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585A -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585A
KR20210085585A KR1020190178786A KR20190178786A KR20210085585A KR 20210085585 A KR20210085585 A KR 20210085585A KR 1020190178786 A KR1020190178786 A KR 1020190178786A KR 20190178786 A KR20190178786 A KR 20190178786A KR 20210085585 A KR20210085585 A KR 20210085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housing
hous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353B1 (ko
Inventor
윤창복
Original Assignee
솔라시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라시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라시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353B1/ko
Priority to EP20195676.0A priority patent/EP3845821A1/en
Priority to US17/024,463 priority patent/US20210199311A1/en
Publication of KR2021008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조형 공기 청정기는, 건축물의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 공기를 형성하는 제1 공조 하우징; 제1 공조 하우징의 일 단부 주변에 위치되어 제1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전달받아 혼합 공기를 정체시키는 제2 공조 하우징; 제2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혼합 공기의 일부를 전달받는 제3 공조 하우징; 제3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 혼합 공기를 전달받고 일부 혼합 공기를 정화시켜 청정 공기를 형성하는 제4 공조 하우징; 및 제1 공조 하우징의 타 단부 주변에 위치되어 제4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청정 공기를 전달받아 건축물의 내부에 청정 공기를 토출하는 제5 공조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AIR-CONDITIONING AND AIR-CLEANING EQUIPMEN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조형(空調型) 공기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 공기로부터 오염원을 제거시켜 청정 공기를 생성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청정 공기를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내부 공기로부터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프리필터, 그리고 필터식에서 헤파필터 또는 전기집진식에서 전기집진필터, 그리고 탈취필터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건축물의 내부 공기는 건축물의 내부 용도에 따라 탄소의 함유량 또는 냄새의 밀도 또는 특정 오염원의 발생 빈도를 높게 갖기 때문에 공기 청정기의 오염원 제거 기능에 한계를 준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헤파 필터는 섬유 조직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습도에 노출되는 경우 수분의 흡수율에 따라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필터 기능을 보인다.
상기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고전압 발생기의 공급 전압을 제어하지 못해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발생시킨다. 더불어, 상기 공기 청정기는 헤파 필터 또는 전기집진기의 오염원 제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파 필터 또는 전기집진기 주변에 부가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공기 청정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245호에도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245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청정 공기의 생성전 공기의 흡입 자유도를 증가시키면서 사용 수명 동안 필터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청정 공기의 생성시 오존 발생을 최소화시키며 단순한 내부 구조를 갖는데 적합한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는,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상기 건축물의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 공기를 형성하는 제1 공조 하우징;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일 단부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혼합 공기를 정체시키는 제2 공조 하우징;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의 일부를 전달받는 제3 공조 하우징;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 혼합 공기를 전달받고 상기 일부 혼합 공기를 정화시켜 청정 공기를 형성하는 제4 공조 하우징; 및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타 단부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청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상기 청정 공기를 토출하는 제5 공조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은, 서로에 대해 격벽을 통해 접촉하여 하나의 공조 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은, 상기 일부 혼합 공기 내 오염원에 대해 전기를 사용하여 이온화시키고 상기 전기를 사용하여 집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은, 상기 건축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기 유입 파이프에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제1 흡입구를 연결시켜 상기 외기 유입 파이프로부터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제2 흡입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상기 제1 흡입구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일측 격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타측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거름 벽체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부터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 공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건축물의 내부 온도와 함께 상기 혼합 공기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에 위치되는 히터를 통해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 온도에 상기 혼합 공기의 상기 공기 온도를 맞출 수 있다.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조 하우징과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마주하는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흐름 유도구를 통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과 연통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혼합 공기를 가두고,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센서를 통해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2 공조 하우징과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의 마주하는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흐름 개폐 유닛을 통해 상기 제2 공조 하우징과 간헐적으로 연통하고,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공기 센서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에 대한 전기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에서 공기 흐름 경로를 열어 상기 혼합 공기의 상기 일부를 흐르게 하거나 상기 공기 흐름 경로를 닫아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는,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은, 상기 공기 센서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흐름 경로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 및 상기 전자 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흡입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과 마주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를 가지고, 개별 공기 청정기의 보호통에,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을 향해 일렬로 배열되는 프리 필터와 공기 오염원 포집기와 고전압 발생기와 공기 팬과 포스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의 상기 일부 혼합 공기를 분산시켜 상기 청정 공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공기 거름 벽체 철망을 통과한 오염원을 거르는 공기 거름 용기 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거름 용기 철망은 상기 공기 거름 벽체 철망보다 더 작은 메시(mes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음(-) 전하로 대전되는 방전기; 및 양(+) 전하로 대전되는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기는,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 중 오염원에 아크 섬광을 접촉시켜 상기 오염원을 태우면서 상기 오염원을 상기 음 전하로 대전시켜 상기 방전기 주변으로 비산(飛散)시키고, 상기 집진기는,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음 전하로 대전된 오염원을 정전기 인력으로 끌어 당질 수 있다.
