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901A -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 Google Patents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901A
KR20210085901A KR1020190179466A KR20190179466A KR20210085901A KR 20210085901 A KR20210085901 A KR 20210085901A KR 1020190179466 A KR1020190179466 A KR 1020190179466A KR 20190179466 A KR20190179466 A KR 20190179466A KR 20210085901 A KR20210085901 A KR 20210085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finger vein
unit
gri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798B1 (ko
Inventor
박병학
전민수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17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7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7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comprising 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and of a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그립몸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락킹장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지정맥데이터를 인식하는 지정맥센서부; 및 상기 지정맥센서부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윤곽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손잡이는 오작동으로 팝업된 경우에도 단순히 당기는 것만으로 락킹장치가 기계적으로 개방되므로 차량의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그립몸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락킹장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지정맥데이터를 인식하는 지정맥센서부; 및 상기 지정맥센서부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신장구동부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팝업되고, 그립몸체의 내면 일측에 배치된 지정맥센서부로 사용자의 지정맥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팝업되더라도 지정맥센서부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되기 전에는 도어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차단되므로 그립몸체가 의도치 않게 수용공간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더라도 도어의 개방이 예방되어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지정맥센서부는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에 수용시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되, 접근감지센서가 스마트키의 접근을 감지시 지정맥센서부가 활성화되어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전력이 절감되어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그립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신장로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연장몸체가 그립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의 가압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폭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되며 회동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다섯째, 래치시소부의 제1래치회동축이 연장몸체측으로 편심 배치되어 사용자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그립몸체를 최소한의 회동각도로 당기더라도 도어 락킹장치가 잠금 해제되기 위한 회동각도로 증폭됨에 따라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그립몸체 및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그립몸체 및 지정맥센서부 및 접근감지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탑커버부가 제외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부분 예시도.
도 7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그립몸체 및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그립몸체 및 지정맥센서부 및 접근감지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서 탑커버부가 제외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부분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600)은 도어케이스부(510), 그립부(520), 신장구동부(530), 제어부(570), 그리고 지정맥센서부(59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510)는 차량의 도어마다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5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600)은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51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도어 자체의 외측 프레임에 본 발명의 각 구성이 배치되도록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케이스부(510)가 차량 도어에 구비되어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된다.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510)는 도어(1)에 배치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520)가 수용되도록 개구부(5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5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510)는 상기 수용공간(5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511)은 상기 그립부(520)의 전후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개구부(513)측 테두리가 상기 그립부(5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5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600)의 상기 그립부(520), 상기 신장구동부(530), 래치부(5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상기 래치부(560)의 래치연결축(563)이 통과되도록 원호 형태의 래치관통공(5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관통공(514)은 후술되는 제1래치회동축(561b)을 회전 기준점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그립부(520)는 그립몸체(521)와, 상기 그립몸체(5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5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520)의 그립몸체(521) 및 연장몸체(522)의 배치 형상이 상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편심된 "T"자 형태로 도시 및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520)가 편심된 "T"자 형태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521)는 상기 수용공간(511)에 삽입시 상기 도어(1)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5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5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1)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521)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5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5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개구부(513)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520)의 그립몸체(5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수용공간(511)에 완전 삽입되면 상기 그립몸체(521)와 상기 도어(1)의 외면 윤곽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521)의 외면에 발열부(미도시)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520)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측단 및 상기 연장몸체(5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로부터 틸팅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520)에는 그립회동축(520a)이 구비되되, 상기 그립회동축(520a)은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측단 및 상기 연장몸체(522)의 외측단이 접하는 영역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회동축(520a) 및 상기 연장몸체(522)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회동축(520a)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에 힌지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립회동축(520a)에는 상기 그립부(520)에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측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토션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521)는 상기 