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236A - 의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236A
KR20210084236A KR1020200155335A KR20200155335A KR20210084236A KR 20210084236 A KR20210084236 A KR 20210084236A KR 1020200155335 A KR1020200155335 A KR 1020200155335A KR 20200155335 A KR20200155335 A KR 20200155335A KR 20210084236 A KR20210084236 A KR 2021008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
hanger
clothes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타야마 나오키
하토 시게노리
모리 카츠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125,16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49581B2/en
Priority to PCT/KR2020/018953 priority patent/WO2021133043A1/en
Publication of KR2021008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와, 행거에 걸린 의류를 향해 바람을 송풍하도록 송풍구를 갖는 송풍 유닛을 포함한다. 행거는, 송풍 유닛의 송풍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풍도입공간이 형성된 지지부와, 의류의 어깨부를 걸도록 지지부에서 연장되고 풍도입공간에 연결되는 풍도출공간을 형성하는 어깨걸이부를 포함한다. 풍도출공간은 의류의 몸통부를 향해 바람을 토출하도록 형성된 몸통부측 풍로와, 의류의 한 쌍의 소매부를 향해 바람을 토출하도록 형성되고 몸통부측 풍로의 입구에서 분기된 한 쌍의 소매부측 풍로를 포함한다. 몸통부측 풍로는 하류 측으로 갈수록 풍로가 확대되도록 몸통부측 풍로의 출구 부분에 마련되는 확대풍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관리 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개시하는 기술은 셔츠 등 의류의 주름 제거가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중 하나로, 중공을 가진 인형 형상을 이용한 방식이 있다(특허 문헌 1). 이 방식에서는 풍선 등으로 형성한 인형에 의류를 장착하고, 그 내부에서 스팀이나 드라이 에어를 분출시켜 주름을 제거한다. 이 방식에서는 인형에 의류를 피팅해야 하므로 적용할 수 있는 의류의 사이즈나 디자인이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의류를 걸어둔 행거를 흔들어서 주름을 제거하는 방식도 있다. 이 방식에서는 행거를 강하게 흔들어도 의류는 느슨하게 흔들릴 뿐이므로 주름 제거 효과는 약하다. 진동과 소음이 크다는 문제도 있다.
행거에 걸고 온풍을 분출하는 방식도 있다(특허 문헌 2, 3).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는 대략 역 Y자 형상을 한 행거 본체를 구비한 주름 제거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주름 제거 건조기에서는 좌우로 나뉘어진 행거 본체의 양측 어깨부의 아래쪽 면 거의 전역에 토출구가 개구되어 있다. 이들 토출구에서 온풍을 분출한다.
원단이 두꺼운 의류는 소매부가 자중으로 인해 늘어져서 바람이 통하기 어렵기 때문에 건조가 곤란하다. 이러한 의류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용 행거가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이 행거는 유통공이 있는 판상 부재와, 이 판상 부재의 좌우에서 하향 경사진 한 쌍의 분류판(分流板)을 갖고 있다.
이 행거에 옷을 걸어둔 상태에서, 칼라 부분에서 판상 부재의 위쪽을 향해 온풍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온풍의 일부가 유통공을 통해 몸통부에 공급되고, 남은 온풍이 각 분류판으로 나눠져 좌우의 소매부로 공급된다.
또한, 이 행거는 특정 구조의 의류 건조기 내부에 병렬로 걸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의류를 한꺼번에 말릴 수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소62-17300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평4-31769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14-28121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주름 제거를 하려면 옷을 적신 후(미리 적셔진 경우, 예를 들어 세탁기 탈수 후 상태는 이 과정은 불필요) 건조 과정 중에 의류가 펄럭이도록 의류 전체를 충분히 흔들어 움직여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발견 하였다(펄럭임 효과).
이에 대해, 특허 문헌 2의 주름 제거 건조기는 양측 어깨부의 하면 거의 전 영역에서 온풍을 분출하기 때문에 몸통 중앙부에 강한 바람이 통과하지 않아 펄럭임 효과가 생기기 어려우며, 풍량을 증가시키면 펄럭임 효과를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소음이 커지고 전력 소비도 증가한다.
이러한 점에서, 특허 문헌 3의 행거는 의류에 도입된 온풍을 좌우 소매부와 몸통부 각각에 분배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풍량을 분할하고 있을 뿐이므로 개별 풍력은 작아진다. 게다가, 의류의 내부로 도입된 온풍은 판상 부재에 충돌하고, 이를 통해 양쪽 소매부로 분배된다.
