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813B1 - 자동 접속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 접속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813B1
KR100195813B1 KR1019900019246A KR900019246A KR100195813B1 KR 100195813 B1 KR100195813 B1 KR 100195813B1 KR 1019900019246 A KR1019900019246 A KR 1019900019246A KR 900019246 A KR900019246 A KR 900019246A KR 100195813 B1 KR100195813 B1 KR 10019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nector
tube
support surfac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780A (ko
Inventor
폴부르지
Original Assignee
게네비브 부 탄
똥송-쎄 에스 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네비브 부 탄, 똥송-쎄 에스 에프 filed Critical 게네비브 부 탄
Publication of KR91001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는 한 측면에 제1커넥터, 대항측면에 신축가능 조립체(240, 250, 260)를 포함하는데, 상기 신축가능 조립체는 그것의 자유단부에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제어 작동기에 의해 구동되고, 그것이 신장되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에 접근하여 그것을 제1커넥터에 플러깅하고, 상기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는 플러깅의 시작에 앞서 두 커넥터가 서로 접근할때, 상기 두 커넥터를 축방향 및 축직각 방향으로 졍렬시키고 상호간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정렬 수단(241, 242, 243)을 포함하고, 커넥터의 총 플러깅을 탐지하여 작동기의 신장을 중단 시키는 작동기의 운동 제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 가능 조립체는, 고정 외부튜브(230)내에 놓이고, 제1커넥터에 연결 고정된 제1지지표면(122)과 상호 협력하도록 고안된 상기 지지표면과 같은 형태의 제2지지표면을 구비하는 매개 튜브(240)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 튜브내에 놓이고, 제2커넥터를 지지하고, 작동기의 로드에 접속된 내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를 상기 매개 튜브에 연접하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작동기가 접근하는 동안에, 작동기에 의해 상기 내부 튜브에 전달된 전위를 상기 매개 튜브에 전달 가능하게 하고, 상기 지지표면이 접촉되면 차츰 압축되어, 상기 작동기의 신장은 단지 내부 튜브만의 변위를 일으키게 한다.

Description

자동 접속 조립체
제1도는 차량에 지지된 미사일 발사대 튜브팩의 배치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커넥터가 완전히 접속된 위치에 있는 상호 접속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두 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위치에 있는 상기 상호 접속 조립체의, 제2도의 라인 III-III을 따라 취해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 커넥터 230 : 고정튜브
240 : 매개 튜브 250 : 내부 튜브
243 : 중심 맞춤 핀 123 : 중심 맞춤 구멍
130, 260 : 스프링 271 : 플랩 밸브
본 발명은 팩을 커넥터에 플러깅(plugging)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공동 커넥터 수단에 의해 상기 분야에서 팩으로 공지된, 하나로 결합된 다수의 미사일 발사대 튜브 및 동일한 모듈 블록의 발사 제어 시스템을 포차에 접속시키는 것에 대한 매우 특별한 적용이다.
제1도는 상기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1)는 장갑차량(2) 및 선박의 상부 구조물 등에 장착된 미사일 발사 장치이다.
상기 미사일 발사 장치는 여러가지의 탐지 및 추적 장치를 갖는 발사 제어 시스템 및 상대 방위(relative bearing)를 맞출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팩(4)이 장착된 방위각 변경 바렐(3)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팩(4)은 프레임 (5) 및 지지부(7) 등의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조립된 다수의 미사일 발사대 튜브(5)로 형성된 팩을 구성한다.
상기 팩은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미사일이 발사된 후에 교체하기 위해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팩의 차량에 대한 장착 및 기계적 로킹(locking)은 별도로 하더라도, 각 미사일에 대한 전기적 접속이 만족되어야 하고, 초기 변수 및 발사후 리셋팅(restting)이 만족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상기 전기적 접속은 오퍼레이터가 미사일 발사대 튜브의 커넥터에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된 적당한 플러그 소자를 수동으로 접속하므로서, 상기 팩의 각각의 튜브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루어 졌다.
