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828A -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828A
KR20210087828A KR1020200001028A KR20200001028A KR20210087828A KR 20210087828 A KR20210087828 A KR 20210087828A KR 1020200001028 A KR1020200001028 A KR 1020200001028A KR 20200001028 A KR20200001028 A KR 20200001028A KR 20210087828 A KR20210087828 A KR 2021008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vings
card
piggy bank
user termina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324B1 (ko
Inventor
고한솔
Original Assignee
고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솔 filed Critical 고한솔
Priority to KR102020000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3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연동되고, 저축금액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거나 카드를 리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달하는 스마트 저금통,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를 경유하여 스마트 저금통을 등록하는 등록부, 등록된 스마트 저금통에서 통신 또는 리딩할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축금액이 인출될 인출계좌 및 저축금액이 입금될 저축계좌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계좌관리부, 스마트 저금통에 저축금액이 입력된 후, 사용자 단말과 통신 또는 카드가 리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인증키를 추출하여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로 이체를 요청하는 요청부,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에서 이체가 승인된 경우, 이체결과를 스마트 저금통에 누적시켜 업데이트하는 저축부를 포함하는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BASED SAVING SERVICE USING SMART MONEY BOX}
본 발명은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단말 또는 카드를 스마트 저금통에 탭하는 것만으로도 계좌이체로 저축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미국 아마존닷컴에서 출시한 스마트 돼지저금통(Porkfolio)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첨단 트렌드가 담겨 있다는 게 일반적인 저금통과의 차이점이다. 돼지저금통의 동전 투입구에는 동전의 두께와 지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달려 있고, 내부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장착돼 있다. 동전을 넣는 순간 얼마짜리 동전인지를 자동으로 인식한 뒤,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지금까지 저축한 총 금액을 알려준다. 스마트 돼지저금통은 최근 몇 년간 새로운 정보기술(IT) 트렌드로 떠오른 사물인터넷이 실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개념에서 시작한 사물인터넷은 실제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건에 센서를 넣은 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연결해 센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물이 지능을 갖도록 만들고 있다.
이때, 스마트 저금통 자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7910호(2019년07월04일 공개)에는, 현금통화 또는 디지털통화를 감지하여 저축액 정보를 생성하고 스마트 저금통으로부터 저축액정보를 제공받아 목표저축액을 저장하고, 저축액정보의 목표저축액 달성여부에 따라 스마트 저금통과 연동된 연동계좌로 목표저축액에 해당하는 금액의 입금방법을 안내하고, 스마트 저금통과 연동된 연동계좌의 목표저축액에 해당하는 금액의 입금 여부에 대한 입금확인정보를 관리단말에 제공하는 금융서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아마존의 스마트 저금통과 같이 오프라인에서 현금을 저축하고, 이를 식별하는 방법에 의해 저금을 해야하고, 결국 저축된 현금은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은행으로 직접 들고가서 저금을 해야한다는 점에서, 현금의 단위를 구분하는 자판기와 일반적인 돼지 저금통의 조합과 다를 바 없다. 한국의 신용카드 사용 수준이 전세계 최고를 달리고 있으며 현금의 사용이 거의 전무하게 된 요즘, 신용카드 사용과 같이 저축을 하는 스마트 저금통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스마트 저금통에 탭(Tap)하는 방식으로 저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저금통 자체에 직접 현금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인출계좌에서 저축계좌로 이체시키는 방식으로 현금사용률이 전세계 최저인 한국의 사정에 맞도록 구현하고, 사용자 단말이나 카드를 스마트 저금통에 연동되도록 IoT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저금통에 사용자 단말이나 카드를 대는 탭만으로도 저축이 가능함으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저축 뿐만 아니라 투자나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카드를 삽입 또는 슬라이딩시키거나 QR 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은 디폴트로, 직관적인 탭 만으로도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고, 명목화폐 뿐만 아니라 가상화폐, 암호화폐, 및 전자화폐의 저축이나 주식, 펀드, 선물, 및 옵션의 투자까지 직관적인 탭으로 가능한,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연동되고, 저축금액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거나 카드를 리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달하는 스마트 저금통,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를 경유하여 스마트 저금통을 등록하는 등록부, 등록된 스마트 저금통에서 통신 또는 리딩할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축금액이 인출될 인출계좌 및 저축금액이 입금될 저축계좌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계좌관리부, 스마트 저금통에 저축금액이 입력된 후, 사용자 단말과 통신 또는 카드가 리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인증키를 추출하여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로 이체를 요청하는 요청부,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에서 이체가 승인된 경우, 이체결과를 스마트 저금통에 누적시켜 업데이트하는 저축부를 포함하는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스마트 저금통에 탭(Tap)하는 방식으로 저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저금통 자체에 직접 현금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인출계좌에서 저축계좌로 이체시키는 방식으로 현금사용률이 전세계 최저인 한국의 사정에 맞도록 구현하고, 사용자 단말이나 카드를 스마트 저금통에 