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30A -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30A
KR20210089030A KR1020200002242A KR20200002242A KR20210089030A KR 20210089030 A KR20210089030 A KR 20210089030A KR 1020200002242 A KR1020200002242 A KR 1020200002242A KR 20200002242 A KR20200002242 A KR 20200002242A KR 20210089030 A KR20210089030 A KR 2021008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adar
speeding
camera
de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소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030A/ko
Publication of KR2021008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8G1/05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photographing overspeeding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검지 영역을 향하여 레이더를 조사하는 레이더; 상기 검지 영역을 촬영하도록 마련된 카메라;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이더를 통해 상기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peeding Vehicle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차량 과속 차량 검출 기술과 관련된다.
차량 과속에 의한 교통 사고는 운전자는 물론 주변 차량의 탑승자들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인명 사고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명 피해를 방지하고자 도로 곳곳에는 첨단 장비를 이용한 과속 차량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레이저, 카메라, 및 레이더(radar)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속도를 측정함에 따라 무인으로 차량 과속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레이저 기반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날씨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고, 검지 폭이 좁은 단점이 있다. 카메라 영상 기반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날씨와 기후 영향을 많이 받고, 야간의 검지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레이더 기반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날씨와 기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나, 전파 산란, 반사 및 왜곡에 의해 데이터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카메라 및 레이더를 포함하고,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하여 검지 영역 내 차량 속도를 각기 확인하고, 각기 확인된 차량 속도의 평균치를 차량 속도로 검출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검지 영역 내에서 차량을 여러 번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 영상들 중 가장 최적의 영상을 선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차량 속도와 레이더 구동 주기에 따라 차량들을 감지 구역의 각기 다른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촬영 영상에 차량 번호판이 포함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카메라 처리 부하 및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는, 검지 영역을 향하여 레이더를 조사하는 레이더; 상기 검지 영역을 촬영하도록 마련된 카메라;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이더를 통해 상기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은, 검지 영역을 향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레이더 장치; 트리거 신호에 맞추어 상기 검지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에 기반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 장치는, 상기 검지 영역을 향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에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방법은, 레이더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처리 부하 및 소비 전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지정된 구동 주기(예: 약 1분)마다 레이더(110)를 통해 검지 영역에 근접한 차량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레이더(110)를 통해 신호(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고, 그 반사파 신호에 기반하여 검지 영역으로부터 임계 거리(dT2)(예: 약 5m) 이내 근접한 차량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검지 영역과 임계 거리 이내로 근접한 차량의 검지 영역과의 거리(dF)에 기반하여 차량 속도를 확인하고, 차량 속도가 임계 속도 이상인 과속 차량(v100)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검지 영역에 근접한 과속 차량(v100)을 검출하면, 차량 속도 및 검출 거리(dF)에 기반하여 차량이 검지 영역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하, "도착 소요 시간"이라 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검출 거리(dF)를 차량 속도로 나눔에 따라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도착 소요 시간 및 구동 주기에 기반하여 카메라(120)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레이더(110)의 현 구동 주기에 카메라(120)로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 이하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레이더(110)의 현 구동 주기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것으로 결정하면,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시간(이하, "촬영 명령 송신 시간"이라 칭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도착 소요 시간으로부터 레이더의 산출 오차를 뺀 결과 시간을 촬영 명령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산출 오차는 레이더(110)를 통한 반사파의 수신 시점에서 전자기파 신호의 송신 시점을 뺀 시간(파형 전송 시간) 및 레이더(110)를 통한 검출 거리(dD)에 기반하여 잔여 거리(dF)를 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후처리 시간)을 합산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촬영 명령 송신 시간에 맞추어 카메라(120)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카메라(120)를 통해 검지 영역에 위치한 과속 차량 전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차량 전면 영상에서 차량 번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차량 속도 정보 및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카메라(120)를 상시적으로 구동하지 않고, 상시 구동 중인 레이더(110)(또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구동하는 레이더(110))를 통해 차량이 검지 영역에 위치할 시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맞추어 카메라(120)를 통해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불필요하게 카메라(120)가 구동하여 차량을 복수 회 촬영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영상 처리 부하 및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레이더(110), 카메라(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과속 차량 검출을 위한 센서들(예: 레이더(110) 및 카메라(120))를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모듈 및 차량 속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과속 차량 검출 모듈 및 서버는 