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591A - 소재 흡착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흡착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591A
KR20210082591A KR1020190174664A KR20190174664A KR20210082591A KR 20210082591 A KR20210082591 A KR 20210082591A KR 1020190174664 A KR1020190174664 A KR 1020190174664A KR 20190174664 A KR20190174664 A KR 20190174664A KR 20210082591 A KR20210082591 A KR 20210082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adsorption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774B1 (ko
Inventor
이진기
김종환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대봉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봉기연 filed Critical (주)대봉기연
Priority to KR102019017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2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provided with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흡착 이송 장치는,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 이동판의 하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흡착부에 의해 다단 적층된 소재를 순차적으로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수평 이동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 공간과, 측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기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승강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과,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 유입구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흡착밸브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기 통로에 연통되어 상기 소재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 및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며 하부는 상기 흡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흡착 이송 장치{Vacuum absorption device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 적층된 소재의 최상층에 위치한 소재만을 용이하게 흡착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소재를 구성의 변경 없이 흡착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소재의 크기에 따라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흡착부를 개별제어함으로써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이나 작업장에서 다양한 소재를 들어올리고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해당 소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흡착 이송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착 이송 장치는 작업자가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운반하는 육체 노동을 대신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산업재해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흡착 이송 장치는 예를 들어 박스, 판지, 유리, 목재, 철판, 건축 및 건설용 자재, 파이프, 코일, 필름, PCB 기판, 전자회로 기판, 패널, 솔라 모듈 등을 위해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흡착 이송 장치는 소재의 표면 형태와 상관없이 소재를 이송 내지 반송할 수 있고, 중대형 사이즈의 소재에 대한 작업을 위해 대규모 설비로 구성되거나 정교한 작업을 위해 소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흡착 이송 장치는 공기 주입량과 압력을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는 진공 흡착 시스템일 수 있는데, 동력식 진공 흡착방식(Powered vacuum lifting) 및 무동력식 진공 흡착방식(Mechanical vacuum lifting)이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두 방식 모두 소재를 흡입함으로써 상측으로 그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고, 흡착부재는 그 하부가 소재와 맞닿게 된다.
그리고 흡착부재의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유닛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 유닛은 소재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재뿐만 아니라 소재 이송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유닛은 높낮이 차이를 가지는 소재를 이송할 때 그 차이를 보정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편, 종래의 흡착 이송 장치들은 높낮이 차이가 있는 소재를 스프링을 통해 보정을 할 수 있으나, 소재를 흡착시키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소재의 최상층에 위치한 소재를 흡착시키는 과정에서 최상층 소재와 접촉하는 다음 층에 위치한 소재가 부착되어 흐트러지는 등의 최초 위치에서 변형되어 다음 이송 시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아 이송 공정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재의 크기가 흡착 이송 장치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흡착소재들까지 작동시켜야 함에 따라 작업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단 적층된 소재를 흡착시키는 과정에서 흡착하고자 하는 소재와 접촉되어 있는 다른 소재가 같이 흡착되지 않고, 흡착시키고자 하는 최상단의 위치한 소재만을 용이하게 흡착시킬 수 있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흡착부의 진공압을 차단시켜 진공이 소실되는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흡착 이송 장치는,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 이동판의 하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흡착부에 의해 다단 적층된 소재를 순차적으로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수평 이동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 공간과, 측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기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승강 샤프트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과,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 유입구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흡착밸브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기 통로에 연통되어 상기 소재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 및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며 하부는 상기 흡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차폐하고, 중앙에는 진공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마개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마련되되,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수직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바디의 상측 외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 부재 및 제2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측 내주면과 상기 바디의 하측 외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3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흡착 이송 장치는 수평 이동판의 가장자리의 흡착부가 실린더 본체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샤프트가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 소정 간격 상향 이동되며, 소재를 흡착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가장자리를 소정 높이 상향 이동시켜 아래층의 소재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아래층의 소재가 동시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소재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실린더 본체와 승강 샤프트의 바디 사이에 상하로 각각 베어링 부재가 개재되어 승강 샤프트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축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착 부재가 소재를 용이하게 흡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흡착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흡착부의 진공압을 차단시켜 진공이 소실되는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재의 흡착 및 탈착과정에서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은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실린더 본체를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흡착 부재를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서 흡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흡착 이송 장치의 흡착부(100)는, 개략적으로 실린더 본체(200), 승강 샤프트(300), 하우징(400), 흡착 부재(500) 및 탄성 부재(60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린더 본체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200)의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 공간(201)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내부 공간(201)과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22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본체(200)는 흡착부(100)의 중심 몸체를 이루며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실린더 본체(20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측 개구와 하측 개구는 내부 공간(201)을 통해 연통되며, 상측 개구에는 후술할 하우징(400)이 결합되고, 하측 개구로는 후술할 승강 샤프트(300)의 바디(310)가 돌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유입구(220)는 실린더 본체(20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본체(200)의 측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유입구(22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201)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밸브(221)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밸브(221)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본체의 내부 공간(201)으로 유입되어 후술할 승강 샤프트(300)의 측벽(320)을 가압하여, 승강 샤프트(300)가 소정 높이 상향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 샤프트(300)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310)와, 바디(3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3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바디(310)는 승강 샤프트(300)를 이루는 몸체이며, 실린더 본체(200)의 내부 공간(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는 실린더 본체(200)의 하측 개구로 돌출되는 연장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310)는 실린더 본체(200)와 같이,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바디(310)의 길이방향으로 배기 통로(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310)의 측면에는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 방향으로 측벽(32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벽(320)은 제1 유입구(22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돌출된다.