연동되도록 IoT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저금통에 사용자 단말이나 카드를 대는 탭만으로도 저축이 가능함으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저축 뿐만 아니라 투자나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카드를 삽입 또는 슬라이딩시키거나 QR 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을 디폴트로 함은 물론, 직관적인 탭 만으로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고, 명목화폐 뿐만 아니라 가상화폐, 암호화폐, 및 전자화폐의 저축이나 주식, 펀드, 선물, 및 옵션의 투자까지 직관적인 탭으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탭(Tap)으로 저축, 투자,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본적인 카드 슬라이드, IC칩 삽입, QR 코드 스캔을 포함한 기본적인 결제 수행 방법도 디폴트로 내장되어 저축, 투자,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직접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카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축, 투자, 및 결제를 위해 스마트 저금통(400)에 탭(Tap)이 되는 경우, 공개키 인증방식 또는 비밀키 인증방식으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저금통(400)을 AP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연결시키고,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하며, 그 결과를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함으로써 초기 세팅을 완료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포인트카드, 교통카드 등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IC 칩 카드를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저축을 위하여, 출금계좌인 인출계좌, 입금계좌인 저축계좌를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투자를 위하여 투자종목이나 리스트 또는 투자할 객체의 종류, 예를 들어, 선물, 옵션, 주식, 펀드 등을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가상화폐나 암호화폐 또는 전자화폐와 같이 명목화폐가 아닌 화폐가 저장된 지갑주소를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저축, 결제, 또는 투자금액을 설정한 후 탭을 함으로써 이체, 결제, 또는 투자를 승인하거나,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저축, 결제 또는 투자가 설정되고 금액이 설정된 경우에는 탭을 하는 것만으로도 저축, 결제, 또는 투자를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등록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출금계좌, 입금계좌, 전자지갑주소, 결제카드 등을 입력받아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IoT 기기나 AP를 통하여 연결되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연결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나, 투자 서버(미도시), 결제 서버(미도시), 가맹점 단말(미도시)과 연결되어 저축, 투자, 결제 등을 위한승인요청을 하는 서버일 수 있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 및 스마트 저금통(400)으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와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연결되는 IoT 기반 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가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경우, 저축, 투자, 또는 결제를 위한 이벤트를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고, AP와 같은 기기를 통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증키를 수신하고, 이를 인증하여 이체, 결제, 매수 등의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은행 서버(500)라고 지칭했지만, 저축, 결제, 투자 등의 선택항목에 따라 결제 서버, 투자 서버 등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저장부(320), 계좌관리부(330), 요청부(340), 저축부(350), 인증부(360), 결제지급부(370), 투자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로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저금통(400), 및 적어도 하나의 은행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를 경유하여 스마트 저금통(400)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는, IoT 기반의 스마트 저금통(400)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연결하는 AP, 와이파이, 모뎀 등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스마트 저금통(400) 자체에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면, 굳이 AP와 같은 중간 매체를 거치지 않아도 가능하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는, AP(Access Point) 기반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스마트 저금통(400)은, 인공지능 스피커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로 구비되는 경우, 이미 인공지능 스피커 자체가 와이파이나 모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채널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가능하며, STT(Speak to Text) 또는 TTS(Text to Speak)으로 음성인식이 가능하므로, 탭 이외에도 음성인식으로 저축, 투자, 결제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20)는, 등록된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통신 또는 리딩할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4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보유한 사용자는, 스마트 저금통(400)과 자신이 보유한 카드, 예를 들어, 교통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포인트카드 등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등록해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가상화폐를 보유하고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는 가상화폐 지갑주소를 더 입력받아 저장부(320)로 전송할 수 있고, 투자종목이 존재한다면 투자종목 리스트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저장부(320)는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 및 투자 애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Wakeup) 시켜 트래픽이나 로그를 읽어들이는 방법으로 자동로딩 및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제수단인 신용카드 등도, 이미 생성된 계정에 저장된 결제수단을 리딩 및 로딩하는 방법으로 자동입력할 수도 있다.
