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385A -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 Google Patents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385A
KR20210082385A KR1020200183214A KR20200183214A KR20210082385A KR 20210082385 A KR20210082385 A KR 20210082385A KR 1020200183214 A KR1020200183214 A KR 1020200183214A KR 20200183214 A KR20200183214 A KR 20200183214A KR 20210082385 A KR20210082385 A KR 2021008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ir
elevating
modu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382B1 (ko
Inventor
홍철운
권대규
오승용
유미
김민주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8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4Wheel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는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결합된 이동 모듈(100); 상기 이동 모듈(100)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좌석 모듈(200); 및 상기 좌석 모듈(200)의 양측 상에 배치된 암레스트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100)은 전원 공급부를 갖는 구동 본체(110), 상기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 휠(120), 상기 한쌍의 구동 휠(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조향 링크 기구, 상기 구동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130) 및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전방 하단 상에 결합되는 한쌍의 전방 휠(140)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 모듈(200)은 상기 이동 모듈(100)과의 사이에 배치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승강 가능하게 됨으로써 승강 의자 사용자의 기립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Lift chair capable of self-movement and monitoring of user's condition}
본 발명은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나 기기의 상태를 별도의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과 동시에 보호자를 통해 의자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 승강 기능을 가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해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해줄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고령자의 기립을 보조해주는 승강 의자의 개발은 기립 시 발생하는 고령자의 낙상사고를 예방하고, 고령자의 신체적 부담 및 수발자의 부담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제품 중의 하나로 기능한다.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재활관련 선진국에서는 임상현장의 필요와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수동 이동보조기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장애물 감지, 이동속도 감지, 이동방향 제어 등에 다양한 센싱 및 제어 기술을 기존의 보행 보조기에 접목시키고 있는데, 고령화 사회 진입과 더불어 노인문제에 대하여 정부가 중심이 되어 산학연이 공동으로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생활지원 및 이동보조기기 개발을 추진한다.
한편, 종래에는 거동 불편자의 착석과 기립을 자동으로 가능하게 하거나 거동 불편자가 탑승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립형 전동의자는 다양하게 제시하지만, 승강이 가능한 의자 상에 부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착석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등을 자료를 수집한 상태에서 DB 구축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응급상황을 경고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진척이 더디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1545692 B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승강 의자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 사용자의 상태나 기기의 상태를 별도의 앱이나 관리기기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호자가 승강 의자 사용자인 사회약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위험상태나 비상호출에 대응 가능하고 별도의 도움 없이 자가 이동을 가능하게 한 승강 기능을 가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 기능을 가진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이동 경로, 승하강 패턴, 기기 사용량, 사용 시간 등의 자료를 수집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별도의 서버에 업로드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 및 기기의 데이터를 축적한 후에 DB 구축 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생활패턴 검출 및 응급 상황을 경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는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결합된 이동 모듈(100); 상기 이동 모듈(100)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좌석 모듈(200); 및 상기 좌석 모듈(200)의 양측 상에 배치된 암레스트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100)은 전원 공급부를 갖는 구동 본체(110), 상기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 휠(120), 상기 한쌍의 구동 휠(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조향 링크 기구, 상기 구동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130) 및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전방 하단 상에 결합되는 한쌍의 전방 휠(140)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 모듈(200)은 상기 이동 모듈(100)과의 사이에 배치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승강 가능하게 됨으로써 승강 의자 사용자의 기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 모듈(200)은 사용자의 수직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시트부(210) 및 상기 시트부(210)의 후방 상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210)는 사용자의 체압 분산을 위해 상이한 경도와 탄성을 갖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를 적층한다.
상기 시트부(210) 상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합하는 주파수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음파진동 장치가 부가된다.
상기 구동 본체(110) 상에는 승강 의자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 감지센서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승강 의자(10); 상기 승강 의자(10) 상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는 데이터 서버(20); 및 상기 데이터 서버(20) 상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30);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20)는 상기 승강 의자(10) 상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송신된 센싱값을 받아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이동 경로, 승하강 패턴, 기기 사용량, 사용 시간을 포함한 자료를 수집, 저장 및 가공을 행하고, 상기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전원 공급부 상에 저장된 배터리 수준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작동 가능한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30) 상에 연동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는 승강, 회전, 전진, 후진 등을 포함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 상에 좌석을 결합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좌석을 바닥면까지 하강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 등이 실내에서 식탁, 침대, 싱크대 등과 같은 입식 가구류를 스스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IOT 기반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승강 의자에 장착된 각종 센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 승강 의자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의자의 상태를 별도의 앱이나 관리기기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승강 의자 사용자인 사회약자의 상태를 보호자로 하여금 쉽게 모니터링하게 하여 위험 상태나 비상 호출에 대응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도움 없이 자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승강 기능을 가진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이동 경로, 승하강 패턴, 기기 사용량, 사용 시간 등의 자료를 수집한 상태에서, DB 구축 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생활패턴 검출 및 응급 상황을 경고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독거노인 내지 하지 장애인 부양가정의 심적 부담을 저감하고,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증상 악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의자를 이용하여 경사로 등판 시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이용하는 한편, 내리막길 상에서는 회생 제동을 실시하는 과정을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의자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보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는, 전진, 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결합된 이동 모듈(100), 이동 모듈(100)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좌석 모듈(200) 및 좌석 모듈(200)의 양측 상에 배치된 암레스트부(300)를 포함한다.
