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019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019A
KR20210085019A KR1020190177620A KR20190177620A KR20210085019A KR 20210085019 A KR20210085019 A KR 20210085019A KR 1020190177620 A KR1020190177620 A KR 1020190177620A KR 20190177620 A KR20190177620 A KR 20190177620A KR 20210085019 A KR20210085019 A KR 20210085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vehicle
elastic memb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복
박창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019A/ko
Publication of KR2021008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 도어의 동작 소음을 줄여, 차량 탑승자에게 편안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도어는, 상기 케이스과 회전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단부의가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의 송풍을 위한 블로어 유닛과, 송풍된 공기를 각각 냉각 및 가열하는 증발기 유닛 및 히트코어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케이스(10), 증발기(20), 히터코어(30)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공조 케이스(10)는 블로어 유닛에 연결되어 그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공기 통로를 구비한다. 공조 케이스(10)에는 공기 통로에 연통된 공기 유입구(11)와 공기 토출구(12)가 각각 형성된다. 공기 토출구(12)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 등을 포함한다.
증발기(20) 및 히터코어(30)는 공기 통로(26)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블로어 유닛(1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각각 냉각 및 가열하는 기능을 한다.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25)가 설치되며, 온도조절도어(25)는 회전 동작에 의해 히터코어(30)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한다.
각 공기 토출구(12)에는 내측에는 각 각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 도어(40)가 설치된다. 모드 도어(40)는 공조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해당 공기 토출구(12)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플로어모드, 믹스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등)가 동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모드 도어(40)는 공조 케이스와의 충돌에 의한 작동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가장 자리에 씰 부재가 구비된다. 이때, 모드 도어(40)의 가장 자리에 양면 테이프를 도포하여 씰 부재를 접착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는, 양면 테이프 사용으로 인해 조제 단가가 높아지며, 도포 작업을 거치면서 일정한 품질을 기대하기 어렵고, 접착제의 냄새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7106호 (2010.12.30)
본 발명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공조 케이스와 모드 도어의 충돌에 의한 작동 소음을 저감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과 회전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상기 바디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바디부의 두께의 비는 0.5 내지 0.7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부는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바디부의 두께의 비는 0.1 내지 0.2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회전축에 의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단부가 탄성에 의해 구부러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부는 단부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팁부는 단부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도어와 이중 사출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모드 도어와 케이스의 충돌로 인한 작동 소음을 줄여, 차량 주행시 탑승자에게 편안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모드 도어와 탄성 부재의 이중 사출을 통해 일정한 품질을 생산하고, 접착제의 사용을 생략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탄성 부재의 전체 폭방향 길이 대비 바디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모드 도어의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랑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모드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팁부를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나타낸 모드 도어의 제2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이하 “공조장치”라고 함)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는 케이스(100), 열교환기(200) 및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입구측에는 공기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의 공기 토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102)는 차량의 앞 유리와 연결되는 제1 토출구(102a), 차량의 앞좌석과 상부 영역와 연결되는 제2 토출구(102b), 차량의 좌석 하부 영역과 연결되는 제3 및 제4 토출구(102c)(10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내부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공기 유로는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로 구분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유로에 배치된다. 열교환기(200)는 냉각수단과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각수단은 증발기(2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수단은 히터코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풍유로(P1)는 히터코어(202)를 바이패스하고, 온풍유로(P2)는 히터코어(202)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300)는 케이스(100)와 회전축을 통하여 결합한다. 이때, 도어는 케이스(100) 공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300)는 온도조절도어(310) 및 모드 도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 4토출구(102a)(102b)(102c)(102d)의 내측에는 각 각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 도어(320)가 설치된다. 모드 도어(320)는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내지 제4 토출구(102a)(102b)(102c)(102d)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플로어모드, 믹스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등)가 동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도어(3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모드 도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모드 도어(320)는 회전축(S)에 의하여 공조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축(S)은 케이블(미도시)과 구동캠(미도시)에 연결되어, 케이블(미도시)과 구동캠(미도시)에 의하여 구동 조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드 도어(320)는 회전 플레이트(321)와 탄성 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321)는 회전축(S)과 결합되어 회전축(S)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회전 플레이트(321)는 테두리 부분이 공조 케이스(100)의 내벽과 충돌하면서 충돌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고자, 회전 플레이트(321)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탄성 부재(322)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322)는 탄성에 의해 공조 케이스(100)와의 충돌을 완화하여, 충돌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탄성 부재(322)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이때, 회전 플레이트(321)와 탄성 부재(322)는 이중 사출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322)는 결합부(322A), 바디부(322B) 및 팁부(322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2A)는 회전 플레이트(321)의 테두리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22A)는 회전 플레이트(321)의 가장 자리의 상면과 하면을 덮을 수 있다.