계좌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축금액이 인출될 인출계좌 및 저축금액이 입금될 저축계좌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4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계좌가 요구되는 이유는, 오프라인에서 직접 현금을 저금하는 저금통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를 탭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저금통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계좌의 돈을 다른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으로 저축이 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입금계좌인 저축계좌와, 출금계좌인 인출계좌가 요구된다. 물론, 오프라인에서 직접 돈을 저금하는 것과 같은 스마트 저금통(400)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 또한, 상술한 방법과 같이, 계좌관리부(330)는, 이미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 및 설치된 은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계좌정보를 읽어들여오고, 로딩한 계좌정보의 리스트와 잔액을 출력하여 사용자는 선택 및 지정만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도 있다.
요청부(340)는, 스마트 저금통(400)에 저축금액이 입력된 후,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또는 카드가 리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의 인증키를 추출하여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500)로 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저금통(400)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연동되고, 저축금액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거나 카드를 리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IoT 기반의 기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서로의 정보를 서로 뿐만 아니라, 누구나 다 엑세스 가능하다는 점이다. 여기서, 은행의 계좌이체나 결제와 같은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 IoT 기반 기기인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저장하고 있는 경우, 누구나 엑세스가 가능하여 해킹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증키를 이용하는데, 이는 후술할 인증부(360)에서 사용하는 공개키 또는 비공개키와 연관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 알고리즘은 크게 대칭키 기반 및 비대칭키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대칭키 기반은, 암호화할 때의 키와 복호화할 때의 키가 동일한 경우이고, 비대칭키 기반은, 암호화할 때와 복호화할 때의 키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전자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후자는 RSA(Rivest-Shamir-Adleman) 암호화가 대표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대칭키 기반, 즉 공개키 암호화를 이용하지만 대칭키 기반의 암호화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공개키 암호화에서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를 하되, 데이터를 잠글 수 있는 암호화만 가능하도록 하고, 개인키는 데이터를 열 수 있는 복호화만 가능하도록 하여, 공개키는 모두 공개가 되어도 되지만 개인키는 서버의 보안관리가 요구되는 키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증키로 암호화된 비밀번호나 인증서에 대하여, 개인키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국제 표준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RSA, ECC(타원곡선 암호)는 각각 소인수분해문제와 이산대수문제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것은, 위 두 수학적 난제가 풀리면 암호알고리즘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RSA의 공개키는 2048비트의 합성수인데, 이 합성수는 현재의 계산능력으로는 인수분해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인수분해를 풀어주는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준지수시간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충분히 큰 스케일의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현 국제표준 공개키 암호는 모두 안전하지 않게 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자내성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QC(Post-Quantum Public-Key Cryptography)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해쉬 함수 기반, 격자 기반, 부호 기반,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중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Multivariate quadratic equation cryptography)는, 다변수 이차식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해를 구하는 문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문제는 MQ-문제라고 부르며, NP-hard, NP-complete임이 증명되어 있다.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의 공개키가 유한체에서 정의되는 다변수 이차식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정의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큰 키 길이가 단점이지만, F31, F28과 같은 작은 크기의 유한체를 사용함으로써 속도가 빨라 정품인증에 적합하다. 이때,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는, 블록암호 설계에 주로 이용이 되는 ASA(Affine- Substitute(Quadratic)-Affine) 구조를 공개키 암호에 적용함으로써, 공개키 암호와 대칭키 암호의 속도 차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저축부(350)는,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500)에서 이체가 승인된 경우, 이체결과를 스마트 저금통(400)에 누적시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저금통(400)에 누적된 저축금액은 27만원이고,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1000원의 입금이 요청되었고, 사용자 단말(100)이나 카드가 스마트 저금통(400)에 탭(Tap)되는 경우, 저축부(350)의 승인 결과를 기다리고, 승인이 된 경우, 스마트 저금통(400)은, 27만 1천원이 누적되었다는 것을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등으로 출력하거나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실제로 스마트 저금통(400) 내에 현금이 들어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감을 주기 위하여 스마트 저금통(400)의 하우징을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하우징 자체에 실제의 돈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돈의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의 비율은, 목표금액 대비 현재 저축금액에 기초할 수 있다. 실재감을 주기 위하여 현금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색상을 달리하여 레벨별 색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인증부(360)는, 대칭형 비공개키 암호화 또는 비대칭형 공개키 암호화로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및 포인트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탭하는 행위로만 정의한 이유는 직관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인데, 인증의 고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생물학적 인증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이 스캔되거나 홍채 등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등록 및 식별하는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인증부(360)는, 허위 데이터를 여과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s)는 수많은 센서 노드가 개방된 지역에 배치되며 센서 노드와 기지국(Base Station)으로 구성되는데, 센서 노드는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BS로 이벤트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BS는 사용자에게 센서 노드를 통해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전달하거나 정보를 분석하여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물인터텟은 모든 물리적인 사물들이 사물 간의 의사 결정 조정, 데이터 공유를 하기 위해 상호 대화하여 작업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면, IoT 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며 장치 내의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위 결정을 하는 것이 목적인 임베디드 장치이다. 즉, WSN은 이벤트 감지가 목적이고 IoT는 행위가 목적이다.
