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868A - 스토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토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868A
KR20210081868A KR1020190174235A KR20190174235A KR20210081868A KR 20210081868 A KR20210081868 A KR 20210081868A KR 1020190174235 A KR1020190174235 A KR 1020190174235A KR 20190174235 A KR20190174235 A KR 20190174235A KR 20210081868 A KR20210081868 A KR 2021008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module
moving
coupled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422B1 (ko
Inventor
이종태
김종화
김정진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9017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4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스토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 장치는, 카세트(Cassette)의 적재를 위해 선반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와, 스토커 본체에 지지되고 카세트를 선반에 적재하거나 선반으로부터 카세트를 반출하기 위해 카세트를 핸들링하되 카세트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토커 장치{A STOCKER DEVICE}
본 발명은, 스토커 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Cassette)를 선반에 적재하거나 선반에서 카세트를 반출하는 스토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빠른 응답속도, 기존의 액정표시장치(LCD)보다 낮은 소비 전력, 경량성, 별도의 백라이트(back light) 장치가 필요 없어서 초박형으로 만들 수 있는 점, 고휘도 등의 매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인 PMOLED와 능동형인 AMOLED로 나눌 수 있다. 특히 AMOLED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감도 자연스럽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AMOLED는 기판이 아닌 필름(Film) 등에 적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는 패턴(Pattern) 형성 공정, 유기박막 증착 공정, 에칭 공정, 봉지 공정, 그리고 유기박막이 증착된 기판과 봉지 공정을 거친 기판을 붙이는 합착 공정 등을 통해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위에 양극 막, 유기 박막, 음극 막을 순서대로 입히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적당한 에너지의 차이가 유기 박막에 형성되어 스스로 발광하는 원리이다.
다시 말해,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며, 남는 여기 에너지가 빛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유기 물질의 도펀트의 양에 따라 발생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풀 칼라(full color)의 구현이 가능하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애노드(anode),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운송층(hole transfer layer), 발광층(emitting layer), 정공 방지층(hole blocking layer), 전자 운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캐소드(cathode) 등의 막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애노드로는 면 저항이 작고 투과성이 좋은 ITO(Indium Tin Oxide)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 박막은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정공 주입층, 정공 운송층, 발광층, 정공 방지층, 전자 운송층, 전자 주입층의 다층으로 구성된다.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유기물질은 Alq3, TPD, PBD, m-MTDATA, TCTA 등이 있다. 캐소드로는 LiF-Al 금속막이 사용된다. 그리고 유기 박막이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에 매우 약하므로 소자의 수명(life time)을 증가시키기 위해 봉합하는 봉지막이 최상부에 형성된다.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다시 간략하게 정리하면,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그리고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며, 구동 시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구현하는 색상에 따라 단색 또는 풀 칼라(full color) 유기전계발광소자로 구분될 수 있는데, 풀 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빛의 삼원색인 적색, 녹색 및 청색 별로 패터닝된 발광층을 구비함으로써 풀 칼라를 구현한다.
풀 칼라(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층을 패터닝해야 하는데,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를 제작하는 방식으로는 FMM(Fine Metal Mask, 이하 마스크라 함)을 이용한 직접 패터닝 방식과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공법을 적용한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마스크 방식을 적용하여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display)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공정챔버 내부에 기판과 패터닝(patterning)된 금속재질의 마스크를 수평으로 배치시킨 후에 마스크를 향해 증착물질을 분사하여 기판에 증착물질을 증착시키는 수평식 상향 증착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수평식 상향 증착공법은, 공정챔버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된 기판과 마스크를 상호 정렬한 후 합착시켜 수평상태에서 기판에 유기물을 증착하는 방법이다.
상술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작에 사용되는 기판 또는 마스크는 카세트에 적재되어 반송장치라고도 불리는 소위, 스토커 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카세트 선반에 적재되거나 적재된 상태에서 반출된다.
