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112A -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 Google Patents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112A
KR20210088112A KR1020200001239A KR20200001239A KR20210088112A KR 20210088112 A KR20210088112 A KR 20210088112A KR 1020200001239 A KR1020200001239 A KR 1020200001239A KR 20200001239 A KR20200001239 A KR 20200001239A KR 20210088112 A KR20210088112 A KR 2021008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inge shaft
guide member
fixing bel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이봉희
김진윤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0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112A/ko
Priority to PCT/US2020/067426 priority patent/WO2021141810A1/en
Priority to US17/789,041 priority patent/US11947289B2/en
Publication of KR2021008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과, 정착 롤러 및 상기 정착 롤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정착 벨트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와, 상기 정착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다수의 조절 나사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조절 나사의 체결 방향에 따라 상기 정착 벨트와의 갭을 조절하는 잼 방지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JAM PREVENTION OF PRINTING MEDIA USING GAP ADJUSTING}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한 복사기, 프린터 장치 또는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전사된 미 정착 토너를 가열 및 가압을 통해 인쇄매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인쇄매체는 정착 장치의 정착 벨트와 이 정착 벨트에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가압 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정착 닙(Fixing Nip)을 통과하면서 미 정착 화상이 가열 및 가압됨에 따라 인쇄매체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고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가동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가동 장치와 정작 벨트 사이의 갭이 서로 다른 상태로 조절된 예들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가동 장치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가 내장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P가 표시하는 굵은 실선은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급지 장치(10)는 용지와 같은 인쇄매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쇄매체는 다수의 이송 롤러(11)에 의해 진행 경로(P)를 따라 이송된다. 대전 장치(20)는 감광체(30)를 소정 전위로 대전 시킬 수 있다. 광 주사 장치(40)는 감광체(30)로 광을 주사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감광체(30)에 형성할 수 있다.
현상 장치(50)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30)로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현상 장치(50)는 토너 수용부(51)와, 토너 공급 롤러(52)와, 현상 롤러(53)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수용부(51)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다. 토너 공급 롤러(52)는 토너 수용부(51)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 롤러(53)로 공급하며, 이에 따라 현상 롤러(53)에는 토너 층이 형성된다. 규제 블레이드(미도시)는 이런 토너 층을 균일하게 만든다. 현상 롤러(53) 위에 있는 토너 층은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여 토너 화상이 현상된다.
전사 장치(60)는 감광체(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 시킬 수 있다. 클리닝 장치(70)는 전사 과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감광체(30)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할 수 있다.
정착 장치(90)는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킬 수 있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는 다수의 이송 롤러(11)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 외부로 배출되며, 그에 의해 인쇄 과정이 완료된다.
정착 장치(90)는 가압 롤러(91)와 가열 장치(9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롤러(91)와 가열 장치(93)가 접촉하는 구간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정착 닙(Fixing Nip)(N)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착 닙(N)은 인쇄매체의 폭과 같거나 그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사 장치(60)를 지나온 인쇄매체 위에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미 정착된 토너가 존재하는데, 인쇄매체가 정착 닙(N)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이 인쇄매체에 가해짐으로써 인쇄매체 위에 있는 미 정착된 토너가 정착될 수 있다.
가압 롤러(91)는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롤러(91)는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 롤러(91)가 가열 장치(93)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열 장치(93)는 화상형성장치(1)에 있는 미 도시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가압 롤러(91) 대신 벨트 타입으로 형성된 가압 벨트가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압력을 가할 수만 있다면, 가압 롤러(91)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가열 장치(93)는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가열 장치(93)는 유연성을 갖는 폐루프 형태의 정착 벨트(95)와, 정착 벨트(95)의 내측면과 접촉한 닙 형성 프레임(94)과, 닙 형성 프레임(94)을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96)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벨트(95)는 인쇄매체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착 벨트(95)는 무장력으로 닙 형성 프레임(94)에 걸쳐져 있다. 가압 롤러(91)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 롤러(91)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정착 벨트(95)가 회전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전사 장치(60)를 지나온 인쇄매체가 정착 닙(N)을 통과할 수 있다.
가열 장치(93)에 인접하게 배치된 잼 방지 장치(100)는 일부가 정착 벨트(95)와의 갭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닙(N)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정착 벨트(95)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정착 벨트(95)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정착 벨트(95)와 함께 이송되는 랩 잼(Warp Jam)을 방지한다.
