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155A -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 Google Patents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55A
KR20210085155A KR1020190177900A KR20190177900A KR20210085155A KR 20210085155 A KR20210085155 A KR 20210085155A KR 1020190177900 A KR1020190177900 A KR 1020190177900A KR 20190177900 A KR20190177900 A KR 20190177900A KR 20210085155 A KR20210085155 A KR 20210085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ro
plate member
lower plate
coupled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907B1 (ko
Inventor
신대식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7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9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5/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referred to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C25/005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referred to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initial alignment, calibration or starting-up of inerti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하여 자이로(9)의 x축, y축,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경사지게 장착되는 환경 역시 모사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용 치구(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VARIABLE MULTI-AXIS FIXING JIG FOR CALIBRATION TEST OF GYRO SENSOR}
본 발명은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하여 자이로(9)의 x축, y축,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경사지게 장착되는 환경 역시 모사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용 치구(1)에 관한 것이다.
각속도 측정을 위한 자이로 센서는 일반적으로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의 구성품으로, 관성항법장치에서 회전하지 않는 좌표계를 기준으로 탑재체가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이다. 최근에는 자이로 센서가 항공기 등 뿐만 아니라 능동 현가장치, 에어백과 같은 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신규 분야에까지 널리 사용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이로 센서 중 링 레이저 자이로는 다수의 반사경으로 이루어진 고리형 공진기를 구성하며, He-Ne 가스를 봉입하여 방전시킴으로써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레이저빔이 동시에 빌진하면, 사낙 효과에 의하여 공진기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두 레이저의 주파수 차이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또한, 링 레이저 자이로는 공진기 내부의 Gas Flow 등에 의해, 관성항법장치에 장착되어 동작되는 중 바이어스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며 이러한 바이어스 히스테리시스는 관성항법장치가 정렬 및 항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커다란 오차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도바이어스 시험을 수행하고, 시험을 통해 획득한 온도계수를 통해 바이어스 히스테리시스 보상을 수행한다.
하지만 공진기 내부의 Gas Flow는 링 레이저 자이로 광학부의 장착 위치에 따라 가변적이기 때문에 온도 바이어스와 바이어스 히스테리시스에도 다소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자이로 센서의 다양한 장착 위치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여, 다양한 설치 위치에 따라 획득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보상계수를 도출해내야 한다.
종래에는 최적의 보상계수를 찾아내기 위해 레이트 테이블에 자이로 센서를 설치하고 해당 센서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시험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런 레이트 테이블은 상대적으로 고가의 대형 장비인 점, 관성항법장치에 일반적으로 3개의 자이로 센서가 조립되고 해당 레이트 테이블에 각 자이로 센서에 대한 별도의 교정을 수행함으로써 교정횟수 증가에 따른 생산 일정 조율 및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이트 테이블 활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신규의 구조를 가지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08768호 '레이트테이블 사인 회전압력을 이용한 자이로센서의 보정방법'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이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온도 바이어스 보상을 위해 활용되는 고가의 장비인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하는 것으로, 해당 자이로의 x축, y축 및 z축 장착 환경을 모사 가능하도록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함으로써 관성항법장치의 생산 단가 상승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이로의 x축, y축, z축 장착 환경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45˚의, 특정 경사각 장착 환경도 모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자이로의 수직 장착 및 수평 장착 뿐만 아니라 경사각 장착 시를 상정하여 온도 바이어스 보상을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 상에 z축 장착 환경 모사를 위한 수평부재 및 경사각 장착 환경 모사를 위한 경사부재를 택일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 개의 치구만으로 다양한 장착 환경에 대한 모사를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판부재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이 그 상측에 배치되는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판부재의 상 측에 배치되는 구성품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하판부재는 제2 관통공들이 해당 하판부재의 배면 측과 가장 인접한 측 제1 관통공들보다 앞 측으로 이격되어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품들이 하판부재 상에서 안정되도록 지지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이로 함체를 수평 및/또는 수직 장착하되, 0˚, 90˚, 180˚ 및 270˚회전 결합하도록 상기 자이로 함체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다양한 장착 환경에 대한 교정 수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면부재의 돌출부가 전방 연장될수록 하방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연장면을 구비함으로써 상판부재가 배면부재 상에 안착될 때 해당 상판부재와 돌출부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면부재에 전술한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제5 함입공 내에 결합수단 삽입 시, 제3 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수단과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재의 경사연장면과 인접한 측 모서리부들이 경사지도록 커팅됨으로써 해당 상판부재 정렬 시 경사연장면의 경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에 제1 연장면, 경사면 및 제2 연장면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를 택일적으로 안착시킴과 동시에, 제2 연장면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해당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가 