WSN 기반 IoT 시스템은 WSN이 감지한 이벤트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기반으로 IoT 장치가 행위 실행을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WSN 기반 IoT 시스템은 WSN, BS, IoT 장치로 구성되는데, IoT 환경에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공격자가 IoT 장치를 훼손시켜 허위 데이터를 주입하는 공격이 쉽게 가능하다. 공격자에 의해 주입된 허위 데이터는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된다. IoT 애플리케이션이 허위 데이터를 수신하면 IoT 장치가 이상 동작을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허위 데이터가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기 전에 탐지되어 IoT 장치의 이상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방법이 요구되고,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인증부(360)는,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허위 데이터 주입 공격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허위 데이터 주입 공격은, 공격자가 IoT 장치나 노드를 훼손시켜 허위 데이터를 주입하는 공격이다. 훼손된 IoT 장치나 노드는 측정된 정상 데이터 대신 허위 데이터를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허위 데이터를 수신한 IoT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잘못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상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허위 데이터가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기 전에 조기에 탐지 후 폐기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인증부(360)는, 스마트 저금통(400)에 WSN 이벤트 보고서가 전송될 때 패킷 지연과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WSN은 중간 여과 보안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변조된 패킷을 받지 않으며 센서 노드와 BS를 통해 보고서를 검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동작 과정은, 우선,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저축, 투자, 결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WSN과 스마트 저금통(400)는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한다. 정상적으로 WSN 이벤트 보고서를 수신한 스마트 저금통(400)에서는 WSN의 측정 데이터 값과 스마트 저금통(400)의 측정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데이터 캘리브레이션(Data Calibration)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저금통(400)은, 비교한 측정 데이터 값이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라면 데이터 캘리브레이션의 결과 값을 True로 반환하고, 스마트 저금통(400)은 IoT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 캘리브레이션의 결과 값인 True를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IoT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저금통(400)의 행위 실행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때 IoT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저금통(400)이 탭으로 저축, 투자 등을 수행하도록 스마트 저금통(40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이다. 이에 따라, 공격자가 스마트 저금통(400)를 훼손시켜 허위 데이터를 주입하면 스마트 저금통(400)는 WSN 이벤트 보고서를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데이터 캘리브레이션의 결과 값이 False를 반환되어 IoT 애플리케이션의 이상 동작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결제지급부(370)는, 스마트 저금통(400)에 결제금액이 입력되고,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가 스마트 저금통(400)에 접촉된 경우,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인출계좌로부터 결제금액을 이체시키거나 카드를 통하여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한다. 현재, 간편결제는 지문+비밀번호의 조합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결제지급부(37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지문을 인식하지 않아도, 핸드폰인 사용자 단말(100)을 스마트 저금통(400)에 탭 하는 행위만으로도 결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결제된 금액만큼 지출을 표시하기 위하여 스마트 저금통(400)의 하우징이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지출 및 저축의 리스트를 보여주거나, 색상을 달리하거나, 상술한 실재감을 위한 디스플레이된 현금의 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그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투자부(38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투자종목 리스트를 수신하고, 스마트 저금통(400)에 투자금액이 입력된 후,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가 스마트 저금통(400)에 접촉된 경우, 기 설정된 투자 예측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투자종목으로 투자금액을 이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B,C,D 종목에 이미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보너스로 10만원을 받았고, 10만원을 어디에 투자할지 고민중이라면, 본 발명의 투자 예측 알고리즘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투자하기 가장 좋은 상품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10만원의 주식 등을 매수하는 것이다. 