따라서, 소매부에 분배되는 온풍의 풍력은 더 약해진다. 즉, 특허 문헌 3의 행거는 원단이 두꺼운 의류를 건조할 수는 있지만 펄럭임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풍량의 증가는 특허 문헌 2의 주름 제거 건조기와 마찬가지로, 소음이나 전력 소비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에, 개시하는 기술의 주요 목적은 의류를 펄럭일 수 있어 주름 제거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하는 기술은 소정의 행거(hanger)가 장착될 수 있는 옷장(closet)을 구비하며, 상기 행거에 걸어둔 상태로 의류의 주름 제거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상기 행거를 통해 상기 의류의 내부에 송풍하는 송풍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행거는 상기 옷장의 윗면에 배치된 송풍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송풍 유닛으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전달받는 풍도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풍도입공간에 연결되는 풍도출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어깨걸이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풍도출공간에 상기 의류의 몸통부를 향해 바람을 송출하는 몸통부측 풍로와, 상기 의류의 각 소매부를 향해 바람을 송출하는 한 쌍의 소매부측 풍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측 풍로의 출구 부분에 하류로 갈수록 점차 풍로가 확대되는 확대 풍로부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의류 관리 장치는 옷장에 구비되는 행거에 의류를 걸고 버튼 등을 조작하면 옷장을 가습하거나 공조해서 그 주름 제거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행거에 걸어둔 의류의 내부에는 풍도입공간 등을 통해 송풍을 수행하는데, 여기에는 의류의 몸통부를 향해 바람을 송출하는 풍로와 의류의 각 소매부를 향해 바람을 송출하는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의류의 몸통부와 소매부에 안정적으로 송풍할 수 있어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주름 제거를 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측 풍로의 출구 부분에 디퓨저 형상의 확대 풍로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부측 풍로의 입구 부분에 있는 공기가 출구부로 힘차게 빨려나가 이른바, 벤츄리 효과(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입구 부분의 공기 흐름이 가속되어 몸통부측 풍로로 효율적으로 많은 공기(바람)를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풍량으로 효율적으로 의류의 몸통부 및 소매부 모두를 펄럭이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의류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펼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몸통부측 풍로의 입구 부분에 상류로 갈수록 점차 풍로가 확대되는 흡기 도입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입구부에서의 흐름 박리를 억제하여 보다 매끄럽게 공기(바람)를 유입시킬 수 있어서 벤츄리 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몸통부측 풍로에 보다 효율적으로 바람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확대 풍로부에 풍로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디퓨져 부분에서의 흐름 박리를 억제하여 더욱 더 공기가 출구 부로 힘차게 빨려나갈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풍도출공간에 상기 몸통부측 풍로와 상기 각 소매측 풍로를 구획하는 한 쌍의 구획벽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구획벽에 의해 상기 몸통부측 풍로 및 상기 각 소매측 풍로의 입구가 상기 풍도입공간과 상기 풍도출공간의 경계 부분에서 분기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효율적으로 소매부측 및 몸통부측의 각 풍로에 바람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어깨걸이부의 양 단부에 상기 소매부측 풍로의 출구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소매부측 풍로의 출구가 입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소매부측 풍로를 흐르는 바람을 원활하게 출구까지 유도할 수 있어서 풍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송풍구의 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측 풍로 및 상기 각 소매부측 풍로의 입구가 상기 풍도입공간을 통해 상하로 대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송풍구에서 도입한 바람을 풍도입공간에서 정류하여 풍력을 유지 한 상태에서 각 풍로로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각 소매부측 풍로의 출구가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소매부측 풍로에 도입된 바람을 출구에서 힘차게 분출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송풍 유닛에서 보내지는 바람의 일부를 상기 어깨걸이부의 상부를 향해 송출하는 이물 제거 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의류의 어깨부에 묻은 이물질(예를 들어, 머리카락나 비듬 등)을 날려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송풍구가 복수개 마련되고, 이러한 송풍구에 상기 행거와 함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에어 노즐을 더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고 있는 상기 송풍구의 한 쪽에 상기 행거를 장착하고 다른 쪽에 상기 에어 노즐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에어 노즐이 상기 행거의 어깨걸이부의 상부를 향해 바람을 분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의류에 묻은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향상된다. 의류의 외측에서도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의류의 펄럭임 효과에 추가 작용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더욱 더 의류 관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옷장을 가습하는 가습 유닛과, 상기 옷장의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의류 관리 장치에 의하면, 의류가 펄럭이도록 할 수 있어 주름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의류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오른쪽 도면은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도어 생략), 왼쪽 도면은 오른쪽 도면의 화살표 X-X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는 하부 공간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2b는 하부 공간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제어부와, 그 주요 관련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필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행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옷장의 윗면에 행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의류를 걸어둔 행거에 송풍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a는 듀얼 방식의 에어 노즐을 예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b는 싱글 방식의 에어 노즐을 예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듀얼 방식의 에어 노즐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의류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주름 제거의 제어 예를 나타내는 주요 기기의 타임 차트이다.