전방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는 상면에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저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 상에 배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에 자이로 함체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이로의 x축, y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배면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 상에서 상기 하판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면을 따라 수평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하판부재는 전후 방향 연장 폭이 상기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하판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면 및 저면에서 양 측부와 인접한 측을 따라 각각 일 열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과 결합수단 삽입을 통한 결합을 도모하는 제1 관통공들; 및 상기 하판부재의 상면 및 저면에서 일 행으로 정렬되어 상호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면부재의 일 측과 결합되는 제2 관통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공들은 상기 하판부재의 배면 측과 가장 인접한 측 제1 관통공들보다 전 측(Front Side)으로 이격되어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배면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와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상기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 결합부; 및 상기 자이로 결합부의 앞면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방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자이로 결합부는 전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 자이로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이로 결합공은 상기 자이로 함체를 수직 장착하되, 0˚, 90˚, 180˚ 및 270˚ 회전 결합하도록 상기 자이로 함체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돌출부는 상면 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소정 거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서, 배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 연장되는 제1 연장면; 상기 제1 연장면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앞 측을 향해 상방 연장되는 단턱부인 제2 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경사면은 상면에 상기 경사면과 직교방향으로 함입 형성되는 함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배면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와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상기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 결합부; 및 상기 자이로 결합부의 앞면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방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는 앞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입공 및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수단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전후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 상면과 결합하며, 상면 또는 저면이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어 상기 자이로의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상판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측이 상기 제1 연장면, 경사면 및 제2 연장면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에 구비되는 배면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와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상기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 결합부; 및 상기 자이로 결합부의 앞면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방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면 측에서 상기 자이로 결합부와의 경계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소정 거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연장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재는 상기 경사연장면의 경계를 육안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연장면과 인접한 측 모서리부들이 경사지도록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특정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자이로 함체가 특정 경사각으로 장착되는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는 상면에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저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 상에 배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에 자이로 함체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이로의 x축, y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배면부재; 상기 하판부재 상에서 상기 하판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면을 따라 수평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특정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 상에는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가 택일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는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 상면과 결합하며, 상면 또는 저면이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어 상기 자이로의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상판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자이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온도 바이어스 보상을 위해 활용되는 고가의 장비인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하는 것으로, 해당 자이로의 x축, y축 및 z축 장착 환경을 모사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함으로써 관성항법장치의 생산 단가 상승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이로의 x축, y축, z축 장착 환경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45˚의, 특정 경사각 장착 환경도 모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자이로의 수직 장착 및 수평 장착 뿐만 아니라 경사각 장착 시를 상정하여 온도 바이어스 보상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 상에 z축 장착 환경 모사를 위한 수평부재 및 경사각 장착 환경 모사를 위한 경사부재를 택일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 개의 치구만으로 다양한 장착 환경에 대한 모사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판부재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이 그 상측에 배치되는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판부재의 상 측에 배치되는 구성품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하판부재는 제2 관통공들이 