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365B1 -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365B1
KR102662365B1 KR1020230089417A KR20230089417A KR102662365B1 KR 102662365 B1 KR102662365 B1 KR 102662365B1 KR 1020230089417 A KR1020230089417 A KR 1020230089417A KR 20230089417 A KR20230089417 A KR 20230089417A KR 102662365 B1 KR102662365 B1 KR 10266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vehicle
road
service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나비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나비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나비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3008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각기 수신하고, 상기 각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혼잡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지원하는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20014361)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수집 정보 기반 교통 정보 생성 기술과 관련된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는 네비게이션 이용 단말의 GPS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 정보를 종합하여 도로 혼잡 상황을 확인한 후 서비스 이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그런데, GPS 로그에 기반한 도로 상황 확인 방법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용자가 적을 경우에는 그 신뢰도가 낮을 수 있다. 더욱이, 차량 속도만을 활용한 도로 상황 확인 방법은 고장 차량 및 서행중인 화물차와 같은 노이즈로 인해 실제 평균치의 속도보다 낮은 수치 속도를 활용하여 도로 혼잡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로 영상에 기반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각기 수신하고, 상기 각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혼잡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방법은, 통신 회로를 통해 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각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혼잡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예들은 도로 영상에 기반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도.
도 4 내지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의 예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 및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는 지정된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각기 차량에 구비된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서비스는 예를 들어, 경로 안내 서비스, 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예: TPEG)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는 차량에 설치, 구비 또는 배치된 차량 헤드 유닛, 네비게이션 단말, 차량 헤드 유닛 또는 이동 통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는 각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 및 주행 도로상 차량에 대한 복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위치 정보는 각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과 주변 차량 간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지정된 서비스에 이용되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지정된 서비스 제공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각 서비스 장치(110)가 배치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 및 복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각 차량의 주행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예를 들어, 영상에서 확인된 각 주행 도로의 차량 대수를 차선 개수로 제산함에 따라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확인된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주변 영상에 기반해서 해당 주행 도로의 상태를 원활 상태로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예컨대, 1.0으로서, 이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복수의 위치 정보(예: 차량 위치 정보 및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예를 들면, 주변 영상으로부터 각 차량의 주변 차량을 확인하고, 복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각 차량의 위치 변화 및 주변 차량과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확인된 위치 변화 및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각 차량 및 주변 차량의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확인된 각 차량의 속도 및 주변 차량의 속도 중 최고 속도를 이용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원활 상태, 서행 상태 또는 정체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결정된 원활 상태, 서행 상태 또는 정체 상태를 나타내는 각 주행 도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생성된 교통 정보를 해당 주행 도로를 이용중이거나, 이용 예정인 차량에 구비된 - 지정된 서비스를 이용중인 - 서비스 장치(예: 도 1의 서비스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각 차량의 속도와 주변 차량의 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속도값 중 오름차순으로 지정된 개수(1이상의 상수)의 속도 값과 내림차순으로 지정된 개수의 속도 값을 제외한 속도 값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가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의 명령에 따라 주변 영상 및 복수의 위치 정보(예: 차량 위치 정보 및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 생성; 생성된 정보에 기반한 차량 및 주변 차량의 속도 산출; 산출된 속도에 기반한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과 교통 정보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는 주변 영상과 복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까지 수행하고, 그 외 동작은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가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10)은 도로의 혼잡 상태에 따라 속도 이외의 정보(예: 각 도로 영상)에 기반하여 보다 정확하게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110_n)는 카메라 모듈(111), 센서 회로(113), 통신 회로(115), 메모리(117) 및 프로세서(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비스 장치(110_n)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1) 및 센서 회로(113)는 서비스 장치(110_n)와 별개로 구성되어, 통신 회로(115)를 통해 프로세서(119)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110_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10_n)는 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1)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1)은 프로세서(119)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 및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은 예를 들어, 차량 전방 영상, 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회로(113)는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또는 라이더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거리 감지 센서 및 위치 감지 센서(예: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회로(113)는 프로세서(119)의 제어에 따라 차량과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 및 차량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5)는 서비스 장치(110_n)와 다른 장치(예: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DSL, WiFi, Wibro, 3G, 4G 또는 5G과 같은 V2X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V2X는 V2V(Vehicle