이하,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에 이용하는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의류 관리 장치의 구조>
도 1은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한 의류 관리 장치(1)의 구조를 예시한다. 의류 관리 장치(1)는 예를 들어, 탈의실이나 화장실, 옷장 등에 설치하여 이용된다. 또한, 의류 관리 장치(1)는 주로 재킷이나 셔츠 등 의류(상의)(C)를 소정의 행거(30)에 걸어둔 상태에서, 주름 제거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 장치(1)는 의류(C)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악취의 제거 처리 및/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의류 관리 장치(1)는 의류(C)의 종류나 소재에 대응해서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지시를 받으면 주름 제거나 이물질 제거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는 세로 방향으로 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는 전면이 개구된 본체(2)와, 회동하여 본체(2)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를 가질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의 내부에는 의류(C)를 수용하는 옷장(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의 전면에는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8)가 설치될 수 있다(도 3에 도시함).
본체(2)의 하부에는 하부 공간(21)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2)의 상부에는 상부 공간(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공간(22)에는 송풍 유닛(60)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공간(21)에는 가습 유닛(70)과 공조 유닛(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공간(21)과 상부 공간(22)의 사이에 옷장(4)이 구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옷장(4)의 천장면에는 행거(3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의류 관리 장치(1)에는 3개의 행거(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행거(3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다만, 의류 관리 장치(1)에 장착될 수 있는 행거(30)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옷장(4)의 바닥면에는 스팀 분출구(5), 에어 분출구(6) 및 흡입구(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바닥면의 후방에 스팀 분출구(5)와 공기 분출구(6)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략 바닥면의 편평한 전방부에 흡입구(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70)은 급수 탱크(71), 스팀발생장치(72) 및 급수 펌프(7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유닛(80)은 배수 탱크(81), 순환 팬(82), 순환 덕트(83) 및 열교환기(8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습 유닛(70)은 옷장(4)을 가습할 수 있다. 공조 유닛(80)은 옷장(4)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탱크(81) 및 급수 탱크(71)는 하부 공간(2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본체(2)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급수 탱크(71)에 저수된 물은 급수 펌프(73)로 스팀발생장치(72)로 보내진다. 스팀발생장치(72)는 히터로 물을 가열해서 고온(예를 들아, 100℃의 스팀을 발생시킨다.
스팀발생장치(72)에서 발생된 스팀은 도 2a와 도 2b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팀 분출구(5)를 통해 옷장(4)에 공급될 수 있다. 공조 유닛(80)의 순환 팬(82)이 발생시키는 바람에 의해 스팀은 옷장(4)의 내부로 확산될 수 있다.
열교환기(84)는 압축기(841), 응축기(842) 및 증발기(84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환 덕트(83)는 하부 공간(21)에서 옷장(4)의 공기가 흐르는 풍로를 구성할 있다. 순환 팬(82)은 옷장(4)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도 2a와 2b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팬(82)은 흡입구(7)로부터 옷장(4)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 덕트(83)로 도입하고, 순환 덕트(83)에 도입된 공기를 에어 분출구(6)에서 옷장(4)으로 분출할 수 있다. 에어 분출구(6)에서 분출되는 공기는 옷장(4)을 횡단하도록 위쪽을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옷장(4) 상부의 전방에 도달한 후 하강하여 흡입구(7)로 흡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84)는 순환 팬(82)이 하부 공간(21)에 도입한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열교환기(84)는 주로 공기를 제습해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환 팬(82) 및 열교환기(84)가 작동함으로써 옷장(4)에는 건조한 온풍이 분출될 수 있다. 공조 유닛(8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배수 펌프(85)에 의해 배수 탱크(81)에 보내질 수 있다.
하부 공간(21)의 후방부에는 CPU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구비하며, 조작부(8)의 조작에 따라 의류 관리 장치(1)가 구비하는 각 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10)와, 제어부(10)에 신호를 입출력하는 주요 기기를 나타낸다.
제어부(10)는 조작부(8), 가습 유닛(70), 공조 유닛(80) 및 송풍 유닛(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조작부(8)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소정의 운전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실행할 수 있다. 이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가습 유닛(70), 공조 유닛(80) 및 송풍 유닛(60)에 각각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 유닛(60)은 필터(61), 송풍 팬(62), 송풍 덕트(63), 송풍구(6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 덕트(63)는 옷장(4) 윗면의 상부 공간(22) 측에 마련된 하류측 덕트(631)와, 옷장(4) 후면의 후방측에 마련된 상류측 덕트(681)를 가질 수 있다.
