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857A -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857A
KR20210085857A KR1020190179367A KR20190179367A KR20210085857A KR 20210085857 A KR20210085857 A KR 20210085857A KR 1020190179367 A KR1020190179367 A KR 1020190179367A KR 20190179367 A KR20190179367 A KR 20190179367A KR 20210085857 A KR20210085857 A KR 2021008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re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025B1 (ko
Inventor
이상혁
이찬희
주성원
이한아
반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세라믹연구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세라믹연구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세라믹연구회
Priority to KR102019017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0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3Glass-ceramic compos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치과 보철물은 코어와 도재의 결합 강도 및 전체 저항 강도가 향상되고, 자연치와 유사한 색상과 투광성을 가져 심미감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단 시간에 치과 보철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prosthesis using 3D printer}
본 발명은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와 도재의 결합 강도 및 전체 저항 강도가 향상된 치과 보철물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 또는 치과 관련 조직의 인공적인 대체물을 치과 보철물이라고 한다. 치과 보철물에는 착탈 가능한 의치와 착탈할 수 없는 크라운과 브릿지가 있다.
치과 보철물의 소재로서는 중합체, 금속, 합금, 세라믹,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금과 같은 귀금속 소재, 니켈-크롬 합금 또는 코발트-크롬 합금과 같은 비귀금속 합금 소재, 세라믹 소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심미적 측면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크라운과 같이 치아 전체를 감싸는 치과 보철물의 경우 기존의 금속제 보철물 보다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수요가 더욱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세라믹 재료로서 강도 및 내구성 등의 기계적 성능을 고려하여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지르코니아의 경우 탁한 표면 색상으로 인한 심미적 측면의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지르코니아 단독 재료로 치과 보철물을 제조하기 보다 지르코니아 코어 위에 도재(pocelain)층을 코팅 형태로 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한 치과 보철물이 더욱 선호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지르코니아 표면에 레진, 세라믹 등의 도재를 코팅한 보철물의 경우 접착시킨 레진 또는 세라믹이 박리되거나, 지르코니아 코어 자체가 파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3573호에서는 지르코니아 세라믹 표면을 불산, 황산, 촉매제 및 메틸알콜을 포함하는 에칭제 조성물로 에칭하여 거칠기를 증가시켜 레진 또는 세라믹 사이에 기계적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에칭 조성물 제조 단계 및 에칭 단계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르코니아의 결합력과 투광도를 높이기 위해 이산화 규소를 첨가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나, 이 역시 강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지르코니아 블록의 경우 블록의 가격 및 가공 툴의 가격이 높고 고가의 장비가 요구되며, 긴 제작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35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와 도재의 결합 강도 및 전체 저항 강도가 향상된 치과 보철물을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적층하고 경화하여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 및
상기 소결된 코어의 표면에 유리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리 조성물을 코어 내부에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치과 보철물은 코어와 도재의 결합 강도 및 전체 저항 강도가 향상되고, 자연치와 유사한 색상과 투광성을 가져 심미감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단 시간에 치과 보철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의 열분해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치과 보철물의 굴곡 강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적층하고 경화하여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 및
상기 소결된 코어의 표면에 유리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리 조성물을 코어 내부에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광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소재가 포함된 수복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경화성 단량체, 광경화성 올리고머, 광경화성 폴리머, 광개시제, 희석제, 촉매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core)는 수복될 치아에 접하여 공간을 메꿔주는 부분으로, 남아 있는 치아 구조를 지지하고 보철물의 유지력을 강화해주며, 치아 신경 부위에 단열 효과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어의 형상은 치아 모형을 스캔(scan)한 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디자인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는 자연 치아를 직접 인상 채득하여 제조된 치아 모형을 구강 외 스캐너로 스캔한 후, CAD(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 및 보정하여 디자인될 수 있다.
또는, 구강 내 스캐너를 사용하여 제조된 치아 모형을 구강 외 스캐너로 스캔한 후, CAD(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 및 보정하여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설계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여,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적층하고 경화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경화는 자외선(UV), 가시광선, 레이저등을 조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3D 프린터로 적층하고 경화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3D 프린터를 사용할 경우,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슬러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필요시 증류수를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하여 적정 점도의 슬러리로 제조된 후, 3D 프린터의 슬러리 튜브에 주입되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과 DLP를 결합한 Poly-Jet 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DLP 방식은 수조에 담긴 액체의 광경화성 고분자에 빔 프로젝터로 자외선 광을 조사해 성형체를 만드는 방식이며, 빛을 조사하여 고분자를 경화시키므로 인쇄되는 성형체의 강도는 낮지만 작업 속도가 빠르고 성형체의 표면이 매끄럽고 정밀도가 높다는 것이 장점이 있다.