지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통신 채널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FTTH(Fiber to the home),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WiFi, Wibro, 3G 또는 4G과 같은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110)는 프로세서(140)의 명령에 따라 검지 영역을 향하여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고, 주변 장애물(예: 차량)에 의한 반사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레이더(110)는 전자기파 신호의 송신 시점 및 반사파 신호의 수신 시점에 기반하여 차량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거리에 기반하여 차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20)는 검지 영역 또는 검지 영역에 위치한 차량 번호판을 촬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120)는 프로세서(140)의 명령(예: 트리거 신호)에 따라 검지 영역에 위치한 차량(예: 차량 전면)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검지 영역은 예를 들면, 차량이 달리는 도로 상의 카메라(120)에 의해 차량 번호판을 촬영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4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차량 과속 차량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임계 거리, 임계 속도, 지정된 구동 주기 및 레이더(110)의 산출 오차와 같은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따라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구동 주기(예: 약 1분)마다 레이더(110)를 구동시키고, 레이더(110)를 통해 검지 영역에 근접한 과속 차량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레이더(110)를 통해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고, 그 반사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기파 신호의 송신 시점과 반사파 신호의 수신 시점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레이더(110)와 차량과의 거리(예: 도 1의 dD)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수학식 1과 같이 디폴트 거리(예: 도 1의 dT1)와 검출 거리(예: 도 1의 dD) 간의 차이에 기반하여 잔여 거리(예: 도 1의 dF)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거리는 예를 들면, 레이더(110)와 검지 영역 간의 거리로서, 검지 영역 내에 레이더(110)가 마련된 경우, 디폴트 거리는 0일 수 있다. 상기 잔여 거리는 예를 들면, 차량과 검지 영역 간의 거리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프로세서(140)는 상기 확인된 잔여 거리(dF)가 임계 거리(예: 도 1의 dT2) 이내이면, 검지 영역에 근접한 차량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검지 영역에 근접한 차량이 있으면, 검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차량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확인된 차량 속도가 임계 속도(예: 100km/h)이면, 상기 검출된 차량을 검지 영역에 근접한 과속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속도는 검지 영역이 위치한 도로에 대한 규정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검지 영역에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차량 속도 및 잔여 거리에 기반하여 차량이 검지 영역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잔여 거리(dF)를 레이더(110)에 의해 검출된 차량 속도로 나누어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도착 소요 시간 및 구동 주기에 기반하여 카메라(120)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레이더(110)의 현 구동 주기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레이더(110)의 다음 구동 주기에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 이하이면, 프로세서(140)는 레이더(110)의 현 구동 주기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상기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것으로 결정하면,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시간(이하, "촬영 명령 송신 시간"이라 칭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도착 소요 시간으로부터 레이더 산출 오차를 뺀 결과를 촬영 명령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파형 전송 시간은 레이더(110)를 통한 반사파의 수신 시점에서 전자기파 송신 시점을 뺀 시간일 수 있다. 상기 후처리 시간은 예를 들면, 레이더(110)를 통한 검출 거리(dD)에 기반하여 잔여 거리(dF)를 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명령 송신 시간만큼 대기한 후에 카메라(120)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20)를 통해 검지 영역에 위치한 차량 전면을 촬영함에 따라 차량 전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량 전면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차량 번호 정보 및 차량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차량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20)에 의한 촬영 시간을 고려하여 명령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된 촬영 명령 송신 시간에 촬영 명령 송신 후 카메라(120)의 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뺀 결과 시간을 촬영 명령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20)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카메라(120)를 비활성화 또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함에 따라 카메라(120)의 구동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20)의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촬영 명령 송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된 촬영 명령 송신 시간에 카메라(120)의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뺀 결과 시간(또는, 카메라(120)의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앞선 시간)을 촬영 명령 송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20)는 깊이 정보를 획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깊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깊이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 및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20)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전면 영상에 기반하여 차량 거리 변화를 검출하고, 차량 거리 변화와 카메라(120)의 촬영 속도에 기반하여 차량 속도를 재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재검출된 차량 속도 및 차량 전면 영상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카메라(120)를 상시적으로 구동하지 않고, 레이더(110)를 통해 차량이 검지 영역에 위치할 시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맞추어 카메라(120)를 통해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불필요하게 카메라(120)가 구동하여 차량을 복수 회 촬영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영상 처리 부하 및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10에서,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레이더(1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레이더(110)를 구동시켜 레이더(1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감지 영역에 근접중인 제1 차량과 