송풍 팬(62)은 상류측 덕트(681)와 하류측 덕트(6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 팬(62)이 작동함으로써 도 1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덕트(681)에서 하류측 덕트(631)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바람)이 형성될 수 있다.
상류측 덕트(681)의 상류측에는 옷장(4)에 연통하는 통풍구(633)가 형성될 수 있다. 통풍구(633)는 옷장(4) 후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통풍구(633)는 옷장(4)과 거의 동일한 횡폭을 갖는 큰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통풍구(633)를 덮도록 장방형의 판상 필터(61)가 옷장(4)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61)의 횡폭은 적어도 통풍구(633)보다 크게 옷장(4) 후면의 횡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61)의 종폭(세로 폭)은 통풍구(63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61)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재(611)와, 여과재(611)를 덮는 필터 커버(612)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커버(612)는 복수의 날개판에 슬릿이 격자상으로 형성된 전면 흡입부(6121)와, 복수의 리브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측면 흡입부(6122)를 가질 수 있다. 전면 흡입부(6121)의 주위에는 측면 흡입부(6122)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흡입부(6121)의 형상은 그 형상에 관계 없이 공기가 유입 가능한 다른 형상이어도 관계 없다. 전면 흡입부(6121)는 전방으로 대면하고, 측면 흡입부(6122)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옷장(4)의 공기는 필터(61)의 전면과 측면 양측으로부터 필터(6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필터(61)로 흡입된 공기가 여과재(611)를 통과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정화된 공기는 통풍구(633)를 통해 상류측 덕트(681)에 유입되고, 하류측 덕트(631)에 보내질 수 있다. 하류측 덕트(631)의 하류측에는 옷장(4)에 연통하는 복수(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송풍구(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구(64)는 옷장(4)의 횡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송풍구(64)는 옷장(4) 윗면으로 개구되는 개구부(641)와, 개구부(641)와 일체로 마련된 연결부(642)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641) 및 연결부(642)는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송풍구(64)에는 각각 연결부(642)를 통해 의류(C)가 걸리는 행거(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 덕트에 보내진 공기는 송풍구(64)에 장착된 행거(30)를 통해 그 의류(C)의 내부로 송풍될 수 있다.
<행거(30)>
도 5와 도 6은 행거(30)를 예시한다. 행거(30)는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행거(30)는 대략 역 Y자 모양의 외관을 가지며, 중공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거(30)는 연결부(642)에 장착했을 때, 옷장(4)의 윗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종폭(좌우 방향의 폭)보다 큰 횡폭(전후 방향의 폭)을 갖는 지지부(31)와, 지지부(31)의 하부에서 약간 하향 경사진 상태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어깨걸이부(32)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횡단면이 타원 형상인 풍도입공간(4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1)의 상부에는 박판 형상의 커넥터(33)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33)는 횡폭 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33)는 연결부(642)와 거의 동일한 모양과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1)는 요철 결합에 의해 연결부(64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31)의 상측 단부에는 위쪽으로 갈수록 오목한 요홈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요홈부(34)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해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33)에는 이 요홈부(34)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관통공(331, 331)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관통공(331)의 면적은 풍도입공간(41) 상단의 개구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1/4에서 1/5 정도).
연결부(642)에 커넥터(33)를 장착하여 행거(30)를 옷장(4)에 설치함으로써, 송풍구(64)를 통해 송풍 유닛(60)에서 보내지는 바람은 행거(30)에 보내질 수 있다. 바람의 대부분은 풍도입공간(41)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바람의 일부는 각 관통공(331)을 통해 각 요홈부(34)로 들어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관통공(331) 및 요홈부(34)는 "이물 제거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깨걸이부(32)는 한쪽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깨걸이부(32)의 내부에는 풍도입공간(41)에 연결되는 풍도출공간(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풍도출공간(42)의 하부에는 구획벽(35)이 마련되며, 구획벽(35)으로 구획됨으로써 의류(C)의 몸통부를 향해 바람을 송출하는 몸통부측 풍로(43)와, 의류(C)의 각(양측) 소매부를 향해 바람을 송풍하는 한 쌍의 소매부측 풍로(44, 44)가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35)은 어깨걸이부(3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어깨걸이부(32)와 구획벽(3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깨걸이부(32)와 구획벽(35)에 의해 풍도출공간(42)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35)은 어깨걸이부(32)의 하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35)은 어깨걸이부(32)의 양 단부에서 안쪽으로 다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소매 유도벽(351)과, 소매 유도벽(351)에 연결되어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몸통 유도벽(352)을 가질 수 있다. 