상기 방전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나선 홈을 갖는 절연관; 및 상기 절연관의 상기 나선 홈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절연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톱니를 돌출시키는 톱니 도전띠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 도전띠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상기 음 전하로 대전될 수 있다.
상기 절연관은, 상기 방전기에서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톱니 도전띠는, 상기 절연관의 상기 외주면에서 볼 때, 상기 절연관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관의 상기 나선 홈에서,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곧게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거나 상기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톱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관은, 상기 방전기에서 아령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원통 형상 대비 타측 원통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톱니 도전띠는, 상기 절연관의 상기 외주면에서 볼 때, 상기 일측 원통 형상과 상기 타측 원통 형상에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관의 상기 나선 홈에서,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곧게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거나 상기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톱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집진기는, 상기 방전기의 톱니 도전띠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방전기의 절연관 주변에 동심원을 가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제1 집진기 내지 제3 집진기; 및 상기 방전기의 상기 톱니 도전띠와 상기 절연관, 그리고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3 집진기를 둘러싸는 제4 집진기를 포함하고, 제1 집진기 내지 제4 집진기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양(+) 전하로 대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3 집진기는, 상기 제4 집진기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4 집진기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오존을 비생성시키는 전압을,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에 인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팬은, 상기 공기 팬의 구동시, 상기 프리 필터에 유입된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를 상기 프리 필터로부터 상기 포스트 필터로 유도하고, 상기 포스트 필터는,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에서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를 통과한 오염원을 거르는 활성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서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에 위치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유출 파이프에 상기 배출관을 연결시켜 상기 배출관과 공기 유출 파이프를 통해 상기 청정 공기를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온도 센서와,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공기 센서와,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과 함께,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의 고전압 발생기와 공기 팬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에서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에서 상기 전기 밸브와 상기 흡입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공기 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은, 상기 공조 하우징의 바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부 측에서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고,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거름 벽체 철망을 둘러싸는 하우징 고정 덮개를 가지고, 상기 공기 거름 벽체 철망은, 상기 하우징 고정 덮개에 힌지 수단을 통해 힌지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 잠금 수단을 통해 덮일 수 있다.
