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237B1 -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 Google Patents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237B1
KR102558237B1 KR1020220162921A KR20220162921A KR102558237B1 KR 102558237 B1 KR102558237 B1 KR 102558237B1 KR 1020220162921 A KR1020220162921 A KR 1020220162921A KR 20220162921 A KR20220162921 A KR 20220162921A KR 102558237 B1 KR102558237 B1 KR 10255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icro
microsatellite
supported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4Systems for coupling or separating cosmonautic vehicles or parts thereof, e.g. docking arrangements
    • B64G1/645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4Systems for coupling or separating cosmonautic vehicles or parts thereof, e.g. docking arrangements
    • B64G1/641Interstage or payload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1 몸체부; 초소형 위성을 사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부에 설치되는 사출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고, 상기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초소형 위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다가 사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NANO SATELLITE LAUNCH APPARATUS}
본 발명은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소형 위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다가 사출시킬 수 있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켓과 같은 발사체는 위성을 탑재하고 공중으로 발사될 수 있다. 공중에서 위성은 발사체로부터 분리되고, 설정된 궤도를 따라 비행하면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초소형 위성에 대한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초소형 위성을 우주에서 설정된 궤도로 안정적으로 사출하기 위한 사출장치의 구조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이때, 초소형 위성은 주로 상용부품을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제작되며, 원활한 운용 및 임무수행을 위해 다수개가 군집 대형을 이룬다. 따라서, 초소형 인공위성이 군집 대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수개가 함께 발사되어야 한다. 이에, 발사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발사체에 탑재할 수 있는 초소형 위성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사체에 탑재되는 장치들을 경량화시킬 필요가 있다.
KR 2021-0085468 A
본 발명은 무게를 감소시켜 경량화가 가능한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초소형 위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다가 사출시킬 수 있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1 몸체부; 초소형 위성을 사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부에 설치되는 사출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고, 상기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는 제1 몸체부재; 및 상기 사출부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부재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돌출체; 및 상기 제1 돌출체와 이격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돌출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체와 상기 제2 돌출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몸체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몸체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해주도록 연장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재보다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가 짧고,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서로 다른 부분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강체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돌출체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돌출체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연결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부는, 일단이 상기 초소형 위성과 접촉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초소형 위성을 상기 결합부재에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부재; 및 상기 초소형 위성의 구속을 풀어주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사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의 무게를 감소시켜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에,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의 무게가 감소한 만큼 발사체에 탑재할 수 있는 초소형 위성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초소형 위성을 효율적으로 우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가 경량화되더라도 초소형 위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다가 사출시킬 수 있다. 이에, 초소형 위성이 우주까지 안전하게 운반되어 정해진 궤도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가 초소형 위성을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가 초소형 위성을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가 초소형 위성을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가 초소형 위성을 지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는, 발사체에 탑재되어 초소형 위성을 지지하다가 우주에서 초소형 위성을 사출하는 사출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는 사출부(130),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초소형 위성(50)은 100kg 이하의 무게를 가지고, 주로 상용부품을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제작되며, 원활한 운용 및 임무수행을 위해 다수개가 군집 대형을 이룬다. 따라서, 초소형 위성(50)이 군집 대형을 이루게 하기 위해 다수개의 초소형 위성(50)을 발사체에 탑재하여 함께 발사한다. 또한, 초소형 위성(50)은 일반적인 인공위성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소형 위성(50)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초소형 위성(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발사체는 초소형 위성(50)을 우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발사체는 초소형 위성이 수납되는 수납부, 및 수납부를 우주로 발사하기 위한 추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는 초소형 위성(50)과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 및 수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60)를 구비한다. 따라서,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는 바닥부재(60) 상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사출부(130)는 초소형 위성(50)을 사출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10)에 설치된다. 이에, 사출부(130)는 제1 몸체부(110)에 지지되고, 초소형 위성(50)은 사출부(130)에 지지될 수 있다. 사출부(130)는 초소형 위성(50)을 지지하다가 우주에서 초소형 위성(50)을 사출시켜 정해진 궤도로 초소형 위성(50)을 진입시킬 수 있다. 사출부(130)는 결합부재, 구속부재, 및 사출부재를 포함한다.