양쪽 몸통 유도벽(352)의 단부는 대략 지지부(31)로부터 어깨걸이부(32)가 분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소매부측 풍로(44)의 입구(441)와, 몸통부측 풍로(43)의 입구(431)는 횡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풍도입공간(41)과 풍도출공간(42)의 경계 부분에서 분기할 수 있다. 몸통부측 풍로(43)는 양쪽 소매부측 풍로(44)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 횡폭 방향의 중심은 행거(30)의 횡폭 방향의 중심과 거의 일치할 수 있다. 양쪽 소매부측 풍로(44)는 그 중심선에 대해 선대칭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몸통부측 풍로(43) 및 소매부측의 풍로(44)의 각각의 입구(441, 431)는 각각 풍도입공간(41)을 통해 송풍구(64)의 개구부(641)와 상하로 대향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구(64)로부터 도입된 바람은 풍도입공간(41)에서 정류되고, 풍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각 풍로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각 풍로로 보내지는 풍력이 속도를 잃지 않도록 각 풍로의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확대풍로부(45), 흡기도입부(46)>
소매부측 풍로(44)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통부측 풍로(43)의 출구 부분에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풍로가 확대되는 확대풍로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통 유도벽(352)의 하부와, 여기에 이어지는 각 소매 유도벽(351)의 상부로 이루어지는 각 부분이 확대풍로부(45)를 구성하며, 이들 사이의 횡폭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디퓨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통부측 풍로(43)의 입구 부분에 있는 공기는 출구부로 힘차게 빨려나가서 소위, 벤츄리 효과에 의해 입구 부분의 공기 흐름이 가속되어, 몸통부측 풍로(43)에 효율적으로 많은 공기(바람)이 도입될 수 있다. 이에 동반해서, 양쪽 소매부측 풍로(44)의 입구(441)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풍로에도 바람이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각 소매부측 풍로(44)의 출구(442)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44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어깨걸이부(32)의 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매 유도벽(351)의 말단 부분에 연결되는 어깨걸이부(32) 단부의 아래쪽에 개구(소매 분출구(4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소매부측 풍로(44)로 도입된 바람은 소매 유도벽(351)을 따라 흐르도록 유도된 후 소매 분출구(442)에서 분출될 수 있다. 각 소매부측 풍로(44)를 흐르는 바람은 거의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원활하게 흘러 풍속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몸통부측 풍로(43) 및 양쪽 소매부측 풍로(44)에 풍속의 저하가 억제되면서 효과적으로 바람이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몸통부측 풍로(43)의 입구(431) 부분에는 상류측으로 갈수록 점차 풍로가 확대되는 흡기도입부(46)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쪽 몸통 유도벽(352, 352)의 상부가 흡기도입부(46)를 구성하며, 이들 사이의 횡폭이 점차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흡기도입부(46)의 확장 정도는 확대풍로부(45)보다 작을 수 있다. 흡기도입부(46)을 마련함으로써, 확대풍로부(45)와 시너지 효과로 인해 더욱 더 벤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몸통부측 풍로(43)에 더욱 더 효율적으로 바람이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확대풍로부(45)에는 풍로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리브(3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6)에 의해 디퓨져 부분에서 흐름 박리가 억제되어, 더욱 더 공기가 출구부로 힘차게 빨려나갈 수 있다.
또한, 소매부측 풍로(44)의 각각의 출구(442)는 입구(44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소매부측 풍로(44)에 도입된 바람은 그 출구(442)에서 힘차게 분출될 수 있다. 도 7은 의류(C)를 걸어둔 행거(30)에 송풍할 때의 모습을 예시한다. 몸통부측 풍로(43)에 도입된 바람은 화살표 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힘차게 의류(C)의 몸통부에 유입되고, 옷 끝단부를 향해 흐른다.
이러한 바람의 흐름에 동반해서 몸통부의 내부에 국소적인 바람의 흐름이 형성되어 의류(C)의 몸통부가 펄럭일 수 있다. 그 결과, 몸통부에 있는 주름을 효과적으로 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소매부측 풍로(44)에 도입된 바람은 화살표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힘차게 의류(C)의 소매부에 흐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C)의 소매부도 펄럭일 수 있다. 그 결과, 소매부에 있는 주름도 효과적으로 펴질 수 있다.