이동 모듈(100)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부를 갖는 구동 본체(110),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는 한쌍의 구동 휠(120), 상기 한쌍의 구동 휠(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조향 링크 기구(미도시), 구동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130), 및 이동 프레임(130)의 전방 하단 상에 결합되는 한쌍의 전방 휠(140)을 포함한다. 한쌍의 구동 휠(120) 또는 한쌍의 전방 휠(140)은 전부 또는 일부가 락킹을 수행할 수 있는 캐스터 기능을 한다.
조향 링크 기구는 구동 모터와 한쌍의 구동 휠(120) 간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인 것으로서,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 휠(1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 휠(120)의 진행방향을 변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조절을 한다. 상기와 같은 링크 구조를 통해서, 구동 휠(120)을 통하여 승강 의자의 방향 전환 및 구동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한쌍의 구동 휠(120) 또는 한쌍의 전방 휠(140)은 최소 회전 반경을 가능하게 한다. 즉, 한쌍의 구동 휠(120) 사이에 배치된 중심 휠을 통한 제자리 회전 및 이동 프레임(130)과 한쌍의 전방 휠(140)의 원활한 이동을 통해 가능하게 한다.
한쌍의 전방 휠(140), 구동 본체(110) 및 이동 프레임(130) 상에는 거리감지센서가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 의자의 회전 및 이동 시에 주위 장애물과의 간격을 감지해서 이를 토대로 하여 충돌을 사전에 방지한다. 한편, 전자클러치 기능을 통하여 조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한쌍의 구동 휠(120)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인버터 제어 및 감속 모듈을 이용하여 저출력 구동을 행하는 과정을 통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출력 저감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 본체(110) 상에는 승강 의자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 감지센서가 배치된다. 기울기 감지센서는 전복 위험이 있을 시에 위험 경보 및 장비를 정지시키거나, 좌석 모듈(200)을 이루는 프레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승강 의자의 기울기를 줄여주는 액티브 서스펜션을 이용하여 전복사고를 방지한다.
좌석 모듈(200)은 사용자의 수직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시트부(210) 및 시트부(210)의 후방 상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20)를 포함한다.
시트부(210)는 사용자의 체압 분산을 위해 유니버셜 디자인을 갖는다.
시트부(210)는 사용자의 수직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위로서 상이한 경도와 탄성을 갖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는 상부층, 중간층, 기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층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직접적인 하중을 받는 부분으로서 체압 분산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신체 부위에 대응하여 변형된다. 중간층은 상부층과 기저층 사이에 위치되고, 신체 부위에 따라 경도 및 탄성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레이어 부재를 적층하여 구성되어지되, 상부층에서 전달된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이다.
