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134A -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134A
KR20180089134A KR1020170013836A KR20170013836A KR20180089134A KR 20180089134 A KR20180089134 A KR 20180089134A KR 1020170013836 A KR1020170013836 A KR 1020170013836A KR 20170013836 A KR20170013836 A KR 20170013836A KR 20180089134 A KR20180089134 A KR 20180089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ild
pocket money
management
st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식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식스
Priority to KR10201700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134A/ko
Publication of KR20180089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부모와 자식 간 용돈 지급을 모바일을 통해 관리하여 자녀 용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와 자녀의 스티커 발급 요청에 따라 자녀에게 발급한 스티커 발급 정보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입력받아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부모 단말기 및 자녀 단말기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용돈관리 서버, 및 상기 용돈관리 서버로부터 계좌이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부모 계좌에서 자녀 계좌로 용돈을 이체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커의 관리를 통해 부족한 용돈의 지급을 부모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추가 용돈을 모바일로 간편하게 지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POCKET MONEY MOBILE SERVICE SYSTEM FOR MANAGING CHILDREN'S ALLOWANCE}
본 발명은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모와 자식 간 용돈 지급을 모바일을 통해 관리하여 자녀 용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용불량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부자열풍이 일면서 어린이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린이들에게 근검절약과 동시에 금융교육을 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교육 방법의 공통점은 그 첫걸음이 저축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부모들은 아이에게 저금통을 사주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단순히 동전이나 지폐를 저금통 안에 넣도록 되어 있고, 저금통을 채우기까지는 오랜 기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아이들은 저금통에 저축하는 것에 금방 싫증을 내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저금통에 저축된 돈을 함부로 빼어 쓰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은행에 통장을 개설해 주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통장에 용돈을 입금한 후 일정 기간이 되면 은행으로부터 통장 입금액에 대해 소정의 이자가 지급되는 것으로 저금통에 저축하는 것에 비해 이자라는 보상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아이가 용돈의 필요시 자유롭게 인출하여 쓸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유로운 환경 하에서 저축에 대한 개념을 확립시켜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이들이 입금하는 금액에는 한계가 있게 되므로 이자보상 역시 아이에게는 별 의미가 없게 된다. 즉, 저축에 대한 의식을 높여주기에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장개설방법에 있어서는 아이가 통장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은행에 직접 찾아가 통장정리를 하거나 또는 텔레뱅킹이나 인터넷뱅킹 등을 하는 등 능동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모들은 현실에서 필요한 것들과 해야 할 일에 대한 체득과 자신과 역할모델과의 관계성과 감수성을 채워줄 자녀의 경제교육을 위한 제품 또는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지만 마땅한 비즈니스 모델 또는 대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8733호(2013.11.1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3918호(2010.06.1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3934호(2006.08.2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커를 사용하여 부모와 자식 간에 정해진 규칙이 자식에 의해 능동적으로 지켜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부모 단말기 및 자녀 단말기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용돈관리 서버, 및 상기 용돈관리 서버로부터 계좌이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부모 계좌에서 자녀 계좌로 용돈을 이체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돈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스티커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와, 자녀의 스티커 발급 요청에 따라 자녀에게 발급한 스티커 발급 정보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면, 스티커의 관리를 통해 부족한 용돈의 지급을 부모에게 요청할 수 있으며, 추가 용돈을 모바일로 간편하게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미성년자에게 올바른 금융습관을 길러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자녀가 용돈 사용내역을 부모와 간편하게 공유함으로써, 부모가 자녀 용돈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소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자녀 용돈관리의 노하우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부모와 자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노하우 콘텐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이하,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이하, '통신 네트워크'라고 약칭함)와 연결되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전용 앱'이라 약칭함)이 설치된 부모 단말기(100) 및 자녀 단말기(200)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용돈관리 서버(300),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계좌이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부모 계좌에서 자녀 계좌로 용돈을 이체하는 금융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은 부모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부모 단말기(100)는 전용 앱(150)이 설치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로, 