 방열편(32)과 용기(6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작부(53)는 본체부(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회로부(52)는 설치공간(10a)에 배치되어 조작부(53), 온도센서(51). 온도조절부(40) 및 눌음방지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작부(53)는 입력부, 표시부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는 조리시간, 온도조절부의 온도, 눌음방지부의 작동 시간, 속도 등을 설정하며, 표시부는 조리시간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 설정온도 등을 표시한다. 입력부와 표시부는 중탕 조리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회로부(52)는 입력 데이터 및 감지온도에 따라 온도조절부(40)를 제어하여 조리에 따른 최적 온도의 열이 용기(60)로 전달되도록 한다. 온도센서(51)가 용기(60)의 하면과 방열편(32)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방열편(32)에서 용기(60)로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므로 오차 없이 방열편(32)에서 용기(60)로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온도조절부(40)를 제어하여 방열편(32)의 온도를 미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조리물이 용기(60)에 눌어붙지 않도록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60)에 수용된 조리물은 조리공간(61)에서 방열부(30)를 통해 전달된 열을 통해 조리물이 조리된다. 용기(60)의 일측에는 조리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62)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60)는 길이 방향(X)의 길이가 폭 방향(Y)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평면에서 본 용기(60)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60)의 하면은 용기(60)의 폭 방향(Y)으로 볼록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용기(60)의 하면과 접하는 방열편(32)의 상면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다.
아울러,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용기(60)의 내부 바닥은 길이 방향(X)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경사져 있다. 이에 조리공간(61)의 조리물은 내부 바닥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용기(60)의 배출홀(62)의 둘레는 용기(60)의 내부 바닥과 연결되어 단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조리공간(61)의 조리물은 잔여물 없이 배출홀(62)을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단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조리공간(61)을 세척한 세척 수의 배출이 용이하다.
용기(60)의 외부에는 배출홀(62)을 단속하여 조리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 제어부(50)가 배치되어 있다. 배출 제어부(50)는 배출덕트(71), 도어(72) 및 락킹부(73)를 포함한다.
배출덕트(7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이 용기(60)의 외부에 위치하여 배출홀(62)의 주변부를 따라 결합되어 있다. 배출덕트(71)는 용기(60)에서 멀어질수록 하부로 경사져 있다. 배출덕트(71)에는 배출홀(62)과 연결된 유동유로(7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배출홀(62)을 통해 배출되는 조리물은 유동유로(711)의 경사를 따라 유동하여 식기, 포장용기 등에 담길 수 있다.
도어(72)는 배출덕트(7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홀(62)을 단속하여 조리하고 있는 조리물이 배출홀(62)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도어(72)의 가장자리는 배출홀(62)의 주변부와 접하고 있다(도면 도 4 (a) 참조). 도어(72)는 하부가 용기(60)와 경첩 따위의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그 가장자리가 배출홀(62)의 주변부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도면 도 4 (b) 참조). 이때 조리공간(61)의 조리물은 배출홀(6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어(72)의 가장자리에는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배치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열에 손상되지 않는 섬유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락킹부(73)는 레버부재(731) 및 가압부재(732)를 포함하며, 도어(72)의 가장자리가 배출홀(62)의 주변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어(72)를 가압한다.
레버부재(7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도어(72)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레버부재(731)는 배출덕트(71)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일단은 배출덕트(71)의 외측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구부러져 있다. 레버부재(731)의 일단은 손잡이일 수 있다. 한편, 레버부재(731)는 배출덕트(71)에서 분리될 수 있다.
가압부재(732)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편심된 형태로 일측이 레버부재(731)와 연결되어 있다. 가압부재(732)의 타측 외부 둘레는 도어(72)와 접하고 있다. 그러나 가압부재(732)가 레버부재(731)와 편심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레버부재(731)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재(732)의 타측은 도어(72)와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어(72)는 배출되는 조리물의 배출 압력에 의해 도어(72)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인다. 도어(72)의 가장자리가 배출홀(62)의 주변부에 떨어지면서 배출홀(62)이 개방되어 조리물은 배출홀(62)을 통해 유동유로(711)로 배출된다.