단지 전기적인 면만 보면, 상기 방법은 정말로 만족할 만한 상호 접속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방법에서, 차량에 대한 팩의 기계적 장착이 완전히 원격 조종될 수 있고, 상기 팩이 차량에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에 있게 되자 마자 곧 자동적으로 로킹되는 반면에, 전기적 접속을 실행하기 위하여서는 오퍼레이터가 장갑차량의 밖으로 나와야 한다.
어떠한 환경에서는 상기와 같은 행동이 곤란하거나 위험하다.
이것은 핵이나 생물학 또는 화학전의 환경, 또는 저온에서(오퍼레이터는 매우 얇은 장갑을 낀다), 또는 발사 장소가 불안정할때(보통 선박에서) 등에서 두드러진다.
게다가, 불발(missfiring)의 경우에, 오퍼레이터는 다른 작동전에 결합이 있는 미사일에 대한 전기공급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에 따른 조치가, 결함이 있는 미사일 근처에서 행해져야 하는데 오퍼레이터가 전기 공급을 서로 틀리게 함으로써, 결합이 없는 미사일을 해체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생기는 추가의 위험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에, 자동적이고(오퍼레이터의 조치가 필요없는) 모든 미사일의 팩에 공통인(다른 미사일 발사대 튜브에 대한 조치와 관련된 위험을 피하기 위해) 상호 접속 시스템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상기와 같은 자동적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로, 수동 조작에 의해 실행되던 종래의 기능을 실행하는 자동 조립체에 의해 생기는 필연적인 초과 비용의 관점에서 볼때,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저가의 표준형 메인소자를 제작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에서 고찰된 대로 적용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되었지만, 보통 가장 비싼 부품인 커넥터 소자 및 제어작동기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표준 부품에(예를 들면 연구소에서 설치된 회로의 상호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 소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표준 부품이 의도하지 않은 여러가지 제한에 맞게 채택된 모습을 갖는 조립체 내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외부 침투 대한 보호물의 경우, 특히 상호 접속된 소자 사이의 각(angular) 방위의 결함 및 축방향과 횡 방향의 오정렬을 보상하는 경우가 대표할만한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준 부품이 미사일 랙의 전기적 접속의 상황에 따른 제한에 적용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확실한 장착(positive mounting)의 제한에 따르도록 하는 상호 접속 조립체, 즉 제어소자(보통 작동기)가 정지 하자 마자 곧 상기 조립체는 그것에 가해질수 있는 진동 및 외부 제한에도 불구하고 접속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폐쇄되어 현재의 상태로 작동기를 유지하는 신뢰할 만한 상호 접속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작용을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한 측면에 있는 제1커넥터.
-자유단부에 제2커넥터를 구비하고, 제어 작동기로 동작되고, 상기 작동기가 신장됨으로써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에 접근시켜 그 내부로 플러깅 시키는 대항 측면에 있는 신축가능한 조립체.
-플러깅의 시작에 앞서 두 커넥터가 서로 접근 할때 두 커넥터를 축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상호간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정렬 수단.
-커넥터의 총 플러깅을 탐지하여 작동기의 신장을 억제하는 작동기의 운동 제한수단.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가능 조립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고정 외부 튜브 내에 놓여 있고, 차량에 연결 고정 되어 있고, 상기 외부 튜브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팩을 향하여 있는 한 단부에 제2지지표면을 갖고, 상기 제2지지표면은 제1의 커넥터에 연결 고정된 동일한 형상의 제1지지표면과 상호 협력하도록 고안 되고, 상기 정렬 수단이 이들 지지표면상에 형성된 매개튜브.
-상기 매개튜브 내에 놓여있고, 그 내부에서 병진 운동을 하고, 팩을 향하여 있는 한 단부에 제2커넥터를 지지하고, 대향 단부에는 제어 작동기의 로드가 접속되어 있는 내부 튜브.