용돈지출 정보를 공유하는 가족그룹을 구성하거나 구성된 가족그룹에 참여하기 위해 개별 식별기호(Identification Number : ID) 정보와 가족 정보를 부모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ID 정보와 가족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ID 정보에는 부모 가입자 주민등록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 부모 가입자의 주소, 부모 가입자의 전화번호,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족 정보에는 가족의 전화번호, 가족 주민등록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 가족의 이름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모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전용 앱(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부모 가입자와 자녀 가입자가 계좌 정보 등록, 스티커 발급 기준 설정, 자녀의 스티커 발급 요청에 따른 스티커 발급 승인, 자녀의 추가용돈 지급 요청에 따른 추가용돈 지급 승인 등의 스티커 관리정보를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에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10)로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스티커 관리정보를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전용 앱(1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스티커 관리정보를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 및 통신부(130)에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부모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전용 앱(150)을 실행하고 상기 전용 앱(150)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부모 단말기(100)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전용 앱(1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와 스티커 발급 정보 및 추가용돈 지급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스티커 관리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부모 단말기(1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돈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부모 단말기(100)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TV, 유선전화 등의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은 자녀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자녀 단말기(2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 단말기로, 용돈지출 정보를 공유하는 가족그룹을 구성하거나 구성된 가족그룹에 참여하기 위해 ID 정보와 가족 정보를 자녀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ID 정보와 가족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ID 정보에는 자녀 가입자 주민등록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 자녀 가입자의 주소, 자녀 가입자의 전화번호,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족 정보에는 가족의 전화번호, 가족 주민등록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 가족의 이름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녀 단말기(200)는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제어부, 전용 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는 자녀 가입자가 계좌 정보 등록, 스티커 발급 요청, 추가용돈 지급 요청 등의 스티커 관리정보를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에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로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신부는 부모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 및 통신부(13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는 자녀 단말기의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에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자녀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전용 앱을 실행하고 상기 전용 앱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녀 단말기(200)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전용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티커 발급 요청정보나 추가용돈 요청정보 또는 이들 모두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스티커 관리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용돈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이러한 자녀 단말기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돈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자녀 단말기(200)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TV, 유선전화 등의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은 전용 앱을 포함한다.
상기 전용 앱은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것으로서, 이러한 전용 앱은 안드로이드 마켓, 앱스토어, 원스토어, 웹 페이지 등을 통해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다.
상기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와, 자녀의 스티커 발급 요청에 따라 자녀에게 발급한 스티커 발급 정보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부모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용 앱(150)은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추가용돈 요청정보를 부모 단말기(10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부모 단말기(100)를 통해 추가용돈 지급정보를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전용 앱(150)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기본 용돈의 지급을 용돈관리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에 스티커 발급을 요청하는 스티커 발급 요청정보와, 발급된 스티커의 개수에 매칭된 용돈을 요청하는 추가용돈 요청정보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자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용 앱은 자녀 계좌에 남아 있는 용돈 조회를 용돈관리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고, 발급된 스티커 현황의 조회를 용돈관리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앱은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또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 