상기 시트부(210) 상에는 음파진동 장치가 부가되어져 승강 의자 사용자의 긴장 완화 및 건강 증진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음파진동 장치는 다양한 모드로 진동하는 횟수 조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주파수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시트부(210)에 전달되는 음파 진동은 음향의 진동과 같이 가청 주파수의 상한을 초과하는 20khz로서, 초당 2만회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으로서 직접적인 소음 발생 없이 사용자가 간단히 시트부(210)에 앉은 상태에서 피로를 풀거나 해당 신체부위를 단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파 발생에 의한 진동은 전달되는 진동으로 하여금 마사지 효과를 주어 신체 피로를 풀어줌은 물론 지방세포에 작용하면서 이에 함유된 지질을 파괴하여 인체에 쌓인 지방질을 제거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고,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통 등과 같은 어혈을 풀어주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음파진동은 진동운동에 의한 호르몬의 변화는 인체의 내분비 내과, 근골격계, 정신과 적으로 모두 좋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시트부(210) 상에는 가속도 자이로를 이용한 체압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 이동에 따른 전후진 및 좌우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압전 하베스팅을 이용한 자가 발전 및 온열시트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일상에서 사용되고 버려지는 진동, 압력 등의 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압전효과를 가지는 소자를 이용하여 기계적 에너지 및 변화를 통해 전위차를 만들고 이로 인해 쌍극자와 보상 전하가 형성되어 전자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기본으로 한다. 즉, 압전효과를 갖는 소자를 시트부(210)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압전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자가발전하는 방식을 통해 온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좌석 모듈(200)은 이동 모듈(100)과 좌석 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좌석의 승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좌석 사용자의 기립을 가능하게 한다. 액추에이터는 유압 또는 전동으로 구동되어 길이를 가변시키는 길이 가변형 액츄에이터인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좌석 모듈(200)을 이루는 등받이부(220)의 후방 상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상태에서, 리니어 액츄에이터와 가이드 레일을 연동하여 구동하는 과정을 통해서 좌석 모듈(20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통한 좌석 모듈(200)의 승강은 암레스트부(300) 상에 설치된 조작부(310)를 이용하여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는 입력 기능이 집적된 별도의 콘트롤 패널과 조이스틱 등을 사용하여 제어한다.
암레스트부(300)는 팔목 및 팔꿈치의 운동 반경 등을 감안하여 인체역학적인 디자인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직접 팔이 닿는 부분은 완만한 곡면을 갖는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져 팔의 편안한 안착을 보조한다.
상기 암레스트부(300)에 걸리는 압력 정도에 따라 방향 및 속도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 의자를 이용하여 주행 중에 경사로 등판 시에는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경사진 언덕길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내리막길 상에서 정지 시에는 회생 제동을 이용한 전력회수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암레스트부에 설치된 조작부를 통해서 구동 휠(1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할 수 있는데,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신호를 감지한 상태에서 구동 휠에 연결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구동 휠(1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한편,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감속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회생 제동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제동력을 전력으로 전환하게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앞서 기술한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10), 승강 의자(10) 상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는 데이터 서버(20) 및 데이터 서버(20) 상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서버(20)는 승강 의자(10) 상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송신된 센싱값을 받아 수집, 저장 및 가공을 행한다. 센서와의 통신은 IOT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데이터 서버는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전원 공급부 상에 저장된 배터리 수준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작동 가능한 시간 등을 판단하여 스마트 기기 상에 연동하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승강 의자의 회전, 이동, 승하강 등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능을 채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무선충전 스테이션장치를 마련하여 기기 자체적으로 전력부족 시에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는 것과 동시에 자동 충전을 실시한다. 상기 기능은 로봇 청소기의 자동 청소 및 충전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석 모듈(200)을 이루는 리니어 액츄에이터와 가이드 레일을 연동하여 구동하는 과정을 통해서 좌석 모듈(200)의 승강 후에 의자나 침대 등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시트 회전기능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호출 시에 자율주행 이동 후 대기 기능을 추가한다.
또한, 주행 방향 및 주변 상황 경고 관련 정보를 진동을 통해 전달하는 햅틱 기능을 채용한다.
일정 높이에서만 주행기능이 동작하고 주행 중에는 상승이나 하강이 정지되는 안전기능을 추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의자는 승강, 회전, 전진, 후진 등을 포함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모듈(100) 상에 좌석 모듈(200)을 결합한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좌석을 바닥면까지 하강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노약자 및 장애인 등이 실내에서 식탁, 침대, 싱크대 등과 같은 입식 가구류를 스스로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IOT 기반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승강 의자에 장착된 각종 센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해 승강 의자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의자의 상태를 별도의 앱이나 관리기기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승강 의자 사용자인 사회약자의 상태를 보호자로 하여금 쉽게 모니터링하게 하여 위험 상태나 비상 호출에 대응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도움 없이 자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승강 의자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을 통해 맥박, 체압, 몸무게, 생활 반응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한 후 측정한 데이터 및 기기의 구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어기를 부가하여 측정한 후 별도의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버(20)로 전송함으로서 보호자의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기능을 가진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이동 경로, 승하강 패턴, 기기 사용량, 사용 시간 등의 자료를 수집한 상태에서, DB 구축 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생활패턴 검출 및 응급 상황을 경고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독거노인 내지 하지 장애인 부양가정의 심적 부담을 저감하고,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증상 악화를 방지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승강 의자