to Vehicle),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V2P(Vehicle to Pedestrian)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7)는 서비스 장치(110_n)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9))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7)는 지정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7)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서비스는 예를 들면, 경로 안내 서비스 또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9)는 서비스 장치(110_n)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9)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9)는 카메라 모듈(111)을 이용하여 일 차량의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포함하는 일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은 예를 들어, 일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의 차선 개수 및 일 차량과 지정된 거리(예: 6m) 내에 주행중인 주변 차량(이하, 주변 차량으로 언급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9)는 센서 회로(113)를 이용하여 일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9)는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차량 번호와 같은 식별 수단에 의해 주변 차량을 구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9)는 센서 회로(113)를 이용하여 일 차량과 각기 구별된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9)는 지정된 거리 내에 주행 중이라도 중앙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주행중인 차량을 제외한 주변 차량에 대해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9)는 생성된 복수의 위치 정보 및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신 회로(115)를 통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복수의 위치 정보 및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주행 도로의 상태(혼잡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9)는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통신 회로(115)를 통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에 의해 생성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주행 도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9)는 수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주행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서비스(예: 목적지 도착 시간, 경로 탐색)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9)는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110_n)는 일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 및 일 차량과 주변 차량에 대하여 감지된 정보를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로 송신함에 따라 정확도 높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통신 회로(121), 메모리(123) 및 프로세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신 회로(121)는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와 다른 장치(예: 서비스 장치(110))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WiFi, Wibro, 3G, 4G 또는 5G과 같은 V2X 통신 방식의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는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5))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3)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5)는 통신 회로(121)를 통해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5)는 각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서 주변 차량의 대수를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차선 개수로 제산한 결과를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5)는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인 도로에 대해서는 도로의 상태를 원활 상태로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예컨대, 1.0으로서, 이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5)는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주행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의 최고 속도에 더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통신 회로(121)를 통해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각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변 차량 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복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각 차량의 위치 변화 및 주변 차량의 거리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확인된 각 차량의 위치 변화 및 해당 위치 변화에 소요된 시간에 기반하여 각 차량의 속도 v1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주변 차량의 거리 변화 및 해당 거리 변화에 소요된 시간에 기반하여 주변 차량의 속도 vn(n은 2 이상의 상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5)는 각 차량의 속도 및 주변 차량의 속도 중 최고 속도를 확인하고, 최고 속도가 속하는 범위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5)는 최고 속도가 제1 임계속도(예: 약 35km/h) 미만이면,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정체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최고 속도가 제1 임계속도 이상 제2 임계속도 미만이면, 주행 도로의 상태를 서행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최고 속도가 제2 임계속도 이상이면, 주행 도로의 상태를 원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속도와 제2 임계속도는 도로의 규정 속도(각 도로에 대해 허용된 최고 속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임계속도는 규정 속도의 30%에 해당하는 속도이고, 제2 임계속도는 규정 속도의 70%에 해당하는 속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5)는 주행 도로가 IC 진입 구간을 포함하면, 서비스 장치(110_n)가 구비된 차량의 주행 차선이 IC 진입 차선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주행 도로가 IC 진입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5)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주행 도로가 IC 진입 차선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주행 차선이 IC 진입 차선이면, IC 진입 차선에 위치한 서비스 장치(또는, 각 차량)의 속도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확인 및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5)는 통신 회로(121)를 통해 상기 각 주행 도로를 주행 중이거나, 주행할 예정인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에 각기 생성된 주행 도로의 교통 정보를 송신(공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각 도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획득된 영상에 기반하여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과 위치 정보를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획득하고 획득 정보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카메라 모듈이나 자체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도로에 대해서도 서비스 장치에 의해 제공된 영상에 기반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도로상에 차량이 많지 않을 때에는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주행 도로의 혼잡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도로에 위치한 서비스 장치의 수가 적을 경우에도 비교적 정확하게 도로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그 혼잡도가 일정값(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도로에서는 차량의 속도에 기반하여 도로의 혼잡 상태를 확인할 때에 노이즈(예: 고장으로 인한 저속주행 차량)가 제외한 정보를 사용하므로, 노이즈로 인해 교통 정보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차량(410)는 규정 속도 30km/h 이하인 1차선 도로에서 서행 상태의 기준 속도(20km/h)로 주행 중이고 제1 차량(410)과 지정된 거리 이내의 주변 차량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가 차량 속도에 기준하여 도로 혼잡 상태를 나타낸다면, 해당 주행 도로의 상태는 서행 상태일 수 있다. 