이때, 상기 측벽(320)은 내부 공간(201)을 하측 내부 공간과 상측 내부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측벽(320)의 하면은 제1 유입구(220)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맞닿고 공기의 압력에 의해 소정 간격 상향 이동되면서 바디(310)도 소폭 상향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실린더 본체(2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실린더 본체(200)는 내부가 준공인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린더 본체(200)의 하측 개구로 돌출되는 연장부(210)가 형성된다.
제1 유입구(220)는 상기 연장부(2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며,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과 바디(310)의 외주면 사이에 마련된 내부 공간(201)으로 상기 제1 유입구(220)에 결합되는 에어밸브(2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내부 공간(201)은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과, 연장부(210)와, 바디(310)의 외주면 및 측벽(32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실린더 본체(200)의 상측 내주면과 바디(310)의 상측 외주면 사이에는 제1 오링(202) 및 제2 오링(321)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오링(202)은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측벽(320)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오링(321)은 측벽(320) 내부에 마련되며 바디(3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오링(202) 및 제2 오링(321)은 내부 공간(201)상에서 바디(310)의 왕복 이동 시에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과 바디(310)의 상측 외주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내부 공간(201)이 기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장부(210)의 하측 내부에는 제3 오링(211)이 마련되며, 상기 제3 오링(211)은 바디(3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201)상에서 바디(310)의 왕복 이동 시에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과 바디(310)의 하측 외주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며, 내부 공간(201)이 기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오링(211)의 하측에 제3 베어링 부재(212)가 마련되며, 상기 제3 베어링 부재(212)는 바디(3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바디(310)의 왕복 이동시에 마찰면을 대신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통상의 오링과 같은 형상 및 재질(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윤활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린더 본체(200)의 상측 내주면과 바디(310)의 상측 외주면 사이에는 제1 베어링 부재(203) 및 제2 베어링 부재(322)가 마련된다.
제1 베어링 부재(203)는 실린더 본체(200)의 상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오링(202)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측벽(320)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제2 베어링 부재(322)는 상기 측벽(320) 내부의 상기 바디(310)의 상측 외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오링(202)의 하측에 마련된다.
