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468A - 위성용 발사체 - Google Patents

위성용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468A
KR20210085468A KR1020190178523A KR20190178523A KR20210085468A KR 20210085468 A KR20210085468 A KR 20210085468A KR 1020190178523 A KR1020190178523 A KR 1020190178523A KR 20190178523 A KR20190178523 A KR 20190178523A KR 20210085468 A KR20210085468 A KR 2021008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satellite
doo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377B1 (ko
Inventor
김민기
김해동
최원섭
조동현
김진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3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002Launch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이 수납되며, 상기 위성이 사출되는 출구를 포함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성의 사출 시 상기 위성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며,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선형운동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발사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위성용 발사체{Satellite launch vehicl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용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인공위성은 '큐브위성(Cubesat)'이라고 불리며 지구관측, 우주 데이터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대학과 정부기관, 기업 등에서 연구용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상용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큐브위성은 분리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발사체에 고정되며, 이와 같은 분리장치는 진동과 충격과 같이 발사환경에서 발생하는 위협으로부터 큐브위성을 보호하고, 우주궤도에서 상기 큐브위성을 발사체로부터 분리하여 위성 궤도로 전개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수한 진동 저감 기능을 갖춘 발사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는 위성이 수납되며, 상기 위성이 사출되는 출구를 포함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성의 사출 시 상기 위성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며,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선형운동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의 타단은 선형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의 일단과 상기 링크부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링크부와 상기 하우징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삽입부가 도출되는 길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성을 사출시키도록 상기 위성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 내부에서 위성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성의 사출 시 위성의 경로를 안전하게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위성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사체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살체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사체(100)는 하우징(110), 도어(120), 가이드부(130), 링크부(140), 선형운동부(150) 및 구속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위성(10)을 수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배치되는 다각기둥, 원기둥, 사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10)이 사각기둥 형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10)은 위성(10)이 사출되는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지지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하우징(110)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부(111)는 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출구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어(120)는 출구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원판 또는 사각판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120)가 사각판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120)는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어(120)는, 하우징(110)의 출구의 일단과 도어(120)의 일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동에 의하여 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힌지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3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수납된 위성(10) 사이에 위치되어 위성(10)의 사출 시 위성(1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일 예로서, 가이드레일일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일 실시예로서, 위성(10)의 사출 시 위성(10)을 출구를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부(130)는 위성(10)을 하우징(110) 내부에 수납 시, 위성(10)을 출구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하우징(110)의 후면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선형운동부(150)는 하우징(110)의 표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형운동부(15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즉, Y축 방향)으로 상기한 하우징(110)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선형운동부(150)는 바(bar)일 수 있고, 일 예로서 링크바(link bar)일 수 있다.
링크부(140)는 선형운동부(150)와 가이드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140)의 일단은 가이드부(130)에 연결되고, 링크부(140)의 타단은 선형운동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링크부(140)는 링크바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링크부(140)의 일단은 가이드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부(140)의 타단은 선형운동부(1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링크부(140)는 가이드부(130)와 힌지조인트를 이용해 연결될 수 있고, 링크부(140)는 선형운동부(150)와 힌지조인트를 이용해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140)는 선형운동부(150)로부터, 하우징(110)의 표면에 구비된 링크부통과홀을 통과하여 가이드부(130)끼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링크부통과홀은 링크부(140)가 회동 운동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링크부(14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링크부(140)는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140)는 지지부(1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140)와 지지부(111)가 연결되는 연결점은 링크부(140)가 회동 운동하는 중심축이 되는 링크축(141)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링크부(14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1)도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지지부(111)는 각각의 가이드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링크부(140)는 하나의 가이드부(130)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링크부(140)는 하나의 선형운동부(150)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속부(160)는 도어(120)에 연결되어 선형운동부(15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구속부(16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의 선형운동부(150)의 선형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구속부(160)는 삽입부(161)와 고정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60)는 도어에 연결될 수 있다. 삽입부(16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도어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삽입부(161)는 일 실시예로서, 도어(120)에 구비된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어(120)는 도어(120)의 상부에 구속부지지부(121)를 포함하며, 삽입부(161)는 구속부지지부(121)에 구비된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61)는, 도어(120)에 삽입되어 도어(1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하여, 삽입부(161)의 일단이 선형운동부(150)의 일단과 맞닿을 수 있다. 