또한, 정착 닙(N)을 통과한 인쇄매체의 선단이 정착 벨트(95)와 분리되지 못한 채 잼 방지 장치(100)와 정착 벨트(95) 사이에서 주름 형태로 접히면서 뭉쳐지는 잼이 발생한 경우,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길 때 잼 방지 장치(100)는 정착 벨트(95)와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인쇄매체의 주름 형태로 뭉쳐진 부분이 잼 방지 장치(100)와 정착 벨트(95) 사이를 빠져 나갈 때 인쇄매체의 뭉쳐진 부분에 의해 정착 벨트(95)가 눌려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잼 방지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고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가동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잼 방지 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일부 구조물에 고정되어 가열 장치(9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110)과, 고정 프레임(110)에 가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가동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가열 장치(9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열 장치(93)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체결 나사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일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프레임(110)은 다수의 체결 나사가 각각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111a, 111b, 111c)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다수의 체결 나사 외에 스냅 핏 결합 방식 등 다른 체결 구조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 내부의 일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일측에 가동 장치(130)가 배치되는 홈 형태의 장착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2)는 고정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프레임(110)의 길이 보다 작은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12)는 양측에 후술하는 힌지축(133)의 양단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113a, 113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110)은 제1 슬라이딩 홈(113a)의 일측에 장착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고정 돌기(115a)와 제1 체결 구멍(114a)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115a)는 힌지축(133)을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부재(151)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체결 구멍(114a)은 힌지축(133)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제1 조절 나사(141a)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축(133)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격되는 거리는 가동 장치(130)의 일부(즉,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제2 슬라이딩 홈(113b)의 일측에 장착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고정 돌기(115b)와 제2 체결 구멍(114b)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정 돌기(115b)는 장착부(112)를 기준으로 제1 고정 돌기(115a)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체결 구멍(114b)은 장착부(112)를 기준으로 제1 체결 구멍(114a)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돌기(115b)는 힌지축(133)을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른 제1 탄성 부재(152)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체결 구멍(114b)은 힌지축(133)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제2 조절 나사(141b)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축(133)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격되는 거리는 가동 장치(130)의 일부(즉,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제2 슬라이딩 홈(113b)에 인접한 장착부(112)의 일부에 제2 탄성 부재(153)가 지지되는 지지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53)는 가동 장치(130)의 일부(즉,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를 정착 벨트(95) 쪽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동 장치(130)는 고정 프레임(110)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131)와, 가이드 부재(131)를 고정 프레임(110)에 가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축(133)과, 힌지축(133)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힌지축(133)과 고정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 부재(134a, 134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1)는 장착부(112)에 배치되며 대략 장착부(112)의 길이 대응하거나 장착부(112)의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1)는 단부(131a)가 정착 벨트(95)와 소정의 갭을 유지하도록 정착 벨트(9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6) 사이의 갭은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체결 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풀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잼 방지 장치(100)는 제작 시에 가공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잼 방지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 내에 설치할 때 잼 방지 장치(100)와 그 주변에 배치된 각종 구조물 간에도 설치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정착 벨트(95)는 플렉서블 재질의 얇은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여러가지 변수(가압력 공차, 가압 롤러의 경도, 기타 부품의 공차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정착 벨트의 프로파일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잼 방지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통해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6) 사이의 갭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정착 닙(N)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정착 벨트(95)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랩 잼(Warp Jam)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1)는 제2 탄성 부재(153)의 일부가 거치되는 걸림홈(131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31b)은 가이드 부재(131)가 장착부(112)에 배치될 때 지지홈(110a)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31)는 단부(131a)의 상측으로 다수의 아이들 롤러(160a, 160b)가 가이드 부재(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아이들 롤러(160a, 160b)는 정착 닙(N)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잼 방지 장치(100)에 인접한 가이드 롤러(11)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를 안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축(133)은 가이드 부재(131)의 후부에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연결돌기(132b, 132c)에 각각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돌기(132b, 132c)는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에 대하여 대략 대각선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연결돌기(132b, 132c)의 위치는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가 제2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정착 벨트(95)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고려한 위치일 수 있다.
힌지축(133)은 일단(133a)이 제1 지지 부재(134a)의 결합홈(136a)에 삽입되고 타단(133b)이 제2 지지 부재(134b)의 결합홈(136b)에 삽입된다. 이 경우 힌지축(133)의 양단(133a, 133b)은 일주면의 일부를 각각 커팅하여 평면을 형성하여 힌지축(133)의 양단(133a, 133b)의 단면이 비 원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 경우 각 결합홈(136a, 136b)은 힌지축(133)의 양단(133a, 133b)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힌지축(133)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에 삽입되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지 부재(134a)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1 체결 구멍(114a)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조절 나사(141a)에 의해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134a)는 제1 조절 나사(141a)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13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34a)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1 체결 구멍(114a)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10b)내에 배치되어 제1 조절 나사(134a)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134a)는 제1 조절 나사(141a)의 축의 원주 방향으로는 제1 지지 부재(134a)의 외곽이 제1 가이드 홈(110b)의 내면에 간섭됨에 따라 제1 조절 나사(134a)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34b)는 전술한 제1 지지 부재(134a)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지지 부재(134a)와 같은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지지 부재(134b)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2 체결 구멍(114b)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조절 나사(141b)에 의해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 부재(134b)는 제2 조절 나사(141b)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135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34b)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2 체결 구멍(114b)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2 가이드 홈(110c)내에 배치되어 제2 조절 나사(134b)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 부재(134b)는 제2 조절 나사(134b)의 축의 원주 방향으로는 제2 지지 부재(134b)의 외곽이 제2 가이드 홈(110c)의 내면에 간섭됨에 따라 제2 조절 나사(141b)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조절 나사(141a)는 제1 지지 부재(134a)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와셔(143a)를 결합할 수 있다. 제2 조절 나사(141b)는 제1 조절 나사(141a)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 부재(134b)와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제2 와셔(143b)를 결합할 수 있다.