그립회동축(520a)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513)를 통해 회동되어 틸팅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틸팅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회동축(520a)을 기준으로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510) 내부로 회동되어 삽입되되,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510)로부터 회동되어 팝업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521)는 상기 수용공간(5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자동으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를 통해 지정맥데이터가 인식되고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전자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521)에는 후술되는 접근감지센서(571)와 지정맥센서부(590)가 수용되는 센서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립몸체(521)는 내면부가 개구된 그립수용몸체(521a)와, 상기 그립수용몸체(521a)의 내면부를 커버하며 상기 그립수용몸체(521a)에 결합되는 그립커버(52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수용몸체(521a)와 상기 그립커버(521b) 사이에 상기 센서삽입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삽입공간에 상기 접근감지센서(571), 상기 접근감지센서(571)에 회로 연결되어 컨트롤하는 컨트롤패널(571a) 및 상기 지정맥센서부(590)가 상호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수용몸체(521a)의 중앙 외면에는 상기 접근감지센서(571)의 센싱부가 상기 그립몸체(52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노출홀(521c)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커버(521b)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몸체(522)와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커버(521b)의 타측에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90)가 외측으로부터 상기 센서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안착 고정되도록 삽입홀(521d)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몸체(522)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몸체(522)는 상기 그립몸체(5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며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522)가 상기 그립몸체(5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521) 및 상기 연장몸체(522)의 경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몸체(522)는 상기 신장로드부(53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부(520)가 편심된 "T"자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개별 구비된 상기 연장몸체(522)가 상기 그립커버(521b)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몸체(522)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장몸체(522)의 단부측 일면은 상기 신장구동부(530)의 신장로드부(532)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신장구동부(530)의 액츄에이터(531)에 의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522) 및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호간 이격되며,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신장구동부(530)의 액츄에이터(531)에 의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연장몸체(522)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몸체(522)의 외측단에서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연장몸체(522)의 외측단에서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단부까지의 거리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구동부(530)가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측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몸체(521)의 틸팅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 회동되어 삽입되는 영역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되어 공간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530)가 상기 연장몸체(522)를 가압시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측이 상기 그립회동축(520a)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511)으로 회동되어 삽입되며,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측방향으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몸체(522)의 내측단에는 상기 신장구동부(530)의 배치방향 및 상기 래치부(560)의 배치 방향을 각각 향하도록 절곡지게 확장되는 접촉확장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구동부(5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일측 또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몸체(521)가 1차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5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5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일측 또는 상기 도어(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521)를 틸팅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531)와,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5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5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액츄에이터(5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531)는 개구된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522)를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532)는 상기 액츄에이터(5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로드부(532)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5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532)는 일단이 상기 액츄에이터(5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5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의해 확장시 상기 연장몸체(5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장로드부(522)는 상기 액츄에이터(531)의 구동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전후방향 길이가 340mm인 경우 상기 신장로드부(532)의 왕복 이동 범위가 7.5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액츄에이터(531)로부터 7.5mm 확장되면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연장몸체(522)를 가압하며, 상기 연장몸체(522)는 상기 그립회동축(520a)를 기준으로 19.5deg만큼 1차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액츄에이터(531)로부터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570) 및 접근감지센서(5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531)는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확장 및 신축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532)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5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522)가 상기 그립몸체(52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531)의 가압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폭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몸체(522)의 회동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6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5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571)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초음파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521)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접근감지센서(5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1) 내부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초음파센서로 구비되며,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몸체(521)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즉, 상기 접근감지센서(571)는 상기 센서삽입공간에 배치된 상기 컨트롤패널(571a)에 회로 연결되며, 센싱부가 상기 노출홀(521c)에 정렬 배치되어 상기 