바디부(322B)는 결합부(322A)에서 회전 플레이트(321)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322B)의 두께는 결합부(322A) 또는 팁부(322C) 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322)의 탄성부재(322)의 전체 폭길이(wh1)에 대한 바디부(322B)의 두께(T1)의 비(T1/wh1)는 0.5 내지 0.7일 수 있다. 여기서, 폭길이는 회전 플레이트(321)의 너비 방향 길이를 의미하고, 두께는 폭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32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모드 도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씰 부재에 비하여 폭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부재(322)의 전체 폭길이(wh1)가 길고, 바디부(322B)의 두께(T1)가 얇을수록 탄성 부재(322)와 공조 케이스(100) 사이의 충돌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322)의 전체 폭길이(wh1)에 대한 바디부(322B)의 두께(T1) 비가 0.5 미만일 경우, 탄성 부재(322)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모드 도어의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팁부(322C)는 바디부(322B)에서 회전 플레이트(321)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팁부(322C)는 탄성 부재(322)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조 케이스(100)의 내벽과 충돌할 수 있다. 팁부(322C)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팁부(322C)는 바디부(322B)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22B)는 제1 두께(T1)로 형성되고, 팁부(322C)는 제1 두께(T1) 보다 두꺼운 제2 두께(T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두께(T2)에 대한 제1 두께(T1)의 비(T1/T2)는 0.1 내지 0.2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두께(T2)에 대한 제1 두께(T1)의 비(T1/T2)가 0.2 보다 클 경우 팁부(322C)의 완충 효과가 떨어지고, 제2 두께(T2)에 대한 제1 두께(T1)의 비(T1/T2)가 보다 0.1 보다 작을 경우 도어(300)의 제조성과 도어의 개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탄성부재(322)는 팁부(322F)의 형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서 팁부를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부재(322)는 단부가 공조 케이스(100)에 충돌하면서 단부의 형상이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22)는 결합부(322A), 바디부(322B) 및 팁부(322G)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의 결합부(322A), 바디부(322B)에 대한 기본 설명은 도 5에 도시된 결합부(322A), 바디부(322B)와 동일하며, 도 6에서의 팁부(322G)의 형상만 도 5에 도시된 팁부(322A)와 상이하다.
팁부(322G)는 바디부(322B)로부터 연장되되, 바디부(322B)에 대하여 소정 각도(∠a)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팁부(322G)는 단부가 회전 플레이트(321) 측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22B)와 팁부(322G)는 회전 플레이트(321)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팁부(322G)는 공조 케이스(100)와 충돌 시 바디부(322B) 측으로 구부러지면서, 공조 케이스(100)와의 충돌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팁부는 상단이 회전 플레이트(321)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연장될수 있다. 이때, 바디부와 팁부는 회전 플레이트(321)의 반대 편을 향하여 예각을 이룰 수 있다.
팁부(322G)는 바디부(322B)를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았지만, 팁부는 바디부(322B)를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도 3에서 나타낸 모드 도어의 제2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322)는 결합부(322D), 바디부(322E) 및 팁부(322F)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2D)는 회전 플레이트(321)의 모서리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22D)는 회전 플레이트(321)의 가장 자리의 상면과 하면을 덮을 수 있다.