힌지축(133)이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151, 152)에 의해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가 각각 체결 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는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의 축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하여 고정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 체결 구멍(114a, 114b)과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 체결 구멍(114a, 114b)과 인접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 체결 구멍(114a, 114b)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힌지축(133)을 통해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가이드 부재(131)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134a, 134b)와 함께 이동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은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51)은 일단이 고정 프레임(110)의 제1 고정 돌기(115a)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힌지축(133)의 일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다른 제1 탄성 부재(152)는 고정 프레임(110)의 제2 고정 돌기(115b)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힌지축(133)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힌지축(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 부재(131)는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151, 152)에 의해 고정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151, 152)는 각각 힌지축(133)의 중앙 이점으로부터 힌지축(133)의 양단을 향해 동일하거나 대략 유사한 지점에 위치하여 힌지축(133)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151, 152)에 의해 가이드 부재(131)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가이드 부재(131)의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대략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1)는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체결 방향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을 조절하는 경우, 항상 가이드 부재(131)에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조절된 후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탄성 부재(151, 152)를 한 쌍을 구비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한 쌍 이상의 제1 탄성 부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힌지축(133)의 일측에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를 배치하고, 힌지축(133)의 타측에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힌지축(133)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부재의 개수는 힌지축(133)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151, 152)는 직선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53)는 힌지축(133)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 프레임(110)과 가이드 부재(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53)는 일측(153a)이 가이드 부재(131)의 걸림홈(131b)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고 타측(153b)이 고정 프레임(110)의 지지홈(110a)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1)는 제2 탄성 부재(153)에 의해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는 제2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정착 벨트(95)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31)는 제2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후부의 양측 하단(131c, 131d)이 장착부(112)의 양측 하단에 돌출된 한 쌍의 안착돌기(117a, 117b)에 각각 간섭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는 1개의 제2 탄성 부재(153)를 힌지축(133)의 타단(133b)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제2 탄성 부재를 힌지축(133)의 일단(133a)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2 탄성 부재(153)는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100)의 갭 조절을 위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가동 장치와 정작 벨트 사이의 갭이 서로 다른 상태로 조절된 예들을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정착 장치(90)를 이루는 부품을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가공 공차, 정착 장치(90)를 화상형성장치(1) 내부에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 잼 방지 장치(100)를 정착 장치(90)의 주변에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 등에 의해, 가이드 부재(131)의 선단(131a)과 정착 장치(90)의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이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는 경우, 인쇄매체(P)가 정착 닙(N)을 통과하면서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 닙(N)을 통과한 후 정착 벨트(95)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로 정착 벨트(95)의 회전 방향으로 정착 벨트(95)와 함께 이동하는 랩 잼(wrap jam)이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은 예를 들면, 비전 지그(Vision Jig)와 같은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전 지그는 레이저 빔을 피검사체에 조사하여 피검사체의 자세나 복수의 피검사체 간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비전검사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100)는 측정된 갭 정보를 확인하면서 가동 장치(130)의 위치를 변경하여 의도한 위치에서 인쇄매체(P)가 정착 벨트(9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을 좁히는 경우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과 같이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가 정착 벨트(95)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G1)이 점차 좁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을 넓히는 경우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이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가 정착 벨트(9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G2)이 점차 넓어지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잼 방지 장치(100)는 제1 및 제2 조절 나사(141a, 141b)를 체결 방향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적정한 수분의 갭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가이드 부재(131)의 단부(131a)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 조절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차를 극복하고 랩 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잼 방지 장치의 가동 장치가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한편, 전술한 랩 잼 외에 인쇄매체가 가이드 부재(131)와 정착 벨트(95) 사이로 인입된 후 인쇄매체의 선단이 정체되면서 주름 형태로 접혀서 뭉쳐지는 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잼이 발생한 경우,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인쇄매체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쇄매체를 잡아 당기면, 인쇄매체의 주름 형태로 뭉쳐진 부분이 가이드 부재(131)와 정착 벨트(95) 사이로 강제로 인출된다.