그립몸체(52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5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53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5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츄에이터(531)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상기 신장로드부(532)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정방향이라 함은 상기 신장로드부(531)가 상기 액츄에이터(531)로부터 확장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역방향이라 함은 상기 신장로드부(531)가 상기 액츄에이터(531)로 수축되는 경우를 의미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신장구동부(5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520)가 상기 수용공간(5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5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530)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연동된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수축되어 상기 연장몸체(522)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에 완전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측으로 완전 삽입되도록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상기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5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장구동부(5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1)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5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530)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531)에 연동된 상기 신장로드부(532)가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연장몸체(52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그립몸체(521)가 틸팅 팝업되면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521)를 그립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571)로부터 상기 제어부(5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5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신장구동부(5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530), 상기 제어부(570), 상기 접근감지센서(5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5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가 틸팅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513)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근감지센서(5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액츄에이터(5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 사용자의 지정맥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더라도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되기 전에는 도어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차단된다. 따라서,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521)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더라도 도어(1)의 개방이 예방되어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틸팅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신장구동부(5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연장몸체(522)의 내측단이 상기 래치부(560)의 래치시소부(56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연장몸체(522)의 하부가 상기 래치부(560)의 래치시소부(561)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신장구동부(530)에 의한 상기 그립몸체(521)의 틸팅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되,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틸팅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몸체(521)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틸팅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530)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틸팅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에 수용시 전원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팝업시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에 수용시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접근감지센서(5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가 활성화되어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전력이 절감되어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지정맥데이터를 인식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가 외측으로부터 상기 그립커버(521b)의 타측에 관통 형성된 상기 삽입홀(521d)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에 수용시 상기 수용공간(511)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노출이 차단되어 미려한 차량 도어(1)의 외관이 유지되며 풍절음이 예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면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570)의 기억장치에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에 개방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등록되지 않아 기저장된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때, 지정맥센서부(590)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방식은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손바닥정맥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데이터 취득 난이도 및 데이터 복제 난이도가 높아 보안성이 우수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지정맥데이터 뿐만 아니라 지문데이터를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70)의 기억장치에는 지문등록데이터가 기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570)에 지정맥등록데이터가 기저장된 경우에만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571)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그립몸체(521)가 팝업되고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기저장된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면 일측에 상기 그립몸체(521)의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적외선 및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복수개의 조광부(59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광부(591)는 상기 센서삽입공간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570)에 회로 연결되는 피씨비부(599)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광부(591)가 4개소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각 상기 조광부(59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광부(591)에서 조사된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수집하는 수광렌즈(59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광렌즈(592)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이 수집되도록 외면 윤곽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그립몸체(52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수광렌즈(592)의 폭방향 양측에 각 상기 조광부(591)가 배치되며, 상기 수광렌즈(592)의 상하방향 양측에는 한쌍의 터치플레이트(598)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터치플레이트(598)는 상기 피씨시부(599)에 연결 및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수광렌즈(592)와 상기 피씨시부(599)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촬상하여 획득하는 지정맥인식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수광렌즈(592)의 외곽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수광렌즈(592)가 상기 삽입홀(521d)을 통해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광렌즈(59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관통홀(594a)이 관통 형성되는 렌즈가이드부(59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렌즈가이드부(594)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양측 테두리에 한쌍의 장공(596b)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관통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594a)에 