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093A - 배관용 모듈형 댐퍼 - Google Patents

배관용 모듈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093A
KR20210088093A KR1020200001178A KR20200001178A KR20210088093A KR 20210088093 A KR20210088093 A KR 20210088093A KR 1020200001178 A KR1020200001178 A KR 1020200001178A KR 20200001178 A KR20200001178 A KR 20200001178A KR 20210088093 A KR20210088093 A KR 2021008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ipe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093A/ko
Publication of KR2021008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모듈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제 1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내주면이 배관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1댐퍼 및 일측에 제 2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2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2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모듈형 댐퍼{Module Type Damper For A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모듈형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매 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이송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 상태로 감압하는 모세관으로 구성되는 실외기와, 모세관에서 이송된 저온의 액체 및 기체 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실내의 주변 열을 빼앗아 실내 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증발된 냉매 가스를 다시 압축기로 이송하도록 하는 증발기로 구성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부로 구성된다.
가정용 및 산업용 에어컨의 경우 동배관을 이용하여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냉매가 순환하는 사이클을 구성한다.
압축기와 연결된 배관은 압축기의 운전 중 진동이 직접 전달되어 배관자체 진동이 크게 발생할 경우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관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관에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전체 배관 중 특정 위치에 댐퍼를 부가함으로써 배관의 고유진동수를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켜 압축기 운전주파수 영역을 회피함으로써 배관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에 배관용 댐퍼는 배관과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용 클립 또는 케이블 타이가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용 댐퍼는 배관의 고유 진동수에 따라 동일 직경에 무게가 상이한 여러 개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고정용 클립 또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지 않고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대상이 되는 배관의 고유 진동수에 따라 복수 개의 댐퍼를 결합 및 분리하여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별도의 고정용 클립 또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지 않고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일측에 제 1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내주면이 배관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1댐퍼 및 일측에 제 2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2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2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개구부와 상기 제 2개구부는 각각 상기 배관의 중심을 기준하여 동일한 원호각으로 형성되는 방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배관의 반경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기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결합 대상이 되는 배관의 고유 진동수에 따라 복수 개의 댐퍼를 결합 및 분리하여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일측에 제 3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3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3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2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3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관의 직경은 25.4mm의 1/8배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댐퍼는 내경이 상기 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경은 내경보다 6.35mm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댐퍼는 내경이 상기 제 1댐퍼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경은 내경보다 6.35mm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와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반구 형상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기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기준하여 적어도 2쌍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댐퍼와 상기 제 2댐퍼는 각각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별도의 고정용 클립 또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지 않고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함으로써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결합 대상이 되는 배관의 고유 진동수에 따라 복수 개의 댐퍼를 결합 및 분리하여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댐퍼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 2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 4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의 사시도와 상면도이다.
또한, 도 4와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 2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제 1댐퍼(100)와 제 2댐퍼(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댐퍼(100)는 일측에 제 1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홈(120)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돌기(130)를 포함하여 상기 내주면이 배관(P)을 감싸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 2댐퍼(200)는 일측에 제 2개구부(210)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결합돌기(130)가 삽입되는 제 2결합홈(220)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결합돌기(230)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댐퍼(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개구부(110)와 상기 제 2개구부(210)는 각각 상기 배관(P)의 중심을 기준하여 동일한 원호각으로 형성되는 방사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고무를 포함한 합성 수질 재질로 사출 성형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댐퍼(1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개구부(110)를 벌려 상기 배관(P)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댐퍼(100)가 상기 배관(P)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결합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댐퍼(100)의 내경은 상기 배관(P)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댐퍼(1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P)은 동을 포함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마찰에 의하여 상기 제 1댐퍼(100)가 상기 배관(P)에서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별도의 고정용 클립 또는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지 않고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함으로써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댐퍼(2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2개구부(21)를 벌려 상기 제 1댐퍼(100)를 감싸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결합홈(120)과 상기 제 1결합돌기(130) 및 상기 제 2결합홈(220)과 상기 제 2결합돌기(230)는 각각 상기 배관(P)의 반경 방향으로 원호 형상의 단면으로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홈(120)과 상기 제 1결합돌기(130) 및 상기 제 2결합홈(220)과 상기 제 2결합돌기(230)는 각각 상기 파이프(P)의 반경 방향을 기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상기 제 1댐퍼(100)가 상기 배관(P)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 1댐퍼(100)의 중량이 상시 배관(P)의 진동을 저감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댐퍼(200)를 상기 제 1댐퍼(100)에 체결함으로써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과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 4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상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일측에 제 3개구부(310)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결합돌기(230)가 삽입되는 제 3결합홈(320)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3결합돌기(330)를 포함하여 상기 제 2댐퍼(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3댐퍼(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일측에 제 4개구부(410)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3결합돌기(330)가 삽입되는 제 4결합홈(420)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4결합돌기(430)를 포함하여 상기 제 3댐퍼(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4댐퍼(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4개 이상의 댐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결합 대상이 되는 배관의 고유 진동수에 따라 복수 개의 댐퍼를 결합 및 분리하여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댐퍼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상기 배관(P)의 직경은 25.4mm의 1/8배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댐퍼(100)는 내경이 상기 배관(P)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경은 내경보다 6.35mm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댐퍼(100)는 내경이 상기 제 1댐퍼(1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경은 내경보다 6.35mm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P)의 직경이 6.35mm인 경우, 상기 제 1댐퍼(100)는 내경이 6.35mm이고, 외경이 12.7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댐퍼(200)는 내경이 12.7mm이고, 외경이 19.05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댐퍼(300)는 내경이 19.05mm이고, 외경이 25.4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댐퍼(400)는 내경이 25.4mm이고, 외경이 31.75mm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관(P)의 직경이 9.52~9.525mm인 경우, 상기 제 1댐퍼(100)는 내경이 9.52~9.525mm이고, 외경이 15.875~15.88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댐퍼(200)는 내경이 15.88~15.875mm이고, 외경이 22.2~22.225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댐퍼(300)는 내경이 22.2~22.225mm이고, 외경이 28.0~28.575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댐퍼(400)는 내경이 28~28.575mm이고, 외경이 34.35~34.925mm로 형성된다.
한편, 도 8과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에서 상기 제 1결합홈(120)과 상기 제 1결합돌기(130)와 상기 제 2결합홈(220)과 상기 제 2결합돌기(230)는 각각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댐퍼(200)가 상기 제 1댐퍼(100)와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결합홈(120)과 상기 제 1결합돌기(130)와 상기 제 2결합홈(220)과 상기 제 2결합돌기(230)은 각각 상기 파이프(P)의 반경 방향을 기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결합홈(120)과 상기 제 1결합돌기(130)와 상기 제 2결합홈(220)과 상기 제 2결합돌기(230)은 각각 상기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기준하여 적어도 2쌍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모듈형 댐퍼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구형의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댐퍼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P. 파이프
100. 제 1댐퍼
110. 제 1개구부
120. 제 1결합홈
130. 제 1결합돌기
200. 제 2댐퍼
210. 제 2개구부
220. 제 2결합홈
230. 제 2결합돌기
300. 제 3댐퍼
310. 제 3개구부
320. 제 3결합홈
330. 제 3결합돌기
400. 제 4댐퍼
410. 제 4개구부
420. 제 4결합홈
430. 제 4결합돌기