레이더(110)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검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고, 차량 속도와 임계 속도를 비교하여 제1 차량이 과속 차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제1 차량이 과속 차량이면, 레이더(110)와 제1 차량 간의 거리에서 레이더(110)와 감지 영역 간의 거리를 뺀 잔여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잔여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이면, 제1 차량을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검지 영역과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검지 영역에 대한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잔여 거리(dF)를 상기 차량 속도로 나누어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카메라(120)를 통해 과속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 이하이면,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120)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도착 소요 시간에 레이더에 의한 산출 오차를 뺀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만큼 대기 후에 상기 카메라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함에 따라 카메라(12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산출 오차는 예를 들면, 레이더(110)를 통한 신호 송수신 시간 및 레이더(110)를 통한 송수신 신호에 기반한 차량 속도 산출 시간의 합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구동된 카메라(120)를 통해 과속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적어도 다음 구동 주기까지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400)은 레이더 장치(410)(예: 도 2의 레이더(110) 및 프로세서(140)의 일부), 카메라 장치(420)(예: 도 2의 카메라(120), 프로세서(140)의 다른 일부) 및 서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장치(410)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 장치(410)는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검지 영역과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검지 영역에 대한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장치(410)는 레이더 장치(410)는 구동 주기마다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과속 차량을 검출한다. 이에,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 이하이면, 레이더 장치(410)는 도착 소요 시간과 레이더 장치(410)의 산출 오차에 기반하여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장치(410)는 도착 소요 시간에 레이더 장치(410)의 산출 오차를 뺀 시간을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레이더 장치(410)는 결정된 시간만큼 대기 후에 카메라 장치(420)에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도착 소요 시간이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레이더 장치(410)는 적어도 다음 구동 주기까지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레이더 장치(410)는 다음 구동 주기에 해당 과속 차량에 대하여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한 트리거 신호의 송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420)는 트리거 신호에 맞추어 검지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에 기반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420)는 레이더 장치(410)로부터 트리거 신호 및 차량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420)는 트리거 신호에 맞추어 과속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과속 차량이 검지 영역에 위치한 때에 차량 전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420)는 차량 전면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차량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장치(420)는 생성된 차량 정보를 지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서버(43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30)는 카메라 장치(420)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획득하면, 차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430)는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400)은 적어도 카메라 장치(420)를 상시적으로 구동하지 않고, 레이더 장치(410)를 통해 차량이 검지 영역에 위치할 시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맞추어 카메라 장치(420)를 통해 차량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는 불필요하게 카메라 장치(420)가 구동하여 차량을 복수 회 촬영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영상 처리 부하 및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부" 및 "수단"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과속 차량 검출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4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과속 차량 검출 장치에 있어서,
    검지 영역을 향하여 레이더를 조사하는 레이더;
    상기 검지 영역을 촬영하도록 마련된 카메라;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이더를 통해 상기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이더를 통해 전자기파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감지 영역에 근접중인 제1 차량과 상기 레이더 간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차량이 과속 차량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차량이 과속 차량이면, 상기 제1 차량과 상기 레이더 간의 거리로부터 상기 레이더와 상기 감지 영역 간의 거리를 뺀 잔여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차량을 상기 검지 영역에 상기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인 것으로 결정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잔여 거리를 상기 차량 속도로 나누어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상기 레이더를 통해 상기 검지 영역에 상기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 이하이면,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상기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적어도 다음 구동 주기까지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지 않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상기 레이더에 의한 산출 오차를 뺀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시간만큼 대기 후에 상기 카메라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산출 오차는,
    상기 레이더를 통한 신호 송수신 시간 및 상기 레이더를 통한 송수신 신호에 기반한 차량 속도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구동 전에 상기 카메라가 저전력 상태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활성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의 전면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전면 영상으로부터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과속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상기 차량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과속 차량 검출 장치.