한편, 레버부재(731)가 배출덕트(71)에서 분리되면 도어(72)은 배출홀(62)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72)가 힌지로 용기(60)와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어(72)는 배출덕트(71)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용기(6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출덕트(71)에는 도어(72)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레일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72)가 상부로 이동할수록 배출홀(62)의 개방 면적은 확장된다.
눌음방지부(80)는 샤프트(81), 구동부(82), 로드(83) 및 블레이드(85)를 포함하며 조리공간(61)에 배치되어 가열되는 조리물이 용기(60)의 내부 바닥에 눌어붙지 않도록 조리물을 젖는다.
샤프트(81)는 용기(6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양단이 용기(60)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81)의 일단은 용기(6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벨트풀리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82)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부(82)는 설치공간(10a)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부(82)의 구동축에는 벨트풀리가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81)의 벨트풀리와 구동부의 벨트풀리는 벨트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구동부(82)에서 회전력이 발생하면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샤프트(81)가 조리공간(61)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동부(82)는 회로부(52)와 연결되어 제어부(50)의 제어로 작동한다.
로드(8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샤프트(81)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용기(60)의 내부 둘레와 마주한다. 로드(83)는 샤프트(81)와 직각을 이루고 있다. 로드(83)는 샤프트(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나선 형태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블레이드(85)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샤프트(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로드(83)들의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블레이드(85)는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때 블레이드(85)는 샤프트(81)가 회전할 때 조리공간(61)의 조리물이 배출홀(62)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샤프트(81)의 회전으로 블레이드(85)는 조리공간(61)에서 회전하면서 용기(60)의 내부 바닥을 긁어 조리물이 용기(60)의 내부 바닥에 눌어붙지 않도록 젖는다. 아울러, 조리공간(61)의 바닥이 볼록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샤프트(81)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85)는 조리공간(61)의 바닥과 접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도어(72)가 배출홀(6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샤프트(81)의 회전으로 조리물은 블레이드(85)에 의해 배출홀(62)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배출홀(62)을 통해 유동유로(711)로 배출된다.
한편, 눌음방지부(80)는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8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로드(83)는 고정바(831), 그리고 이동바(8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8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샤프트(81)와 결합되어 있다. 이동바(832)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으며 고정바(831)가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이동바(832)에는 블레이드(85)가 결합되어 있다. 이동바(832)는 고정바(8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바(832)가 직선 이동할때 고정바(8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바(831)의 외부 둘레와 이동바(832)의 내부 둘레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세레이션, 스플라인 따위의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84)는 이동바(8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블레이드(85)가 조리공간(61)의 둘레와 접하도록 이동바(832)에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재(84)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바(832)가 샤프트(8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블레이드(85)의 하면은 조리공간(61)의 내부 바닥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조리공간(61)의 바닥에 붙은 조리물을 긁을 수 있으며 조리물이 눌어붙지 않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방열편(32)과 용기(60)의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51)로 방열편(32)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온도조절부(40)의 온도를 제어하여 방열편(32)에서 용기(60)로 전달되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용기(60)로 전달되는 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조절부(40)가 상승되면 방열편(32)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온도센서(51)로 방열편(32)의 온도를 감지하여 용기(60)로 전달되는 방열편(32)의 온도를 미리 제어함으로써 조리물이 조리공간(61)의 내부 바닥에 눌어붙거나 타지 않아 조리물 조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온도조절부(40)가 히터로 이루어져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열을 용기(60)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온도조절부(4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 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설치공간(10a)에는 냉매 순환을 위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구성이 배치된다.