해당 하판부재의 배면 측과 가장 인접한 측 제1 관통공들보다 앞 측으로 이격되어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성품들이 하판부재 상에서 안정되도록 지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이로 함체를 수평 및/또는 수직 장착하되, 0˚, 90˚, 180˚ 및 270˚회전 결합하도록 상기 자이로 함체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다양한 장착 환경에 대한 교정 수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면부재의 돌출부가 전방 연장될수록 하방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연장면을 구비함으로써 상판부재가 배면부재 상에 안착될 때 해당 상판부재와 돌출부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면부재에 전술한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제5 함입공 내에 결합수단 삽입 시, 제3 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수단과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재의 경사연장면과 인접한 측 모서리부들이 경사지도록 커팅됨으로써 해당 상판부재 정렬 시 경사연장면의 경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에 제1 연장면, 경사면 및 제2 연장면이 형성됨으로써,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를 택일적으로 안착시킴과 동시에, 제2 연장면에 단턱부가 형성되어 해당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가 전방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링 레이저 자이로 함체에 대한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치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하판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배면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돌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지지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따른 수평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0에 따른 수평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따른 돌출부와 지지부재 및 수평부재 간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에 따른 상판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2에 따른 치구에 자이로의 x축 및 y축 장착환경을 모사한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4는 도 2에 따른 치구에 자이로의 z축 장착환경을 모사한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치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따른 치구에 자이로의 경사각 장착 환경을 모사한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링 레이저 자이로 함체에 대한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1)를 설명하기에 앞서 링 레이저 자이로(Ring Laser Gyroscope; RLG)의 함체(91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링 레이저 자이로의 함체(910)는 내측에 공진기, 미러부 등을 구비하는 링 레이저 자이로와 함께 기판, CPU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그 형상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함체(910)의 일 측에는, 상호 대면하는 양 면을 관통하여, 후술할 다축 고정용 치구(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910a)이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체(910)의 양 면에 있어서, 일 단 측 중앙부에, 그리고 타 단 측 양 측부에 총 3개의 결합공(9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공(910a)은 후술할 관통공들과 위치가 매칭되어 내측을 따라 결합수단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공(910a)의 직경 크기는 결합수단의 삽입될 측 직경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결합수단'이란 예를 들어 볼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함 임의의 구성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치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하판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배면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돌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지지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따른 수평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0에 따른 수평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따른 돌출부와 지지부재 및 수평부재 간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에 따른 상판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2에 따른 치구에 자이로의 x축 및 y축 장착환경을 모사한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4는 도 2에 따른 치구에 자이로의 z축 장착환경을 모사한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치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따른 치구에 자이로의 경사각 장착 환경을 모사한 것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2축 레이트 테이블을 대체하여 자이로의 x축, y축,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경사지게 장착되는 환경 역시 모사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용 치구(1)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다축 고정용 치구(1)는 그 전면이 부분 또는 전부 개방되어 자이로의 내측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구(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작하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면'이란 도 2(a)에 도시된 치구(1)를 기준으로 앞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고정용 치구(1)는 하판부재(10), 배면부재(20), 지지부재(30), 수평부재(40), 상판부재(50) 및 경사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부재(40)(도 2 참고) 및 경사부재(60)(도 15 참고)는 택일적 구성에 해당하고, 경사부재(60)가 지지부재(30) 상에 결합되는 경우 상판부재(50)는 고정용 치구(1)에 장착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하판부재(10)는 그 상면에 배면부재(20) 및/또는 지지부재(30)의 저부가 안착 및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세하게는, 하판부재(10)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배면부재(20) 및 지지부재(30)의 전후 연장 폭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어 그 상 측에 안착될 배면부재(20) 및 지지부재(3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판부재(10)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배면부재(20) 및 지지부재(30)와 결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판부재(10)에는 그 상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배면부재(20) 및 지지부재(30)의 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들과 상호 위치를 매칭시킨 상태에서 볼트 삽입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하판부재(10)의 상면 및 저면에서, 양 측부와 인접한 측을 따라 각각 일 열(Column)의 제1 관통공들(110a)이 상호 이격 형성되어, 후술할 돌출부(230) 및 지지부재(30) 저면과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한다.