형태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때, 웹 애플리케이션은 웹(Web) 기반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CSS(Cascading Style Sheets) 등과 같은 웹 코드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 명령을 입력할 경우 브라우저 엔진(browser engine)을 통해 해석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로직, 데이터를 개발하여 단말의 플랫폼 별로 컴파일 한 후 단말에 저장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은 용돈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에 연결된 것으로,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부터 추가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용돈관리 서버(300)는 계좌이체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과 연동하여 전용 앱(150)을 통해 수신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티커 관리정보를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 전송한다. 이때, 용돈관리 서버(300)는 부모 단말기(100)의 전용 앱(150)으로부터 제1 스티커 관리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제1 스티커 관리정보를 자녀 단말기(200)의 전용 앱(150)으로 전송하며, 자녀 단말기(200)의 전용 앱(150)으로부터 제2 스티커 관리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제2 스티커 관리정보를 부모 단말기(100)의 전용 앱(15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전용 앱(150)과 연동하여 전용 앱(150)을 통해 수신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티커 관리정보를 매핑된 가족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티커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ID 정보와 가족 정보를 분석하여 가족그룹을 구성하고, 미리 가족그룹이 구성된 부모 가입자와 자녀 가입자는 기존 가족그룹에 편입시키며, 각 가족그룹의 정보를 가족그룹 DB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용돈관리 서버(300)는 가족그룹 DB를 포함한다.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부터 용돈 지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용돈 지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용돈관리 서버(300)는 부모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용돈 지출정보를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용돈관리 서버(300)는 용돈 지출정보를 관리하는 지출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부터 잔액조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액조회 정보를 상기 금융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용돈관리 서버(300)는 금융 서버(400)로부터 잔액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액정보에 매칭된 잔액조회 정보를 제공한 부모 단말기(1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잔액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용돈관리 서버(300)는 잔액조회 정보와 이에 매핑된 잔액 정보를 관리하는 잔액 관리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로그인 인증부, 계좌이체 요청부, 스티커 관리부, 가입자 관리부, 가족그룹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지출정보 관리부,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인증부는 용돈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부모 단말기(100)와 자녀 단말기(200)의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여 가족그룹 DB에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등록된 가입자일 경우 부모 가입자인지 또는 자녀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로그인 인증부는 공인 인증서, 아이핀(I-PIN) 번호, ID 및 패스워드 등의 인증 수단을 이용하여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스티커 관리부는 부모 가입자가 로그인한 경우, 부모 단말기(100)의 전용 앱(150)으로부터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 스티커 발급 정보, 추가용돈 지급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티커 관리부는 자녀 가입자가 로그인한 경우, 자녀 단말기(200)의 전용 앱(150)으로부터 스티커 발급 요청정보, 추가용돈 요청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또한, 스티커 관리부는 발급된 스티커 개수에 따라 추가용돈의 지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녀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티커 관리부는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과 연동하여 자녀 단말기(200)에 매핑된 부모 단말기(100)로부터 설정된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의 조회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계좌이체 요청부는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부터 추가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금융 서버(400)로 전송하며, 금융 서버(400)로부터 계좌이체 완료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저장한다. 이때, 계좌이체 요청부는 금융 서버(400)와 부모 단말기(100)를 중계하여 실시간으로 통상의 은행 계좌이체 절차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계좌이체 요청부는 금융 서버(400)로 계좌 이체를 요청하기 전에 자녀의 최대 용돈을 조회하여 기본 용돈과 추가 용돈의 총합이 최대 용돈을 초과하는 경우, 계좌이체를 제한하고 이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부모 단말기(100)의 전용 앱(150)으로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부는 부모 가입자 및 자녀 가입자의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정보를 가족그룹 DB에 저장한다. 또한, 금융 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금융 서버(400)에 로그인한 가입자가 용돈관리 서버(300)에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해준다.
상기 가족그룹 DB는 부모 가입자 정보 및 자녀 가입자 정보, 각 가족그룹의 정보, 부모 가입자와 자녀 가입자 사이에 전송한 스티커 관리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지출정보 관리부는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으로 용돈 지출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지출정보 관리부는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을 통해 용돈의 사용내역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내역을 가족그룹 DB에 저장한다. 여기서, 용돈의 사용내역에는 용돈의 사용금액 및 사용처의 정보가 포함된다.