즉, 기판 또는 마스크가 수납되는 카세트는 평판표시장치의 제조 설비에서 해당 공정이 완료된 후 바로 다음의 제조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각 공정의 처리 능력 및 시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버퍼링(buffering) 문제의 해소를 위해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카세트 선반에 임시로 보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공정을 수행하는 평판표시장치의 각 제조 설비로 이송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 장치는, 카세트를 선반에 적재하거나 카세트를 선반에서 반출하기 위하 카세트를 핸들링하는 포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포크부는 카세트의 하부를 지지 또는 파지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포크부가 카세트의 하부를 지지 또는 파지하기 때문에 컴팩트(compact)한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6890호, (2009.05.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져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토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세트(Cassette)의 적재를 위해 선반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 및 상기 스토커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카세트를 상기 선반에 적재하거나 상기 선반으로부터 상기 카세트를 반출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를 핸들링하되, 상기 카세트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을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은, 상기 카세트의 상부벽부를 지지하는 상단 포크모듈; 상기 상단 포크모듈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 포크모듈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단 포크모듈; 상기 중단 포크모듈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단 포크모듈; 상기 스토커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 포크모듈을 지지하는 포크유닛 프레임부; 및 상기 포크유닛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상기 중단 포크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포크모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단 포크모듈은, 상기 포크유닛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하단포크 프레임부; 상기 하단포크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에 연결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 및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단 포크모듈을 이동시키는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포크모듈은, 상기 하단포크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는, 상기 하단포크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결합되는 중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빙모듈은,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타이밍 풀리부; 상기 포크유닛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부; 및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연결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단 포크모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단 포크모듈은,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지지되는 중단포크 프레임부;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에 연결되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 및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를 회전시키는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단 포크모듈은,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단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상단 포크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는,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 포크모듈에 결합되는 상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포크모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단 포크모듈은,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지지되는 상단포크 프레임부; 및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포크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단포크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포크모듈은, 상기 상단포크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의 상부벽부가 접촉되는 안착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 패드부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세트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져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이 카세트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세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의 'C'의 확대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도 6의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이 카세트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세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B'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6의 'C'의 확대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도 6의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는, 카세트(Cassette, CA)의 적재를 위해 선반(미도시)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미도시)와, 스토커 본체(미도시)에 지지되고 카세트(CA)를 선반(미도시)에 적재하거나 선반(미도시)으로부터 카세트(CA)를 반출하기 위해 카세트(CA)를 핸들링하되 카세트(CA)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CA)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는, 카세트(CA)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CA)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을 구비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져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세트(CA)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카세트(CA)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이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에 지지되는 상부벽부(CA1)와, 상부벽부(CA1)에 결합되는 측벽부(CA2)와, 측벽부(CA2)에 결합되며 상부벽부(CA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벽부(CA3)를 포함한다.
상부벽부(CA1)와 하부벽부(CA3)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하부벽부(CA3)는 상부벽부(CA1)에 이격되어 상부벽부(CA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측벽부(CA2)는 상부벽부(CA1)와 하부벽부(CA3)를 연결한다. 측벽부(CA2)의 상단부는 상부벽부(CA1)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하부벽부(CA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벽부(CA2)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토커 본체(미도시)는 카세트(CA)가 적재되는 선반(미도시)들 사이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본체(미도시)는, 레일(미도시) 상에 배치되어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미도시)와, 주행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을 지지하는 포크 업/다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주행부(미도시)에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동력부(미도시)와, 주행부(미도시)가 레일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주행동력부(미도시)를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포크 업/다운유닛(미도시)은, 주행부(미도시)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미도시)과, 수직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고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에 연결되어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은 스토커 본체(미도시)의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미도시)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은 카세트(CA)를 선반(미도시)에 적재하거나 선반(미도시)으로부터 카세트(CA)를 반출하기 위해 카세트(CA)를 핸들링하되 카세트(CA)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CA)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CA)의 상부벽부(CA1)를 지지하는 상단 포크모듈(110)과, 상단 포크모듈(110)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 포크모듈(11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단 포크모듈(120)과, 중단 포크모듈(120)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단 포크모듈(12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단 포크모듈(130)과, 스토커 본체(미도시)에 연결되며 하단 포크모듈(130)을 지지하는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와,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지지되며, 하단 포크모듈(130)에 연결되어 하단 포크모듈(130)에 중단 포크모듈(12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빙모듈(150)을 포함한다.