예측되는 수치로는, 수익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10만원이 생겼는데 어느 주식을 사야할지 사용자는 더 이상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단순히, 사용자 단말(100)을 스마트 저금통(400)에 탭하는 것만으로도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알아서 수익 예측이 좋은 종목을 선택하여 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매수 시점도 주식 차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매수를 요청한 날 내에 선택할 수 있고, 해당 매수 시점에 주식을 매수할 수 있다. 이때, 주식에 한정되지 않고, 선물, 옵션, 펀드 등도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투자 예측 알고리즘을 모델링하기 위해, 즉 유의미한 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한 최적의 기준 수익률을 선정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단순수익률을 2%씩 바꾸어가며 Hit ratio average가 최고점인 값을 찾고, 테스트를 판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인공신경망, 유전자알고리즘 선형모델을 이용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모델별로 알고리즘 모델링을 위하여, 학습 데이터 셋 및 테스트 데이터 셋의 비율을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우선,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은, 데이터들이 2 개 이상의 집단 중에서 어떤 집단에 속할지를 분별해주는 방법론이다. 이 방법론은 데이터들을 잘 분류 해주는 판별변인을 찾고, 이를 이용하여 선형 판별함수를 도출한다. 이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들을 특정 집단으로 분류하였을 때 분류 오차를 최소로 하는 집단을 선정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한 독립변수를 모두 사용하는 옵션을 적용하였으며, 사전확률은 모든 집단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집단 내 공분산 행렬을 사용하는 옵션으로 예측모델을 도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는 기존 사례들을 기반으로 일정한 의사결정 기준을 도출하는 기법으로, 두 개 이상의 변수들을 결합하여 종속 변수 값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의사결정나무는 결과에 대한 근거를 나뭇가지 형태로 추적하기 때문에 많은 변수들을 대상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이 높은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통계적 방법 및 인공지능 방법을 사용하기에 앞서 변수선택 단계에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성장방법으로 CHAID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확장 단계는 자동으로, 최소 케이스 수는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를 데이터 양에 대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은, 각 데이터가 어느 집단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귀분석 방법론이다. 일반적인 선형 회귀분석의 경우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에 대한 제약조건은 없는 편이지만,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종속변수가 0 또는 1과 같은 이항 형태에 특화된 방법론이다. 예측 정확도도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일반적으로 유무 결정과 같은 결정 값이 이항 데이터일 때 예측모델로 주로 사용된다.
네 번째로,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은, 유전자의 진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어진 인공지능 방법론이다. 확률적 탐색과 학습 및 최적화를 이용한 기법으로서, 보통 이진수 형태의 유전자와 적합도로 이루어진 개체들의 집합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일반적으로 선택(Selection)과 교차(Crossover), 돌연변이(Mutation)의 세 가지 단계의 유전자 조작(Genetic operations)을 사용한다. 선택은 교차를 하기위한 유전자를 선택하는 단계이며, 교차는 선택된 유전자의 일부분을 생물학적 교차 방법과 동일하게 일부분을 교차시키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돌연변이는 교차를 거친 유전자의 순서를 바꾸어 새로운 유전자를 만드는 단계이다. 이렇게 다양한 유전자를 만들어가면서 기존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던 범주의 데이터까지도 만들어 주기 때문에,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통계적 방법론과는 다양성 측면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측 값을 도출하는 경우, 일반적인 회귀모형과 같은 선형 모델의 계수에 회귀계수 대신 유전자 알고리즘 값을 넣어 사용하는 유전자 알고리즘 선형 모델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은 큰 범주에서 본다면 회귀분석과 형태는 비슷하겠지만, 가중치 값을 구하는 방법이 숨겨져 있다는 특징을 가지는 인공지능 방법론이다. 어떠한 확률 분포나 변수들 간의 선형적 관계도 가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인 통계기법들보다 적용 범위가 넓다. 