조리물은 음료수, 육수 따위로 이루어져 냉매가 냉각 파이프를 유동하면서 조리물의 열을 흡수한다. 조리물은 온도가 낮아지면서 눌음방지부(80)에 의해 슬러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40)의 종류는 중탕 조리기(1)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중탕 조리기 10: 본체부
10a: 설치공간 20: 방열 하우징
20a: 배치공간 21: 단열부
30: 방열부 31: 방열몸체
311: 배치홀 32: 방열편
40: 온도조절부 50: 제어부
51: 온도센서 52: 회로부
53: 조작부 60: 용기
61: 조리공간 62: 배출홀
70: 배출 제어부 71: 배출덕트
711: 유동유로 72: 도어
73: 락킹부 731: 레버부재
732: 가압부재 80: 눌음방지부
81: 샤프트 82: 구동부
83: 로드 831: 고정바
832: 이동바 84: 탄성부재
85: 블레이드

Claims (11)

  1. 조리공간과 배출홀이 형성된 용기;
    상기 조리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공간의 조리물을 저어주는 눌음방지부;
    상기 용기와 떨어져 있는 온도조절부;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고 상기 온도조절부의 열을 상기 용기로 전달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2. 제1항에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온도조절부가 위치하는 배치홀이 형성된 방열몸체; 및
    상기 방열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접하고 있는 복수의 방열편;
    을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3. 제2항에서,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방열부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이 형성된 방열 하우징; 그리고
    상기 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단열부;
    를 더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4.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상기 복수의 방열편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조절부와 연결된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조작부;
    를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5. 제1항에서,
    상기 눌음방지부는,
    상기 조리공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샤프트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드; 및
    상기 복수의 로드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리공간의 둘레와 접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6. 제5항에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는 조리물을 상기 배출홀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중탕 조리기.
  7. 제5항에서,
    상기 로드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고정바;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바에 직선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 이동바;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조리공간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8. 제1항에서,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단속하는 배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9. 제8항에서,
    상기 배출 제어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배출덕트;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단속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용기의 외부 둘레 방향으로 가압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는
    중탕 조리기.
  10. 제1항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바닥은 폭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의 내부 바닥은 길이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져 조리물은 상기 용기의 내부 바닥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동하는 중탕 조리기.
  11. 제1항에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조리공간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해 상기 조리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중탕 조리기.
KR1020200002873A 2020-01-09 2020-01-09 중탕 조리기 KR10237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73A KR102370281B1 (ko) 2020-01-09 2020-01-09 중탕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73A KR102370281B1 (ko) 2020-01-09 2020-01-09 중탕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43A true KR20210089843A (ko) 2021-07-19
KR102370281B1 KR102370281B1 (ko) 2022-03-04

Family

ID=7712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73A KR102370281B1 (ko) 2020-01-09 2020-01-09 중탕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2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205B1 (ko) 2015-04-10 2018-04-10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앙금 조리기
KR101958406B1 (ko) * 2018-01-11 2019-03-14 김원규 이동형 교반장치
KR101975838B1 (ko) * 2018-03-29 2019-05-09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
KR102055259B1 (ko) 2018-03-22 2019-12-13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솥 및 이를 포함하는 볶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205B1 (ko) 2015-04-10 2018-04-10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앙금 조리기
KR101958406B1 (ko) * 2018-01-11 2019-03-14 김원규 이동형 교반장치
KR102055259B1 (ko) 2018-03-22 2019-12-13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솥 및 이를 포함하는 볶음장치
KR101975838B1 (ko) * 2018-03-29 2019-05-09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조리 종류에 따라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281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0337B2 (en) Blend soup maker
EP2187130B1 (en) Vapor cooker
US10149566B2 (en) Appliance for preparing food
US20070221070A1 (en) Cooker and Cooking Method
EP3671042B1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CN1973164A (zh) 烹调设备
CA2691833C (en) Product warming apparatus
JP4000531B2 (ja) 加熱調理器
KR102370281B1 (ko) 중탕 조리기
JP4703589B2 (ja) 加熱調理器
CN204931439U (zh) 一种炸锅
CN209932454U (zh) 一种用于饮品自动化烹饪的加热装置
CN115697140A (zh) 压缩式拉面烹饪机用压缩腔室
KR101640726B1 (ko) 양면 프라이팬
CN216293823U (zh) 一种具有横向旋转功能的卧式烹饪器具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US11655983B2 (en) Dual cooking appliance
JP6742861B2 (ja) 加熱調理器
JP2009085517A (ja) 加熱調理器
CN115697141A (zh) 压缩式拉面烹饪机的拉面排出部
CN105996734B (zh) 活塞运动搅拌式电饭煲
KR100413886B1 (ko) 다용도 전열 조리기
JP6158098B2 (ja) 加熱調理器
WO2023178811A1 (zh) 加热座及烹饪器具
KR20050039944A (ko) 다용도 취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