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896A -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896A
KR20210083896A KR1020190176654A KR20190176654A KR20210083896A KR 20210083896 A KR20210083896 A KR 20210083896A KR 1020190176654 A KR1020190176654 A KR 1020190176654A KR 20190176654 A KR20190176654 A KR 20190176654A KR 20210083896 A KR20210083896 A KR 20210083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paper
printer
pri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9017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896A/ko
Priority to US17/789,307 priority patent/US20230051994A1/en
Priority to PCT/KR2020/019183 priority patent/WO2021133135A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프린터는,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는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인쇄 용지의 이송 중과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 상태에서 빛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획득하는 감지부;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연산하며, 연산된 기준값과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획득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PRINTER AND METHOD FOR DETECTING PRINTING PAPER}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에서 인쇄가 완료된 용지의 제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용지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 변화에도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에 대한 것이다.
프린터는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용지에 가시적으로 인쇄하는 출력장치이다. 통상적으로 프린터들은 용지를 이송하면서 동시에 이송되는 용지에 정보를 인쇄한다.
인쇄 용지는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용지와,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전지와 전지의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후지를 포함하는 다수층으로 구성되는 용지, 길게 연장된 인쇄 용지가 권취된 형태의 롤타입 용지와 다수의 용지가 적층되는 형태의 용지 등 인쇄 목적과 인쇄 내용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라벨 용지의 경우 길게 연장된 후지에 일정 간격으로 분리 구성된 전지가 연속적으로 점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영수증 프린터나 라벨 프린터와 같은 소형 프린터나 모바일 프린터들에 이용되는 인쇄 용지는 롤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롤타입 용지를 이용하는 프린터들은 특히 인쇄가 완료된 용지를 절단하거나 분리하는 구성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인쇄 완료된 용지의 선단부가 프린터 외부로 권출되면, 권출된 부분의 인쇄 용지를 자동 절단하거나 또는 수동 절단할 수 있도록 인쇄 용지 배출부 측에 커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전지와 후지를 포함하는 인쇄용지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에는 전지와 후지를 분리하여 각각 따로 권출되도록 하는 필러(PEELER)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터들에서 인쇄가 완료된 인쇄 용지가 배출부 측에 절단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적재되는 경우 이후의 인쇄 작업에 방해가 되거나 인쇄물을 이용한 작업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용지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경우, 인쇄 완료된 인쇄 용지들이 서로 접착되어 분리되지 않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필러에 의해 전지와 후지가 분리된 상태로 배출되는 경우 전지들이 서로 붙어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라벨이나 바코드 등의 인쇄 작업 시 권출된 하나의 인쇄물을 대상 제품에 정확히 부착해야 하므로 한번에 하나의 인쇄물만 출력되도록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인쇄 용지 배출부 측에 인쇄 용지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추가 인쇄 수행 여부를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인쇄 용지 배출부 측에 광학 센서를 배치하고 인쇄 용지가 배출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광량과 인쇄 용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광량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 유무를 감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광학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 설정된 고정된 값을 기준으로 용지 유무를 단순 판단했기 때문에 오류 발생 가능성이 컸다. 오류 발생을 줄이고 사용 환경에 적합한 기준값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일부 프린터에서는 기준값을 교정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기술도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광학 센서의 측정값을 고정된 하나의 값과 비교하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따라 많은 오류가 발생했다.
특히 모바일 프린터의 경우 사용 환경이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용지 감지 센서가 광학 센서로 구성되므로 조명이나 태양광 등에 의한 광량 변화에 민감하다. 따라서 하나의 기준값만으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프린터 사용시 용지 유무 감지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7-0088273호 '화상 형성 장치'에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의 정상 여부 등을 감지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이용하여 인쇄 용지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뿐 모바일 기기와 같이 사용 환경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감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는 바가 없다.