이 때, 결합수단은 결합의 편의를 위하여 하판부재(10)의 저면 측으로부터 상방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판부재(10)의 상면 및 저면에는, 행(Row) 방향의 제2 관통공들(110b)이 상호 이격 형성되어 자이로 결합부(210)와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배면부재(20)가 하판부재(10) 상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면부재(20)와 인접한 하판부재(10)의 배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을 다소 두는 것이 구조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관통공들(110b)은 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되, 열 방향을 따라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관통공들(110a)에 있어서 하판부재(10)의 배면 측과 가장 인접한 측 제1 관통공들(110a)보다 전 측(Front Side)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판부재(10)의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13을 참고하면, 배면부재(20)는 하판부재(10) 상에 배치되고 그 전면 또는 배면에 자이로 함체(91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자이의 x축, y축 장착 환경을 모사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배면부재(20)는 자이로 결합부(210) 및 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결합부(210)는 하판부재(10)와 대략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그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결합수단 삽입을 허용하여 자이로 함체(91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x축 및 y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자이로 결합부(210)에는 그 전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 자이로 결합공(210a)이 형성되어 예를 들어 볼트 삽입을 통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자이로 결합공(210a)은 자이로 결합부(210)의 전면 및 배면에, 자이로 함체(910)에 형성된 결합공(910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910)를 수직 장착하되, 상기 함체(9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0˚, 90˚, 180˚, 270˚ 회전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함체(910)의 전면 및 배면의 상측 중앙부 및 하측 양 측부에 3개의 결합공(910a)이 형성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함체(910)가 0˚ 위치에서 수직 장착되도록 자이로 결합부(210)의 전면 및/또는 배면 측 상측 중앙부 및 하부 좌우측을 따라 제1 자이로 결합공(210a)이 형성된다.
또한, 함체(910)가 180˚ 위치에서 수직 장착되도록 자이로 결합부(210)의 전면 및/또는 배면 측 하측 중앙부 및 상부 좌우측을 따라 제1 자이로 결합공(210a)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90˚ 및 270˚ 위치에서 수직 장착되도록 제1 자이로 결합공(210a)이 형성되는 것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자이로 결합부(210)는 함체(910)의 0˚, 90˚, 180˚, 270˚ 결합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 높이 및 좌우 폭이 함체(910) 외면의 최대 폭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이로 결합부(210)는 그 상면 및 저면에 각각 한 개 이상의 제1 함입공(210b)이 형성되어 후술할 상판부재(50) 및 하판부재(10)의 일 측과의 용이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면 측 제1 함입공(210b)은 하판부재(10)의 제2 관통공(110b)과 위치를 매칭시킨 이후 결합수단의 상방 삽입을 통해 자이로 결합부(210) 및 하판부재(10)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돌출부(230)는 자이로 결합부(210)의 전 측(Front Side)의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방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돌출부(230)의 전면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되는 제3 관통공(230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관통공(230a) 내에 결합수단을 삽입함으로써 지지부재(30)와의 상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하판부재(10)와 면 접촉하는 부재들의 결합면적을 크게 가져감으로써 상기 하판부재(10) 상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에 이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230)는 그 상면 측 자이로 결합부(210)와의 경계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소정 거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연장면(231)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연장면(231)은 후술할 상판부재(50)의 일 측이 배면부재(20) 상에 안착될 때 상기 상판부재(50)와 돌출부(230)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결합부(210) 및 경사연장면(231)의 경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상판부재(50)의 안착 위치에 대한 시각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이점이 있다.
그리고, 후술할 지지부재(3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5 함입공(330a)에 결합수단의 팁 부분 삽입 시, 제3 관통공(230a)을 관통하는 결합수단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두께 또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도 11 참고). 즉 제3 관통공(230a)을 관통하여 지지부재(30)의 제5 함입공(330a)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결합수단의 팁 부분과, 제3 관통공(230a)에 실질적으로 수평 삽입되는 결합수단의 팁 부분이 상호 맞닿지 않게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양 구성들 상호 간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돌출부(230)는 치구(1) 조립 시 배면부재(20)의 용이한 파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역시 이점이 있다.