입력 패턴들을 그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Pattern classification이나, 불완전한 패턴으로부터 완전한 패턴을 생성하는 Pattern completion, 입력 패턴에 대응하는 출력 패턴을 생성하는 Function approximation 등의 문제에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은닉층의 경우 자동 신경망 설계의 옵션을 적용하였으며, 은닉층의 최소 노드수는 1, 최대 노드 수는 50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공신경망 모델의 학습 유형은 배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최적화 알고리즘은 척도화된 켤레기울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저축금액은, 명목화폐, 실물화폐, 전자화폐, 암호화폐, 및 가상화폐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금액일 수 있다. 즉, 어느 종류의 화폐이든지 간에 저축이 가능하며, 실시간 환율이나 매도가에 따라 그 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저축을 하려고 했으나, 막상 계좌에 돈이 없어서 저축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지출내역을 분석하여 어느 분야의 지출을 줄여야 하는지를 출력해주고,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만약 해당 분야의 지출을 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방식으로 경고를 해줌으로써 지출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단말(100)을 기반으로 카드결제 SMS 또는 카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제 내역을 관리하거나, 스마트 저금통(400)을 통하여 결제된 내역 또는 로그(Log)를 관리할 수 있다. 수동으로 결제 내역을 입력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카드의 결제가 이루어질 때 수신되는 SMS 또는 웹트래픽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간별, 통계별, 카드별 등 결제분야 구체화 및 예산관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체계적인 카드 사용을 하도록 도와주고 결국 올바른 소비문화까지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지출 내역을 관리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 정규표현식은 많은 텍스트 편집기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위해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펄과 Tcl은 언어 자체에 강력한 정규표현식을 구현하고 있다. 문자열을 토큰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텍스트를 좌에서 우로 검사하면서 여러 규칙과 일치될 문자의 수량을 다양하게 시도하는 처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되는 SMS, 결제내역을 통보해주고 인보이스를 보내주는 이메일,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발생하는 결제내역 등을 모두 모아 DB에 입력할 수 있다. DB에 입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에 맞춰 추출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3개의 테이블인 PAYMENT(결제 내역), CATEGORY(카테고리), BUDGET(예산 및 설정)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3 개의 테이블 스키마를 가질 수 있으나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중 PAYMENT 테이블은 사용자가 카드로 결제한 내역을 저장하고 CATEGORY 테이블은 결제 종류를 획득하기 위해 기 설정된 분류가 미리 정의 및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BUDGET 테이블은 사용자가 입력한 예산과 설정된 테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와 메시지 분석을 위한 모듈과 메뉴를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모듈은 DBHelper, DBHandler 클래스로 구성될 수 있는데, DBHelper는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및 연결을 수행하고, DBHandler는 데이터베이스의 조회 및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메시지 분석 모듈은, SmsData, SmsReceive 그리고 SmsAnalyze 클래스(이벤트,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가능)로 구성될 수 있다. SmsData는 문자 메시지의 형식을 담기 위한 클래스이며 SmsReceive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했을 경우 수행되는 클래스이며 카드 사에서 보낸 메시지인지 확인할 수 있다. SmsAnalyze는 문자 메시지를 분석하는 클래스다.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SMS 메시지가 도착했을 경우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는데, 모바일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메시지를 한글 형식에 맞게 디코드를 한 뒤 수신번호 대조를 통해 카드사에서 보낸 메시지인지 확인한다.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드사에서 보낸 메시지로 확인되면 문자의 패턴을 분석하여 카드사를 확인하고 메시지에서 날짜, 금액 그리고 장소를 추출하고, 패턴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정규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금액의 경우 2가지의 패턴이 있는데 금액 사이에 ‘콤마’가 들어가는 경우와 들어가지 않는 경우이다. 이를 정규표현식으로 표현하면 '((\\d)+(,)*)+(원)'인데 ‘\\d’은 숫자를 말하며 ‘+’는 해당 문자의 1 번 이상의 반복을 의미한다. 콤마는 들어가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은 콤마의 0번 이상의 반복을 말한다. 앞의 숫자와 콤마의 한번 이상의 반복과 마지막에 ‘원’이라는 글자가 있을 경우 금액의 패턴이라 판단하고 문자열을 추출하게 된다. 날짜의 경우 정규표현식으로 표현하면 '(\\d{2})(/) (\\d{2})'인데 ‘\\d’은 숫자를 말하며 ‘{2}’는 해당 문자의 2번 반복을 의미한다. 숫자의 두 번 반복 그리고 사이에 ‘/’가 있고 마지막으로 숫자의 두 번 반복이 패턴으로 인식될 경우 날짜라고 판단하고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다.