제1 베어링 부재(203)와 제2 베어링 부재(322)는 바디(310)가 실린더 본체(20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운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디(310)가 내부 공간(201)에서 축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디(310)가 축 회전되게 되면, 바디(310)의 하부에 결합된 흡착 부재(500)도 회전되게 되면서 소재를 흡착시킨 상태에서 흡착 부재(500)의 회전에 의해 소재가 탈착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제1 베어링 부재(203)와 제2 베어링 부재(322)는 바디(3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바디(310)가 실린더 본체(200)의 상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어링 부재는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좋으며, 합성수지, 세라믹 또는 카본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는 실린더 본체(200)의 내주면과 바디(31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면을 대신함으로써, 잦은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접촉에 의한 열화에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높아 변형되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 마찰 계수가 낮아 마모에 의한 이물질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400)은 실린더 본체(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40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401)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402)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40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40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00)의 하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바디(310)의 상단이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400)은 바디(310)의 상단과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안정되고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결합부(311a)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부(311a) 또한 중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400)의 상단에는 상기 하우징(400)의 상단을 차폐하는 하우징 마개(420)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마개(420)는 중앙에 진공관(421)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의 수용공간(401)에는 피스톤(430)이 설치되는데, 상기 피스톤(430)은 내부가 중공(431)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중공(431)과 연통되는 관통홀(4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430)의 중공(431)과 상기 바디(310)의 배기 통로(312)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4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홀(432)은 상기 피스톤(430)이 상승하게 되면 후술할 제2 유입구(402)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30)의 외주면에는 완충스프링(433)이 설치되는데, 상기 완충스프링(433)은 상기 피스톤(430)의 수직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400)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4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4 오링(434)이 설치되어 기밀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00)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401)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40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구(402)에는 흡착밸브(4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밸브(410)에 진공압 내지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작용하면 상기 제2 유입구(402)를 통해 유입된 진공압이 상기 피스톤(430)의 관통홀(432)을 통해 상기 피스톤(430) 내부의 중공(431)으로 유입되고, 상기 중공(431)과 연통되는 상기 바디(310)의 배기 통로(312)를 통해 하부에 배치된 흡착 부재(500)에 작용하여 소재에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피스톤의 작동과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진공관(421)에서 상기 하우징(400)의 수용공간(401)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면 피스톤(430)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2 유입구(402)와 연통되는 관통홀(432)이 상기 하우징(40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상기 흡착밸브(410)에서 제2 유입구(402)를 통해 유입되는 진공압이 상기 관통홀(432)을 통해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켜 흡착 부재(500)가 소재를 흡착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401)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역으로 진공관(421)을 통해 배출시키면 상기 피스톤(430)이 위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432)이 상기 제2 유입구(402)와 연통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흡착밸브(410)에서 주입되는 진공압이 상기 피스톤(430)의 관통홀(432)을 통해 상기 피스톤(430) 내부의 중공(431)으로 유입되고, 상기 중공(431)과 연통되는 상기 바디(310)의 배기 통로(312)를 통해 하부에 배치된 흡착 부재(500)에 작용하여 소재에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2의 흡착 부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착 부재(500)는 바디(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소재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 부재(5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며, 소재에 접촉 시 상하방향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고, 소재와 긴밀하게 접촉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500)는 바디(310)의 하단과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안정되고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결합부(311b)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부(311b) 또한 중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부재(600)는 바디(310)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세하게는 실린더 본체(200)의 하측 개구로 돌출된 바디(310)의 연장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부는 실린더 본체(200)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며, 하부는 흡착 부재(500)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60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착 부재(500)가 소재에 밀착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본 발명의 흡착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키게 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600)는 조립된 상태에서 실린더 본체(200)의 하면과 흡착 부재(500)의 상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600)는 다단 적층된 소재를 다른 위치로 이송시킬 때마다, 적층된 소재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소재를 흡착시키는 과정에서 소재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흡착부(100)의 바디(310) 및 흡착 부재(5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소재 흡착 이송 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 대응되는 크기의 소재를 흡착시킬 경우에는, 수평 이동판(미도시)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모든 흡착부(100)는 소재에 밀착되어 흡착시키고, 소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흡착부(100)의 제1 유입구(220)로 공기를 유입시켜 바디(310)를 상향 이동시킴에 따라 소재의 가장자리를 소정 높이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흡착 이송 장치는 규격이 다양한 소재를 구성의 변경 없이 흡착 및 이송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소재의 크기가 흡착 이송 장치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소재에 대응되는 위치의 흡착부(100)는 소재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위치의 흡착부(100)는 제1 유입구(220)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바디(310)를 소재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은 크기의 소재의 폭에 대응되는 흡착부(100)는 소재의 상면에 각각 밀착되고, 흡착밸브(410)에 의해 흡착 부재(500)에 흡인력이 작용하면서 소재가 흡착 부재(500)에 흡착되게 된다.
