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50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501A
KR20210083501A KR1020190175829A KR20190175829A KR20210083501A KR 20210083501 A KR20210083501 A KR 20210083501A KR 1020190175829 A KR1020190175829 A KR 1020190175829A KR 20190175829 A KR20190175829 A KR 20190175829A KR 20210083501 A KR20210083501 A KR 2021008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pening
air purifier
cas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의성
김병건
송우석
이태용
임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501A/ko
Priority to PCT/KR2020/018670 priority patent/WO2021132998A1/en
Priority to US17/134,882 priority patent/US11913658B2/en
Publication of KR2021008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80Electric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30Artificial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 개구, 상기 배출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하며, 공기 배출이 가능한 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방법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및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팬의 회전 수를 조절할 수 있다. 팬의 회전 수가 증가할 때, 공기청정기는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할 수 있으며, 팬의 회전 수가 감소할 때, 공기청정기는 비교적 적은 양의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의 위치는 흡입구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배출구는 공기청정기의 상면,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 개구, 상기 배출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하며,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의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3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는 상기 배출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장치의 측 방향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개폐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개폐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조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조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조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전류 소모량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전류 소모량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큰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화재에 의한 연기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흡입구를 갖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배출 개구,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로 구성되는 제1 배출부를 갖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로 구성되는 제2 배출부를 갖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배출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배출장치의 측 방향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개폐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먼지의 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배출 홀이 배출장치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배출장치의 제2 배출 케이스가 제1 배출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1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2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3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4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기청정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배출되는 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는 배출장치의 구성은 공기청정기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가전제품,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와 같은 가전제품이라면 어떠한 가전제품에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1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본체(10)와, 본체(10)에 장착되는 배출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은 공기청정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위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는 하우징(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흡입구(12)는 하우징(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흡입구(12)가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11)의 4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1)의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본체 필터(13)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흡입구(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흡입구(12)가 형성된 하우징(11)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흡입구(12)가 형성된 하우징(11)의 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송풍장치(14)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4)는 하우징(11)의 외부 공기를 흡입구(12)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장치(100)로 송풍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어부(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배출장치(100)를 향하는 일 부분에는 본체 연결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연결구(16)를 통해 송풍장치(14)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배출장치(100)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본체(10)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본체(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배출 개구(131)와, 배출부(112,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112, 122)는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방지하도록 배출되는 공기를 저속으로 만들기 위한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본체(10)에 고정되는 제1 케이스(110)와, 제1 케이스(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케이스(120)와, 제2 케이스(1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배출장치(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부분이 제2 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20)는 배출장치(100)의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본체(10)와 연통되기 위한 장치 연결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연결구(111)는 본체(10)의 본체 연결구(16)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에는 장치 필터(101)가 장착될 수 있다. 장치 필터(101)는 본체 연결구(16)를 통해 배출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공기청정기(1)로 유입된 공기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며, 장치 필터(101)는 송풍장치(14)를 통과한 공기를 2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제1 배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부(112)는 공기청정기(1)가 제3 모드로 작동될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부(112)는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부(112)는 측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부(112)는 제1 케이스(1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부(112)는 공기청정기(1)의 모드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고정 케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5)는 제1 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케이스(105)는 제1 통과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과부(106)는 배출장치(100)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배출부(112, 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통과부(106)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20)는 제1 케이스(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20)는 제2 배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부(122)는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부(122)는 공기청정기(1)가 제2 모드 및 제3 모드로 작동될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출부(122)는 공기청정기(1)의 측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출부(122)는 제2 케이스(12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장치(100)는 제2 케이스(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장치(125, 126, 127, 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125, 126, 127, 128)는 제1 구동원(125)과, 제1 피니언(126)과, 제1 랙(127)과, 제1 고정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125, 126, 127, 128)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원(125)은 고정 케이스(105)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피니언(126)은 제1 구동원(1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피니언(126)은 제1 구동원(12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랙(127)은 제1 피니언(12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랙(127)은 제1 고정부(128)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28)는 제2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구동원(125)의 구동에 기초하여, 제2 케이스(120)는 이동할 수 있다.