그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의 배출부에 인쇄 용지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프린터의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의 사용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인쇄 용지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기준값을 변경함으로써, 모바일 프린터와 같이 매번 사용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에 최적화된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 사용자가 인쇄 용지 감지를 위한 기준값의 설정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더라도 프린터가 능동적으로 기준값을 환경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는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는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인쇄 용지의 이송 중과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 상태에서 빛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획득하는 감지부;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연산하며, 연산된 기준값과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획득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용지 감지방법은,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이 정지되면, 상기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인쇄 용지 감지방법은,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이 정지되면, 상기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며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인쇄 용지 감지방법은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이 정지되면, 상기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의 배출부에 인쇄 용지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프린터의 동작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의 사용 환경 변화에 적응적으로 인쇄 용지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기준값을 변경함으로써, 모바일 프린터와 같이 매번 사용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에 최적화된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프린터 사용자가 인쇄 용지 감지를 위한 기준값의 설정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더라도 프린터가 능동적으로 기준값을 환경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린터와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인쇄 용지에 각종 정보를 가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인쇄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 프린터 등의 충격식 프린터, 그리고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열전사 프린터 등의 비충격식 프린터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프린터(100)는 롤타입 인쇄 용지를 내부에 수용하고 인쇄가 완료된 인쇄 용지의 선단부가 프린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의 프린터일 수 있다. 나아가 프린터(100)는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인쇄 용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점착제가 도포된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후지를 포함하는 인쇄 용지를 이용하는 프린터일 수도 있다.
나아가 프린터(100)는 배터리(미도시)를 이용하는 모바일 프린터일 수 있다.
이러한 프린터(100)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프린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의 연산과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을 담당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의 명령어 실행 결과로서 후술할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제어된다.
특히 제어부(110)는 프린터(100)의 배출부 측에 인쇄 완료된 상태로 배출된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후술할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기준값은 사용 환경에 따라 매번 갱신되는 값일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인쇄를 수행할 때마다 기준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프린터(100)는 이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20)는 프린터(1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용지의 이송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송부(120)는 인쇄 용지를 수용하는 용지수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용지수용부(121)는 롤타입 인쇄 용지, 또는 적층된 복수의 인쇄 용지의 수용 공간이다.
그리고 이송부(120)는 용지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용지권출부(122)는 예를 들어 롤타입 인쇄 용지의 양단부를 지지하면서 자유회동하거나 인쇄 용지의 권출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송부(120)는 이송롤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124)는 인쇄 용지의 일면에 밀착되어 인쇄 용지를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송롤러(124)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특히 후술할 인쇄부(130)의 인쇄헤드(미도시)와 대향하여 구성됨으로써 인쇄 용지가 인쇄헤드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100)는 인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130)는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 용지에 정보를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이다. 인쇄부(130)는 프린터의 종류에 따라 달리 구성되는 인쇄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인쇄헤드는 예를 들어 열전사 프린터에서는 TPH(Thermal Printing Head)가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쇄헤드는 예를 들어 후술할 커터(141)의 하방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 인쇄부(130)는 인쇄헤드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고 있는 인쇄 용지에 열을 가하여 정보를 인쇄한다.
나아가 프린터(100)는 절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140)는 인쇄 용지의 선단부를 절단하여 프린터(100) 내에 수용된 인쇄 용지와 인쇄 완료된 선단부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인쇄 용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롤타입 인쇄 용지를 이용하는 경우 프린터(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절단부(140)는 인쇄 완료된 인쇄 용지의 선단부에 인쇄 용지의 이송 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되는 커터(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는 하나의 칼날만을 포함함으로써 칼날 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인쇄 용지를 절단할 수 있는 수동커터가 예시되어 있으나, 절단부(140)는 인쇄 용지의 인쇄면과 배면에 각각 대향하여 두 개의 칼날이 배치되어 자동으로 인쇄 용지를 절단하는 자동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프린터(100)는 선택적으로, 분리부(1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분리부(150)는 인쇄 용지가 전지와 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정보가 인쇄되는 전지와 후지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구성으로 필러(Peeler)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분리부(150)는 전지가 배출되는 하나의 배출부와 후지가 배출되는 다른 하나의 배출부를 구비하고 인쇄 용지의 선단부의 전지와 후지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이때 프린터(100)에 상술한 절단부(140)가 구비되는 경우 전지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절단부(140)가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후지가 배출되는 배출부에도 별개의 커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분리부(150)가 구성되는 프린터(100)에 반드시 절단부(140)가 함께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라벨 인쇄 용지와 같이, 이미 전지가 라벨의 규격에 따라 절단된 상태로 후지에 배열되고, 분리된 전지가 전지 배출부로 배출되므로 전지 배출부 측에 분리부(150)가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프린터(100)에는 감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인쇄 용지의 배출부 외측에 배치되어 인쇄 완료된 인쇄 용지가 프린터(100)에서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감지부(160)는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인쇄 용지의 이송 도중에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상태에서 빛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는 빛을 감지하는 용지 센서(1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용지 