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818A -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 Google Patents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818A
KR20210081818A KR1020190174148A KR20190174148A KR20210081818A KR 20210081818 A KR20210081818 A KR 20210081818A KR 1020190174148 A KR1020190174148 A KR 1020190174148A KR 20190174148 A KR20190174148 A KR 20190174148A KR 20210081818 A KR20210081818 A KR 2021008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riction
body member
rotating member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399B1 (ko
Inventor
최성국
Original Assignee
최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국 filed Critical 최성국
Priority to KR102019017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399B1/ko
Priority to CN201911409163.4A priority patent/CN113028638A/zh
Publication of KR2021008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40/00Production or use of heat resulting from internal friction of moving fluids or from friction between fluids and mov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승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FRICTION HEADER AND BOIL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체를 고속 회전시켜 마찰열을 통해 가열시키는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온수 공급이나 난방을 위해 물, 증기, 열매체유 등의 유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장치는 화학 연료나 전기를 이용하여 유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유체를 통해 일정한 온도로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화학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는 화학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다량의 공해 물질이 배출되고, 소모된 화학 연료 대비 열효율이 떨어지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보일러 장치는 전기 저항을 이용한 전열기나 유체의 유동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마찰 가열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열기는 유체의 성질에 따라 누전이나 화재의 위험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저항으로 발열되는 전열선 부근에서만 유체가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의 유체를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유체를 유동시키고 유체의 유동으로 유체가 직접 가열되는 마찰 보일러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기 에너지를 통해 유체를 유동시키고 유체의 유동으로 유체가 직접 가열되는 마찰 보일러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마찰 보일러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637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부(1001)와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부(1002)를 포함하는 가열부 및 가열부에 연결된 모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를 유동시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가열부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흡입부(1001) 및 내부에서 고속 유동하는 유체가 원심력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부(1002)가 헤드부(1000)의 측벽에 형성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마찰 보일러를 구성하는 헤드부(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헤드부(1000)는 그 측벽에 흡입부(1001) 및 토출부(1002)가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001) 및 토출부(1002)는 헤드부(1000)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되 헤드부(1000) 내부에서 유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003)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001)를 통해 헤드부(1000) 내부로 유입되어 고속 회전하면서 마찰 저항으로 가열되는 유체는 그 외곽에서만 충돌하며 마찰되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체가 충돌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영역이 외곽 영역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드부(1000) 내부의 대부분의 유체가 외곽 영역으로 집중되어 회전부재에 과도한 부하를 야기하고, 외곽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용한 유체 가열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637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체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마찰 헤더는,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테두리측벽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곽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 및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돌마찰영역은,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충돌마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마찰부는 반원형 단면부와 인접하는 상기 반원형 단면부들 사이에서 상기 반원형 단면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재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그 단부면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마찰영역은,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원주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추진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마찰영역은, 상기 커버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원주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추진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바디부재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체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바디부재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바닥면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배출구의 바닥면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유입부에서 상기 유체 배출부의 원주 방향으로는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충돌마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상기 유체 유입부의 원주 방향으로는 상기 테두리측벽에 상기 충돌마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유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의 외곽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모터의 플랜지부에 볼트 결합되는 체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마찰 헤더는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에 체결되며,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가 구비된 커버부재;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충돌마찰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곽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유체를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상기 충돌마찰부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 및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 사이 또는 상기 커버부재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표면 방향으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면서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측벽은 상기 충돌마찰부가 구비되는 원형 구간과, 상기 충돌마찰부가 구비되지 않으면서 외측으로 볼록한 2개의 호형 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호형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체 유입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재에 형성된 유체 유입부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재에 형성된 유체 배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보일러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테두리측벽과 상기 회전부재 외곽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 및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을 포함하는 마찰 헤더; 및 상기 마찰 헤더에 의해 승온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안착부에 상기 바디부재의 체결플랜지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하는 보일러는 마찰 헤더 내부에 충돌마찰영역 및 표면마찰영역을 구비하여 충돌마찰영역 및 표면마찰영역에서 함께 유체의 온도를 승온할 수 있으므로 온도 가열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상의 배경이 되는 마찰 보일러의 헤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모터가 결합된 본 발명의 마찰 헤더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찰 헤더 및 모터 체결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커버부재의 일면을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6은 회전부재를 수용한 바디부재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7은 표면마찰영역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
도 8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9는 도 6을 뒤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10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11은 회전부재의 타면을 도시한 도.
도 12는 회전부재의 일면을 도시한 도.