포크유닛 프레임부(140)는 스토커 본체(미도시)의 업/다운(up/down) 이동 구동부(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러한 포크유닛 프레임부(140)는 하단 포크모듈(130)을 지지한다.
하단 포크모듈(130)은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단 포크모듈(130)에는 중단 포크모듈(120)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하단 포크모듈(130)은 중단 포크모듈(12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단 포크모듈(1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단 포크모듈(130)은, 도 1 내지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결합되는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와,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와,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에 연결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와,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에 결합되며 중단 포크모듈(120)에 결합되어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의 회전에 따라 중단 포크모듈(120)을 이동시키는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와,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에 지지되고 중단 포크모듈(120)에 연결되며 중단 포크모듈(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39)를 포함한다.
하단포크 프레임부(131)는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하단포크 프레임부(131)는 카세트(CA)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는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의 외주면에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에 감아걸려 회전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의 하단부 영역은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에 결합된다. 또한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의 하단부 영역은 중단 포크모듈(120)의 후술할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가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와 중단 포크모듈(120)에 결합됨으로써,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의 회전에 따라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가 이동되어 중단 포크모듈(120)을 이동시킨다.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39)는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에 지지되고 중단 포크모듈(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39)는 중단 포크모듈(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39)는, 도 6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39a)와,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단 포크모듈(120)에 결합되는 중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139b)를 포함한다.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39a)는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중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139b)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39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중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139b)는 중단 포크모듈(120)의 후술할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결합된다.
한편, 드라이빙모듈(150)은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지지된다. 이러한 드라이빙모듈(150)은 하단 포크모듈(130)에 연결되어 하단 포크모듈(130)에 중단 포크모듈(12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빙모듈(150)은,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를 회전시키는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와,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에 결합되어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를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부(153)와, 구동 샤프트부(153)를 연결되며 구동 샤프트부(153)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155)를 포함한다.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는 회전에 의해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한 쌍의 하단 포크모듈(130) 각각의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의 외주면에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구동 샤프트부(153)는 포크유닛 프레임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 샤프트부(153)에는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 샤프트부(153)의 회전에 의해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가 회전된다.
구동 모터부(155)는 구동 샤프트부(153)에 연결되어 구동 샤프트부(153)를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부(155)의 동작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153)가 회전되고, 구동 샤프트부(153)의 회전에 의해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가 회전되며,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의 회전에 의해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에 연결된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가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의 회전에 의해 중단 포크모듈(120)이 이동된다.
한편, 중단 포크모듈(120)은 상단 포크모듈(110)에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중단 포크모듈(120)은 상단 포크모듈(11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포크모듈(12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중단 포크모듈(120)은, 도 5 내지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포크모듈(130)에 지지되는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와,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와,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에 연결되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와,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에 결합되며 하단 포크모듈(130)에 결합되어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이동에 따라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를 회전시키는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127)와,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지지되고 상단 포크모듈(110)에 연결되며 상단 포크모듈(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29)를 포함한다.