센서(161)는 수광된 빛의 물리량, 예를 들어 광량이나 광에너지 등을 측정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이때 빛은 가시광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외선이나 자외선, 전자기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지 센서(161)는 특정 범위의 파장의 빛을 수광하여 빛의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나아가 이때 용지 센서(161)는 수동적으로 수광만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범위의 파장의 빛을 발광한 후 해당 파장의 빛을 수광하는 능동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부(160)는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검출할 필요성이 있는 상황, 즉 인쇄가 정지된 상태에서만 측정값을 획득하는 것뿐 아니라 인쇄 용지를 이송하고 있는 도중에도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60)에서 획득된 측정값은,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에 의해 수집되어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 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쇄 용지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배출부 후방 일정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배출부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술할 커버(192)가 본체(191)에 결합됨으로써 프린터(100) 내부가 차폐된 상태에서 본체(191)와 커버(192)가 협력하여 형성하는 인쇄 용지의 권출 구멍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배출부는 적어도 인쇄 용지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쇄 용지가 프린터(100) 외부로 권출될 수 있도록 인쇄 용지의 횡단면의 길이와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절단부(140)는 인쇄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배출부의 전방 또는 후방 일정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용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절단부(140)가 먼저 배열되고 그 후방에 감지부(16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40)의 커터(141)가 배열되고 그 후방에 대략 커터(141)의 길이방향 중앙에 용지 센서(16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프린터(100)는 입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사용자와 프린터(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프린터(100)의 상태나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수단은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통합된 하나의 입출력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입출력부(170)의 구성으로서 복수의 입력버튼(171)과 LCD 모니터(172)를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100)에는 전원공급부(180)가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외부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프린터(100)에 맞는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수단이거나 또는 배터리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프린터(100)가 모바일 프린터인 경우 전원공급부(180)로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0)는 본체(191)와 커버(1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91)에는 프린터(100)의 제어부(110)와 인쇄부(130), 그리고 입출력부(170) 등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192)는 본체(191)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선택적으로 용지수용부(121)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프린터(100)는 다른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인쇄 용지의 제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에서 감지되는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인쇄 용지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의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값이 획득되는 경우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수집하고 이를 특정 중간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값을 연산할 때에도 수집된 측정값들을 중간값으로 변환한 후 중간값들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할 때에도 측정값을 중간값으로 변환한 후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수집한 후 이를 시간 단위의 중간값으로 변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준값도 시간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때에도 감지부(160)의 실시간 측정값을 시간 단위의 중간값으로 변환한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로는 예를 들어 감지부(160)가 적외선 능동 센서로 구비되고 발광된 빛이 수광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감지부(160)가 직접 측정값을 시간 단위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발광된 빛이 수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이들을 측정값으로서 수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준값도 시간 단위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때에도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시간 단위의 중간값으로 변환하여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중간값을 이용하는지 여부는 감지부(160) 센서가 출력하는 물리량과,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용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감지부(160)로 수광되는 빛의 광량 차이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고, 또는 인쇄 용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발광된 빛이 수광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으므로, 어떤 방식으로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지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가 감지부(160)에 포함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110)의 중간값 이용 여부도 다를 수 있다.
상술한 프린터(1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인쇄 용지 감지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에서는 프린터(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프린터(100)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송부(120)와 인쇄부(130)가 인쇄 용지 이송과 인쇄를 개시하는 단계(S310)가 수행된다. 그에 따라 S310단계 이후에는 인쇄 용지가 이송되면서 인쇄가 수행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어서 프린터(100)의 제어부(110)는 인쇄 용지가 이송되는 상태에서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S320). 감지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의 빛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110)가 감지부(160)로부터 측정값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프린터(100)의 제어부(110)는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S330).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수집된 측정값을 입력값으로 갖는 기 설정된 함수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결과값으로 기준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함수는 인쇄 용지가 감지부(160)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감지되는 빛의 물리량이 갖는 범위를 벗어나는 기준값을 선택하는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60)가 측정하는 측정값이 적외선에 해당하는 파장을 갖는 빛의 광량인 경우, 인쇄 용지 이송 중 수집된 측정값들의 최소값보다 작은 결과값을 기준값으로 연산하도록 함수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연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프린터(100)의 제어부(110)는 용지 이송 및 인쇄가 완료된 후, S330단계에서 설정된 기준값을 이용하여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340). 이때 제어부(110)는 실시간으로 감지부(160)에서 획득되는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인쇄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제어부(110)가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중간값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실시예에서는 S330단계에서 수집된 측정값들을 중간값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중간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산출하며, S340단계에서는 실시간 획득된 측정값을 중간값으로 변환한 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음은 자명한다.