연통되는 지정맥안착홀(596a)이 관통 형성되는 탑커버부(59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탑커버부(596)는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커버부(596)의 각 모서리에는 연결로드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부(599)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호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탑커버부(596)의 면적이 상기 피씨비부(599)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렌즈가이드부(594)의 면적이 상기 탑커버부(596)의 면적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정맥안착홀(596a)의 테두리부는 손가락이 정확하게 안내되며 안착되도록 실제 인체의 손가락 표준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정맥 인증시 손가락이 상기 지정맥안착홀(596a)의 테두리부에 정확하게 안내되며 안착되므로 상기 조광부(591)에서 조사된 적외선 및 백색광이 상기 지정맥인식부에 실질적인 손실없이 수신되어 제품의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렌즈가이드부(594) 및 상기 탑커버부(596)의 사이에 배치되되 각 상기 조광부(595)에서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집광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집광필터부(59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광필터부(595)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그립몸체(521)의 외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광필터부(595)의 폭방향 양측 외면이 각 상기 조광부(595)에 대향 배치되며, 폭방향 양측 내면이 상기 장공(596b)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필터부(595)의 중앙 외면이 상기 수광렌즈(592) 및 상기 관통홀(594a)에 대향 배치되며, 중앙 내면이 상기 지정맥안착홀(596a)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필터부(595)는 상기 렌즈가이드부(594)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지정맥안착홀(596a)에 지정맥을 안착시키면 상기 조광부(595)에서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이 지정맥을 통과한 후 상기 집광필터부(595) 및 상기 수광렌즈(59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지정맥인식부에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맥인식부는 상기 적외선을 통해 지정맥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백색광을 통해 지문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지정맥데이터는 손가락 첫번째 마디를 기준으로 22~24mm 범위의 지정맥에 대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지정맥인식부는 상기 제어부(570)에 회로 연결되며, 손가락영역 추출 및 마디 추출, 세그멘테이션 및 스켈레톤, 영상매칭 등의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정맥인식부를 통해 상기 지정맥데이터에 마디 개수, 거리 등의 특징점이 획득되어 저장되며,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상기 제어부(570)의 기억장치에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정맥센서부(590)는 상기 탑커버부(596)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피씨비부(599)에 회로 연결되는 발광가이더부(59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가이더부(597)는 엘이디(LED)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가이더부(597)는 양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피씨비부(599)에 연결되되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가이더부(597)의 중앙부 형상이 상기 지정맥안착홀(596a)의 테두리부 윤곽과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두운 공간에서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수용공간(5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발광가이더부(597)가 발광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발광가이더부(597)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면 상기 지정맥안착홀(596a)에 용이하게 정렬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리트렉터블 도어핸들(600)는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기 위해 상기 연장몸체(522) 단부의 동작에 의한 작동력의 전달을 매개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래치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부(560)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90)에 의해 지정맥데이터가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시 전자식으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는 구성과는 별도로 상기 도어(1)를 기계식으로 개방하기 위해 더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60)는 일측(561a)이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의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522)에 의해 걸림 가압되며 중앙부에 제1래치회동축(561b)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래치시소부(56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시소부(562)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522)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래치관통공(514)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시소부(562)의 중앙부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에 힌지 고정되는 상기 제1래치회동축(561b)이 구비되되, 상기 제1래치회동축(561b)은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방향으로 편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래치회동축(561b)에서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 사이의 거리(d1)는 상기 제1래치회동축(561b)에서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 사이의 거리(d2)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은 상기 연장몸체(522)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실질적인 접촉 가능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은 상기 그립몸체(521)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시 일체로 회동된 상기 연장몸체(522)에 가압되지 않되 상호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가 사용자에 의해 당김되어 2차 회동시 상기 그립몸체(5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522)가 연동 회동되어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을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그립몸체(521)가 사용자에 의해 1차 회동된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10)의 외측방향으로 8deg만큼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522)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래치시소부(561)가 상기 제1래치회동축(561b)를 기준으로 19deg만큼 회동되어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이 상기 래치관통홀(51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의 2차 회동시 회동각도와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회동각도 간의 비율은 1:2.0~2.5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제1래치회동축(561b)이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연장몸체(522)가 배치된 일측방향으로 편심 배치되어 사용자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를 당김시 외력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증폭되므로 에너지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몸체(522)의 회동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522)에는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과의 접촉면에 제1구름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에는 상기 제1구름접촉부와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구름 접촉되는 제2구름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름접촉부 및 상기 제2구름접촉부는 톱니 기어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가 사용자에 의해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되어 상기 연장몸체(522)가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을 가압시 상호간의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마모가 실질적으로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은 상기 래치관통공(514)에 통과되어 배치되는 상기 