상기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은,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기 상부 측에서 개별적으로 복수의 힌지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 개폐 덮개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 개폐 덮개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반대 편에서 잠금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에 덮이고,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개폐 덮개를 통해 복수의 공기 청정기를 교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는,
건축물의 내부에 하나의 공조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 공기를 형성하고, 공조 하우징의 공기 청정기에서 공기 오염원 포집기의 금속제 방전기와 금속제 집집기 사이에 아크 방전을 발생시켜 혼합 공기 중 오염원을 이온화시키고, 금속제 방전기와 금속제 집집기 사이에 아크 방전의 발생시 혼합 공기로부터 오존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전압을 사용하고,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건축물의 내부에 청정 공기를 토출하므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청정 공기의 생성전 공기의 흡입 자유도를 증가시키면서 사용 수명 동안 필터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청정 공기의 생성시 오존 발생을 최소화시키며 공기 청정기에서 방전기와 집진기 이외에 프리 필터와 포스트 필터를 가지는 단순한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에서 공조 하우징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조 하우징에서 체크 포인트 'CP' 를 확대해서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공조 하우징에서 공기 청정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 청정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전기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방전기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2의 공조 하우징에서 제어부와 부품들의 전기적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에서 공조 하우징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공조 하우징에서 체크 포인트 'CP' 를 확대해서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공조 하우징에서 공기 청정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공기 청정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방전기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방전기에 대한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2의 공조 하우징에서 제어부와 부품들의 전기적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170)는, 건축물(도 9 또는 도 10의 220)의 내부(215)에 설치되어 건축물(220)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170)는, 제1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153, 155, 156, 157, 159)을 도 2와 같이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153, 155, 156, 157, 159)은, 도 1 및 도 2 및 도 3을 고려해 볼 때, 서로에 대해 격벽(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접촉하여 하나의 공조 하우징(160)을 구성한다. 먼저,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은, 건축물(220)의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 공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은, 도 2의 흐름선(F1)을 따라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도 1의 흐름선(F2)을 따라 내부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제2 공조 하우징(155)은,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일 단부 주변에 도 2와 같이 위치되어 제1 공조 하우징(153)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흐름선(도 2의 F3)을 전달받아 혼합 공기를 정체시킨다.
상기 제3 공조 하우징(156)은, 제2 공조 하우징(155)으로부터 혼합 공기의 일부를 흐름선(도 2의 F3)을 따라 전달받는다. 상기 제4 공조 하우징(157)은, 제3 공조 하우징(156)으로부터 일부 혼합 공기를 흐름선(도 2의 F3)을 따라 전달받고 일부 혼합 공기를 정화시켜 청정 공기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4 공조 하우징(157)은, 일부 혼합 공기 내 오염원에 대해 전기를 사용하여 이온화시키고 전기를 사용하여 집진시킨다. 상기 제5 공조 하우징(159)은, 제1 공조 하우징(153)의 타 단부 주변에 도 2와 같이 위치되어 제4 공조 하우징(157)으로부터 청정 공기를 흐름선(도 2의 F3)을 따라 전달받아 건축물(220)의 내부(215)에 청정 공기를 흐름선(F4)을 따라 토출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은, 건축물(220)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기 유입 파이프(도 9의 193 또는 도 10의 203)에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제1 흡입구(151)를 연결시켜 외기 유입 파이프(193 또는 203)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건축물(220)의 내부(215)에 노출되는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제2 흡입구(152)로부터 내부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제1 흡입구(151)는,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일측 격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관으로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제2 흡입구(152)는, 제1 공조 하우징의 타측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거름 벽체 철망으로 도 1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은, 건축물(220)의 외부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건축물(220)의 내부(215)로부터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로 이루어진 혼합 공기를 형성하고, 제1 공조 하우징(153)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도 1 또는 도 8의 123)를 통해 건축물(220)의 내부 온도와 함께 혼합 공기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제1 공조 하우징(153)에 위치되는 히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건축물(220)의 내부 온도에 혼합 공기의 공기 온도를 맞춘다.
상기 제2 공조 하우징(155)은, 제1 공조 하우징(153)과 제2 공조 하우징(155)의 마주하는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흐름 유도구(도 2 또는 도 3의 154)를 통해 제1 공조 하우징(153)과 연통하고, 제1 공조 하우징(153)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흐름선(F2)을 따라 전달받아 제2 공조 하우징(155)의 내부에 혼합 공기를 가두고, 제2 공조 하우징(155)의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센서(도 3 또는 도 8의 126)를 통해 건축물(220)의 내부(215)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를 측정한다.