한편 도 3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인쇄가 시작되면, 프린터(100)의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송부(120)와 인쇄부(130)가 인쇄 용지 이송과 인쇄를 개시하는 단계(S410)가 수행된다. 그에 따라 S410단계 이후에는 인쇄 용지가 이송되면서 인쇄가 수행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프린터(100)의 제어부(110)는 S410단계에서 인쇄 용지의 이송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대기거리만큼 인쇄 용지가 이송될 때까지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수집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S420). 이때 대기거리는 프린터(100)에 절단부(140)가 구비되는 경우 절단부(140)의 커터(141)와 감지부(160)의 용지 센서(161) 사이의 수직거리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인쇄 용지가 커터(141)에서 절단된 후 용지 센서(161)까지 도달하기 까지의 이송거리로서, 인쇄가 개시된 후 인쇄 용지가 커터(141)에서 절단된 후 용지 센서(161)까지 도달하기 전에는 용지 센서(161) 전방에 인쇄 용지가 대향하지 않는 상태이다. 기준값은 인쇄 용지가 있는 상태에서 감지부(160)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산출되어야 하므로, 인쇄 용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감지부(160)의 측정값은 수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10)는 대기거리만큼 인쇄 용지가 이송될 때까지는 측정값의 수집 없이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용지가 대기거리만큼 이동하면,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 수집을 개시할 수 있다(S430).
그리고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측정거리만큼 용지의 이송이 완료되면(S440),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연산하고 설정할 수 있다(S450).
이때 측정거리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수증 프린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영수증이 갖는 최소길이 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라벨 프린터의 경우 단위 라벨의 길이 이하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용지의 이송과 인쇄가 정지되면(S460), 인쇄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S470) 인쇄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10)는 용지의 이송과 인쇄가 정지된 상태에서 인쇄 작업이 모두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60)가 실시간으로 획득한 측정값을 S450단계에서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480).
S480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부(110)는 인쇄 작업이 모두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다시 인쇄 용지의 이송 및 인쇄를 개시하는 S410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 용지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부(110)는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별될 때까지 인쇄 용지의 이송 및 인쇄를 보류하고 대기할 수 있다(S495).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서 대기거리와 측정거리는 각각 시간 단위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이는 대략 상술한 대기거리 또는 측정거리까지 인쇄 용지를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인쇄가 시작되면, 프린터(100)의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송부(120)와 인쇄부(130)가 인쇄 용지 이송과 인쇄를 개시하는 단계(S510)가 수행된다. 그에 따라 S510단계 이후에는 인쇄 용지가 이송되면서 인쇄가 수행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때 프린터(100)의 제어부(110)는 S510단계에서 인쇄 용지의 이송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대기거리만큼 인쇄 용지가 이송될 때까지 감지부(160)의 측정값을 수집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S520). 이때 대기거리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인쇄 용지가 대기거리만큼 이동하면, 제어부(110)는 감지부(160)의 측정값 수집을 개시할 수 있다(S530).
이어서 제어부(110)는 용지의 이송과 인쇄가 정지되면(S540),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연산하고 설정할 수 있다(S550).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쇄 작업이 모두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S560) 인쇄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10)는 용지의 이송과 인쇄가 정지된 상태에서 인쇄 작업이 모두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60)가 실시간으로 획득한 측정값을 S550단계에서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용지 제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570).