결합부재는 제1 몸체부(110)와 초소형 위성(50)이 이격되는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일단은 초소형 위성(50)과 접촉 가능하고, 타단은 후술될 제1 몸체부(110)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12)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중심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의 둘레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를 더욱 경량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결합부재의 형상과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속부재는 초소형 위성(50)을 결합부재에 구속시킬 수 있다. 구속부재에 의해 초소형 위성(50)이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출부재는 결합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사출부재는 초소형 위성(50)의 구속을 풀어줄 수 있다. 이에, 우주에서 사출부재가 작동하여 초소형 위성(50)을 구속부재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풀어주면, 초소형 위성(50)이 결합부재와 분리되면서 사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우주에서 초소형 위성(50)이 이동하여 정해진 궤도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발사체에 탑재되어 하부가 발사체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몸체부(110)가 발사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재(6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사출부(130) 및 사출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초소형 위성(50)을 지지해줄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몸체부재(111), 및 지지부재(112)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재(111)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1)의 일면은 초소형 위성(50)과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초소형 위성(5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은 제2 몸체부(120)와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몸체부(1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111)는 초소형 위성(50)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부재(111)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경량화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1)는 본체(111a), 제1 돌출체(111b), 및 제2 돌출체(111c)를 포함한다.
본체(111a)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1a)의 하단부는 발사체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11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돌출체(111b)는 본체(1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11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체(111b)는 본체(111a)의 좌측 상단에서 돌출되어 지지부재(112)의 좌측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돌출체(111b)가 지지부재(112)의 일측을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체(111b)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체(111b)는 삼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체(111b)를 경량화하면서 제1 돌출체(111b)로 지지부재(112)의 일측을 지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체(111b)는 본체(111a)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돌출체(11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돌출체(111c)는 제1 돌출체(111b)와 이격되고, 본체(1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112)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체(111c)는 제1 돌출체(111b)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고, 본체(111a)의 우측 상단에서 돌출되어 지지부재(112)의 우측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돌출체(111c)가 지지부재(112)의 타측을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체(111c)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체(111c)는 삼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출체(111c)를 경량화하면서 제2 돌출체(111c)로 지지부재(112)의 일측을 지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체(111c)는 본체(111a)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돌출체(111c)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돌출체(111b)와 제2 돌출체(111c)가 함께 지지부재(112)를 지지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돌출체(111b)와 제2 돌출체(111c)가 경량화되어 무게가 감소하여도, 제1 돌출체(111b)와 제2 돌출체(111c)가 지지부재(112) 및 지지부재(112)가 지지하는 사출부(130)와 초소형 위성(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지지부재(112)에는 사출부(130)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12)는 제1 몸체부재(11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몸체부재(111)의 제1 돌출체(111b)의 상단부가 지지부재(112)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1 몸체부재(111)의 제2 돌출체(111c)의 상단부가 지지부재(112)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112)로 전달되는 초소형 위성(50) 및 사출부(130)의 무게가 제1 돌출체(111b)와 제2 돌출체(111c)로 분산되어 지지부재(112)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12)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부(130)의 결합부재의 단면 형상을 따라 지지부재(112)가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12)가 경량화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110)와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발사체에 탑재되어 하부가 발사체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몸체부(120)가 발사체에 구비되는 바닥부재(6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연결부(140)를 통해 제1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부(120)는 제1 몸체부(110)와 함께 사출부(130)를 지지해줄 수 있기 때문에, 사출부(130)가 초소형 위성(50)과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출부(130)와 초소형 위성(50)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20)에 의해 우주로 이동할 때까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2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2 몸체부재(121), 및 보강부재(122)를 포함한다.