배출 개구(131)는 공기청정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120)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개구(131)는 공기청정기(1)가 제1 모드로 작동될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 개구(131)는 개폐 장치(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2 통과부(133)는 제1 통과부(106)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통과부(133)는 배출장치(100)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배출 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통과부(133)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140)는 배출 개구(13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장치(10)는 개폐 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141)는 일 부분이 배출 개구(13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폐 장치(140)는 개폐 부재(141)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 구동장치(145, 146, 147)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구동장치(145, 146, 147)는 개폐 구동원(145)과, 개폐 피니언(146)과, 개폐 랙(147)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구동장치(145, 146, 147)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개폐 구동원(145)은 제2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개폐 피니언(146)은 개폐 구동원(145)과 연결될 수 있다. 개폐 피니언(146)은 개폐 구동원(14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개폐 랙(147)은 개폐 피니언(14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개폐 랙(147)은 제2 케이스(120)에 마련되는 장치 가이드(134)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장치 가이드(134)는 개폐 랙(147)의 상하 방향에 따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개폐 구동원(145)의 구동에 기초하여, 개폐 부재(141)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하는 위치 및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2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3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 개구(131)를 통해 배출하는 제1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공기청정기(1)를 제1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전달받은 때, 개폐 구동원(145)을 작동시키게 된다. 개폐 구동원(145)이 작동함에 따라, 개폐 피니언(146) 및 개폐 랙(147)이 구동하게 된다. 개폐 랙(147)은 개폐 부재(14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배출 개구(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장치(100)로 유입된 정화된 공기는 배출 개구(1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정화된 공기를 제2 배출부(122)를 통해 배출하는 제2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공기청정기(1)를 제2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전달받은 때, 배출 개구(131)가 폐쇄되도록 개폐 구동원(145)을 작동시키게 된다. 배출 개구(131)가 이미 폐쇄된 때, 제어부(15)는 개폐 구동원(145)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배출 개구(131)가 폐쇄됨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배출장치(100)로 유입된 정화된 공기를 제2 배출부(122)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제2 배출부(122)는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배출부(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정화된 공기를 제2 배출부(122) 및 제1 배출부(112)를 통해 배출하는 제3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즉, 공기청정기(1)는 배출장치(100)의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을 제2 모드보다 증가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공기청정기(1)를 제3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전달받은 때, 제1 구동원(125)을 작동시키게 된다. 제1 구동원(125)이 구동함에 따라, 제1 피니언(126) 및 제1 랙(127)이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스(120)가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케이스(110)의 제1 배출부(112)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배출장치(100)의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은 제2 케이스(120)가 이동하는 만큼 증가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다양한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센서(19)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9)는 다양한 주변 환경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1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센서(19)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제2 케이스(120)를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장치(100)의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제2 케이스(120)를 본체(10)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장치(100)의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상대적으로 주변이 추울 때,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를 최소화하도록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조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제2 케이스(120)를 본체(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장치(100)의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조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제2 케이스(120)를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장치(100)의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상대적으로 주변이 어두울 때,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전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전류 사용량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하도록 개폐 장치(140)를 작동시켜 공기청정기(1)를 제1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전류 사용량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상대적으로 전류 사용량이 많은 때,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H)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에너지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전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전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전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적외선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19)가 감지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큰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하도록 개폐 장치(140)를 작동시켜 공기청정기(1)를 제1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센서(19)가 감지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대상체에 배출 공기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대상체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구멍인 배출 개구(13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에 상대적으로 작은 대상체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에 상대적으로 작은 대상체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에 상대적으로 작은 대상체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시켜 공기청정기(1)가 제1 모드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외부공기의 유입량 또는 환기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 이산화탄소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이산화탄소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이산화탄소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화재에 의한 연기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시켜 공기청정기(1)가 제1 모드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화재에 의한 연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화재 연기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화재 연기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화재 연기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시켜 공기청정기(1)가 제1 모드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주방에 배치되는 경우, 주방 후드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시켜 공기청정기(1)가 제1 모드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주변의 먼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때, 공기 청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먼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먼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먼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19)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습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폐쇄하고 배출부(112, 122)를 통해 공기가 저속으로 배출되는 제2 내지 제4 모드로 공기청정기(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19)가 