SLA 방식은 DLP 방식과 유사하나, DLP는 빔 프로젝트를 사용한 자외선 광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SLA 방식은 레이저 광을 사용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아울러, SLS 방식은 분말로 된 재료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말 입자 전체를 녹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녹여 입자간 결합을 유도하여 성형체를 얻는 방식이다.
Poly-Jet 방식은 FDM 방식처럼 노즐을 통해 재료를 분사한 후 DLP 방식처럼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고형화를 수행하는 인쇄하는 방식으로, 이에 사용되는 인쇄 재료는 주로 액상 또는 고상의 고분자 인쇄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경제적이면서 동시에 정밀성과 생산성이 높은 수준으로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광개시제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Al2O3)는 내마모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있는 생체 적합성 세라믹 재료이다.
상기 지르코니아(ZrO2)는 상온에서 가장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보유하고 있는 생체 적합성 세라믹 재료로, 변형이나 변색이 없어 자연치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는 분말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르코니아 분말의 경우 세리아(CeO2)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코어의 굴곡강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세리아로 안정화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세리아와 지르코니아 분말을 혼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세리아와 지르코니아의 몰비가 1 : 1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분말의 평균 입경은 0.01 ~ 3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 20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일 수있다.
만일,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강도 저하나 마모 내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2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가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 형성된 코어의 굴곡 강도가 최대화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 중량부의 이트리아(Y2O3)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트리아 분말의 평균 입경은 0.01 ~ 30 ㎛일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UV)이나 가시광선 등에 의해 여기되어 광중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광개시제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캄포퀴논(Camphorquinone), 2-(디메틸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2-(Dimethylamino methacrylates),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및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 5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Bis-GM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GDMA), 에톡실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Bis-E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UDMA),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포스페이트(dipentaerythritol pent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폴리알케노익산(polyalkenic acid), 바이페닐 디메타크릴레이트(biphenyl dimethacrylate, BPDM),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phosphate dimethacrylate, GPDM)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UDMA),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A)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 5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40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폴리머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및 폴리머는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적층 및 경화를 진행할 시 출력물인 코어의 형태를 유지하고, 소결시 작업 용이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소결은 상기 코어를 300 ~ 700℃의 온도에서 1 ~ 30 분간 건조시킨 뒤, 800 ~ 1500 ℃의 온도에서 10 ~ 30 분간 유지한 후, 300 ~ 700℃의 온도에서 1 ~ 10 분간 냉각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결 조건은 코어 내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코어 자체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한다.
상기 유리 조성물은 란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10 ~ 100 중량부, 알루미나 10 ~ 100 중량부, 산화붕소 10 ~ 100 중량부, 산화나트륨 1 ~ 50 중량부, 산화칼슘 1 ~ 30 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 1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란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20 ~ 80 중량부, 알루미나 20 ~ 80 중량부, 산화붕소 20 ~ 70 중량부, 산화나트륨 1 ~ 30 중량부, 산화칼슘 1 ~ 20 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 1 ~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란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30 ~ 70 중량부, 알루미나 30 ~ 70 중량부, 산화붕소 30 ~ 50 중량부, 산화나트륨 1 ~ 20 중량부, 산화칼슘 1 ~ 10 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 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는 유리 조성물의 코어 내부로의 침투력을 향상시켜 응장력을 형성하고, 치과 보철물의 심미성과 기계적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함량 범위이다.
특히,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범위는 코어 내부로의 침투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며, 상기 란타늄 산화물의 범위는 투명도를 향상시켜 치과 보철물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면서 취성을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소결된 코어와 도포되는 유리 조성물의 중량비는 1 : 0.0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결된 코어와 도포되는 유리 조성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 : 0.1 ~ 5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5 ~ 3일 수 있다.