도 2, 도 3 및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지지부재(30)는 하판부재(10) 상에서 상기 하판부재(10)의 좌우 측에 각각 안착되어 후술할 수평부재(40) 및/또는 경사부재(60)와의 결합을 도모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또한, 지지부재(30)의 저면에는 하판부재(10)의 제1 관통공(110a)과의 매칭을 통한 결합수단 삽입을 도모하도록 상방 함입된 제2 함입공(30a)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판부재(50)와의 결합을 위한 제3 함입공(30b)이 형성되며, 그 배면에는 배면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한 제4 합입공(3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0)는 제1 연장면(310), 경사면(330) 및 제2 연장면(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 연장면(310)은 지지부재(30)의 상면에, 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 연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연장면(310)은 후술할 수평부재(40) 및/또는 경사부재(60)의 삽입 위치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평부재(40) 및/또는 경사부재(60)의 일 측이 지지부재(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제1 연장면(310)은, 예를 들어, 지지부재(30)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부재(30)의 배면으로부터 직교방향으로 하방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경사면(330)은 제1 연장면(31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경사면(330)의 연장각도는 예를 들어 45˚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사면(330)을 따라 수평부재(40) 및/또는 경사부재(60)의 하 측이 경사지게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330)에는 제5 함입공(330a)이 경사면(330)과 대략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수단의 비스듬한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330)의 구성을 통하여, 후술할 수평부재(40) 및 경사부재(60)가 모두 지지부재(30) 상에 결합되도록 하여, 자이로 z축 장착 뿐만 아니라, 경사 장착을 모사할 수 있다.
제2 연장면(350)은 경사면(33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측(Front Side)을 향해 상방 연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연장면(350)은 경사면(330)과 대략 90˚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연장면(310), 경사면(330) 및 제2 연장면(350) 상에 수평부재(40) 및/또는 경사부재(60)의 일 측이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장면(3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측을 향해 상방 연장됨으로써, 즉 경사지게 상방 연장됨으로써, 수평부재(40) 및/또는 경사부재(60)가 지지부재(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0)에 대하여 전방 이탈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것에 이점이 있다.
도 2, 도 3 및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수평부재(40)는 각각의 지지부재(3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실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그 상면에 상판부재(50)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며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수평부재(40)의 저면은 상기 제1 연장면(310), 제1 경사면(330) 및 제2 연장면(350)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성들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재(40)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40)의 상면에는 상판부재(50)와의 결합을 위한 제6 함입공(410a)이 형성되며, 제5 함입공(330a)과 매칭되어 결합수단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4 관통공(410b)이 그 상면 그리고 경사면(330)과 안착되는 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제4 관통공(410b)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평부재(40)는, 도 13을 참고하면, 그 상면을 따라 후술할 상판부재(50)가 수평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9)의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도 3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판부재(50)는 한 쌍의 수평부재(40)의 상면과 결합하여 그 상면 및/또는 저면 측이 함체(910)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상판부재(50)의 저부 일 측은 수평부재(40)의 상면과, 타 측은 자이로 결합부(210)의 상면과 결합한다. 이러한 상판부재는 대략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판부재(50)의 저면 및 상면에는 제2 자이로 결합공(510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자이로 결합공(510a)은 상판부재(50)의 상면 및 저면에, 함체(910)의 결합공들(910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자이로 함체(910)를 수평 장착하되, 상기 함체(910)가 0˚, 90˚, 180˚, 270˚ 회전 결합 가능하도록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의 전면 및 배면을 따라 상측 중앙부 및 하부 좌우측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면, 함체(9)가 0˚ 위치에서 수평 장착되도록 상판부재(50)의 상면 및/또는 저면 측 상측 중앙부 및 하부 좌우측을 따라 제2 자이로 결합공(51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제1 자이로 결합공(210a)과 동일한 것이며, 상세한 내용은 제1 자이로 결합공(210a) 및 도시된 도면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상판부재(50)에는 그 상면 및 저면의 양 측부를 따라 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5 관통공(510b)을 포함하며, 상기 제5 관통공(510b)과, 자이로 결합부(210)의 제1 함입공(210b), 지지부재(30)의 제3 함입공(30b) 및 수평부재(40)의 제6 함입공(410a)을 상호 매칭함으로써 상판부재(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판부재(50)는 경사연장면(231)의 경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연장면(231)과 인접한 측 모서리부들이 경사지도록 커팅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연장면(231)의 경계 측을 육안으로 파악한 상태에서 상판부재(50)의 위치 정렬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경사부재(60)는 지지부재(3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실질적으로 