필요에 따라, 지출정보 관리부는 부모 가입자가 자녀 계좌로 이체한 용돈의 총액으로부터 용돈의 사용내역을 통해 입력된 용돈의 사용금액을 차감한 잔여 용돈을 계산하고, 상기 잔여 용돈과 자녀 계좌에 남아 있는 금액을 비교하여 불일치하면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을 통해 사용내역의 수정을 요청한다. 이때, 잔여 용돈의 계산은 1개월 별로 진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용돈관리 서버(300)는 금융 서버(400)로부터 계좌이체 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의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계좌이체 정보에 매핑된 자녀 단말기(200)의 전용 앱(150)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돈관리 서버(300)는 핀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테크 관리부는 자녀의 금융관리에 관련된 키워드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하우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노하우 콘텐츠를 상기 전용 앱(150)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부모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앱(150)이거나, 자녀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용 앱(150),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녀의 금융관리에 관련된 키워드로는 자녀, 자식, 아들, 딸, 자산, 용돈, 금융, 관리, 교육,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자녀의 금융관리에 관련된 키워드로는 자녀 자산관리, 자녀 용돈관리, 자녀 금융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노하우 콘텐츠는 이슈 키워드와, 상기 이슈 키워드에 관련된 SNS 게시글을 포함한다. 이때, 전용 앱(150)은 부모 가입자나 자녀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노하우 콘텐츠를 단말기의 화면으로 출력하고, 노하우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개의 이슈 키워드 중 제1 키워드의 선택 신호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되면 제1 키워드에 관련된 SNS 게시글을 상기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각 키워드에 관련된 SNS 게시글은 인기순 등으로 나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이슈 키워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령별, 또는 학교 교육 과정별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학교 교육 과정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용돈 서비스 시스템은 금융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금융 서버(4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용돈관리 서버(300)에 연결된 것으로, 금융기관의 내부 전산망(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상호 연동할 수 있다.
상기 금융 서버(400)는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계좌이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부모 계좌에서 자녀 계좌로 용돈을 이체한다.
상기 금융 서버(400)는 회원들의 계좌 정보를 관리하고, 입금, 출금, 계좌이체, 지로, 신규 통장개설, 통장 폐쇄 등의 전반적인 금융 업무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금융 서버(400)는 부모 계좌 및 자녀 계좌를 개설하고, 용돈관리 서버(300)의 요청에 따른 계좌 이체를 처리한다.
상기 금융 서버(400)는 용돈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부모 계좌와 자녀 계좌가 금융결제원이 제공한 은행 오픈 API로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등록은행의 계좌인지 판단하고, 상기 등록은행의 계좌가 아닌 경우에 등록은행의 계좌 입력을 요청한다.
상기 금융 서버(400)는 부모 가입자와 자녀 가입자가 금융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제공하는 웹 페이지나 은행 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부모 단말기 110 : 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전용 앱
200 : 자녀 단말기 300 : 용돈관리 서버
400 : 금융 서버

Claims (10)

  1.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부모 단말기 및 자녀 단말기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용돈관리 서버, 및 상기 용돈관리 서버로부터 계좌이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부모 계좌에서 자녀 계좌로 용돈을 이체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돈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스티커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스티커 발급기준 정보와, 자녀의 스티커 발급 요청에 따라 자녀에게 발급한 스티커 발급 정보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상기 부모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부모에 스티커 발급을 요청하는 스티커 발급 요청정보와, 발급된 스티커의 개수에 매칭된 용돈을 요청하는 추가용돈 요청정보가 포함된 스티커 관리정보를 상기 자녀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용돈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추가용돈 요청정보를 부모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부모 단말기를 통해 추가용돈 지급정보를 입력받아 용돈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돈관리 서버는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추가용돈 지급정보가 수신되면, 계좌이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돈관리 서버는
    자녀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용돈 지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용돈 지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부모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용돈 지출정보를 부모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돈관리 서버는
    부모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잔액조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액조회 정보를 상기 금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 서버로부터 잔액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잔액정보에 매칭된 잔액조회 정보를 제공한 부모 단말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잔액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돈관리 서버는
    자녀의 금융관리에 관련된 키워드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하우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노하우 콘텐츠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핀테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녀의 금융관리에 관련된 키워드는