-상기 내부 튜브를 상기 매개 튜브에 연접하고, 작동기가 운동하는 동안에 작동기에 의해 상기 내부 튜브로 전달되는 전위를 상기 매개 튜브로 전달 가능하게 하고, 상기 지지표면이 접촉되면 차츰 압축되어, 상기 작동기의 신장은 단지 내부 튜브만의 전위를 일으크게하는 탄성수단.
몇개의 양호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지지표면을 포함하는 지지부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팩의 몸체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지지면이 접촉한 후에, 서로를 향해 두 지지면을 영구적으로 미는 수단을 연접시키는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팩의 몸체상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작동기가 전기 작동기 일때, 작동기의 운동을 제한하는 수단은, 상기 두 커넥터가 완전히 플러깅 되었을 때, 작동기가 정지하므로서 생기는 초과 전류를 탐지하는 수단과, 상기 초과 전류를 탐지함으로써 작동기에 대한 전류공급을 중단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첨부도면과 함께 기술될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면부호(100)는 팩의 측면에 위치한 여러 소자를 나타내고, 도면부호(200)는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 여러소자를 나타낸다.
상기 소자(100)는 전체 팩에 공통인 제1접속소자(110)를 반드시 포함하고, 이것은 상기 팩의 모든 튜브에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110)는 팩의 몸체(7)상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부품(120)상에 장착된다. 즉 상기 커넥터는 횡단축에 자유롭게 피봇팅 되도록 힌지되어, 축방향 병진 운동이 자유롭고 수직 및 수평방향 병진운동이 한정된다.
상기 유동 조립체는, 하기될 방법으로, 캐리지 상의 팩의 위치화 및 치수의 공차로 인한 상기 두 커넥터 사이의 어떠한 결함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유동 조립체는 피봇 역할을 하는 원추형 스프링(130) 수단으로 셋업되고, 상기 부품(120)은 가능한 오정렬을 바로 잡기 위해 충분한 공차를 갖고 상기 몸체(7)에 장착된다. 멈춤링(140)은 상기 부품(120)을 몸체(7)상의 일정 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부품(120)은 차량을 향하는 한 측면상에 앤드플레이트(121)를 갖는다. 상기 앤드플레이트(121)는 중심 맞춤 구멍(123)과 함께 제공된 지지표면(122)(도시된 예에서의 평면)을 제한한다. 상기 커넥터(110)는 그것의 선단부가 상기 관련 표면(122)의 평면을 넘어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부품(120)상에 장착된다.
차량의 측면에서, 동일한 형태의 커넥터(110)와 면하고 있는 커넥터(210)는 차량(3)에 연결고정된 고정튜브(230) 내부에 놓여 있는 신축 가능한 조립체 상에 장착된다.
상기 신축 가능한 조립체는 고정 튜브(230) 내에서 활주하는 매개 튜브(240) 및 매개 튜브(240) 내에서 활주하는 내부 튜브(25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210)는 활주 튜브(250)의 한단부(251)에 장착되고, 상기 활주 튜브의 대향측 단부(252)는 활주 튜브를 축방향으로 병진 운동시키는 작동기(220)의 로드에 접속된다.
상기 내부튜브(250)는 그것이 상기 매개 튜브(240)내에서 활주하는 것을 돕도록 고안된 활주 및 공차 수정 표면(253 및 254)을 갖고 있다.
상기 선단부에서, 상기 튜브(240)는 앤드플레이트(241)를 갖는다. 상기 앤드플레이트(241)의 외부를 향한 면은 지지표면(232)을 갖고, 상기 지지표면은 상기 부품(120)의 지지표면(122)과 동일한 형태이고 상기 부품(120)의 중심 맞춤 구멍(123)과 동일한 형태인 중심 맞춤 핀(243)을 포함한다. 상기 앤드플레이트(241) 내의 구멍(244)은 작동기가 신장되는 동안에, 상기 표면(244)(제2도에서 도시된 위치)을 넘어서 돌출한 커넥터(210)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튜브(250)와 마찬가지로, 매개 튜브(240)는 그것이 고정 튜브(230)내에서 활주가 쉽게 되도록 하는 안내 및 활주표면(246 및 247)을 갖고 있다.