특정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그 상면에 결합되는 함체(9)가 특정 경사각을 가지고 장착되는 환경을 모사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경사부재(60)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재(60)의 저면은 상기 제1 연장면(310), 경사면(330) 및 제2 연장면(350)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성들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부재(60)의 함체(910)와 결합하는 측 면에는 결합수단의 삽입을 위한 제6 관통공(610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30)의 제5 함입공(330a)과 매칭되어 결합수단을 통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경사각은 예를 들어 45˚일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경사부재(60)의 함체(910)와 결합하는 측 면에는 제2 자이로 결합공(510a)과 동일 방식으로 형성되는 제3 자이로 결합공(610b)이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치구(1)에서, 수평부재(40) 또는 경사부재(6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이로의 x축, y축, z축 장착환경 뿐만 아니라, 경사각 장착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자이로(9)는 비행기 또는 선박 등의 탑재체에서 반드시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만 탑재되는 것은 아니다. 그 환경에 따라 45˚ 각도를 유지하며 탑재될 수도 또는 다른 경사각을 가지고 탑재될 수도 있다. 종래의 2축 레이트 테이블은 일반적으로 자이로의 수직 장착 또는 수평 장착 환경만을 모사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그 외의 각도에 대한 장착 환경은 모사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정교한 교정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그 한계가 존재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구(1)를 활용하면 특정 각도에 대한 장착 환경을 모사 가능한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2축 레이트 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가의 장비이며, 관성항법장치에 조립되는 3개의 링 레이저 자이로에 대한 다축 교정을 각각 실시하는 경우 교정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이는 곧 제작 일정 연장 및 제품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일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1)는 그 제작 및 활용 방식이 상대적으로 간편하여 관성항법장치의 제작 단가 상승을 최대한 억제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 :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0 : 하판부재
110a : 제1 관통공 110b : 제2 관통공
20 : 배면부재
210 : 자이로 결합부
210a : 제1 자이로 결합공 210b : 제1 함입공
230 : 돌출부
230a : 제3 관통공
231 : 경사연장면
30 : 지지부재
30a : 제2 함입공 30b : 제3 함입공
30c : 제4 함입공
310 : 제1 연장면 330 : 경사면
330a : 제5 함입공
350 : 제2 연장면
40 : 수평부재
410a : 제6 함입공 410b : 제4 관통공
50 : 상판부재
510a : 제2 자이로 결합공 510b : 제5 관통공
60 : 경사부재
610a : 제6 관통공 610b : 제3 자이로 결합공
9 : 자이로
910 : 함체 910a : 결합공

Claims (15)

  1. 상면에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저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 상에 배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에 자이로 함체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의 x축, y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배면부재; 및
    상기 하판부재 상에서 상기 하판부재의 좌우 측 그리고 상기 배면부재의 전면 일측과 결합되어, 상면을 따라 수평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는
    전후 방향 연장 폭이, 상기 하판부재 상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상기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전후 방향 연장 폭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의 상면 및 저면에서 양 측부와 인접한 측을 따라 각각 일 열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과 결합수단 삽입을 통한 결합을 도모하는 제1 관통공들; 및
    상기 하판부재의 상면 및 저면에서 일 행으로 정렬되어 상호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면부재의 일 측과 결합되는 제2 관통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통공들은 상기 하판부재의 배면 측과 가장 인접한 측 제1 관통공들보다 전방 측으로 이격되어 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와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상기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 결합부; 및
    상기 자이로 결합부의 앞면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방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 결합부는
    전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 자이로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이로 결합공은 상기 자이로 함체를 수직 장착하되, 0˚, 90˚, 180˚ 및 270˚ 회전 결합하도록 상기 자이로 함체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면 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소정 거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서, 배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전방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 연장되는 제1 연장면;
    상기 제1 연장면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전방 측을 향해 상방 연장되는 단턱부인 제2 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면에 상기 경사면과 직교방향으로 함입 형성되는 함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배면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와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상기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 결합부; 및 상기 자이로 결합부의 앞면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방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는 앞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입공 및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수단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수평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 상면과 결합하며, 상면 또는 저면이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어 상기 자이로의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상판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측이 상기 제1 연장면, 경사면 및 제2 연장면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1. 제1항에 있어서, 배면부재는