  10.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검지 영역을 향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레이더 장치;
    트리거 신호에 맞추어 상기 검지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에 기반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더 장치는,
    상기 검지 영역을 향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에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장치는,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 이하이면, 상기 도착 소요 시간과 상기 레이더 장치의 산출 오차에 기반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시간을 결정하는,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장치는,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적어도 다음 구동 주기까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장치는,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상기 레이더 장치의 산출 오차를 뺀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시간만큼 대기 후에 상기 카메라에 상기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레이더 장치로부터 상기 트리거 신호 및 상기 레이더 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 맞추어 상기 검지 영역에 위치한 상기 과속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차량 전면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전면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차량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과속 차량 검출 시스템.
  15. 과속 차량 검출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검지 영역에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과속 차량을 검출하면, 상기 검지 영역과 상기 과속 차량 간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검지 영역에 대한 상기 과속 차량의 도착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의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과속 차량 검출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레이더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감지 영역에 근접중인 제1 차량과 상기 레이더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차량이 과속 차량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차량이 과속 차량이면, 상기 제1 차량과 상기 레이더 간의 거리로부터 상기 레이더와 상기 감지 영역 간의 거리를 뺀 잔여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 이내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잔여 거리가 상기 임계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1 차량을 상기 검지 영역에 상기 임계 거리 이내 근접한 과속 차량인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동작은, 지정된 구동 주기마다 수행되고,
    상기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 이하이면,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동작;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과속 차량을 촬영함에 따라 상기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도착 소요 시간이 상기 구동 주기를 초과하면, 적어도 다음 구동 주기까지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지 않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도착 소요 시간에 상기 레이더에 의한 산출 오차를 뺀 시간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시간만큼 대기 후에 상기 카메라에 영상 촬영 관련 명령을 송신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산출 오차는,
    상기 레이더를 통한 신호 송수신 시간 및 상기 레이더를 통한 송수신 신호에 기반한 차량 속도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과속 차량 검출 방법.
KR1020200002242A 2020-01-07 2020-01-07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9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42A KR20210089030A (ko) 2020-01-07 2020-01-07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42A KR20210089030A (ko) 2020-01-07 2020-01-07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30A true KR20210089030A (ko) 2021-07-15

Family

ID=7688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242A KR20210089030A (ko) 2020-01-07 2020-01-07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0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46B1 (ko) 2023-05-08 2023-10-10 (주)다올아이티에스 레이더데이터 및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차량번호 식별 및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87047B1 (ko) 2023-05-08 2023-10-11 (주)다올아이티에스 정면단속모드와 후면단속모드의 듀얼동작모드 및 이륜차단속기능을 지원하는 교통단속시스템 및 방법
KR102602318B1 (ko) 2023-06-07 2023-11-17 (주)다올아이티에스 단속영역 가변형 다차로 단속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46B1 (ko) 2023-05-08 2023-10-10 (주)다올아이티에스 레이더데이터 및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차량번호 식별 및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87047B1 (ko) 2023-05-08 2023-10-11 (주)다올아이티에스 정면단속모드와 후면단속모드의 듀얼동작모드 및 이륜차단속기능을 지원하는 교통단속시스템 및 방법
KR102602318B1 (ko) 2023-06-07 2023-11-17 (주)다올아이티에스 단속영역 가변형 다차로 단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9030A (ko) 과속 차량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0726727B2 (en) In-vehic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194332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150291159A1 (en) Collis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apparatus, drive assist apparatus, collis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collision possibility determination program
SE1351043A1 (sv) Detektering av objekt genom användning av en 3D-kamera och en radar
CN111656396B (zh) 落下物检测装置、车载系统、车辆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US11927458B2 (en) Map information correction apparatus, mobile object, map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map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control circuit,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20220001858A1 (en) Dangerous scene prediction device, dangerous scene prediction method, and dangerous scene prediction program
CN113165651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0071805A (ja) レーダ装置
CN110871797A (zh) 自动跟车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US20190256063A1 (en) Decelera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thereof
KR20200017810A (ko) 자율 발렛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19484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WI541151B (zh) 車輛碰撞偵測系統與方法
US20210370927A1 (en) Mitigating collision risk with an obscured object
US11615627B2 (e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vehicle control apparatus,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20220016694A (ko)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6834020B2 (ja) 物体認識装置および物体認識方法
EP3168824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vehicle length determination
JP7401273B2 (ja) 移動体の制御装置及び方法
KR102662365B1 (ko)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3077657B (zh) 车辆间安全距离报警方法及装置
US11912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WI665113B (zh) 自動跟車方法、電子裝置和存儲介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