제2 몸체부재(121)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21)의 하단부는 발사체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21)의 일면은 제1 몸체부재(111)와 일방향(또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몸체부재(111)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21)는 제1 몸체부재(111)보다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부재(121)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재(121)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몸체부재(121)는 제1 몸체부재(111)가 제1 돌출체(111b)와 제2 돌출체(111c)를 구비하는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몸체부재(121)의 하부가 발사체와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제2 몸체부재(121)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면서, 제2 몸체부재(121)의 상부 크기를 감소시켜 제2 몸체부재(121)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몸체부재(1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보강부재(122)는 제2 몸체부재(121)와 지지부재(112)를 연결해주도록 연장된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12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몸체부재(121)의 상단과 지지부재(112)의 상단을 연결하고 지지부재(112)가 지지되는 구조를 보강해줄 수 있다. 즉, 보강부재(122)가 제1 돌출체(111b) 및 제2 돌출체(111c)와 함께 지지부재(112)를 지지해주기 때문에, 지지부재(112) 및 지지부재(112)가 지지하는 사출부(130)와 초소형 위성(5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보강부재(122)는 복수개의 보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체들은 서로 이격되어 지지부재(112)의 서로 다른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체(122a) 및 제2 보강체(12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강체(122a)는 제2 몸체부재(121)의 일측 상부와 지지부재(112)의 일측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21)가 제1 몸체부재(111)보다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가 짧아 제1 몸체부재(111)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12)가 제2 몸체부재(121)의 상부보다 위치가 높기 때문에, 제1 보강체(122a)는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체(122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전단부가 지지부재(112)의 좌측 상부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제2 몸체부재(121)의 좌측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1 보강체는 제1 돌출체(111b)와 함께 지지부재(112)의 일측을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12)의 일측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보강체(122b)는 제2 몸체부재(121)의 타측 상부와 지지부재(112)의 타측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21)가 제1 몸체부재(111)보다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가 짧아 제1 몸체부재(111)에 지지되는 지지부재(112)가 제2 몸체부재(121)의 상부보다 위치가 높기 때문에, 제2 보강체(122b)는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강체(122b)는 제1 보강체(122a)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전단부가 지지부재(112)의 우측 상부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제2 몸체부재(121)의 우측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보강체는 제2 돌출체(111c)와 함께 지지부재(112)의 타측을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12)의 타측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사이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140)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중심부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부(120)가 연결부(140)를 통해 제1 몸체부(110)와 연결되어 제1 몸체부(110)와 함께 사출부(130) 및 사출부(130)에 지지되는 초소형 위성(50)을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출부(130) 및 사출부(130)에 지지되는 초소형 위성(50)의 무게가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에 분산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1 연결부재(141), 및 제2 연결부재(14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141)는 제1 돌출체(111b)와 제2 몸체부(12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제1 연결부재(141)는 제1 돌출체(111b)와 제2 몸체부(1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제1 돌출체(111b)의 후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몸체부재(121)의 전면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부재(121)가 제1 연결부재(141)에 의해 제1 몸체부재(111)와 연결되어 제1 몸체부재(111)와 함께 지지부재(112) 및 지지부재(112)에 지지되는 사출부(130)와 초소형 위성(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41)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41)가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21)에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제1 연결부재(141)가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21)를 안정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42)는 제2 돌출체(111c)와 제2 몸체부(12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제2 연결부재(142)는 제2 돌출체(111c)와 제2 몸체부(1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제1 돌출체(111b)의 후면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몸체부재(121)의 전면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부재(121)가 제2 연결부재(142)에 의해 제1 몸체부재(111)와 연결되어 제1 몸체부재(111)와 함께 지지부재(112) 및 지지부재(112)에 지지되는 사출부(130)와 초소형 위성(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42)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142)가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21)에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제2 연결부재(142)가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21)를 안정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재(141)와 제2 연결부재(142)는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41)와 제2 연결부재(142)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결부재(141)와 제2 연결부재(142)가 함께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21)를 연결하여,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21)가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141)와 제2 연결부재(142)의 연결부에 관통홀(H)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41)와 제2 연결부재(142)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경량화하여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의 무게가 감소한 만큼 발사체에 탑재할 수 있는 초소형 위성(50)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초소형 위성을 효율적으로 우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100)가 경량화되더라도 초소형 위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다가 사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소형 위성이 우주까지 안전하게 운반되어 정해진 궤도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 초소형 위성 100: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110: 제1 몸체부 111: 제1 몸체부재