    상기 하판부재와 직교하도록 상방 연장되어 전면 및/또는 배면 측에 상기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자이로 결합부; 및 상기 자이로 결합부의 앞면 좌우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방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면 측에서 상기 자이로 결합부와의 경계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소정 거리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연장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재는
    상기 경사연장면의 경계를 육안으로 파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연장면과 인접한 측 모서리부들이 경사지도록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특정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자이로 함체가 특정 경사각으로 장착되는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3. 상면에 배면부재 및 지지부재의 저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하판부재;
    상기 하판부재 상에 배치되고 전면 또는 배면에 자이로 함체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이로의 x축, y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배면부재;
    상기 하판부재 상에서 상기 하판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면을 따라 수평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특정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 상에는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가 택일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 상면과 결합하며, 상면 또는 저면이 자이로 함체와 결합되어 상기 자이로의 z축 장착 환경을 모사하도록 구성되는 상판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치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KR1020190177900A 2019-12-30 2019-12-30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KR10231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00A KR102310907B1 (ko) 2019-12-30 2019-12-30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00A KR102310907B1 (ko) 2019-12-30 2019-12-30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55A true KR20210085155A (ko) 2021-07-08
KR102310907B1 KR102310907B1 (ko) 2021-10-07

Family

ID=768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00A KR102310907B1 (ko) 2019-12-30 2019-12-30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148A (zh) * 2021-12-27 2022-04-08 九江冠成仿真技术有限公司 一种紧凑型陀螺动态标定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68A (ko) 2010-07-20 2012-02-01 인텔레인(주) 레이트테이블 사인 회전입력을 이용한 자이로센서의 보정방법
KR20120102686A (ko) * 2009-11-05 2012-09-18 에이티씨 로지스틱스 앤드 일렉트로닉스, 인크. Rf 시험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다차원 rf 시험 치구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686A (ko) * 2009-11-05 2012-09-18 에이티씨 로지스틱스 앤드 일렉트로닉스, 인크. Rf 시험을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다차원 rf 시험 치구 및 방법
KR20120008768A (ko) 2010-07-20 2012-02-01 인텔레인(주) 레이트테이블 사인 회전입력을 이용한 자이로센서의 보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148A (zh) * 2021-12-27 2022-04-08 九江冠成仿真技术有限公司 一种紧凑型陀螺动态标定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907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5934B2 (en) Vibrating-mass gyroscope systems and method
CN100595516C (zh) 激光对准装置
JP4659841B2 (ja) センサユニット
JP6399973B2 (ja) めっき装置の調整方法及び測定装置
KR102310907B1 (ko) 자이로 교정 시험을 위한 가변형 다축 고정용 치구
US7440090B2 (en) Optical correction of a laser beam
CN104567934B (zh) 一种针对光纤陀螺振动试验用工装及试验方法
US8578771B2 (en) Compact gradiometer with accelerometer based rotational control
JP5096964B2 (ja) 全方位リフレクタ装置
JP2007232654A (ja) 3面ミラーキューブの法線軸直交度確認方法
EP3623755B1 (en) Ruler
US20090100692A1 (en) Laser marker
US9970781B2 (en) Apparatus for three-axis IMU calibration with a single-axis rate table
US20130335750A1 (en) Position-Measuring Device
US20130000381A1 (en) Impact Generating Unit and Impact Generat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20130167637A1 (e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JP5983809B2 (ja) 垂直多関節型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セル
JP2006308352A (ja) 多軸加速度センサ
Wang et al. Dynamic error compensation and parameter optimization for RLG SINS in vibration environments
KR102452565B1 (ko) 낮은 타축 감도를 갖는 다축 mems 자이로센서의 설계 방법
TW201928352A (zh) 具有延伸的主要平面的基板之偏航率感測器以及製造偏航率感測器的方法
JPH03103708A (ja) 音叉型振動ジャイロおよび角速度入力軸合わせ用治具
CN212409721U (zh) 一种车载寻北仪及车辆
CN109304693A (zh) 一种双轴转位装置和斜置一体化台体组件装配方法
CN211527425U (zh) 三轴陀螺组合安装误差精确高效标定的3d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