바디부(322E)는 결합부(322D)에서 회전 플레이트(321)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팁부(322F)는 바디부(322E)에서 회전 플레이트(321)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팁부(322F)는 공조 케이스(100)의 내벽과 충돌할 수 있다. 여기서, 팁부(322F)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단면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팁부(322F)는 바디부(322E)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22E)는 제3 두께(T3)로 형성되고, 팁부(322C)는 제3 두께(T3) 보다 두꺼운 제4 두께(T4)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두께(T4)에 대한 제3 두께(T3)의 비(T3/T4)는 0.5 내지 0.7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22)의 전체 폭(Wh2)에 대한 팁부(322F)의 폭(W3)은 0.1 내지 0.3 일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 도어의 충돌 소음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드 도어의 작동시 소음수치(dB)를 측정한 값이다.
여기서, 비교예1은 팁부가 없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모드 도어를 사용하였고, 실시예1과 실시예 2는 도 5와 같이 팁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인 탄성 부재를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3은 도 6과 같이 팁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 부재를 사용하였다.
탄성 부재
전체 폭
바디부 두께 소음수치(dB)
비교예 1 7.2 1.0 61.3(dB)
실시예 1 7.2 1.0 56.0(dB)
실시예 2 9.0 0.6 51.9(dB)
실시예 3 9.0 0.6 55.2(dB)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3을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 내지 3의 소음 수치가 적은 것으로 측정되는 바, 탄성 부재의 단부에 팁부가 형성되는 것이 소음 수치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 보다 실시예 2의 소음 수치가 적은 것으로 측정되는 바, 탄성 부재 전체 폭이 길고 바디부의 두께가 얇을수록 모드 도어의 소음 수치가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2와 실시예 3을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3 보다 실시예 2의 소음 수치가 적은 것으로 측정되는 바, 탄성 부재의 팁부와 바디부가 수직을 이룰 때 소음 수치가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장치는 탄성 부재의 전체 폭방향 길이 대비 바디부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모드 도어의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량용 공조장치
100: 케이스
101: 공기 유입구
102: 공기 토출구
320: 모드 도어
321: 회전 플레이트
322: 탄성 부재

Claims (11)

  1.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도어는,
    상기 케이스과 회전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상기 바디부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라운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바디부의 두께의 비는 0.5 내지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바디부의 두께의 비는 0.1 내지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도어는
    상기 케이스과 회전축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단부가 탄성에 의해 구부러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팁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단부가 상기 결합부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을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이중 사출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90177620A 2019-12-30 2019-12-30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085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20A KR20210085019A (ko) 2019-12-30 2019-12-30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20A KR20210085019A (ko) 2019-12-30 2019-12-30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19A true KR20210085019A (ko) 2021-07-08

Family

ID=7689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20A KR20210085019A (ko) 2019-12-30 2019-12-30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0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106A (ko) 2009-06-22 2010-12-3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106A (ko) 2009-06-22 2010-12-3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027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US884045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8146706B2 (en) Air duct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281160B2 (ja) 通風路切替装置
US20060252362A1 (en) Air passa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uncomfortable noise
EP2357101B1 (en) Sliding door device
US9931908B2 (en) HVAC air inlet with blend mode and fresh-restricted mode
KR102087820B1 (ko) 치형 특징부를 가지는 난방, 환기, 공조 도어
US6588495B2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conditioner
US6852024B2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10232679B2 (en) Air deflector devic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automobile
JP4516569B2 (ja) 自動車空調装置の空気案内ハウジング用ドア
KR202100850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225824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0525790B2 (en) Multi-planar air diverter
CN108778794B (zh) 车辆用空调装置
US20180105147A1 (en) Method of distributing air ventilation in a vehicle
JP200209662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11979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0133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692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734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9215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8138950A1 (ja) 空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