상기 제3 공조 하우징(156)은, 제2 공조 하우징(155)과 제3 공조 하우징(156)의 마주하는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흐름 개폐 유닛(도 3의 129)을 통해 제2 공조 하우징(155)과 간헐적으로 연통하고, 제2 공조 하우징(155)의 공기 센서(126)로부터 건축물(220)의 내부(215)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에 대한 전기 신호를 인가받고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에서 공기 흐름 경로(도면에 미도시)를 열어 혼합 공기의 일부를 흐르게 하거나 공기 흐름 경로를 닫아 제2 공조 하우징(155)에 대해 기밀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은, 공기 센서(126)의 전기 신호에 따라 공기 흐름 경로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도면에 미도시), 및 전자 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흡입 팬(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4 공조 하우징(157)은, 제3 공조 하우징(156)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과 마주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110)를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갖는다.
또한, 상기 제4 공조 하우징(15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공기 청정기(110)의 보호통(90)에, 제3 공조 하우징(156)으로부터 제5 공조 하우징(159)을 향해 일렬로 배열되는 프리 필터(10)와 공기 오염원 포집기(50)와 고전압 발생기(60)와 공기 팬(70)과 포스트 필터(80)를 포함하고, 복수의 공기 청정기(100)에서,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의 일부 혼합 공기를 분산시켜 청정 공기를 형성한다.
상기 프리 필터(10)는, 제1 공조 하우징(153)의 공기 거름 벽체 철망(152)을 통과한 오염원을 거르는 공기 거름 용기 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거름 용기 철망은 공기 거름 벽체 철망(152)보다 더 작은 메시(mesh)를 갖는다.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50)는, 고전압 발생기(6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고전압 발생기(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음(-) 전하로 대전되는 방전기(24), 및 양(+) 전하로 대전되는 집진기(40)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기(24)는,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 중 오염원에 아크 섬광(도면에 미도시)을 접촉시켜 오염원을 태우면서 오염원을 음 전하로 대전시켜 방전기 주변으로 비산(飛散)시킨다. 상기 집진기(40)는,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음 전하로 대전된 오염원을 정전기 인력으로 끌어 당긴다.
상기 방전기(24 또는 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나선 홈을 갖는 절연관(21), 및 절연관(21)의 나선 홈을 따라 위치되어 절연관(21)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톱니를 돌출시키는 톱니 도전띠(23 또는 25)를 포함한다. 상기 톱니 도전띠(23 또는 25)는, 고전압 발생기(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음 전하로 대전된다.
상기 절연관(21)은, 방전기(24 또는 26)에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톱니 도전띠(23 또는 25)는, 절연관(21)의 외주면에서 볼 때, 절연관(21)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절연관(21)의 나선 홈에서,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23)에 곧게 마주하는 톱니를 도 5와 같이 가지거나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25)에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톱니를 도 6과 같이 갖는다.
이와는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관(22)은, 방전기(29)에서 아령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원통 형상 대비 타측 원통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톱니 도전띠(27, 28)는, 절연관(22)의 외주면에서 볼 때, 일측 원통 형상과 타측 원통 형상에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절연관(29)의 나선 홈에서,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곧게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거나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톱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집진기(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기(24)의 톱니 도전띠(23) 아래에 위치되어 방전기(24)의 절연관(21) 주변에 동심원을 가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제1 집진기 내지 제3 집진기(32, 34, 36), 및 방전기(24)의 톱니 도전띠(23)와 절연관(21), 그리고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3 집진기(32, 34, 36)를 둘러싸는 제4 집진기(3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제4 집진기(32, 34, 36, 38)는, 고전압 발생기(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양(+) 전하로 대전된다.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제3 집진기(32, 34, 36)는, 제4 집진기(38)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4 집진기(32, 34, 36, 38)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60)는, 공기 오염원 포집기(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오존을 비생성시키는 전압을, 공기 오염원 포집기(50)에 인가시킨다. 상기 공기 팬(70)은, 공기 팬(70)의 구동시, 프리 필터(10)에 유입된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를 프리 필터(10)로부터 포스트 필터(80)로 유도한다. 상기 포스트 필터(80)는,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에서 공기 오염원 포집기(50)를 통과한 오염원을 거르는 활성 탄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5 공조 하우징(159)은, 제5 공조 하우징(159)의 격벽에서 제4 공조 하우징(147)에 위치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11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배출관(도 1 또는 도 2의 158)을 가지고, 건축물(220)의 내부(215)에 위치되는 공기 유출 파이프(도 10의 196 또는 199, 도 11의 206 또는 209)에 배출관(158)을 연결시켜 배출관(158)과 공기 유출 파이프(도 10의 196 또는 199, 도 11의 206 또는 209)를 통해 청정 공기를 건축물(220)의 내부(215)에 토출한다.