S570단계에서의 판별 결과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S580), 제어부(110)는 인쇄 작업이 모두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다시 인쇄 용지의 이송 및 인쇄를 개시하는 S510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 용지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부(110)는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별될 때까지 인쇄 용지의 이송 및 인쇄를 보류하고 대기할 수 있다(S590).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린터
110: 제어부
120: 이송부, 121: 용지수용부, 122: 용지권출부, 124: 이송롤러
130: 인쇄부
140: 절단부, 141: 커터
150: 분리부
160: 감지부, 161: 용지 센서
170: 입출력부, 171: 입력 버튼, 172: 모니터
180: 전원공급부
191: 본체, 192: 커버

Claims (15)

  1. 프린터에 있어서,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되는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인쇄 용지의 이송 중과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 상태에서 빛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획득하는 감지부;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연산하며, 연산된 기준값과 인쇄 용지의 이송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가 획득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인쇄 용지의 이송을 개시한 후 기 설정된 대기거리만큼 인쇄 용지를 이송할 때까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하지 않고 대기하는,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구비되고 인쇄 용지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인쇄 완료된 인쇄 용지의 선단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거리는,
    상기 절단부의 상기 커터와 상기 감지부 사이의 수직거리 이상으로 설정되는,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의 수집을 개시한 때로부터 상기 이송부가 기 설정된 측정거리만큼 인쇄 용지를 이송할 때까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하는,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을 개시한 때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인쇄 용지 이송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수집하는,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산된 기준값과 상기 감지부가 실시간으로 획득한 측정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되,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이송부와 상기 인쇄부로 인쇄 개시 명령을 전달하고, 인쇄 용지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이송부와 상기 인쇄부를 인쇄 대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바일 프린터인, 프린터.
  8.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는 인쇄 용지 감지방법에 있어서,
    인쇄 용지를 인쇄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인쇄 용지에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인쇄 용지의 이송 중,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배출된 인쇄 용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인쇄 용지의 이송이 정지되면, 상기 용지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인쇄 용지의 이송이 개시된 후 기 설정된 대기거리만큼 인쇄 용지가 이송될 때까지 상기 용지 센서의 측정값을 수집하지 않고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거리는,
    인쇄 용지의 배출부 측에 인쇄 용지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커터와 상기 용지 센서 사이의 수직거리 이상으로 설정되는,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는,
    측정값의 수집을 개시한 때로부터 인쇄 용지가 기 설정된 측정거리만큼 이송될 때까지 상기 용지 센서의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는,
    측정값의 수집을 개시한 때로부터 인쇄 용지의 이송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용지 센서의 측정값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인쇄 용지가 제거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인쇄 용지에 대한 인쇄를 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쇄 용지의 제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인쇄 용지가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경우 인쇄가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인쇄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인쇄 용지 감지방법.
  14.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프린터에 의해 수행되며,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76654A 2019-12-27 2019-12-27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KR20210083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54A KR20210083896A (ko) 2019-12-27 2019-12-27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US17/789,307 US20230051994A1 (en) 2019-12-27 2020-12-28 Printer and method for detecting printing paper
PCT/KR2020/019183 WO2021133135A1 (ko) 2019-12-27 2020-12-28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54A KR20210083896A (ko) 2019-12-27 2019-12-27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96A true KR20210083896A (ko) 2021-07-07

Family

ID=7657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654A KR20210083896A (ko) 2019-12-27 2019-12-27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51994A1 (ko)
KR (1) KR20210083896A (ko)
WO (1) WO2021133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9338B (zh) * 2022-03-31 2023-04-07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侦测阈值设定方法、装置、打印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7066A (en) * 1992-10-02 1997-08-1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al demand printer
JP4280884B2 (ja) * 2000-08-07 2009-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装置におけるしきい値設定方法
JP2016137991A (ja) * 2015-01-29 2016-08-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と自動原稿送り装置
JP6387936B2 (ja) * 2015-09-30 2018-09-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034460A (ja) * 2016-09-01 2018-03-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KR101981753B1 (ko) * 2017-10-20 2019-05-24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터 및 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1994A1 (en) 2023-02-16
WO2021133135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0463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9460374B2 (en) Printer and printer control method
US20190180265A1 (en) Printer and merchandis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210083896A (ko) 프린터와 인쇄 용지 감지방법
KR20170042492A (ko) 기록 장치,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5110926B2 (ja) カートリッジ
JP2008207955A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317457A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veyance control method
US10526151B2 (en) Printing devices
JP200716068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90110B2 (en) Setting apparatus, setting method, and program
JP2010064272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65295B2 (ja) 記録装置
JP2018030296A (ja) 記録装置
KR101981753B1 (ko) 프린터 및 인쇄방법
US11214082B2 (en) Media detectors
CN109890621B (zh) 打印机和打印方法
JP5030288B2 (ja) プリンタ
JP4764083B2 (ja) 連続紙印刷装置
JP2020166571A (ja) プリンタ
JP4280884B2 (ja) 記録装置,記録装置におけるしきい値設定方法
JP2018065677A (ja) 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92050B2 (ja) ラベルプリンターのラベル検出装置およびラベル検出方法
JP610483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8065676A (ja) 媒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