도 13은 도 1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도 14는 바디부재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15는 도 1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도 16은 바디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 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마찰 헤더(100)와 모터(200)의 체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찰 헤더(100)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마찰 헤더(100)에 모터(200)를 체결하고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마찰 헤더(100) 및 모터(200) 체결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커버부재(29)의 일면을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회전부재(22)를 수용한 바디부재(10)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표면마찰영역(SF)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도 6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도 6을 뒤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11은 회전부재의 타면(22b)을 도시한 도이고, 도 12는 회전부재의 일면(22a)을 도시한 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고, 도 14는 바디부재(10)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고, 도 16은 바디부재(10)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찰 헤더(100)는 모터(200)의 회전축(200a)이 관통하는 관통공(12)이 구비된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외측에 형성된 테두리측벽(14)을 구비하는 바디부재(10), 바디부재(1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29), 바디부재(10)와 커버부재(29) 사이에서 모터(200)의 회전축(200a)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2)를 포함하고, 바디부재(10)의 테두리측벽(14)과 회전부재(22)의 외곽부(28)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CF) 및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의 사이 공간 또는 커버부재(29)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타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S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찰 헤더(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0)와 체결될 수 있다.
모터(200)는 회전축(200a), 바디부재(10)의 체결 플랜지(18)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201a)가 형성되는 플랜지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0)는 중앙에 회전축(200a)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200)의 회전축(200a)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2)을 관통하여 회전부재(22)의 체결부(23)에 체결될 수 있다. 모터(200)의 회전축(200a)은 체결부(23)에 형성된 제1볼트 체결홀(BH1)에 볼트(B)를 구비함으로써 회전부재(22)와 볼트(B)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부재(10)의 내부에는 회전부재(22)가 모터(200)의 회전축(200a)과 결합되어 마찰 헤더(100)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200)는 회전축(200a)이 돌출되는 선단부에 플랜지부(201)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부(201)에는 바디부재(10)의 체결 플랜지(18)를 안착시키고 볼트(B) 체결하기 위한 안착부(201a)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01a)에는 제2볼트 체결홀(B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볼트 체결홀(BH2)은 바디부재(10)의 체결 플랜지(18)에 구비된 제3볼트 체결홀(BH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1a)에 바디부재(10)의 체결 플랜지(18)가 안착되고 제2, 3볼트 체결홀(BH2, BH3)에 볼트(B)가 구비되어 마찰 헤더(100)의 바디부재(10)에 모터(200)가 직접 장착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모터(200)와 결합됨으로써 모터(200)의 회전축(200a)과 결합된 회전부재(22)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회전부재(22)의 하우징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커버부재(29)를 볼트(B) 체결하기 위한 제5볼트 체결홀(BH5)이 형성되는 테두리부(13) 및 모터(200)의 안착부(201a)에 안착되어 모터(200)와 볼트(B)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제3볼트 체결홀(BH3)이 형성되는 체결 플랜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실질적으로 마찰 헤더(100)와 모터(200)를 직결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의 체결 플랜지(18)는 모터(200)의 안착부(201a)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체결 플랜지(18)의 제3볼트 체결홀(BH3)과 안착부(201a)의 제2볼트 체결홀(BH2)이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3볼트 체결홀(BH2, BH3)에는 볼트(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부재(10)와 모터(200)는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커버부재(29)가 바디부재(10)에 볼트(B) 체결됨으로써 밀폐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9)의 테두리부(34)에는 제4볼트 체결홀(BH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볼트 체결홀(BH4)은 바디부재(10)의 테두리부(13)에 형성된 제5볼트 체결홀(BH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5볼트 체결홀(BH4, BH5)에 볼트(B)가 구비됨으로써 커버부재(29)와 바디부재(10)가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29)는 유체 유입구(32)와 유체 배출구(33)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재(29)는 모터(200)의 회전축(200a)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체가 바디부재(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체 유입구(32)를 구비하고, 모터(200)의 회전축(200a)과 나란한 방향으로 유체가 바디부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구(33)를 구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헤더(100)는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를 통해 회전부재(22)의 외곽부(2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종래에는 헤드부(1000)의 수직한 측벽에 흡입부(1001)와 토출부(1002)가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충돌마찰영역(CF)에 대부분의 유체를 존재하게 하여 충돌 마찰에 의한 온도 상승을 이루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커버부재(29)에 유체 유입구(32)와 유체 배출구(33)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충돌마찰영역(CF)과 표면마찰영역(SF)에 유체가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유체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노출된 