상기 제5 공조 하우징(159)은, 제1 공조 하우징(153)의 온도 센서(123)와, 제2 공조 하우징(155)의 공기 센서(126)와, 제3 공조 하우징(156)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과 함께, 제4 공조 하우징(157)의 고전압 발생기(60)와 공기 팬(7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34)는, 외부 전원(138)을 인가받으면서, 온도 센서(123)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제1 공조 하우징(153)에서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공기 센서(126)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에서 전기 밸브와 흡입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공기 센서(126)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고전압 발생기(60)와 공기 팬(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1 공조 하우징(153)은, 공조 하우징(160)의 바닥을 기준으로 볼 때, 공조 하우징(160)의 상부 측에서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155, 156, 157, 159))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고, 공조 하우징(160)의 상부 측에서, 건축물(22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거름 벽체 철망(152)을 둘러싸는 하우징 고정 덮개(142)를 갖는다.
상기 공기 거름 벽체 철망(152)은, 하우징 고정 덮개(142)에 힌지 수단(146)을 통해 힌지 결합하면서 제1 공조 하우징(153)의 격벽에 잠금 수단(148)을 통해 덮인다. 상기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155, 156, 157, 159)은, 공조 하우징(160)의 상부 측에서 개별적으로 복수의 힌지 수단(146)을 통해 제1 공조 하우징(153)의 격벽에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 개폐 덮개(144)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 개폐 덮개(144)는, 제1 공조 하우징(153)의 반대 편에서 잠금 수단(148)을 통해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155, 156, 157, 159)에 덮인다. 상기 제4 공조 하우징(157)은, 하우징 개폐 덮개(144)를 통해 복수의 공기 청정기(110)를 교체시킨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건축물(220)의 내부(215)에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170)가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준비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170)의 흡입관(151)과 배출관(158)은, 건축물(220)의 내부(215)에 설치된 외기 유입 파이프(도 9의 193, 또는 도 10의 203)와 공기 유출 파이프(도 10의 196 & 199, 또는 도 11의 206 & 209)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조형 공기 청정장치(170)가 건축물(220)의 내부(215)에서 천정에 도 9와 같이 설치되는 때, 상기 공조형 공기 청정장치(170)는 도 1의 형상을 도 11과 같이 뒤집어서 공조 하우징(160)의 하부측을 천장과 마주보게 한 후 걸쇠(도 11의 185)를 통해 천장에 매달릴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공조형 공기 청정장치(170)가 건축물(220)의 내부(215)에서 벽 주변에 도 10과 같이 설치되는 때, 상기 공조형 공기 청정장치(170)는 도 1의 형상을 세로로 세워서 공조 하우징(160)의 흡입관(1511)과 배출관(1580을 천장과 마주보게 한 후 건축물의 벽체에 기대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170)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170)의 구동 동안, 공조 하우징(160)은 제3 공조 하우징(156)의 흡입팬을 통해 건축물(220)의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조 하우징(153)과 제2 공조 하우징(155)에 혼합 공기를 채울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조 하우징(160)의 제어부(134)는 온도 센서(123)와 공기 센서(126)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센서(123)는 내부 공기와 혼합 공기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부(134)에 전송한다. 상기 공기 센서(126)는 건축물(220)의 내부(215)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를 측정하여 개별 측정값을 제어부(134)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34)는 온도 센서(123)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 공조 하우징(153)의 히터를 구동시키고, 공기 센서(126)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3 공조 하우징(156)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과 함께 제4 공조 하우징(157)에서 개별 공기 청정기(110)의 고전압 발생기(60)와 공기팬(70)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129)은 전자 밸브를 통해 제2 공조 하우징(155)과 제3 공조 하우징(156)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를 개폐시키고, 흡입팬을 통해 제2 공조 하우징(155)으로부터 제4 공조 하우징(157)을 향해 혼합 공기의 일부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4)는 도 2 또는 도 3의 개별 공기 청정기(110)에 전선(도 4의 1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4)는 공기 센서(126)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흡입팬과 공기팬을 복수의 단계로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공기 하우징(160)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110)를 사용하여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청정 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하우징(160)은 개별 공기 청정기(110)의 공기팬(70)을 사용하여 청정 공기를 제5 공조 하우징(159)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로 상기 청정 공기는 제5 공조 하우징(159)의 배출구를 지나 공기 유출 파이프(도 10의 196 & 199, 또는 도 11의 206 & 209)를 경유하여 건축물(220)의 내부(215)에서 구획된 방에 토출될 수 있다.