래치연결축(56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부(56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부, 즉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되 일측(562a)이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에 상기 래치연결축(563)을 통해 연결되며 제2래치회동축(562b)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타측(562c)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연결되는 래치케이블홀더(5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래치부(560)는 일단부가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의 일측(562a)에 연결되는 상기 래치연결축(56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의 일측(562a) 및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은 상기 래치연결축(563)을 통해 상호간 연결되어 상기 래치관통공(514)을 따라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관통공(514)에 각각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가 사용자에 의해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되어 상기 연장몸체(522)가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일측(561a)을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연결축(563),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 및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의 일측(562a)이 상기 래치관통공(51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의 일측(562a)이 상기 제2래치회동축(562b)를 기준으로 회동되면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의 타측(562c)이 연동 회동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도어(1)가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장몸체(522)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래치시소부(561)가 상기 제1래치회동축(561b)를 기준으로 19deg만큼 회동되어 상기 래치시소부(561)의 타측(561c)이 상기 래치관통홀(51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의 일측(562a)이 상기 제2래치회동축(562b)를 기준으로 56deg만큼 회동되며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521)를 8deg만큼 당겨 회동시킴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와이어(w)를 견인하는 상기 래치케이블홀더(562)가 56deg, 즉 7배 만큼 회동각도가 증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521)를 최소한의 회동각도로 당기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기 위한 회동각도로 증폭됨에 따라 상기 도어(1)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5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된 이후에 상기 래치부(560)가 탄성 복원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부(560)는 별도의 탄성복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는 상기 래치부(56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522)에 의한 작동력에 의해 상기 도어(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600)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의 개방을 매개하는 긴급개방수단(5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긴급개방수단(580)은 긴급상황, 즉, 사고, 차량 배터리 방전, 회로 단선 등의 원인으로 인한 상기 신장구동부(530)의 미작동시 또는 사고, 결빙 등의 원인으로 인한 상기 그립부(530)의 미작동시 수동으로 구동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개방수단(580)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접촉면이 상기 그립몸체(521)의 내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긴급스위치부(58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긴급스위치부(581)는 외측단이 상기 그림몸체(521)의 내측단과 미세한 이격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스위칭로드와, 상기 스위칭로드의 내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로드의 가압시 상기 제어부(570)에 접촉신호를 전송하는 접촉센서와, 상기 스위칭로드의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스위치부(581)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에 대응되는 상기 도어케이스부(510) 내부 수용공간(5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환경 또는 장치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해 상기 그립몸체(521)가 틸팅 팝업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을 터치 가압하면,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측으로 미세하게 회동되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긴급스위치부(581)가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긴급스위치부(581)가 가압되면 상기 제어부(570)에 접촉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570)가 상기 신장구동부(530)의 액츄에이터(531)를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을 터치 가압하면 상기 긴급스위치(58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액츄에이터(531)가 정방향 제어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521)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개방수단(580)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1) 개방을 위한 열쇠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키홀더(58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키홀더(582)는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케이스부(510)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키홀더(582)에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삽입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신장구동부(53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그립몸체(5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신장구동부(530)가 배치된 방향의 상기 그립몸체(521)의 일면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상기 그립몸체(521)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회동되어 틸팅 팝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521)의 타측이 틸팅 팝업됨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개구부(513)가 개방되면 상기 키홀더(582)의 열쇠삽입부에 사용자가 열쇠를 꽂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어(1)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긴급상황에서 상기 신장구동부(530) 또는 상기 그립부(520)의 미작동시 상기 도어케이스부(510)의 내부에 상기 긴급스위치부(581) 및 상기 키홀더(582)로서 구비되는 긴급개방수단(580)을 통해 상기 그립부(520)를 강제로 틸팅 팝업시킨 후 상기 도어(1)를 강제 개방 가능하므로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6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510: 도어케이스부
511: 수용공간 513: 개구부
520: 그립부 520a: 그립회동축
521: 그립몸체 522: 연장몸체
530: 신장구동부 531: 액츄에이터
532: 신장로드부 560: 래치부
570: 제어부 571: 접근감지센서
590: 지정맥센서부 591: 조광부
592: 수광렌즈 594: 렌즈가이드부
595: 집광필터부 596: 탑커버부
597: 발광가이더부

Claims (14)

  1.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그립몸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락킹장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지정맥데이터를 인식하는 지정맥센서부; 및
    상기 지정맥센서부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지정맥센서부가 활성화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맥센서부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개방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도어의 개폐시 상기 링크부가 상기 그립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내면 일측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적외선 및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조광부와,
    각 상기 조광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광부에서 조사된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수집하는 수광렌즈와,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촬상하여 획득하는 지정맥인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는