20 : 데이터 서버
30 : 스마트 기기
100 : 이동 모듈
200 : 좌석 모듈
300 : 암레스트부

Claims (5)

  1.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에 있어서,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결합된 이동 모듈(100);
    상기 이동 모듈(100) 상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좌석 모듈(200); 및
    상기 좌석 모듈(200)의 양측 상에 배치된 암레스트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100)은 전원 공급부를 갖는 구동 본체(110), 상기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 휠(120), 상기 한쌍의 구동 휠(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의자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조향 링크 기구, 상기 구동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130) 및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전방 하단 상에 결합되는 한쌍의 전방 휠(140)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 모듈(200)은 상기 이동 모듈(100)과의 사이에 배치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승강 가능하게 됨으로써 승강 의자 사용자의 기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모듈(200)은 사용자의 수직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시트부(210) 및 상기 시트부(210)의 후방 상에 상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210) 상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합하는 주파수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음파진동 장치가 부가되는,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10)는 사용자의 체압 분산을 위해 상이한 경도와 탄성을 갖는 복수의 매트리스 부재를 적층한,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본체(110) 상에는 승강 의자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 감지센서가 배치되는,
    자가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5. 제 1 항에 따른 승강 의자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 의자(10);
    상기 승강 의자(10) 상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되는 데이터 서버(20); 및
    상기 데이터 서버(20) 상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기기(30);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20)는 상기 승강 의자(10) 상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송신된 센싱값을 받아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이동 경로, 승하강 패턴, 기기 사용량, 사용 시간을 포함한 자료를 수집, 저장 및 가공을 행하고, 상기 구동 본체(110)의 하부 측에 배치된 전원 공급부 상에 저장된 배터리 수준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작동 가능한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30) 상에 연동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183214A 2019-12-24 2020-12-24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KR102544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3573 2019-12-24
KR1020190173573 201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385A true KR20210082385A (ko) 2021-07-05
KR102544382B1 KR102544382B1 (ko) 2023-06-21

Family

ID=7689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14A KR102544382B1 (ko) 2019-12-24 2020-12-24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8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1280B2 (ja) * 2003-11-28 2009-02-12 株式会社タイカ 体圧分散型クッション材
KR100960094B1 (ko) *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20130096520A (ko) *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이디 전동식 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보조의자
KR20150003508A (ko) * 2013-07-01 2015-01-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101800553B1 (ko) * 2016-10-04 2017-11-24 엘케이솔루션(주)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KR101887091B1 (ko) * 2017-04-25 2018-08-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기울기 감지 센서 및 무게 중심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20190080657A (ko) * 2017-12-28 2019-07-08 노형진 휠체어 활동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5820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안마의자 설치용 음파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1280B2 (ja) * 2003-11-28 2009-02-12 株式会社タイカ 体圧分散型クッション材
KR100960094B1 (ko) * 2009-10-14 2010-05-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KR20130096520A (ko) *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이디 전동식 구동시스템을 구비한 보조의자
KR20150003508A (ko) * 2013-07-01 2015-01-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101800553B1 (ko) * 2016-10-04 2017-11-24 엘케이솔루션(주)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KR101887091B1 (ko) * 2017-04-25 2018-08-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기울기 감지 센서 및 무게 중심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20190080657A (ko) * 2017-12-28 2019-07-08 노형진 휠체어 활동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5820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로하스테크 안마의자 설치용 음파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82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552B2 (en)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CN113633530B (zh) 一种智能助行器
WO2015073521A2 (en) Motorized walker
KR101219305B1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CN107928899A (zh) 一种具有可调爬梯机构的爬梯轮椅
WO2011146795A2 (en) Self initiated prone progressive crawler
JP2021531146A (ja) 移動補助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494945B1 (en) Wheelchair with integrated transfer device
CN106074018B (zh) 一种适用于瘫痪患者的起居装置
KR101668711B1 (ko) 보행 보조 장치
KR102544382B1 (ko)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CN209662014U (zh) 一种全地形智能机器人轮椅车
CN106074023B (zh) 一种轻便爬楼梯轮椅
KR20170061926A (ko)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KR101216028B1 (ko) 밸런싱 2륜 주행 로봇기능을 응용한 휠체어
Bostelman et al. HLPR chair–a service robot for the healthcare industry
KR102395512B1 (ko) 자체 안전제동 전동기 구동 노약자 보행보조장치
CN111329672A (zh) 一种可升降轮椅
KR20120056381A (ko) 전동식 보행장치
CN111485610A (zh) 一种智能马桶安全护理设备
JP5525648B1 (ja) 認知症専用じりつ歩行補助具
CN111096879A (zh) 一种偏瘫患者生活助理及辅助康复机器人
JPH09285496A (ja) 歩行支援機の機体移動機構
CN211535236U (zh) 一种智能护理轮椅
KR20230078516A (ko) 재활운동기능을 갖는 기립형 다목적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