Claims (10)

  1. 일측에 제 1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내주면이 배관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1댐퍼;
    일측에 제 2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2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2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2댐퍼;를 포함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구부와 상기 제 2개구부는 각각 상기 배관의 중심을 기준하여 동일한 원호각으로 형성되는 방사형인 배관용 모듈형 댐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배관의 반경 방향의 단면이 원호 형상이며,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기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5.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제 3개구부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 3결합홈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3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 2댐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환형의 제 3댐퍼;를 포함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직경은 25.4mm의 1/8배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댐퍼는 내경이 상기 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경은 내경보다 6.35mm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댐퍼는 내경이 상기 제 1댐퍼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경은 내경보다 6.35mm더 크게 형성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반구 형상인 배관용 모듈형 댐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반경 방향을 기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1결합돌기 및 상기 제 2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기준하여 적어도 2쌍 이상이 형성되는 배관용 모듈형 댐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댐퍼와 상기 제 2댐퍼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인 배관용 모듈형 댐퍼.
KR1020200001178A 2020-01-06 2020-01-06 배관용 모듈형 댐퍼 KR20210088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78A KR20210088093A (ko) 2020-01-06 2020-01-06 배관용 모듈형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78A KR20210088093A (ko) 2020-01-06 2020-01-06 배관용 모듈형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93A true KR20210088093A (ko) 2021-07-14

Family

ID=7686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78A KR20210088093A (ko) 2020-01-06 2020-01-06 배관용 모듈형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8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1669B (zh) 封闭用弹性体、空调装置及封闭方法
US8899392B2 (en) Damper for decreasing a pipe vibration
KR200495690Y1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전자 팽창 밸브
CN207555045U (zh) 一种管路转接装置及汽车空调系统
KR20050086273A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US20110214445A1 (en) Pipe connection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210088093A (ko) 배관용 모듈형 댐퍼
CN215260656U (zh) 节流管路减振固定件、制冷系统及制冷电器
US20190226732A1 (en) Noise reduction device of refrigeration equipment
US20070039346A1 (en) Air-conditioning outdoor unit, air-conditioner, and compressor unit
US20130199237A1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05258318A (zh) 一种降噪除异音装置、空调器及空调器制冷剂的流动方法
EP3306161B1 (en) Flexible tube
CN204478323U (zh) 室外机及空调器
KR200158626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구조
KR100677887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CN104329833A (zh) 一种用于冰箱的板管式蒸发器及冰箱
EP2918952A1 (en) Refrigerant circuit and refrigerator using such circuit
KR20090001455U (ko) 진동저감장치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100714292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20050036177A (ko) 저진동 에어컨 배관 구조
CN215260738U (zh) 制冷系统及具有该制冷系统的制冷电器
JP2013148284A (ja) 絞り装置およびその絞り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10017545B (zh) 空气调节器
KR102046632B1 (ko) 공기조화기의 분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