상기 코어와 유리 조성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유리 조성물이 코어 내부에 형성된 기공으로 충분히 침투되지 않아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과량에 유리 조성물이 코어 표면에 잔류하여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300 ~ 700℃의 온도에서 1 ~ 10 분간 건조시킨 뒤, 800 ~ 1500 ℃의 온도에서 20 ~ 60 분간 유지한 후, 300 ~ 700℃의 온도에서 1 ~ 10 분간 냉각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조건은 유리 조성물을 코어의 다공성 구조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충분히 침투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과도한 시간과 고온의 열을 요구하지 않는 조건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의 제조
평균 입자 크기가 9.14㎛인 지르코니아(ZrO2)(CF-Super, Z-Tech Co, USA) 분말에 상-안정화제로 평균 입자 크기가 9.80㎛인 세리아(CeO2)(Unocal Molycop, USA)를 13 mol%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1,60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30℃/min 속도로 25℃까지 냉각시킨 후 볼밀로 분쇄하여 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분말과 순도가 99.99%이고 평균 입자 크기가 6.98㎛인 알루미나 분말(AM-21, Sumitomo Co, Japan)을 3 : 7 중량비로 혼합하여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세라믹 조성물에 광개시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혼합하여 3D 프린터용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시 사용된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 종류 제조예 1
(중량부)
세라믹 조성물 알루미나(Al2O3) 30
지르코니아(ZrO2) 70
광개시제 캄포퀴논 2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2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2
단량체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30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A) 30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30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UDMA) 30
<제조예 2> 유리 조성물의 제조
38 중량%의 란타늄 산화물(La2O3), 19 중량%의 실리카(SiO2), 19 중량%의 알루미나(Al2O3), 16 중량%의 산화붕소(B2O3), 4 중량%의 산화나트륨(Na2O), 2 중량%의 산화칼슘(CaO) 및 2 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을 혼합하여, 유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UV 경화 폴리머의 분해 온도 측정
열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1의 3D 프린터용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의 분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316.5℃에서 폴리머의 분해가 이러우지는 것을 확인한 바, 코어의 출력 후 400℃에서 20분간 유지함으로 출력된 폴리머가 분해되어 순수한 세라믹만 남기도록 보철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
보철물 제조를 위해 인체 치아를 스캔 후, CAD(Computer Aided Design)를 이용하여 코어의 모델을 디자인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예 1의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3D 프린터의 슬러리 튜브에 넣고, 3D 프린터(일루미네이드 사)를 이용하여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적층하고, UV 조사(405 nm에서 30초간 진행)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코어를 형성시켰다.
출력된 코어를 도재 소성로에 넣어 400℃에서 20분간 건조시킨 뒤, 70℃/min 속도로 1,150℃까지 상승시켜 1,150℃에서 20분간 유지한 후, 5분간 500℃까지 냉각시켜 소결된 코어를 얻었다.
상기 소결된 코어를 다이아몬드 포인트(diamond point)를 사용하여 두께를 0.5 mm로 조절한 뒤 수돗물로 세척하였다.
상기 코어상에 제조예 2의 유리 조성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코어와 1 : 1의 무게비로 도포한 뒤, 도재 소성로에 넣어 500℃에서 5분간 건조시킨 뒤, 70℃/min 속도로 1,150℃까지 상승시켜 30분간 유지한 후, 5분간 600℃까지 냉각시켜 유리 조성물을 코어 내부로 침투시켰다.
여기서, 진공은 500℃에서 시작하여 1,150℃에서 7분간 유지하여 주었다.
코어의 내면에 유리 조성물이 흘러 들어간 경우, 100 마이크론 크기의 알루미나 파우더로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하여 이를 마진 손상없이 깨끗하게 제거해 주었다.
<실험예 1>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과 보철물의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치과 보철물의 강도를 ISO6872의 3점 굴곡강도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 나타내었다.
최대값 굴곡 하중
[N]
최대값 굴곡 강도
[MPa]
두께
[mm]

[mm]
1 91.49 354,91 1.41 3.89
2 130.69 404.91 1.59 3.83
3 102.26 404.57 1.37 4.04
4 110.28 366,21 1.52 3.91
5 116,86 399.33 1.52 3.80
6 92.48 306.34 1.52 3.92
7 103.48 359.47 1.49 3.89
8 118.74 375.33 1.56 3.90
9 105.48 365.22 1.51 3.80
10 88.20 383.76 1.30 4.08
평균 106.00 372.01 1.48 3.91
그 결과, 최대값 굴곡 강도가 평균 372.01 MPa 로 나타난 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보철물이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적층하고 경화하여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소결하는 단계; 및
    상기 소결된 코어의 표면에 유리 조성물을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리 조성물을 코어 내부에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을 3D 프린터로 적층하고 경화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복 조성물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광개시제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캄포퀴논(Camphorquinone), 2-(디메틸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2-(Dimethylamino methacrylates),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및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비스페놀 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Bis-GMA),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EGDM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TGDMA), 에톡실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Bis-EMA),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UDMA), 디펜타에릴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모노포스페이트(dipentaerythritol pentacrylate monophosphate, PENTA),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폴리알케노익산(polyalkenic acid), 바이페닐 디메타크릴레이트(biphenyl dimethacrylate, BPDM),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glycerol phosphate dimethacrylate, GPDM)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르코니아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조성물은 란타늄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 10 ~ 100 중량부, 알루미나 10 ~ 100 중량부, 산화붕소 10 ~ 100 중량부, 산화나트륨 1 ~ 50 중량부, 산화칼슘 1 ~ 30 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 1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된 코어와 도포되는 유리 조성물의 중량비는 1 : 0.0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79367A 2019-12-31 2019-12-31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KR10238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67A KR102381025B1 (ko) 2019-12-31 2019-12-31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67A KR102381025B1 (ko) 2019-12-31 2019-12-31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857A true KR20210085857A (ko) 2021-07-08