메시지에서 날짜, 금액, 장소의 추출이 완료되면 결제 종류별 통계 제공을 위해 CATEGORY 테이블에서 결제 종류를 획득해야 한다. 추출된 장소와 테이블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결제 종류인 음식, 쇼핑, 문화, 미용, 건강, 주거/생활 중 하나를 부여할 수 있으나 나열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결제 종류의 획득률을 높이기 위해 카테고리 공용어를 사용하는데 ‘치킨’, ‘커피’, ‘마트’등의 공용어를 사용하여 해당 단어가 일부분이라도 포함 되면 결제 종류의 검색이 성공하도록 해주어 결제 종류를 부여한다. 그 후 완성된 데이터를 PAYMENT 테이블에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지출의 종류를 분류했으면, 그 다음은 줄일 수 있는 지출을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금, 통신비 등은 기본적으로 지출되는 것이므로 커피, 치킨, 외식, 쇼핑 등의 카테고리를 줄인다고 가정하자. 이때, 동일한 카테고리의 지출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하려고 하는 경우, 예를 들어, 결제요청을 누른 경우(Proceed Payment), 이 단계에서 한 번 경고를 줄 수 있는데,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적색의 LED 또는 LCD 색상을 점멸시키면서 함께 경고를 줄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계속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결제가 이루어지겠지만, 경각심을 줄 수 있으므로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음성인식으로 불쾌감을 표현하는 의성어, 단어 등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행동이 계속되면 최악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저금통(400)까지 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경고의 횟수나 주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스마트 저금통(400)을 등록받고, 사용자 단말(100) 자체도 함께 등록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 예를 들어, (b) 인출계좌, 저축계좌, 결제카드, 투자종목, 가상화폐 지갑주소 등을 모두 등록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가 스마트 저금통(400)에 탭되는 경우, 와이파이나 모뎀과 같은 AP를 통하여 저축인지, 결제인지, 투자인지를 구분하고, 인출계좌로부터 저축계좌로 이체를 수행하거나, 카드사와 통신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거나, 투자종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매수를 수행한다. 그 결과는,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스마트 저금통(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저금통(400)에서 저축, 결제, 투자 상황을 알려준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스마트 저금통(400)이 연동되고, 사용자 단말(100)를 경유하여 스마트 저금통(400)이 등록되는 경우(S420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저축, 결제, 및 투자에 필요한 데이터 리스트를 요청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집한다(S4300, S4400).
그리고,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스마트 저금통(4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S45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축을 선택하여 스마트 저금통(400)을 탭하는 경우, 스마트 저금통(400)은 금액을 직접 입력받거나, 스마트 저금통(400)에 입력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금액을 입력받는다(S4700).
또, 스마트 저금통(400)은 사용자 단말(100) 또는 카드가 탭(Tap)되는 경우(S4800), 이를 감지하여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인증키를 전송하고(S4810), 은행 서버(400)로 이체를 요청하며(S4830), 그 결과를 수신한다(S4850). 그리고, 이체가 성공한 경우,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스마트 저금통(400)으로 전송하여 알림 메세지를 전달하고, 스마트 저금통(400)은 저축된 금액을 누적 및 업데이트하여 화면 또는 소리로 출력한다(S4920). 물론, 화면에 텍스트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도, 화면 자체의 색상이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화면 디자인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를 경유하여 스마트 저금통을 등록한다(S5100).
그리고,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등록된 스마트 저금통에서 통신 또는 리딩할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고(S52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축금액이 인출될 인출계좌 및 저축금액이 입금될 저축계좌를 등록받아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한다(S5300).