반대로, 삽입부(161)는, 도어(1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선형운동부(150)루부터 멀어지도록 가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속부(160)는 도어(120)의 외측에 헤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헤드부는 상기한 삽입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구속부(160)가 도어(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161)는 일 예로서, 볼트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것이 아니며, 삽입부(161)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162)는 삽입부(161)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62)와 헤드부는 구속부지지부(12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62)는 도어(120)로부터 삽입부(161)가 돌출되는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삽입부(161)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도어(120)로부터 돌출된 후, 고정부(162)가 삽입부(161)에 연결되어 삽입부(161)의 돌출 거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구속부(160)에 의한 선형운동부(150)의 구속을 강화할 수 있으며, 위성 사출 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선형운동부(15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162)는 일 예로서, 조임나사 형태의 삽입부(161)에 나사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는 너트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구속되는 것이 아니며, 고정부(162)는 삽입부(161)를 파지하여 돌출 거리를 고정시키는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삽입부(160)가 볼트이며, 고정부(162)는 너트인 실시예의 경우에, 삽입부(161)의 나사부가 고정부의 나사홀과 나사결합 또는 해제하여 구속부(160)가 도어(12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구속부(160)는, 구속부(160)의 중심축이 선형구동부(150)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속부(160)와 선형구동부(150)가 서로 상이한 중심축을 갖는 경우에 비해, 구속부(160)가 선형운동부(150)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중심축을 통해, 구속부(160)로부터 선형구동부(150)로 전달되는 구속력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발사체(100)는 잠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170)는 도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170)는 도어(120)를 하우징(110)에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잠금부(170)는 도어(1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예로서, 잠금부(170)는 도어(120)의 측면과 하우징(110)의 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잠금부(170)는 연결나사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나사에 의해 잠금부(170)가 하우징(110) 및 도어(120)에 결합되어, 도어(120)는 차폐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잠금부(170)는 돌기 및 홈을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도어(120)를 구속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일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하우징(11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부(1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링크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우징(110)의 일 모서리에는 2개의 가이드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140)는 상기한 2개의 가이드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링크부(140)의 작동 시, 하우징(110)의 타 모서리에 배치된 다른 가이드부(130)에 의해 링크부(140)의 움직임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11)와 선형운동부(150)는 하우징의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130)와 대향하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표면에는 링크부(140)가 통과할 수 있는 링크부통과홀이 구비될 수 있다. 링크부(140)은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하우징(110) 표면의 링크부통과홀을 통과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링크부(140)의 일단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부(140)의 타단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선형운동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링크부(140)의 일단과 링크부(140)의 타단 사이에서 링크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링크부(140)는 지지부(111)와 선형운동부(1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링크부(140)는 지지부(111)와 선형운동부(150)에 의해 양쪽에서 지지되어, 링크부(140)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링크부(140)는 상술한 것과 상이한 순서로도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1)의 X축 방향 두께는, 링크부(140)의 X축 방향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지지부(111)의 두께는 링크부(14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선형운동부(150)의 X축 방향 두께는, 링크부(140)의 X축 방향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선형운동부(150)의 두께는 링크부(14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사체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살체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발사체(100)는 위성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력부(180)는 위성(10)이 발사체(100)로부터 분리될 때, 위성(10)을 사출시키도록 위성(1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성(10)은 우주 공간에서 위성 발사체(100)으로부터 이탈 및 전개되어 위성 궤도에 안착할 수 있다.
가력부(18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력부(18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위성(10)과 하우징(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력부(180)는 위성지지부(181)와, 위성지지부(181)에 연결되는 탄성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지지부(181)는 위성(10)과 접촉하여 위성(10)이 분리될 때 위성(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182)는 위성(10)이 분리될 때 위성지지부(181)에 힘을 공급할 수 있다. 탄성부(182)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위성지지부(181)와 하우징(110)의 후면부 사이에 삽입되어 위성지지부(181)에 힘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체(100)가 내부에 수납된 위성(10)을 고정시키는 작동 순서 및 방식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10)이 하우징(110) 내에 수납되고 도어(120)가 차폐될 수 있다. 도어(120)의 차폐 직후 구속부(160)는, 구속부(160)의 선형운동부(150)측 단부가 선형운동부(15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140)가 연결된 가이드부(130)와 위성(10)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존재할 수 있다(S10).
다음, 구속부(160)가 선형운동부(150)를 향해 돌출되도록 삽입부(161)의 돌출길이를 가변시켜, 선형운동부(150)측 단부를 선형운동부(150)의 도어(120)측 단부와 맞닿도록 조절할 수 있다(S20).
다음, 구속부(160)를 선형운동부(150)와 맞닿은 상태에서, 삽입부(161)의 돌출길이를 S20단계와 비교하여 출구의 반대방향 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가변시켜 선형운동부(150)를 출구의 반대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운동부(150)와 연결된 링크부(140)가, 링크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링크부(140)에 연결된 가이드부(130)를 위성(10)쪽으로 그리고 출구쪽으로 회동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링크부(140)는 가이드부(130)가 위성(10)에 접촉할 때까지 회동하여, 위성(10)을 압박할 수 있다(S30).
다음, 고정부(162)를 도어(120)에 밀착하여 고정되도록 조절하여 구속부(160)를 S30단계의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S40). 이때, 가이드부(13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의 위성(10)의 수직방향(즉, Z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이드부(130)와 위성(10)의 마찰력에 의해 위성(10)의 사출방향(즉, 축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억제할 수 있다.
다음, 위성(10)의 사출 시에는, 위성(10)이 사출되는 힘에 의해 도어(120)가 개방되면서 구속부(16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30)가 위성(10)을 압박하는 압박도 해제되어, 위성(10)이 발사체(100)의 외부로 사출될 수 있다(S5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사체는 선형운동부 및 링크부와 링크결합된 가이드레일을 회동 작동 및 구속부를 이용하여 위성을 압박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출방향 및 사출방향의 수직방향에서의 불필요한 위성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위성 발사 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발사체 내부에 수납된 위성의 기계적, 전기적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위성
100: 발사체
110: 하우징
111: 지지부
120: 도어
121: 구속부지지부
130: 가이드부
140: 링크부
141: 링크축
150: 선형운동부
160: 구속부
161: 삽입부
162: 고정부
170: 잠금부
180: 가력부
181: 위성지지부
182: 탄성부