중단포크 프레임부(121)는 하단 포크모듈(13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중단포크 프레임부(121)는 카세트(CA)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는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의 외주면에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의 개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의 개수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의 기어치의 개수가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33)의 기어치의 개수보다 많게 마련됨으로써, 상단 포크모듈(110)과 중단 포크모듈(120)의 이동과정에서 상단 포크모듈(110)이 중단 포크모듈(120)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는 무한궤도를 이루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123)에 감아걸려 회전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127)의 상단부 영역은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에 결합된다. 또한,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127)의 하단부 영역은 하단 포크모듈(130)의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와 하단포크 프레임부(131)에 결합된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127)는,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이동과정에서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를 회전시킨다.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29)는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지지되고 상단 포크모듈(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29)는 상단 포크모듈(11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129)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29a)와,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29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 포크모듈(110)에 결합되는 상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129b)를 포함한다.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29a)는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상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129b)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129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상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129b)는 상단 포크모듈(110)의 후술할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에 결합된다.
한편, 상단 포크모듈(110)은 카세트(CA)의 상부벽부(CA1)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단 포크모듈(11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 포크모듈(110)은, 도 5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포크모듈(120)에 지지되는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와,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에 결합되며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에 결합되어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의 회전에 따라 상단포크 프레임부(111)를 이동시키는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13)와,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카세트(CA)의 상부벽부(CA1)가 접촉되는 안착 패드부(115)를 포함한다.
상단포크 프레임부(111)는 중단 포크모듈(12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상단포크 프레임부(111)는 카세트(CA)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13)의 하단부 영역은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에 결합된다. 또한,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13)의 상단부 영역은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와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에 결합된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13)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상단포크 프레임부(111)를 이동시킨다.
안착 패드부(115)는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안착 패드부(115)의 상면에는 카세트(CA)의 상부벽부(CA1)의 하면이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 패드부(115)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는,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카세트(CA)의 상부벽부(CA1)가 접촉되는 안착 패드부(115)를 구비함으로써, 카세트(C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CA)를 선반(미도시)에 적재하는 설명한다. 카세트(CA)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CA)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이 선반(미도시)의 앞쪽에 위치된다.
이후, 구동 샤프트부(153)에 연결된 구동 모터부(155)가 동작한다. 구동 모터부(155)의 동작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153)가 회전되고, 구동 샤프트부(153)의 회전에 의해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가 회전되며,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의 회전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타이밍 풀리부(151)에 연결된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가 회전된다.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35)의 회전에 의해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가 이동되며,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37)의 이동에 의해 중단포크 프레임부(121)가 이동된다.
이때,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의 이동에 의해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127)에 결합된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가 중단포크 프레임부(121)에 대해 상대회전된다.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125)의 회전에 의해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13)가 이동되며,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113)의 이동에 의해 상단포크 프레임부(111)가 이동된다.
이러한 상단포크 프레임부(111)의 이동에 의해 상단 포크모듈(110)에 지지된 카세트(CA)가 선반(미도시)으로 이동되어 선반(미도시)에 적재된다.
카세트(CA)를 선반(미도시)에서 반출하는 과정은 상술한 카세트(CA)를 선반(미도시)에 적재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커 장치는, 카세트(CA)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카세트(CA)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100)을 구비함으로써,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져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 110: 상단 포크모듈
111: 상단포크 프레임부 113: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
115: 안착 패드부 120: 중단 포크모듈
121: 중단포크 프레임부 123: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
125: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 127: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
129: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
129a: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
129b: 상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 130: 하단 포크모듈
131: 하단포크 프레임부 133: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
135: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 137: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
139: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
139a: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
139b: 중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 140: 포크유닛 프레임부
150: 드라이빙모듈 151: 구동 타이밍 풀리부
153: 구동 샤프트부 155: 구동 모터부
CA: 카세트

Claims (15)

  1. 카세트(Cassette)의 적재를 위해 선반들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커 본체; 및