    자녀 자산관리, 자녀 용돈관리, 자녀 금융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노하우 콘텐츠는
    이슈 키워드와, 상기 이슈 키워드에 관련된 SNS 개시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슈 키워드는
    연령별, 또는 학교 교육 과정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녀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13836A 2017-01-31 2017-01-31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KR20180089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36A KR20180089134A (ko) 2017-01-31 2017-01-31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836A KR20180089134A (ko) 2017-01-31 2017-01-31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134A true KR20180089134A (ko) 2018-08-08

Family

ID=6323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36A KR20180089134A (ko) 2017-01-31 2017-01-31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1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33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플러스앤소프트 자녀의 소비 관리를 위한 선불 충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0673A (ko) * 2018-09-21 2020-07-29 주식회사 플러스앤소프트 자녀의 소비 관리를 위한 선불 충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5115A (ko) 2019-07-31 2021-02-10 문혁빈 스마트 모바일 지갑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37212A (ko)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하이퍼사인 선불 결제수단을 이용한 용돈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220013993A (ko) * 2020-07-28 2022-02-04 세틀뱅크 주식회사 충전 머니의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934A (ko) 2005-02-23 2006-08-28 이상엽 은행의 사이버 돼지저금통 용돈통장 운용 시스템
KR100963918B1 (ko) 2007-10-10 2010-06-17 주식회사 신한은행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용돈 기입장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28733B1 (ko) 2011-08-17 2013-11-11 주식회사 하나은행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재정 관리 시스템 및 부모 단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934A (ko) 2005-02-23 2006-08-28 이상엽 은행의 사이버 돼지저금통 용돈통장 운용 시스템
KR100963918B1 (ko) 2007-10-10 2010-06-17 주식회사 신한은행 인터넷 뱅킹을 이용한 용돈 기입장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28733B1 (ko) 2011-08-17 2013-11-11 주식회사 하나은행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재정 관리 시스템 및 부모 단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33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플러스앤소프트 자녀의 소비 관리를 위한 선불 충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0673A (ko) * 2018-09-21 2020-07-29 주식회사 플러스앤소프트 자녀의 소비 관리를 위한 선불 충전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5115A (ko) 2019-07-31 2021-02-10 문혁빈 스마트 모바일 지갑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37212A (ko)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하이퍼사인 선불 결제수단을 이용한 용돈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220013993A (ko) * 2020-07-28 2022-02-04 세틀뱅크 주식회사 충전 머니의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9755A1 (en) Friction-less Purchasing Technology
US8682753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solidate and update a user's financial account information
KR20180089134A (ko)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전자용돈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KR101693421B1 (ko) 금융 오픈 플랫폼 기반의 금융서비스 제공 장치
US20110196795A1 (en) Financial, account and ledger web application and method for use on personal computers and internet capable mobile devices
US20210326875A1 (en) User account controls for online transactions
JP6943366B2 (ja) 口座管理システム
Shuhaiber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trust in mobile payment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KR101328733B1 (ko) 자녀의 용돈 관리를 위한 재정 관리 시스템 및 부모 단말
Rotimi et al. SMS Banking Services: A 21st Century Innovation in Banking Technology.
JP697629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445285B1 (ko) 복식부기를 위한 가계부 데이터의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계부 시스템
KR20150006404A (ko) 아이디로 작성되는 온라인 다이어리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20050086168A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송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9305A (ko) 무선 메시지를 이용한 학원비 결제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Qiu et al. Consumers' views towards electronic payment tools: users' comparison between Alipay in China and Swish in Sweden
KR102336324B1 (ko) IoT 기반 스마트 저금통을 이용한 저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93403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079037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242107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829975B1 (en) User categorization of transactions at moment-of-sale using mobile payments
JP735991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93754B1 (ko) 메시지에 기반하여 선물용금융상품의 계좌를 개설하는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12914B2 (ja) 提供システムおよび提供方法
KR20090098361A (ko) 거래 내역 갱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