Claims (7)

  1. 위성이 수납되며, 상기 위성이 사출되는 출구를 포함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성의 사출 시 상기 위성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며,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선형운동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발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의 타단은 선형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의 일단과 상기 링크부의 타단 사이에서 상기 링크부와 상기 하우징은 연결되는 발사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를 상기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발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삽입부가 도출되는 길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사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발사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발사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성을 사출시키도록 상기 위성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를 더 포함하는 발사체.
KR1020190178523A 2019-12-30 2019-12-30 위성용 발사체 KR10230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23A KR102304377B1 (ko) 2019-12-30 2019-12-30 위성용 발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23A KR102304377B1 (ko) 2019-12-30 2019-12-30 위성용 발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68A true KR20210085468A (ko) 2021-07-08
KR102304377B1 KR102304377B1 (ko) 2021-09-23

Family

ID=7689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23A KR102304377B1 (ko) 2019-12-30 2019-12-30 위성용 발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3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24B1 (ko) 2022-08-04 2023-02-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위성 시험장치 및 인공위성 시험방법
KR102513363B1 (ko) 2022-08-04 2023-03-2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성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체
KR102558237B1 (ko) 2022-11-29 2023-07-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1560A (ja) * 2010-05-31 2011-12-15 Ihi Corp 人工衛星搭載システム
DE202014008902U1 (de) * 2014-11-10 2015-01-20 Astro- Und Feinwerktechnik Adlershof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 Auswurf von Nanosatellit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1560A (ja) * 2010-05-31 2011-12-15 Ihi Corp 人工衛星搭載システム
DE202014008902U1 (de) * 2014-11-10 2015-01-20 Astro- Und Feinwerktechnik Adlershof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 Auswurf von Nanosatellit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24B1 (ko) 2022-08-04 2023-02-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위성 시험장치 및 인공위성 시험방법
KR102513363B1 (ko) 2022-08-04 2023-03-23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성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체
KR102558237B1 (ko) 2022-11-29 2023-07-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377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377B1 (ko) 위성용 발사체
KR102002306B1 (ko)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
US10569910B2 (en) Ejection unit for a satellite
KR102134620B1 (ko) 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위성 발사체 및 이를 이용한 발사 방법
US10871349B2 (en) Firearm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with acceleration resistant latch
CN110282162B (zh) 一种立方体卫星释放装置
CN107933976B (zh) 立方星弹射器及其弹射方法
US9675175B1 (en) Slide rail assembly
KR20140015444A (ko) 가동체 어시스트 장치
US9434486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 satellite
CN107933977B (zh) 立方星弹射器及其弹射方法
CN100482052C (zh) 电子单元装载机构和磁盘阵列装置
CN110537795A (zh) 一种触碰自动弹出抽屉的弹出装置和控制方法
KR101445499B1 (ko) 분리너트형 비폭발식 구속분리장치
CN110588520A (zh) 收容装置
KR20200000556A (ko) 파이로 고정분리장치의 텐션 볼트 포획 장치
KR20150126357A (ko) 다체형 록킹 부품 및 슬라이딩 도어
CN113237395B (zh) 基于杠杆机构的固弹装置
CN112124630B (zh) 一种立方星连接分离装置及其连接分离方法
CN113697133A (zh) 一种用于立方体微纳卫星的轨道部署器
CN108033033B (zh) 微小卫星弹射器及其弹射方法
US20040156673A1 (en) Apparatus for releasably interconnecting structural components having a rotational symmetry
KR100195813B1 (ko) 자동 접속 조립체
US20220178392A1 (en) Enclosure fastening module
CN110337704B (zh) 安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