또한, 이 행거(30)의 지지부(31)에는 이물 제거부를 구성하는 관통공(331) 및 요홈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도 7에 화살표 A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30)로 보내지는 바람의 일부는 각 관통공(331)을 통해 각 요홈부(34)로 받아 들여짐으로써, 어깨걸이부(32)의 상부 외측면을 향해 송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의류(C)의 어깨부에 붙은 이물질(예를 들어, 머리카락이나 비듬 등)을 흩날려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30)에 걸어둔 의류(C)가 펄럭이면, 필터(61)의 전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의류(C)가 필터 커버(612)의 전면 흡입부(6121)에 흡착될 우려가 있다. 그러면, 필터 커버(612)의 전면 흡입부(6121)가 막혀 버려 송풍 유닛(60)에서 송풍되는 풍력이 저하되고, 의류(C)에 필터 커버(612)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흡입부(6121)의 막힘에 대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 관리 장치(1)의 필터 커버(612)에 측면 흡입부(6122)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61)의 횡폭은 옷장(4)의 횡폭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의류(C)가 펄럭이더라도 측면 흡입부(6122)가 의류(C)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측면 흡입부(6122)로 의류(C)가 말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C)가 펄럭여서 전면 흡입부(6121)에 접촉하더라도 의류(C)는 흡착되기 어려울 수 있고, 따라서, 송풍 유닛(60)에서 안정된 풍력을 출력할 수 있고, 흡착에 의해 발생하는 필터 커버(612)의 모양이 의류(C)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에어 노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관리 장치(1)의 옷장(4)에 3개의 송풍구(64)가 마련되며, 이러한 송풍구(64)에 각각의 행거(3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3장의 의류(C) 주름 제거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의류 관리 장치(1)에는 행거(30)와 함께 부속품으로 에어 노즐(9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8b는 에어 노즐(90)을 예시한다. 도 8a는 듀얼 방식이며, 도 8b는 싱글 방식이다. 두 에어 노즐(90)은 모두 커넥터(91)와, 노즐 바디(92)와, 노즐 커버(93)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91)는 행거(30)의 커넥터(33)와 동일한 구조이며, 연결부(64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노즐 바디(92)는 횡폭이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커버(93)는 노즐 바디(92)의 돌출단을 덮어 그 입구를 막을 수 있다.
듀얼 방식의 에어 노즐(90)에서는 그 노즐 커버(93)에 2개의 분출구(931, 931)가 횡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싱글 방식의 에어 노즐(90)의 경우 그 노즐 커버(93)에 1개의 분출구(931)가 횡폭 방향의 일단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커버(93)의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 바디(92)에 들어온 바람은 노즐 커버(93)의 내면에서 유도되어 분출구(931)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분출될 수 있다.
도 9는 듀얼 방식의 에어 노즐(90)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에어 노즐(90)은 1개의 행거(3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3개의 송풍구(64) 중 행거(30)를 중앙의 송풍구(64)(센터 송풍구(64c))에 장착한다. 그리고, 센터 송풍구(64c)와 서로 인접하고 있는 2개의 송풍구(64)(사이드 송풍구(64s))에 각각의 분출구(931)가 행거(30) 쪽을 향하도록 에어 노즐(90)을 장착할 수 있다.
에어 노즐(90)을 이와 같이 장착함으로써 분출구(931)에서 내뿜어지는 바람은 도 9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30)의 어깨걸이부(32)의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듀얼 방식의 에어 노즐(90)의 경우, 1개의 에어 노즐(90)로부터 양쪽 어깨걸이부(32)의 상부를 향해 바람을 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행거(30)에 걸어둔 의류(C)의 목덜미를 횡단해서 어깻죽지를 향하도록 바람을 분출할 수 있다.
싱글 방식의 에어 노즐(90)의 경우, 1개의 에어 노즐(90)에서 한쪽의 어깨걸이부(32)의 상부를 향해서 바람을 내뿜을 수 있다. 2개의 싱글 방식의 에어 노즐(90)을 장착함으로써, 각 에어 노즐(90)로부터 각 어깨걸이부(32)의 상부를 향해 바람을 분출할 수 있다.
행거(30)에 이와 같은 에어 노즐(90)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류(C)에 붙은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향상된다. 의류(C)의 외측에서도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의류(C)를 좀 더 펄럭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더 의류(C)의 괸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에어 노즐(90)의 분출구(931)가 바람을 뿜어내는 방향은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C)의 등 쪽에 바람이 접촉하도록 행거(30)의 횡폭 방향 중간 부분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의류 관리 장치(1)의 제어 예>
도 10은 의류 관리 장치(1)가 수행하는 주름 제거의 제어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의류 관리 장치(1)의 운전에 앞서, 급수 탱크(71)에 물을 급수하고 또한 배수 탱크(81)의 물을 폐기한다. 그리고, 옷장(4)에 설치된 행거(30)에 의류(C)를 걸고 도어(3)를 닫는다. 이 후, 조작부(8)를 조작하여 의류(C)에 맞는 모드를 선택하고 운전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가습 행정 및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관리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가습 유닛(70)을 작동시킨다. 이를 통해, 급수 탱크(71)에 저수된 물은 급수 펌프(73)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72)로 보내진다. 스팀발생장치(72)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예를 들어 100
Figure pat00001
의 스팀을 발생시킨다. 스팀발생장치(72)에서 발생한 스팀은 스팀 분출구(5)로부터 옷장(4)에 분사된다.