측정한 습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때, 제어부(15)는 배출 개구(131)를 개방시켜 공기청정기(1)가 제1 모드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는 습도와 먼지의 양을 별도로 측정하여, 비효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청정기(1)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1)의 주변 습도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습도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은 유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주변 습도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제어부(15)는 송풍장치(14)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배출부(112, 122)의 면적을 증가시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2)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2)의 배출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200)의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200)는 배출 케이스(210)와, 개폐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케이스(210)는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배출 케이스(210)는 배출장치(200)의 바닥면,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 케이스(210)는 배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212)는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212)는 공기청정기(2)가 제2 모드로 작동될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 케이스(210)는 배출 개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개구(211)는 공기청정기(2)의 상면을 형성하는 배출 케이스(210)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개구(211)는 공기청정기(2)가 제1 모드로 작동될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 개구(211)는 개폐 장치(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배출 케이스(210)는 제1 통과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과부(213)는 배출장치(200)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배출부(2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통과부(213)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케이스(210)는 제2 통과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과부(214)는 배출장치(200)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배출 개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통과부(214)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과부(213) 및 제2 통과부(214)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2)는 배출 개구(211)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모드 및 배출부(212)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제2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제4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3)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3)의 배출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스(120)가 2개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장치(300)는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320)와, 제3 케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320)는 배출장치(3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케이스(330)는 배출장치(3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스(320)는 제2 배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장치(300)는 제2 케이스(3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장치(325, 326, 327, 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325, 326, 327, 328)는 제1 구동원(325)과, 제1 피니언(326)과, 제1 랙(327)과, 제1 고정부(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장치(325, 326, 327, 328)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30)는 제2 케이스(3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케이스(330)는 배출 개구(331)와, 제3 배출부(332)와, 제2 통과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과부(333)는 생략될 수 있으며, 제2 통과부(333)가 형성된 부분이 개구를 갖지 않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배출부(332)는 미세한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출부(332)는 공기청정기(3)가 제4 모드로 작동될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배출부(332)는 측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배출부(332)는 제3 케이스(33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출부(332)는 공기청정기(3)의 모드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배출장치(300)는 제3 케이스(3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장치(335, 336, 337, 3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335, 336, 337, 338)는 제2 구동원(335)과, 제2 피니언(336)과, 제2 랙(337)과, 제2 고정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장치(335, 336, 337, 338)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동원(335)은 고정 케이스(105)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피니언(336)은 제2 구동원(33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피니언(336)은 제2 구동원(33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랙(337)은 제2 피니언(33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랙(337)은 제2 고정부(338)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38)는 제3 케이스(3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구동원(335)의 구동에 기초하여, 제3 케이스(330)는 이동할 수 있다.
제1 통과부(106)는 제3 배출부(33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개폐 장치(140)는 제3 케이스(3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3)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정화된 공기를 제2 배출부(322), 제1 배출부(312) 및 제3 배출부(332)를 통해 배출하는 제4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즉, 공기청정기(3)는 배출장치(300)의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을 제3 모드보다 증가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청정기(3)가 제3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5)는 공기청정기(3)를 제4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전달받은 때, 제2 구동원(335)을 작동시키게 된다. 제2 구동원(335)이 구동함에 따라, 제2 피니언(336) 및 제2 랙(337)이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케이스(330)가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 케이스(330)의 제3 배출부(332)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배출장치(300)의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은 제3 케이스(330)가 이동하는 만큼 증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를 설명한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의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본체 필터(13′)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는 송풍장치(14)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본체 필터(13)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본체 필터(13′)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흡입구(12)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필터(13)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본체 필터(13′)는 송풍장치(14)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2개가 마련되는 본체 필터(13)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본체 필터(13′)는 1개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는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흡입구(12)로 유입된 공기가 모두 본체 필터(13′)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a)를 설명한다. 다만,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a)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a)는 하우징(11)의 4면에 각각 형성되는 흡입구(12a, 12b, 12c, 12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는 하우징(11)의 반대되는 양 측면에만 흡입구(12)가 형성되는 반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a)는 하우징(11)의 4면 모두에 흡입구(12a, 12b, 12c, 12d)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a)는 흡입구(12a, 12b, 12c, 12d)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필터(13a, 13c, 13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 필터(13a)는 제1 흡입구(12a)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본체 필터(미도시)는 제2 흡입구(12b)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3 본체 필터(13c)는 제3 흡입구(12c)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4 본체 필터(13d)는 제4 흡입구(12d)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b)를 설명한다. 