상기 튜브(240 및 250)는 이들 두 부품의 각각의 쇼울더(245 및 255) 사이에 개재됨으로서, 두 부품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미는 스프링(260)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거기에, 병진운동을 하는 여러 부품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매개 튜브(240) 내에 연결 고정된 횡당 돌기부(248)(제2도)를 위한 부분이 있으며, 이것은 첫째로 고정 튜브(230)에 대하여 두째로 내부 튜브(250)에 대한 매개 튜브(240)의 전위를 제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부 침투로 부터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폐쇄 수단 부분이 있다. 예를 들면 조립체(270)는 축(272)에 의해 차량의 몸체(3)상에 힌지된 플랩 밸브(271)를 포함하고, 매개 튜브(250)가 신장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플랩 밸브를 개방되도록 하는 개방 제어 롤러(273)를 포함한다.
랙의 커넥터(110)는 역시 적절한 플랩(도시 없음)을 갖고 있고, 매개 튜브(250)가 신장된 상태에 있는 동안 핀(243)의 압력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우리는 지금 상기 상호 접속 시스템의 작용을 기술할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상기 두 커넥터(110 및 120)는 그들 각각의 폐쇄 소자(제3도에 도시없음)에 의해 분리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신호가 미사일로 갈 수 없고, 따라서 완전히 폐쇄된다. 특히 불발의 경우에, 상기 비활동 상태로의 신혹한 복귀는 팩의 미사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신호의 전달을 신속하게 방해할 것이다.
추가로, 폐쇄수단이 닫혔기 때문에 상기 접속 소자는 외부침투(비, 모래, 진흙 등)로 부터 분리되어 보호될 것이다.
상기 커넥터를 플러깅 하라는 명령이 (예를 들면, 팩이 차량의 일정 위치에 기계적으로 로킹되자 마자 곧 자동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있을 때, 다음의 동작이 차례로 일어난다.
-작동기가 신장되기 시작하여 내부 튜브(250) 및 매개 튜브(240)를 동시에 뒤로 민다. (내부 튜브(250)에 가해진 힘이 상기 튜브를 전위 시킴으로써 매개튜브(240)로 힘을 전달하는 스프링 수단에 의해), 상기 매개 튜브(240)는 고정 튜브(230)의 외부로 돌출하기 시작하고, 롤러(273)상에 놓여 있게 된다. 이것은 플랩 밸브(271)를 위로 기울게 한다. 상기 플랩 밸브가 90°피봇될 때, 상기 롤러(273)는 매게 튜브(240)(제2도에 도시)의 모선(generatrix)을 따라 구르고, 상기 시스템의 다른 부분의 후속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팩의 커넥터(110)를 보호하는 플랩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시스템과 접촉하는 하나의 핀(243)은 플랙 밸브가 후퇴 하도록 한다. 그때 상기 두 커넥터는 모두 릴리스 되어 서로로 부터 일정거리에서 면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는 계속하여 신장되고, 차량의 측면상의 앤드플레이트(241)는 팩 측면상의 앤드플레이트(121)와 만난다. 각각의 조합 평면(242 및 122)은 서로 맞닿고 중심 맞춤은 핀(242)이 중심 맞춤구멍(123)으로 들어 감으로서 달성된다. 역시 상기 핀은 상기 두 커넥터의 각 방향 위치의 에러를 수정가능하게 하여, 축방향 및 횡 방향 모두 정확히 정렬시키고, 그들이 정확히 플러깅 되도록 상호간의 각도도 맞춘다.
-상기 매개 튜브(240)는 고정 튜브(230)의 내부 쇼울더(233)와 접하여, 매개 튜브(240)의 운동을 정지 시킨다. 즉 원추형 스프링(130)에 의해 가해진 압력은 두 앤드플레이트(121 및 241)를 대항 접촉 유지 시킨다.