111a: 본체 111b: 제1 돌출체
111c: 제2 돌출체 112: 지지부재
120: 제2 몸체부 121: 제2 몸체부재
122: 보강부재 130: 사출부
140: 연결부 141: 제1 연결부재
142: 제2 연결부재

Claims (10)

  1.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1 몸체부;
    초소형 위성을 사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부에 설치되는 사출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고, 상기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는 제1 몸체부재, 및
    상기 사출부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재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돌출체, 및
    상기 제1 돌출체와 이격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 돌출체를 포함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체와 상기 제2 돌출체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개구를 구비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6.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1 몸체부;
    초소형 위성을 사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부에 설치되는 사출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고, 상기 발사체에 지지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는 제1 몸체부재, 및
    상기 사출부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몸체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몸체부재, 및
    상기 제2 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해주도록 연장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재보다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가 짧고,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서로 다른 부분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강체를 포함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돌출체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돌출체와 상기 제2 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연결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는,
    일단이 상기 초소형 위성과 접촉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초소형 위성을 상기 결합부재에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부재; 및
    상기 초소형 위성의 구속을 풀어주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사출부재;를 포함하는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KR1020220162921A 2022-11-29 2022-11-29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KR102558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921A KR102558237B1 (ko) 2022-11-29 2022-11-29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921A KR102558237B1 (ko) 2022-11-29 2022-11-29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237B1 true KR102558237B1 (ko) 2023-07-21

Family

ID=8742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921A KR102558237B1 (ko) 2022-11-29 2022-11-29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2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9150B2 (ja) * 2010-05-31 2014-08-13 株式会社Ihi 人工衛星搭載システム
KR20170142187A (ko) * 2015-04-30 2017-12-27 월드뷰 새틀라이트 리미티드 적층 가능한 인공위성 및 그 적층 방법
KR20210085468A (ko) 2019-12-30 2021-07-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용 발사체
KR20220087372A (ko) * 2020-12-17 2022-06-24 더 보잉 컴파니 적층 위성 조립체 및 관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9150B2 (ja) * 2010-05-31 2014-08-13 株式会社Ihi 人工衛星搭載システム
KR20170142187A (ko) * 2015-04-30 2017-12-27 월드뷰 새틀라이트 리미티드 적층 가능한 인공위성 및 그 적층 방법
KR20210085468A (ko) 2019-12-30 2021-07-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용 발사체
KR20220087372A (ko) * 2020-12-17 2022-06-24 더 보잉 컴파니 적층 위성 조립체 및 관련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현웅, 혁신적 설계방식에 기반한 80kg급 초소형 SAR 위성 S-STEP, [online] 2022.05.25. [2023년 2월 검색], 인터넷: <URL : http://strongkorea.or.kr/kor /program/오현웅.pdf>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5664B1 (en) Multi-use launch system
RU2155146C2 (ru) Наклонный адапт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нескольких полезных нагрузок на одной ракете-носителе
US4834324A (en) Multiconfiguration reusable space transportation system
US4471926A (en) Transfer vehicl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reusable space shuttle
EP0194287B1 (en) Satelite transfer vehicle
US5143327A (en) Integrated launch and emergency vehicle system
RU2175933C2 (ru) Средства,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пуска космических аппаратов на основе буксируемого планера (их варианты)
US6158693A (en) Recoverable booster stage and recovery method
US4943014A (en) Soft ride method for changing the altitude or position of a spacecraft in orbit
EP0947424A2 (en) Evolvable propulsion module
CN107933976B (zh) 立方星弹射器及其弹射方法
WO2005118394A1 (en) Propulsion unit for spacecraft, servicing system for providing in-space service operations, and modular spacecraft
US20030029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biting spacecraft servicing
US6149104A (en) Structural layout for spacecraft including specialized compartment configuration
US3202381A (en) Recoverable rocket vehicle
KR102558237B1 (ko) 초소형 위성 사출장치
US4646994A (en) Spacecraft support and separation system
US4300737A (en) Satellite deployment system with remotely controlled relocking capability
RU2120398C1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стартом для космического полета и способ ее запуска
US6568330B1 (en) Modular missile and method of assembly
US4290570A (en) Three point attachment for an ejectable spacecraft
JPH0655598B2 (ja) 宇宙船の射出装置
US4213586A (en) Spin activated safety circuit for spacecraft
KR20200093017A (ko) 지구 궤도에서 인공위성의 방출방법
US4303214A (en) Apparatus for gyroscopic ejection of shuttle launched space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