KR102381025B1 KR102381025B1 (ko) 2022-03-31

Family

ID=7689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367A KR102381025B1 (ko) 2019-12-31 2019-12-31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3137A (zh) * 2022-12-20 2023-04-28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口腔修复体的智能支撑打印方法
WO2023158154A1 (ko) * 2022-02-15 2023-08-24 주식회사 하스 적층가공형 하이브리드 세라믹 치과 보철물
WO2023182514A1 (ja) * 2022-03-24 2023-09-28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光造形物及び非光造形物兼用接着性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092A (ko) * 2010-05-20 2010-07-01 손정오 쾌속조형기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조장치 및 방법
JP5138719B2 (ja) * 2009-03-27 2013-02-06 イフォクレール ヴィヴァ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熱溶融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プロセスによる歯科用セラミックの調製のためのスリップ
KR20140076923A (ko) * 2012-12-13 2014-06-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수복용 유리침투 사파이어/알루미나 복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3573B1 (ko) 2015-05-19 2017-08-01 (주)예스바이오골드 치과용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표면 에칭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의 제조방법
KR20180055232A (ko) * 2016-11-16 2018-05-25 이상혁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8719B2 (ja) * 2009-03-27 2013-02-06 イフォクレール ヴィヴァ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熱溶融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プロセスによる歯科用セラミックの調製のためのスリップ
KR20100074092A (ko) * 2010-05-20 2010-07-01 손정오 쾌속조형기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40076923A (ko) * 2012-12-13 2014-06-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수복용 유리침투 사파이어/알루미나 복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3573B1 (ko) 2015-05-19 2017-08-01 (주)예스바이오골드 치과용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표면 에칭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의 제조방법
KR20180055232A (ko) * 2016-11-16 2018-05-25 이상혁 치과용 수복재 코어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수복재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154A1 (ko) * 2022-02-15 2023-08-24 주식회사 하스 적층가공형 하이브리드 세라믹 치과 보철물
WO2023182514A1 (ja) * 2022-03-24 2023-09-28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光造形物及び非光造形物兼用接着性組成物
CN116023137A (zh) * 2022-12-20 2023-04-28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口腔修复体的智能支撑打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025B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ammadibassir et al. Effect of two polishing systems on surface roughness, topography, and flexural strength of a monolithic lithium disilicate ceramic
Lauvahutanon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blocks for CAD/CAM
KR102381025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Nordahl et al. Fracture strength of ceramic monolithic crown systems of different thickness
Helvey Classifying dental ceramics: numerous materials and formulations available for indirect restorations
JP4510462B2 (ja) 多結晶透光性アルミナ系セラミック材料
US6620747B2 (en) Low temperature-sintering apatite glass ceramic
EP2405883B1 (en) Composition for attaching a dental facing on a dental support structure, process and use thereof
KR102530648B1 (ko) 리튬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Bonfante et al. Indirect restorative systems—A narrative review
Ulgey et al. Effects of laser modalities on shear bond strengths of composite superstructure to zirconia and PEEK infrastructures: An in vitro study
US20150079408A1 (en) Modified porcelain veneer for bonding to bioceramics
Iwaguro et al. Effects of dimensions of laser-milled grid-like microslits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porcelain or indirect composite resin and zirconia
KR20210083623A (ko) 치과용 컴포지트 블랭크의 제조방법
Alsadon et 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Adhesion of Veneering Composite Resin to PAEK‐Based Substructure Restorative Materials
Sanohkan All-ceramic systems in Esthetic Dentistry: A review
WO2022036384A1 (en) Dental restorative material
Nasr et al. Effect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bonding of ultra-translucent zirconia
WO2014034736A1 (ja) 歯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Amr et al. The Clinical performance of all ceramic zirconia-veneered crowns after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f zirconia framework: 30 months clinical assessment
Nejatian et al. Material Choice
JP7319925B2 (ja) 靭性を向上させた歯科用製品
US20240130934A1 (en) Bulk block for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is
Sindhavajiva Shear Bond Strength and Interface Analysis of Different Veneering Ceramic Applications Over 3Y-TZP Substructure
Ibraheem et al.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different veneer materials on fracture resistance of zirconia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