    상기 수광렌즈의 외곽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수광렌즈가 상기 그립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광렌즈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렌즈가이드부와,
    상기 렌즈가이드부를 커버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되 양측 테두리에 한쌍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되 테두리부가 인체의 손가락 표준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굴곡지게 형성된 지정맥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는 탑커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는
    상기 렌즈가이드부 및 상기 탑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각 상기 조광부에서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집광하도록 굴곡지게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집광필터부와,
    상기 탑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발광가이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구동부는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되,
    상기 신장구동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를 틸팅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는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되며, 상기 연장몸체의 외측단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상하방향으로 그립회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신장로드부가 상기 연장몸체를 가압시 상기 그립몸체의 일측이 상기 그립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으로 회동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1차 회동되어 틸팅 팝업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0. 제 1 항에 있어서,
    1차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의 동작에 의한 작동력을 전달하는 래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락킹장치는 상기 연장몸체에 의한 작동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래치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일측이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의 2차 회동시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걸림 가압되며 중앙부에 제1래치회동축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래치시소부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2래치회동축이 힌지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래치케이블홀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회동축은 상기 래치시소부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래치시소부의 일측방향으로 편심 배치되되,
    상기 제1래치회동축에서 상기 래치시소부의 일측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래치회동축에서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부에는 래치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래치케이블홀더의 일측 및 상기 래치시소부의 타측은 상호간 연결되어 상기 래치관통공을 따라 회동되도록 상기 래치관통공에 각각 정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에는 상기 래치시소부와의 접촉면에 제1구름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시소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구름접촉부와 구름 접촉되는 제2구름접촉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1020190179466A 2019-12-31 2019-12-3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10231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66A KR102314798B1 (ko) 2019-12-31 2019-12-3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66A KR102314798B1 (ko) 2019-12-31 2019-12-3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01A true KR20210085901A (ko) 2021-07-08
KR102314798B1 KR102314798B1 (ko) 2021-10-19

Family

ID=7689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66A KR102314798B1 (ko) 2019-12-31 2019-12-3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577A (ko) * 2021-07-14 2023-01-25 카이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913A (ja) * 1999-08-04 2001-02-13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7075305A (ja) * 2005-09-14 2007-03-29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KR101626837B1 (ko) * 2015-12-08 2016-06-02 주식회사 나르테크놀로지 손가락 마디 및 지정맥 기반의 융합형 생체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JP2017115439A (ja) * 2015-12-24 2017-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KR20170142016A (ko) * 2016-06-16 2017-12-27 (주)코리센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5658B1 (ko) *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2019105046A (ja) * 2017-12-11 2019-06-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913A (ja) * 1999-08-04 2001-02-13 Mitsubishi Motors Corp 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7075305A (ja) * 2005-09-14 2007-03-29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及び方法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101626837B1 (ko) * 2015-12-08 2016-06-02 주식회사 나르테크놀로지 손가락 마디 및 지정맥 기반의 융합형 생체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17115439A (ja) * 2015-12-24 2017-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KR20170142016A (ko) * 2016-06-16 2017-12-27 (주)코리센 반사경이 구비된 지정맥스캐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5658B1 (ko) *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2019105046A (ja) * 2017-12-11 2019-06-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577A (ko) * 2021-07-14 2023-01-25 카이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식 도어 인사이드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798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887B2 (en) Outside door handl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10005428B2 (en) Assembly module
EP2787157B1 (en) Automatic door operating device for vehicle
US11767690B2 (en) Door handle module
US20170074009A1 (en) Touchless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US20110210821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unlocking an openable panel of a motor vehicle
CN113272511B (zh) 具有移出式门把手的车门
KR102314798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US10787855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US20180187461A1 (en) Lock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215730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JP2006508283A (ja) 車両ドア用ハンドル装置
CN111688637A (zh) 具有冷镜盖的基于电磁的传感器
CN112204217A (zh) 门扇把手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
KR20130117459A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361150B1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JP6660673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2018155059A (ja) 車両用扉開閉システム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68031B1 (ko) 다용도 지문 인식 센서 모듈
US202302580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pplique with deployable handle
KR20230103181A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핸들
KR20200071263A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N211549234U (zh) 车辆用门开闭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