이때, 제2 탄성 부재(1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131)는 인쇄매체의 주름 형태로 뭉쳐진 부분에 의해 도 8과 같이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부재(131)와 정착 벨트(95) 사이의 갭을 넓혀주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매체의 주름 형태로 뭉쳐진 부분은 가이드 부재(131)의 회전에 따라 넓혀진 갭을 통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갭을 통해 인출되는 인쇄매체의 주름 형태로 뭉쳐진 부분이 정착 벨트(95)에 가하는 압력은 현저히 저감되므로 정착 벨트(95)가 상기 압력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화상형성장치
100: 잼 방지 장치
110: 고정 프레임
130: 가동 장치
133: 힌지축
134a, 134b: 제1 및 제2 지지 부재
141a, 141b: 제1 및 제2 조절 나사
151, 152: 제1 탄성 부재
153: 제2 탄성 부재

Claims (15)

  1. 정착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정착 장치의 정착 벨트와의 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된 가동 장치;를 포함하는 잼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장치는 다수의 조절 나사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조절 나사의 체결 방향에 따라 상기 정착 벨트와의 갭이 조절되는 잼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잼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는 상기 다수의 조절 나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잼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잼 방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잼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잼 방지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잼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정착 벨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잼 방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잼 방지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잼 방지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면에 상기 정착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잼 방지 장치.
  1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
    정착 롤러 및 상기 정착 롤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정착 벨트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및
    상기 정착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다수의 조절 나사를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조절 나사의 체결 방향에 따라 상기 정착 벨트와의 갭을 조절하는 잼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잼 방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힌지축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정착 벨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001239A 2020-01-06 2020-01-06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KR20210088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39A KR20210088112A (ko) 2020-01-06 2020-01-06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PCT/US2020/067426 WO2021141810A1 (en) 2020-01-06 2020-12-30 Jam prevention of printing media using gap adjusting
US17/789,041 US11947289B2 (en) 2020-01-06 2020-12-30 Jam prevention of printing media using gap adju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39A KR20210088112A (ko) 2020-01-06 2020-01-06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12A true KR20210088112A (ko) 2021-07-14

Family

ID=7678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39A KR20210088112A (ko) 2020-01-06 2020-01-06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47289B2 (ko)
KR (1) KR20210088112A (ko)
WO (1) WO20211418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731Y1 (ko) 1996-02-13 1999-05-15 김광호 잉크젯 프린터의 잼용지 제거장치
US5623720A (en) 1996-09-30 1997-04-2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er bar rotation
JP2003323068A (ja) 2002-04-30 2003-11-14 Canon Inc シート巻き付き検出手段および定着装置
EP1537506A4 (en) 2002-09-12 2007-02-07 Diebol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APER ENCOUNTERING IN AN AUTOMATIC BANKING WINDOW
EP1733892B8 (en) * 2004-11-18 2011-09-21 Olympus Corporation Jam processing apparatus for printer and method thereof
US20060220294A1 (en) 2005-03-21 2006-10-05 Pitney Bowes Incorporated Jam release mechanism for a mailing machine
KR20070041997A (ko)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및 랩 잼 제거 방법
EP1785781B1 (en) 2005-11-14 2018-11-28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ixing apparatus
KR20070067748A (ko) 2005-12-23 200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유닛
JP5262073B2 (ja) 2007-11-13 2013-08-1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49408B2 (ja) * 2011-03-01 2016-01-2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分離装置、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44328A1 (en) 2023-02-09
WO2021141810A1 (en) 2021-07-15
US11947289B2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034B2 (en) Blade engagement apparatus for image forming machines
US6453128B2 (en) Paper separating apparatus of printer
US10216128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69768B2 (en) Cleaning blade parameter adjustment system
US9069326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KR20210088112A (ko) 갭 조절을 이용한 인쇄매체의 잼 방지
US20110158691A1 (en) Pivoting End Cap for a Fuser Module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75839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unit
US20100086332A1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Downsizing Arrangement of Fixing Device
JP4770355B2 (ja) 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78998B2 (ja) 定着装置
JP2022048440A (ja) 定着装置及び該定着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80041379A (ko) 정착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674855B2 (ja) 媒体供給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91505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pposing rotating members and belt
JP4084517B2 (ja) 画像形成装置
US90259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image
JP7456872B2 (ja) 用紙分離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4106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41818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256809B2 (ja) ローラ装置、作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KR200149602Y1 (ko) 레이져 빔 프린터의 용지사행 보정구조
JP2004205558A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075763A (ko) 복사기 정착기용 핑거 장착 구조물
JPH10240061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定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