    상기 스토커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카세트를 상기 선반에 적재하거나 상기 선반으로부터 상기 카세트를 반출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를 핸들링하되, 상기 카세트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카세트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을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형 포크유닛은,
    상기 카세트의 상부벽부를 지지하는 상단 포크모듈;
    상기 상단 포크모듈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 포크모듈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단 포크모듈;
    상기 중단 포크모듈이 가로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단 포크모듈;
    상기 스토커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하단 포크모듈을 지지하는 포크유닛 프레임부; 및
    상기 포크유닛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상기 중단 포크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빙모듈을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포크모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토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포크모듈은,
    상기 포크유닛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하단포크 프레임부;
    상기 하단포크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에 연결되는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 및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단 포크모듈을 이동시키는 중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포크모듈은,
    상기 하단포크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는,
    상기 하단포크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중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결합되는 중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모듈은,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하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타이밍 풀리부;
    상기 포크유닛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부; 및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연결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포크모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토커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포크모듈은,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지지되는 중단포크 프레임부;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풀리부에 연결되는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 및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단 포크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를 회전시키는 타이밍벨트 회전용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포크모듈은,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단 포크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상단 포크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부는,
    상기 중단포크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상단포크 이동용 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 포크모듈에 결합되는 상단포크 이동용 이동블록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포크모듈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토커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포크모듈은,
    상기 중단 포크모듈에 지지되는 상단포크 프레임부; 및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포크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단포크용 타이밍 벨트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단포크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상단포크 이동용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포크모듈은,
    상기 상단포크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카세트의 상부벽부가 접촉되는 안착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스토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패드부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커 장치.
KR1020190174235A 2019-12-24 2019-12-24 스토커 장치 KR10231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235A KR102317422B1 (ko) 2019-12-24 2019-12-24 스토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235A KR102317422B1 (ko) 2019-12-24 2019-12-24 스토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868A true KR20210081868A (ko) 2021-07-02
KR102317422B1 KR102317422B1 (ko) 2021-10-26

Family

ID=7689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235A KR102317422B1 (ko) 2019-12-24 2019-12-24 스토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4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890A (ko) 2006-09-28 2009-05-1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태커 크레인
JP2011136790A (ja) * 2009-12-28 2011-07-14 Murata Machinery Ltd 移載装置
KR101344615B1 (ko) * 2006-06-13 2013-12-2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슬라이드식의 포크장치
KR101511963B1 (ko) * 2013-09-16 2015-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카세트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615B1 (ko) * 2006-06-13 2013-12-2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슬라이드식의 포크장치
KR20090046890A (ko) 2006-09-28 2009-05-1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태커 크레인
JP2011136790A (ja) * 2009-12-28 2011-07-14 Murata Machinery Ltd 移載装置
KR101511963B1 (ko) * 2013-09-16 2015-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카세트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422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096B1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KR101760897B1 (ko) 증착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막 증착 장치
US8802488B2 (en) Substrate depositing system and deposit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2053402A1 (ja) 蒸着装置、蒸着方法、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384755B2 (ja) 被成膜基板、有機el表示装置
US9722212B2 (en) Lighting device,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KR101662606B1 (ko) 유기박막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2007305560A (ja) 有機発光素子の蒸着装置及び蒸着材料の充填方法
JPH10241858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9170282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KR102317422B1 (ko) 스토커 장치
KR101361481B1 (ko) Oled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화 증착 시스템
JP7296204B2 (ja) 成膜装置、有機デバイスの製造装置および有機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773403B1 (ko) 증착 장치 및 그 증착 장치의 점증발원 배열 방법
JP2014127303A (ja) 有機el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702762B1 (ko) 기판 처짐 방지 장치
JP2006245011A (ja) 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3994B1 (ko) 필름과 글라스의 어셈블리 장치
KR101514214B1 (ko) 기판과 마스크의 어태치 장치
KR102229161B1 (ko) 기판 증착장치
JP2009218384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
WO2012108363A1 (ja) 坩堝、蒸着装置、蒸着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430663B1 (ko) 평판표시소자용 필름 박리 장치
KR101430662B1 (ko) 평판표시소자용 필름 박리 장치
KR20060054218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장치용 카세트 반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