하지만,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제1 차량(410)에 구비된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수신된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해당 도로의 혼잡도를 0(= 0(주변 차량의 대수)/1(차선 개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예: 1.0) 미만이므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도로의 상태를 원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주행 도로에 서비스 장치(110_n)가 1개만 위치할 경우에도 도로 혼잡 상태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차량(510) 및 그 주변 차량(520)은 규정 속도 100km/h 이하인 도로에서 서행 상태의 기준 속도(70km/h) 미만으로 주행 중일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제2 차량(510)에 구비된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수신된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주변 차량의 대수 1과 주행 도로의 차선 개수 3을 확인하고, 차량 대수 1을 차선 개수 3으로 제산한 결과인 약 0.33을 주행 도로의 혼잡도로 결정할 수 있다.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예: 1.0) 미만이므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별도로 제2 차량(510)의 속도를 확인하지 않고도 주행 도로를 원활 상태로 결정함에 따라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차량(610)은 3차선 도로에서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620, 630, 640, 650)과 지정된 거리 내로 근접하여 주행 중일 수 있다. 이 경우,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제3 차량(610)에 구비된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면, 영상에 기반하여 해당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1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주행 도로의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이상이므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서비스 장치(110_n)로부터 수신된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제3 차량(610) 및 제1 내지 제4 주변 차량(620, 630, 640, 650)의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확인된 속도 값 중 최고 속도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예를 들어, 최고 속도가 제1 임계속도(예: 약 35km/h) 미만이면,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정체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확인된 속도 중 오름차순으로 지정된 개수와 내림차순으로 지정된 개수를 제외한 속도 값을 이용하여(예컨대, 해당 제외한 속도 값의 평균치, 최대치 또는 최저치)를 이용하여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각 서비스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각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차선 개수 및 상기 각 주행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 대수를 확인하고, 차량 대수를 상기 차선 개수로 제산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상기 혼잡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각 주행 도로를 원활 상태로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는 도로상에 차량이 많지 않을 때에는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에 기반하여 주행 도로의 혼잡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도로에 위치한 서비스 장치의 수가 적을 경우에도 비교적 정확하게 도로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생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000)(예: 도 3의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은, 버스(107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1010)(예: 도 3의 프로세서(125)), 메모리(1030)(예: 도 3의 메모리(123)),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60) 및 저장 장치(10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또한 네트워크에 결합된 통신 장치(1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1030) 또는 저장 장치(104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30) 및 저장 장치(10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교통 정보 생성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3의 메모리(123))(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교통 정보 생성 장치(12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5)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서비스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0)

  1. 교통 정보 생성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각기 수신하고,
    상기 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차량 대수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확인된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각 주행 도로가 원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에 기반하여 상기 확인된 혼잡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확인된 차량 위치 변화에 따라 차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 속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에 대해 원활 상태, 서행 상태 또는 정체 상태로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교통 정보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차선 개수 및 상기 각 주행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 대수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대수를 상기 차선 개수로 제산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는 것인 교통 정보 생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는, 복수의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혼잡도가 상기 지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확인된 차량 속도 중 상하위의 지정된 개수의 속도를 제외한 차량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는 것인 교통 정보 생성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와 및 주변 차량의 속도를 각기 확인하고,
    상기 각기 확인된 속도 중 최고 속도를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인 교통 정보 생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의 현 위치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가 상기 영상으로부터 확인한 주변 차량에 대해 감지된 상기 주변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의 위치 변화 및 주변 차량과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의 위치 변화 및 주변 차량과의 거리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주변 차량의 속도를 각각 결정하는 교통 정보 생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주행 도로가 IC 진입 구간을 포함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주행 차선이 IC 진입 차선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주행 차선이 IC 진입 차선이면, 상기 IC 진입 차선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의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인 교통 정보 생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각 주행 도로를 주행 중이거나, 주행할 예정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상기 각 주행 도로의 교통 정보를 공유하는 것인 교통 정보 생성 장치.