제어부(10)는 스팀의 분사와 동시 또는 조금 늦게, 공조 유닛(80)의 순환 팬(82)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순환 팬(82)의 작동은 스팀 분사보다 조금 늦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로를 억제하여 의류(C)를 효율적으로 가습할 수 있다.
순환 팬(82)은 회전수가 제어 가능하며, 제어 예에서는 고저로 제어되고 있다. 제어부(10)는 순환 팬(82)을 저회전으로 작동시킨다. 이를 통해 순환 팬(82)이 발생시키는 바람에 의해 스팀은 옷장(4) 내부로 확산된다. 그리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의류(C)는 적당히 습한 상태가 되므로, 제어부(10)는 가습 공정에서 건조 공정으로 전환한다.
건조 공정이 시작되면, 제어부(10)는 가습 유닛(70)의 작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순환 팬(82)의 회전수를 높여 열교환기(84)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84)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되어 건조된다. 또한 가열됨으로써 온풍이 발생하여 옷장(4)에 건조된 온풍이 분출된다. 그 결과, 옷장(4)의 공기가 교체되면서 점차 건조되어 간다.
제어부(10)는 또한 건조 공정이 시작되면 송풍 유닛(60)을 작동시킨다. 상단의 송풍 유닛(60)은 회전수가 제어 가능하여, 의류의 소재나 각종 공정의 진행 상황에 따라 최적의 회전수로 제어된다. 제어 예에서는 일정한 회전수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터(61)를 통과한 옷장(4)의 공기는 행거(30)를 통해 의류(C)의 내부에 송풍된다. 이에 따라 의류(C)는 펄럭이는 상태가 된다. 건조 공정 중에는 상시로 송풍 유닛(60)이 작동되므로, 의류(C)는 펄럭이면서 점차 건조되어 간다. 그 결과, 의류(C)에 형성된 주름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의류(C)는 건조된 상태가 되므로, 제어부(10)는 운전을 정지하고, 부저를 울리는 등의 알람을 통해 관리 처리가 종료된 것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이 의류 관리 장치(1)에 따르면, 행거(30) 구조의 연구에 의해 풍속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풍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의류(C)를 효과적으로 펄럭이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하는 기술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습 유닛(70)은 옷장(4)의 내부를 가습할 수 있으면, 스팀 대신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행거(30)나 에어 노즐(90)은 탈착 불가능한 상태로 옷장(4)의 윗면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송풍구(64)를 막을 수 있는 캡도 부속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송풍 팬(62)의 회전수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고, 건조 공정의 뒤보다 앞에서 회전수를 높일 수도 있다. 의류의 습도가 높은 쪽이 주름 제거 효과가 높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재질이 부드러운 의류나 원단이 얇은 의류는 송풍 팬(62)의 회전수를 낮게 하고, 재질이 딱딱한 의류나 원단이 두꺼운 의류는 송풍 팬(62)의 회전수를 높게 할 수 있다.
송풍 유닛(60)만을 동작시키는 운전 모드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 : 의류 관리 장치
4 : 옷장
5 : 스팀 분출구
6 : 에어 분출구
7 : 흡입구
10 : 제어부
30 : 행거
31 : 지지부
32 : 어깨걸이부
41 : 풍도입공간
42 : 풍도출공간
43 : 몸통부측 풍로
44 : 소매부측 풍로
45 : 확대풍로부
46 : 흡기도입부
60 : 송풍 유닛
61 : 필터
62 : 송풍 팬
63 : 송풍 덕트
64 : 송풍구
70 : 가습 유닛
80 : 공조 유닛
C : 의류

Claims (18)

  1. 본체;
    의류를 걸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행거; 및
    상기 행거에 걸린 의류를 향해 바람을 송풍하도록 송풍구를 갖는 송풍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행거는,
    상기 송풍구에 연결되고 내부에 풍도입공간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의류의 어깨부를 걸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풍도입공간에 연결되는 풍도출공간을 형성하는 어깨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풍도출공간은,
    상기 의류의 몸통부를 향해 바람을 토출하도록 형성된 몸통부측 풍로; 및
    상기 의류의 한 쌍의 소매부를 향해 바람을 토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측 풍로의 입구에서 분기된 한 쌍의 소매부측 풍로;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측 풍로는 하류 측으로 갈수록 풍로가 확대되도록 상기 몸통부측 풍로의 출구 부분에 마련되는 확대풍로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측 풍로는 상류 측으로 갈수록 풍로가 확대되도록 상기 몸통부측 풍로의 입구 부분에 마련되는 흡기도입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풍로부에는 상기 확대풍로부의 풍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리브(rib)가 마련된 의류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어깨걸이부와 함께 상기 풍도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어깨 걸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획벽을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풍도출공간을 상기 몸통부측 풍로와, 상기 한 쌍의 소매부측 풍로로 구획하는 의류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측 풍로와, 상기 한 쌍의 소매부측 풍로는, 상기 풍도입공간과 상기 풍도출공간의 경계에서 분리되는 의류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부측의 풍로의 출구는 상기 소매부측 풍로의 입구 보다 작게 형성된 의류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바람이 토출되는 개구부와, 