110; 공기 청정기, 126; 공기 센서
129; 공기 흐름 개폐 유닛, 153; 제1 공조 하우징
154; 공그 흐름 유도구, 155; 제2 공조 하우징
156; 제3 공조 하우징, 157; 제4 공조 하우징
CP; 체크 포인트

Claims (19)

  1.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조형(空調型) 공기청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 공기를 형성하는 제1 공조 하우징;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일 단부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혼합 공기를 정체시키는 제2 공조 하우징;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의 일부를 전달받는 제3 공조 하우징;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 혼합 공기를 전달받고 상기 일부 혼합 공기를 정화시켜 청정 공기를 형성하는 제4 공조 하우징; 및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타 단부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청정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상기 청정 공기를 토출하는 제5 공조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은,
    서로에 대해 격벽을 통해 접촉하여 하나의 공조 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은,
    상기 일부 혼합 공기 내 오염원에 대해 전기를 사용하여 이온화시키고 상기 전기를 사용하여 집진시키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은,
    상기 건축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기 유입 파이프에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제1 흡입구를 연결시켜 상기 외기 유입 파이프로부터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제2 흡입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상기 제1 흡입구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일측 격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상기 제2 흡입구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타측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거름 벽체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은,
    상기 건축물의 외부로부터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내부 공기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 공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건축물의 내부 온도와 함께 상기 혼합 공기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에 위치되는 히터를 통해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 온도에 상기 혼합 공기의 상기 공기 온도를 맞추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조 하우징과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마주하는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흐름 유도구를 통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과 연통하고,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혼합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혼합 공기를 가두고,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센서를 통해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를 측정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2 공조 하우징과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의 마주하는 격벽에 위치되는 공기 흐름 개폐 유닛을 통해 상기 제2 공조 하우징과 간헐적으로 연통하고,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공기 센서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및 냄새에 대한 전기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에서 공기 흐름 경로를 열어 상기 혼합 공기의 상기 일부를 흐르게 하거나 상기 공기 흐름 경로를 닫아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는,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은,
    상기 공기 센서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흐름 경로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 및
    상기 전자 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과 마주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를 가지고,
    개별 공기 청정기의 보호통에,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을 향해 일렬로 배열되는 프리 필터와 공기 오염원 포집기와 고전압 발생기와 공기 팬과 포스트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의 상기 일부 혼합 공기를 분산시켜 상기 청정 공기를 형성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공기 거름 벽체 철망을 통과한 오염원을 거르는 공기 거름 용기 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거름 용기 철망은 상기 공기 거름 벽체 철망보다 더 작은 메시(mesh)를 가지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음(-) 전하로 대전되는 방전기; 및
    양(+) 전하로 대전되는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기는,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 중 오염원에 아크 섬광을 접촉시켜 상기 오염원을 태우면서 상기 오염원을 상기 음 전하로 대전시켜 상기 방전기 주변으로 비산(飛散)시키고,
    상기 집진기는,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음 전하로 대전된 오염원을 정전기 인력으로 끌어 당기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나선 홈을 갖는 절연관; 및
    상기 절연관의 상기 나선 홈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절연관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톱니를 돌출시키는 톱니 도전띠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 도전띠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상기 음 전하로 대전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관은,