또한,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마트 저금통에 저축금액이 입력된 후, 사용자 단말과 통신 또는 카드가 리딩된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인증키를 추출하여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로 이체를 요청하고(S5400),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에서 이체가 승인된 경우, 이체결과를 스마트 저금통에 누적시켜 업데이트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연동되고, 저축금액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거나 카드를 리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달하는 스마트 저금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를 경유하여 상기 스마트 저금통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등록된 스마트 저금통에서 통신 또는 리딩할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등록받아 상기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저축금액이 인출될 인출계좌 및 상기 저축금액이 입금될 저축계좌를 등록받아 상기 스마트 저금통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계좌관리부, 상기 스마트 저금통에 저축금액이 입력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또는 카드가 리딩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의 인증키를 추출하여 상기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로 이체를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인출계좌의 은행 서버에서 이체가 승인된 경우, 이체결과를 상기 스마트 저금통에 누적시켜 업데이트하는 저축부를 포함하는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는, AP(Access Point) 기반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저금통은, 인공지능 스피커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대칭형 비공개키 암호화 또는 비대칭형 공개키 암호화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를 관리하는 인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및 포인트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축금액은, 명목화폐, 실물화폐, 전자화폐, 암호화폐, 및 가상화폐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스마트 저금통에 결제금액이 입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가 상기 스마트 저금통에 접촉된 경우,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상기 인출계좌로부터 상기 결제금액을 이체시키거나 상기 카드를 통하여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하는 결제지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투자종목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저금통에 투자금액이 입력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카드가 상기 스마트 저금통에 접촉된 경우, 기 설정된 투자 예측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투자종목으로 상기 투자금액을 이체하는 투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01028A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3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28A KR102336324B1 (ko)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28A KR102336324B1 (ko)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828A true KR20210087828A (ko) 2021-07-13
KR102336324B1 KR102336324B1 (ko) 2021-12-06

Family

ID=7685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028A KR102336324B1 (ko) 2020-01-03 2020-01-03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3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299A (ko) * 2013-06-13 2014-12-23 차은영 스마트 전자 저금 단말기, 이를 이용한 저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1999A (ko) * 2014-12-12 2016-06-2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os 단말 장치, 카드리더 모듈, 그를 이용한 암호키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4882A (ko) * 2016-04-05 2017-10-16 신정우 실거래에서 거스름돈 발생시 동전 등 현금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바일 거스름돈 및 돼지저금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7800A (ko) *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비아이큐브 자산 포트폴리오 추천 방법
JP2019125011A (ja) * 2018-01-12 2019-07-25 株式会社サテライトオフィス 人工知能スピーカ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299A (ko) * 2013-06-13 2014-12-23 차은영 스마트 전자 저금 단말기, 이를 이용한 저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1999A (ko) * 2014-12-12 2016-06-2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os 단말 장치, 카드리더 모듈, 그를 이용한 암호키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4882A (ko) * 2016-04-05 2017-10-16 신정우 실거래에서 거스름돈 발생시 동전 등 현금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바일 거스름돈 및 돼지저금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7800A (ko) *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비아이큐브 자산 포트폴리오 추천 방법
JP2019125011A (ja) * 2018-01-12 2019-07-25 株式会社サテライトオフィス 人工知能スピーカ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324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lade et al. Mobile payment adoption: Classification and review of the extant literature
US107195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reporting of analytics and distribution of advice using a conversational interface
US20130159172A1 (en) Online remittance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to provide tipping service or support service
CN107209891A (zh) 数字请求的对等转发授权
Mützel Unlocking the payment experience: Future imaginaries in the case of digital payments
JP2003256639A (ja) 活動管理方法
Ng et al. Can we classify cashless payment solution implementations at the country level?
CN107209904A (zh) 用于处理货币交易的方法和系统
US20200294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in two domains
CN109460889B (zh) 风险管控方法、系统、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780550A (zh) 预先交易分期付款支付解决方案和分期付款模拟的方法和系统
CN112199575A (zh) 虚拟银行开户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9002465B (zh) 用于具有智能众包选项的对话输入设备的方法和系统
CN109754247A (zh) 用于基于生物识别和设备数据认证用户的系统和方法
CN108886522A (zh) 为数据安全将多样化位置数据相关联的系统和方法
CN108074131A (zh) 移动装置应用程序中的定制内容集成
CN108898492A (zh) 一种基于联盟链的众包任务实现方法和装置及系统
KR20180089134A (ko)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Verma et al. Understanding the corpus of mobile payment services research: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using co-citation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US201703649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processing of large scale propagation of resources among accounts
KR102336324B1 (ko)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20387A (ko) 금융 상품 추천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oroye Secure contactless mobile financial services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200040075A (ko) 거래수수료 공유 및 코인 페이먼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가상화폐 거래소 서비스 제공 방법
US113412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esentation modification of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