상기 행거가 연결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마련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송풍구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일부를 상기 어깨걸이부의 상부 외측면을 향해 송풍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의류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토출된 공기를 상기 어깨걸이부의 상부 외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면적은 상기 풍도입공간 상단 개구의 면적의 1/4 내지 1/5인 의류 관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공기를 흡입하는 통풍구와, 상기 통풍구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를 덮는 필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여과재의 전면에 대면하는 전면 흡입부와, 상기 여과재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대면하는 측면 흡입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구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행거가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송풍구 중 나머지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행거에 장착된 의류를 향해 바람을 안내하는 에어 노즐이 장착되는 의류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풍구는 각각 상기 행거와 상기 에어노즐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도록 마련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와 상기 에어노즐은 각각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송풍구로부터 도입된 바람의 일부를 상기 의류의 외부를 향해 송풍하도록 마련된 이물 제거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송풍구로부터 도입된 바람의 일부를 상기 어깨걸이부의 상부 외측면을 향해 송풍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토출된 공기를 상기 어깨걸이부의 상부 외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요홈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되게 형성된 의류 관리 장치.

KR1020200155335A 2019-12-27 2020-11-19 의류 관리 장치 KR20210084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25,169 US11649581B2 (en) 2019-12-27 2020-12-17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20/018953 WO2021133043A1 (en) 2019-12-27 2020-12-23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9542A JP7553240B2 (ja) 2019-12-27 2019-12-27 衣類仕上げ装置
JPJP-P-2019-239542 2019-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236A true KR20210084236A (ko) 2021-07-07

Family

ID=7686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35A KR20210084236A (ko) 2019-12-27 2020-11-19 의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553240B2 (ko)
KR (1) KR2021008423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000A (ja) 1986-01-21 1987-07-29 ジヤ−ク、ゴメス 衣類のアイロン掛け方法および装置
JPH04317699A (ja) 1991-04-17 1992-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衣類のしわ取り乾燥機
JP2014028121A (ja) 2012-06-26 2014-02-13 Hmproducts Co Ltd 衣類乾燥用ハンガ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717B1 (ko) * 2018-01-08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000A (ja) 1986-01-21 1987-07-29 ジヤ−ク、ゴメス 衣類のアイロン掛け方法および装置
JPH04317699A (ja) 1991-04-17 1992-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衣類のしわ取り乾燥機
JP2014028121A (ja) 2012-06-26 2014-02-13 Hmproducts Co Ltd 衣類乾燥用ハンガ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 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553240B2 (ja) 2024-09-18
JP2021106788A (ja)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9581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347521B2 (en) Drying apparatus
EP1912551B1 (en) Hand dryer
US20090113748A1 (en) Drying apparatus
WO2021129476A1 (zh) 衣物处理装置
JP3094687B2 (ja) 手乾燥装置
KR20200127800A (ko) 펫 드라이어
KR101533103B1 (ko) 다용도 드라이어
KR20210084236A (ko) 의류 관리 장치
JPH08140891A (ja) 手乾燥装置
JP2021106875A (ja) 衣類仕上げ装置
JP2015217110A (ja) ノズル、送風装置および縦型洗濯乾燥機
JP5093763B2 (ja) 手乾燥装置
JP3985757B2 (ja) 手乾燥装置
JP7449529B2 (ja) 衣類処理装置
JP3704610B2 (ja) 循環気流式ハンドドライヤー
JP2018068497A (ja) 衣類処理装置
WO2014156091A1 (ja) 手乾燥装置
JP2000308598A (ja) 汚染空気の漏洩を抑えたハンドドライヤー
JP4915180B2 (ja) 手乾燥装置
JP5092505B2 (ja) 手乾燥装置
JP2022133954A (ja) 衣類仕上げ装置
KR20200127801A (ko) 펫 드라이어
JP2022072392A (ja) 衣類仕上げ装置
JP2018173251A (ja) 送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