    상기 방전기에서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톱니 도전띠는,
    상기 절연관의 상기 외주면에서 볼 때,
    상기 절연관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관의 상기 나선 홈에서,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곧게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거나 상기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관은,
    상기 방전기에서 아령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원통 형상 대비 타측 원통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톱니 도전띠는,
    상기 절연관의 상기 외주면에서 볼 때,
    상기 일측 원통 형상과 상기 타측 원통 형상에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관의 상기 나선 홈에서,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곧게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거나 상기 이웃하게 권선된 톱니 띠에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톱니를 가지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방전기의 톱니 도전띠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방전기의 절연관 주변에 동심원을 가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가지는 제1 집진기 내지 제3 집진기; 및
    상기 방전기의 상기 톱니 도전띠와 상기 절연관, 그리고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3 집진기를 둘러싸는 제4 집진기를 포함하고,
    제1 집진기 내지 제4 집진기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원을 인가받는 때,
    양(+) 전하로 대전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3 집진기는,
    상기 제4 집진기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집진기 내지 상기 제4 집진기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4.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로부터 오존을 비생성시키는 전압을,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에 인가시키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5.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팬은,
    상기 공기 팬의 구동시,
    상기 프리 필터에 유입된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를 상기 프리 필터로부터 상기 포스트 필터로 유도하고,
    상기 포스트 필터는,
    상기 분산된 일부 혼합 공기에서 상기 공기 오염원 포집기를 통과한 오염원을 거르는 활성 탄소를 포함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서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에 위치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유출 파이프에 상기 배출관을 연결시켜 상기 배출관과 공기 유출 파이프를 통해 상기 청정 공기를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에 토출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공조 하우징은,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온도 센서와, 상기 제2 공조 하우징의 공기 센서와, 상기 제3 공조 하우징의 공기 흐름 개폐 유닛과 함께,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의 고전압 발생기와 공기 팬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에서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공기 흐름 개폐 유닛에서 상기 전기 밸브와 상기 흡입 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공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은,
    상기 공조 하우징의 바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부 측에서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고,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건축물의 상기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거름 벽체 철망을 둘러싸는 하우징 고정 덮개를 가지고,
    상기 공기 거름 벽체 철망은,
    상기 하우징 고정 덮개에 힌지 수단을 통해 힌지 결합하면서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 잠금 수단을 통해 덮이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은,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기 상부 측에서 개별적으로 복수의 힌지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격벽에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 개폐 덮개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 개폐 덮개는,
    상기 제1 공조 하우징의 반대 편에서 잠금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공조 하우징 내지 제5 공조 하우징에 덮이고,
    상기 제4 공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개폐 덮개를 통해 복수의 공기 청정기를 교체시키는,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KR1020190178786A 2019-12-31 2019-12-31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KR102331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86A KR102331353B1 (ko) 2019-12-31 2019-12-31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EP20195676.0A EP3845821A1 (en) 2019-12-31 2020-09-11 Air-conditioning and air-cleaning equipment
US17/024,463 US20210199311A1 (en) 2019-12-31 2020-09-17 Air-conditioning and air-clean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86A KR102331353B1 (ko) 2019-12-31 2019-12-31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85A true KR20210085585A (ko) 2021-07-08
KR102331353B1 KR102331353B1 (ko) 2021-11-25