이때,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흡착부(100)의 경우 진공관(421)에서 하우징(400)의 수용공간(401)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피스톤(430)을 하강시키게 되고, 피스톤(430)이 하강함에 따라 제2 유입구(402)와 연통되는 관통홀(432)이 하우징(40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여 흡착밸브(410)에서 제2 유입구(402)를 통해 유입되는 진공압이 관통홀(432)을 통해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켜 흡착 부재(500)가 소재를 흡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재에 대응되지 않는 흡착부(100)의 흡착 부재(500)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소재에 대응되는 흡착부(100)만 작동하여 각각의 흡착부(100)에 소재가 흡착된 상태에서, 소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흡착부(100)는 제1 유입구(22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바디(310)가 상향 이동되는 동작으로 인해 소재의 가장자리를 소정 높이 상향 이동시키고, 소재의 하면에 밀착된 다른 소재와 틈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후, 수평 이동판(미도시)을 상향 이동시키면서 수평 이동판(미도시)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흡착부(100)가 상향 이동되어 흡착 부재(500)의 하부에 흡착된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흡착부 200: 실린더 본체
201: 내부 공간 202: 제1 오링
203: 제1 베어링 부재 210: 연장부
211: 제3 오링 212: 제3 베어링 부재
220: 제1 유입구 221: 에어밸브
300: 승강 샤프트 310: 바디
311a, 311b: 결합부 312: 배기 통로
320: 측벽 321: 제2 오링
322: 제2 베어링 부재 400: 하우징
401: 수용공간 402: 제2 유입구
410: 흡착밸브 420: 하우징 마개
421: 진공관 430: 피스톤
431: 중공 432: 관통홀
433: 완충스프링 434: 제4 오링
500: 흡착 부재 600: 탄성 부재

Claims (3)

  1. 수평으로 이동되는 수평 이동판의 하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는 흡착부에 의해 다단 적층된 소재를 순차적으로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수평 이동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 공간과, 측면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는 실린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기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승강 샤프트;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과,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2 유입구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흡착밸브;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기 통로에 연통되어 상기 소재를 흡착시키는 흡착 부재; 및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며 하부는 상기 흡착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차폐하고, 중앙에는 진공관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마개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마련되되,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수직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측 내주면과 상기 바디의 상측 외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 부재 및 제2 베어링 부재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측 내주면과 상기 바디의 하측 외주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3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흡착 이송 장치.
KR1020190174664A 2019-12-26 2019-12-26 소재 흡착 이송 장치 KR102350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64A KR102350774B1 (ko) 2019-12-26 2019-12-26 소재 흡착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64A KR102350774B1 (ko) 2019-12-26 2019-12-26 소재 흡착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591A true KR20210082591A (ko) 2021-07-06
KR102350774B1 KR102350774B1 (ko) 2022-01-14

Family

ID=7686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664A KR102350774B1 (ko) 2019-12-26 2019-12-26 소재 흡착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61B1 (ko) * 2021-11-12 2023-02-06 주식회사 아이에스엔티 선별 장치용 그리퍼
WO2023074978A1 (ko) *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폐기물 자동선별로봇 피킹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402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프로텍 픽 업 헤드
KR101100931B1 (ko) * 2010-02-01 2012-01-02 주식회사 맥텍 부품 이송용 흡착식 픽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402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프로텍 픽 업 헤드
KR101100931B1 (ko) * 2010-02-01 2012-01-02 주식회사 맥텍 부품 이송용 흡착식 픽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978A1 (ko) * 2021-11-01 2023-05-04 주식회사 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폐기물 자동선별로봇 피킹 장치 및 방법
KR102496361B1 (ko) * 2021-11-12 2023-02-06 주식회사 아이에스엔티 선별 장치용 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774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774B1 (ko) 소재 흡착 이송 장치
JP4895518B2 (ja) 基板保持装置及び基板の保持方法
KR101100931B1 (ko) 부품 이송용 흡착식 픽커
CN105196210A (zh) 一体式气动永磁吸盘
CN1432469A (zh) 真空印刷装置
CN108145400B (zh) 波形片取放机械手
KR101190700B1 (ko) 가스켓 삽입장치 및 그 방법
JP2010251769A (ja) 基板保持装置及び基板の保持方法
KR20110091081A (ko)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픽업장치
KR101697109B1 (ko) 반도체 픽업 장치의 고정지그
CN113199232B (zh) 一种柱塞泵星型圈与垫片自动装配装置
CN113697488A (zh) 一种转盘式集成电路芯片搬运装置
CN211895113U (zh) 一种玻璃板吸附周转设备
KR102284152B1 (ko) 반도체 소자 픽업 장치
CN114649254A (zh) 工件搬运用机械手
KR20200121565A (ko) 흡착 이송 장치
CN210912995U (zh) 一种玻璃自动装箱机器人
CN208916276U (zh) 一种吸附搬运装置及老化测试机
CN111252545B (zh) 物流对象的真空吸具装置
JPH0639768A (ja) 真空吸着装置
KR100783425B1 (ko) 패널 행거 시스템
CN206595289U (zh) Led投光灯打胶装配一体机
JP2518163B2 (ja) 偏平ワ―ク等の吸着式移動装置における脱着装置
CN218856985U (zh) 一种吸盘装置
KR102242679B1 (ko) 캐니스터용 스펀지커버 자동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