-매개 튜브(240)의 운동이 종료되고, 상기 작동기가 계속하여 신장됨에 따라, 커넥터(210)를 점차로 구멍(244)외부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스프링(260)을 압축한다. 운동의 종료 및 한계저는 상기 튜브의 단면(257)이 제2도에 도시된 매개 튜브(240)의 내부 쇼울더(249)와 접할때 발생한다.
그때 상기 두 커넥터는 완전히 플러깅 한다. 전기 작동기(220)에 공급된 전류에 있어서, 한계정지에 상당하는 접합점이 몸으로서 생기는 초과 전류를 탐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 시키기 위한 초과 전류 탐지 설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 위치에서, 상호 접속이 성취되고, 상호 접속은 작동기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아도 그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두 커넥터를 해체 시킬 수도 있는 어떠한 힘 또는 진동에 대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계정지 위치에서 후퇴한 작동기는 작동기 내에 제작된 접촉기에 의해 정지하고, 상기 운동의 기계적인 제한은 돌출부(248)에 의해 이루어진다.

Claims (5)

  1. 커넥터를 플러깅 함으로서 프레임을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자동상호 접속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팩상에서 지지되고 제1지지 표면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접근하여 그안에 플러깅 될 수 있는 제2커넥터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외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내에 위치되며 이동가능 로드를 갖는 제어 작동기와, 고정된 외부 튜브내에 수용되고, 그안에서 축방향으로 병진 운동 가능하며, 팩을 향하여 있는 한단부에 상기 제1지지표면과 동일한 형상의 제2지지표면을 갖는 중간 튜브와, 상기 중간 튜브내에 수용되고, 그 내부에서 병진운동 가능하며, 상기 팩을 향하여 위치하고 제2커넥터를 지지하는 제1단부와 상기 제어 작동기의 로드에 접속된 제2단부를 갖는 내부 튜브와, 상기 내부 튜브 및 상기 중간 튜브사이에 연접되며, 접근 운동을 할때 상기 제1및 제2지지 표면이 접촉할때까지 상기 작동기에 의해 내부 튜브로 전달된 변위를 상기 중간 튜브로 전달 가능하게 하고, 차츰 압축되며, 상기 작동기의 신장은 단지 내부 튜브만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탄성수단과, 플러깅의 시작에 앞서 두 커넥터가 서로 접근할때 상기 두 커넥터를 축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렬시키고 상호간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표면상에 형성된 정렬 수단과, 커넥터의 총 플러깅을 탐지하고, 작동기의 신장을 억제하는 작동기의 이동 제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지지표면을 포함하는 지지부상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팩의 몸체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호접속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두 지지면이 접촉한 후에, 서로를 향해 두 지지면을 영구적으로 미는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팩의 몸체상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호 접촉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전기 작동기 이고,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제한하는 상기 수단은 두 커넥터가 함께 완전히 플러깅 되었을때, 작동기가 정지 함으로써 생기는 초과전류를 탐지하고, 상기 초과전류를 탐지하면 작동기에 대한 전류 공급을 중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이 가장 신축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잭에 대한 전류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전기적 한계 멈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상호 접속 조립체.
KR1019900019246A 1989-11-28 1990-11-27 자동 접속 조립체 KR100195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15617A FR2655210B1 (fr) 1989-11-28 1989-11-28 Ensemble d'interconnexion automatique, notamment pour raccordement electrique a un bloc modulaire comportant une pluralite de tubes lance-missile.
FR8915617 1989-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780A KR910010780A (ko) 1991-06-29
KR100195813B1 true KR100195813B1 (ko) 1999-06-15

Family

ID=938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246A KR100195813B1 (ko) 1989-11-28 1990-11-27 자동 접속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71364A (ko)
EP (1) EP0435707B1 (ko)
JP (1) JPH03187177A (ko)
KR (1) KR100195813B1 (ko)
CA (1) CA2029379A1 (ko)
DE (1) DE69016984T2 (ko)
FR (1) FR2655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804B1 (fr) * 1993-06-28 1995-08-25 Gec Alsthom Transport Sa Système de connexion électronique.