Family

ID=7247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86A KR102331353B1 (ko) 2019-12-31 2019-12-31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99311A1 (ko)
EP (1) EP3845821A1 (ko)
KR (1) KR102331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6285B (zh) * 2021-07-19 2022-08-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空调器、空调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031291B (zh) * 2022-06-21 2023-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新风结构、空调以及空调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5Y1 (ko) 2005-12-22 2006-03-07 (주)선재하이테크 공기청정기
KR200436983Y1 (ko) * 2007-07-04 2007-10-25 백상기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장치
KR100875973B1 (ko) * 2008-05-29 2008-12-26 주식회사 스펙 물분사 공기정화 집진기를 이용한 공조장치
JP2010007871A (ja) * 2008-06-24 2010-01-14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20180007206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쎄번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134A (en) * 1968-11-21 1971-06-08 Lectro Magnetics Inc Shielded air vents
US3570220A (en) * 1969-04-02 1971-03-16 John V Felter Combined access door and filter holder
DE29916321U1 (de) * 1999-09-16 1999-12-23 M & W Zander Facility Eng Gmbh Reinstlufteinrichtung für den Pharmazie-, Lebensmittel- und biotechnischen Bereich
JP3438054B2 (ja) * 2001-08-07 2003-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素子
ITVI20020255A1 (it) * 2002-11-22 2003-02-20 Giuseppe Amendol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sanificazione ambientale e localizzata di aria e di miscugli gassosi simili nonche' di prodotti superfici
US6800022B2 (en) * 2003-02-19 2004-10-05 Delphi Technologies, Inc. Inlet ai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HVAC system having an air quality sensor
KR100621078B1 (ko) * 2004-09-2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 및 공기 조화 시스템
EP2096365B1 (en) * 2008-02-29 2017-10-11 Johnson Controls-Hitachi Air Conditioning Technology (Hong Kong) Limited Heat source unit installed inside building
US20100186595A1 (en) * 2009-01-23 2010-07-29 Kang Na Hsiung Enterprise Co., Ltd. Composite filter and gas filt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9810441B2 (en) * 2012-02-23 2017-11-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with indoor air quality scheduling
WO2015085864A1 (zh) * 2013-12-09 2015-06-18 罗瑞真 空气净化装置及方法
CN103949344B (zh) * 2014-05-14 2016-08-17 武汉永磁科技有限公司 磁偏转高压脉冲除尘净化器
CN105444301A (zh) * 2015-11-18 2016-03-30 常州市利众环保科技有限公司 净化空调
CN106440121A (zh) * 2016-10-21 2017-02-22 成都朵猫文化传播有限公司 光触媒空气净化装置
CN108180553A (zh) * 2018-02-05 2018-06-19 张家港富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挂放式小型风机箱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5Y1 (ko) 2005-12-22 2006-03-07 (주)선재하이테크 공기청정기
KR200436983Y1 (ko) * 2007-07-04 2007-10-25 백상기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장치
KR100875973B1 (ko) * 2008-05-29 2008-12-26 주식회사 스펙 물분사 공기정화 집진기를 이용한 공조장치
JP2010007871A (ja) * 2008-06-24 2010-01-14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20180007206A (ko) * 2016-07-12 2018-01-22 주식회사 쎄번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5821A1 (en) 2021-07-07
US20210199311A1 (en) 2021-07-01
KR102331353B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295B1 (ko)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7368003B2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odor elimination
CN102057227B (zh) 换气装置
CN110958891A (zh) 电过滤器装置
KR102331353B1 (ko) 공조형 공기청정 장치
KR20170014717A (ko) 공기정화장치
JP5774119B2 (ja) 微生物・ウイルスの捕捉・不活化方法
JP4853604B2 (ja) 空気調和機
CN207076287U (zh) 空气净化器
JP2005076906A (ja) 空気調節装置
CN106765579A (zh) 空调器的净化装置及柜机
JPH01300130A (ja) 空気調和機
JP7196550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30075703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JP2001104458A (ja) 脱臭ユニット
CN217357205U (zh) 一种新型低阻高效空气过滤器及其净化空调
KR200326123Y1 (ko) 가습 및 냉풍겸용 공기청정기
KR100344068B1 (ko) 에어커튼막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JP3582802B2 (ja) 気体清浄装置
RU8280U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газов сварочных постов
KR0127112B1 (ko) 탈취 겸용 전기 집진 장치
JPH03270743A (ja) 卓上空気清浄器
CN2091681U (zh) 喷香保健型室内消烟除臭机
JPS63127043A (ja) 空気清浄装置
JPS6253749A (ja) 室内用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