  9. 프로세서에 의한 교통 정보 생성 방법으로서,
    통신 회로를 통해 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주행 도로에 대한 영상을 각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차량 대수에 기반하여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혼잡도에 기반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혼잡도가 지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각 주행 도로가 원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혼잡도가 상기 지정된 임계치 이상인 도로에 대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확인된 차량 위치 변화에 따라 차량 속도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속도를 더 고려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에 대해 원활 상태, 서행 상태 또는 정체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생성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각 주행 도로의 차선 개수 및 상기 각 주행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 대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차량 대수를 상기 차선 개수로 제산하여 상기 각 주행 도로의 혼잡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생성 방법.

KR1020230089417A 2023-07-10 2023-07-10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66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417A KR102662365B1 (ko) 2023-07-10 2023-07-10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417A KR102662365B1 (ko) 2023-07-10 2023-07-10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65B1 true KR102662365B1 (ko) 2024-05-03

Family

ID=9107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417A KR102662365B1 (ko) 2023-07-10 2023-07-10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049A (ko) * 2008-02-20 2009-08-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6270A (ko) * 2016-09-02 2018-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3957A (ko) * 2019-04-23 2020-11-02 (주)닥터소프트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04317A (ko) * 2019-07-04 2021-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방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1738A (ko) * 2020-10-19 2022-04-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도로의 혼잡도를 계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도로 혼잡도 계산 장치
KR20220126844A (ko) * 2021-03-09 2022-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049A (ko) * 2008-02-20 2009-08-2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6270A (ko) * 2016-09-02 2018-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3957A (ko) * 2019-04-23 2020-11-02 (주)닥터소프트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04317A (ko) * 2019-07-04 2021-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방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1738A (ko) * 2020-10-19 2022-04-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도로의 혼잡도를 계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도로 혼잡도 계산 장치
KR20220126844A (ko) * 2021-03-09 2022-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9997B (zh) 自主车辆的路径规划装置及方法
EP336653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U26826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щи при вождении
US11205342B2 (en) Traffi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3282228A1 (en) Dynamic-map constructing method, dynamic-map constructing system, and moving terminal
US10809729B2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method,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6654923B2 (ja) 地図情報出力装置
US11345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providing autonomous movement of stationary vehicles
JP5565303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11636756B2 (en) Multi-modal traffic detection
JP6304393B2 (ja) 走行経路演算装置
CN114248801A (zh) 用于控制车辆的自动驾驶的装置和方法
WO2020164090A1 (en) Trajectory prediction for driving strategy
JP7276067B2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62365B1 (ko) 교통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087046B1 (ko) 자율 주행 차량에서 ldm을 이용하여 차선 기반으로 사각 지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6819B1 (ko) 경로 안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53275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wrong-way driver detection
CN111667719B (zh) 用于控制自动驾驶车辆的速度的设备和方法及存储介质
KR102185743B1 (ko)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의 실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34073B2 (en) Autonomous driving device
EP3640679B1 (en) A method for assigning ego vehicle to a lane
CN115039158A (zh) 通信装置、车辆、程序和通信方法
JPWO2019186716A1 (ja) 車載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20388506A1 (en) Control apparatus, movable objec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