IT1261381B (it) * 1993-12-10 1996-05-20 If 1 Srl Gruppo connettore, particolarmente del tipo multiplo ad innesti rapidi
US6052271A (en) * 1994-01-13 2000-04-18 Rohm Co., Ltd. Ferroelectric capacitor including an iridium oxide layer in the lower electrode
US5397244A (en) * 1994-04-20 1995-03-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reload release mechanism
US8246372B1 (en) * 2010-05-27 2012-08-21 Williams-Pyro,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nchor mount
JP2015230790A (ja) * 2014-06-04 2015-12-21 株式会社Ihi レセプタクル
EP3021425A1 (en) * 2014-11-11 2016-05-18 Spinner GmbH Self-aligning connector interface
JP6516144B2 (ja) * 2015-01-30 2019-05-22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コネクタ接続ガイド、及びコネクタ接続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9925A (en) * 1959-10-22 1963-05-14 Landstrom Sven Warmup contactor for guided missile launching system
US3156512A (en) * 1962-01-26 1964-11-10 Itt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quick disconnect umbilical connector
SU604063A1 (ru) * 1974-05-22 1978-04-25 Московское Отделе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Гипрорыбфлот"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зъем
JPS53102518A (en) * 1977-02-21 1978-09-06 Nippon Air Brake Co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upling and releasing piping and wiring between vehicles
US4264115A (en) * 1978-03-01 1981-04-28 Bunker Ramo Corporation Interstage electrical connector
US4508404A (en) * 1981-11-23 1985-04-02 Ball Corporation Remote connect and disconnect assembly with energy isolation
US4580862A (en) * 1984-03-26 1986-04-08 Amp Incorporated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4669791A (en) * 1984-09-06 1987-06-02 Integrated Circuit Systems, Ltd. Conne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5707A1 (fr) 1991-07-03
DE69016984T2 (de) 1995-06-22
US5071364A (en) 1991-12-10
FR2655210B1 (fr) 1994-02-25
EP0435707B1 (fr) 1995-02-15
JPH03187177A (ja) 1991-08-15
DE69016984D1 (de) 1995-03-23
KR910010780A (ko) 1991-06-29
CA2029379A1 (fr) 1991-05-29
FR2655210A1 (fr)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9910B2 (en) Ejection unit for a satellite
KR100195813B1 (ko) 자동 접속 조립체
US4177964A (en) Docking system for space structures
US6344736B1 (en) Self-aligning interface apparatus for use in testing electrical
US4508404A (en) Remote connect and disconnect assembly with energy isolation
US4030797A (en) Electrical connector
US11572201B2 (en) Actuated resettable shockless hold down and release mechanism (ARES HDRM)
US4500226A (en) Coupling device, an electric motor fitted with said device and a method of coupling two electric motors together
EP1851502A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fin with unlimited adjustment and no backlash
CN108063077B (zh) 用于断路器的互锁机构
US20210362885A1 (en) In-space grasp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4023881A (en) Connectors
US5062347A (en) Trunnion assembly
KR101853264B1 (ko) 무장 장착대
US6506993B1 (en) Drive device for a switching device for medium-voltage switchgear assemblies
EP3360777A1 (en) Opening and secure-closing system for aircraft doors
US6568950B2 (en) Umbilical disconnect connector
SU1072159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зъем дл межблочной стыковки
US5466163A (en) Umbilical mechanism
JP2002329539A (ja) 電気コネクタ
US3089925A (en) Warmup contactor for guided missile launching system
RU2799299C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зенитной управляемой ракеты
CN214690267U (zh) 一种分离铰链机构
Barron et al. Umbilical mechanism
JP3242285B2 (ja) コネクタ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