다만, 도 16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b)를 설명함에 있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b)의 본체 필터(13e)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본체 필터(13a, 13c, 13d)는 하우징(11)의 4면에 형성된 흡입구(12a, 12b, 12c, 12d)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반면, 도 16에 도시된 본체 필터(13e)는 하우징(11)의 4면에 형성된 흡입구(12a, 12b, 12c, 12d)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하나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입구(12a, 12b, 12c, 12d)는 원통 형상의 본체 필터(13e)의 반경 방향 외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c)를 설명한다. 다만, 도 17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c)를 설명함에 있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c)의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본체 필터(13f)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f)는 흡입구(12a, 12b, 12c, 12d)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필터(13f)는 송풍장치(14)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본체 필터(13a, 13c, 13d)와 달리, 도 17에 도시된 본체 필터(13f)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흡입구(12a, 12b, 12c, 12d)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필터(13a, 13c, 13d)와 달리, 도 17에 도시된 본체 필터(13f)는 송풍장치(14)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4개가 마련되는 본체 필터(13a, 13c, 13d)와 달리, 도 17에 도시된 본체 필터(13f)는 1개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공기청정기(1c)는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2a, 12b, 12c, 12d)로 유입된 공기가 모두 본체 필터(13f)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1′, 1a, 1b, 1c; 공기청정기
10; 본체
100, 200, 300; 배출장치
110; 제1 케이스
112; 제1 배출부
120; 제2 케이스
122; 제2 배출부
131; 배출 개구
140; 개폐 장치
210; 배출 케이스
211; 배출 개구
212; 배출부
320; 제2 케이스
322; 제2 배출부
330; 제3 케이스
331; 배출 개구
332; 제3 배출부

Claims (20)

  1. 흡입구를 갖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배출 개구;
    상기 배출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을 포함하며,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변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3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3 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구는 상기 배출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장치의 측 방향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개폐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9. 제2항에 있어서,
    센서; 및
    상기 센서가 감지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개폐 부재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조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조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조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전류 소모량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전류 소모량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때,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적외선 센서가 감지한 대상체가 기 설정된 크기보다 큰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화재에 의한 연기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16. 흡입구를 갖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장치의 상면에 위치하는 배출 개구;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로 구성되는 제1 배출부를 갖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배출 개구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배출 홀로 구성되는 제2 배출부를 갖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배출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기 배출 가능 면적이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배출장치의 측 방향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개폐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압력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20. 제18항에 있어서,
    먼지의 양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높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을 때, 상기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KR1020190175829A 2019-12-27 2019-12-27 공기청정기 KR20210083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29A KR20210083501A (ko) 2019-12-27 2019-12-27 공기청정기
PCT/KR2020/018670 WO2021132998A1 (en) 2019-12-27 2020-12-18 Air purifier
US17/134,882 US11913658B2 (en) 2019-12-27 2020-12-28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29A KR20210083501A (ko) 2019-12-27 2019-12-27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501A true KR20210083501A (ko) 2021-07-07

Family

ID=7654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829A KR20210083501A (ko) 2019-12-27 2019-12-27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13658B2 (ko)
KR (1) KR20210083501A (ko)
WO (1) WO20211329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278Y1 (ko) * 1995-12-15 1998-08-17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60023457A (ko) 2004-09-09 200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611313B1 (ko) 2008-11-05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10041692A (ko) 2009-10-16 2011-04-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JP2013013852A (ja)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空気清浄装置
JP5864344B2 (ja) * 2012-04-09 2016-02-17 バルミューダ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KR20150047371A (ko) 2013-10-24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350344B2 (ja) 2015-03-10 2018-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2449622B1 (ko) * 2015-06-29 2022-10-04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791056B1 (ko)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508819B2 (en) * 2015-10-15 2019-12-17 Koninklijke Philips N.V. Air treatment system
US10837659B2 (en) * 2015-12-02 2020-11-17 Coway Co., Ltd. Air purifier
KR101897353B1 (ko) * 2016-02-26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665025B1 (ko) * 2016-08-19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778544B1 (ko) 2016-12-26 2017-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60468B1 (ko) * 2017-01-03 2024-04-25 코웨이 주식회사 열 감지를 이용한 로봇 청정기 제어 방법
CN207407437U (zh) * 2017-08-18 2018-05-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器
KR102401667B1 (ko) 2017-12-15 2022-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507036A (zh) * 2018-03-19 2018-09-07 李丽芳 一种具有自动净化能力的室内环境检测装置
KR101921274B1 (ko) 2018-05-03 2019-02-13 주식회사 코어볼트 측부배출형 무지향성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13658B2 (en) 2024-02-27
WO2021132998A1 (en) 2021-07-01
US20210199323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258B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CN107429925B (zh) 空气净化器
US20200182508A1 (en) Air Purifier Capable of Adjusting Wind Direction
TW201537121A (zh) 空氣清淨機
KR100776602B1 (ko)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6151A (ko) 공기청정기
KR20180064276A (ko)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6313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TWI572829B (zh) 空氣清淨機
TW201600810A (zh) 空氣清淨機
KR102093869B1 (ko) 공기정화기가 일체로 구비된 렌지 후드
JP2002257408A (ja) 空気調和機
JP2011016072A (ja) 空気清浄機
JP4630703B2 (ja) 空気清浄機
KR20060024742A (ko) 청정모드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20210083501A (ko) 공기청정기
KR20210093643A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JP2007010179A (ja) 空気清浄機
JP4320136B2 (ja) 空気清浄化装置
JP2015010808A (ja) 空気清浄装置
KR102460287B1 (ko) 소형환기장치
JP2007196183A (ja) 空気清浄機
KR20030063842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