적어도 일부의 외곽부(28)를 따라 회전부재(22)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유입구(32)를 통해 노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유체 유입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가 충돌마찰영역(CF)으로 유입되면서 동시에 표면마찰영역(SF)으로도 충분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유체는 표면마찰영역(SF)에 존재하며 제1, 2원주홈(CH1, CH2) 및 이와 각각 대응되는 제1, 2추진 리브(RB1, RB2)에 의해 계속적으로 온도 상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유체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원심력을 받으며 테두리측벽(14)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돌마찰영역(CF)으로 유입 가능하며 온도 상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유체가 모터(200)의 회전축(200a)과 나란한 방향으로 바디부재(1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체 유입구(32)의 구성에 의해 표면마찰영역(SF)에도 유체가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배출구(33)의 위치 구성을 통해 유체가 표면마찰영역(SF)에 보다 많이 잔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유체 유입구(32)와 유체 배출구(33)가 구비되는 구성을 통해 충돌마찰영역(CF) 및 표면마찰영역(SF)에 유체를 존재하게 하고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회전부재(22)를 수용하는 바디부재(10) 및 커버부재(29)가 볼트 체결되어 형성되는 마찰 헤더(100)와 모터(200)를 직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모터(200)의 회전축(200a)에 별도의 연결 수단(예를 들어, 모터 커플링)을 구비하고 연결 수단에 의해 마찰 헤더(100)와 모터(200)가 체결되는 구조의 경우, 회전부재(22)를 회전시키는 회전축(200a)이 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동심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고속 회전이 요구되는 마찰 헤더(100)는 마찰 헤더(100)의 중심축과 모터(200)의 회전축(200a)과의 동심도가 유지 되지 않을 경우 회전 기능에 있어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회전부재(22)에 모터(200)의 회전축(200a)을 직접 체결하고 바디부재(10)에 모터(200)를 직접 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마찰 헤더(100)는 마찰 헤더(100)에 모터(200)를 직결하는 구조에 의하여 회전부재(2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200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헤더(100)와 모터(200)의 회전축(200a)간의 동심도 유지가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부재(22)의 고속 회전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마찰 헤더(100)에 모터(200)를 체결하는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14,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는 모터(200)의 회전축(200a)이 관통하는 관통공(12)이 구비되는 바닥부(11), 바닥부(11)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측벽(14)을 포함하는 테두리부(13) 및 테두리부(13)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체결 플랜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바닥부(11) 및 테두리부(13)에 의해 내부에 회전부재(22)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10)의 내부에 회전부재(22)가 수용됨으로써 마찰 헤더(100)는 외곽 부분으로 충돌마찰영역(CF)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는 관통공(12) 및 바닥면(1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중앙에는 회전축(200a)이 관통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바닥면(11a)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11)의 바닥면(11a)에는 하나의 예로서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원형 띠 형상으로 파인 복수개의 제1원주홈(CH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주홈(CH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제1원주홈(CH1)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주홈(CH1)은 유체 유입구(32)를 통해 표면마찰영역(SF)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1원주홈(CH1)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표면마찰영역(SF)에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유체는 회전부재(22)에 회전에 의해 원심력 방향으로 힘을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 제1원주홈(CH1)은 제1원주홈(CH1)으로 유입된 유체를 제1원주홈(CH1)을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회전부재(22)에 의해 원심력을 받는 유체외에 표면마찰영역(SF)에 유체가 잔존하도록 저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면마찰영역(SF)에서 원심력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와 제1원주홈(CH1)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 간의 마찰 저항이 커질 수 있다.
표면마찰영역(SF)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 사이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제1원주홈(CH1)이 형성되는 영역과 회전부재(22)의 일면(22a)에 제1추진 리브(RB1)가 구비되는 영역이 포함되는 공간일 수 있다. 표면마찰영역(SF)에서 제1원주홈(CH1)과 제1추진 리브(RB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표면마찰영역(SF)에서 유체의 마찰에 의한 온도 상승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유체는 원심력을 받으면서 제1원주홈(CH1)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원주홈(CH1)의 상측에서 회전되도록 위치하는 회전부재(22)의 제1추진 리브(RB1)의 회전에 의해 유체간의 충돌이 발생하면서 마찰 저항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헤더(100)의 유체의 가열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바디부재(10)의 테두리측벽(14)에는 충돌마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5)는 반원형 단면부(15a)와 반원형 단면부(15a) 사이에서 경사지는 단부면(15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돌출되는 경사 돌출부(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5)는 바디부재(1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테두리측벽(14)에 충돌될 때 충돌 마찰열을 발생시켜 유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승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측벽(14)은 충돌마찰부(15)가 구비되는 원형 구간(CS)과, 충돌마찰부(15)가 구비되지 않으면서 외측으로 볼록한 2개의 호형 구간(AS)을 포함하되, 호형 구간(AS)에서 적어도 하나는 유체 유입구(32)에 대응되도록 바디부재(10)에 형성된 유체 유입부(20)이고, 나머지 하나는 유체 배출구(33)에 대응되도록 바디부재(10)에 형성된 유체 배출부(21)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는 테두리측벽(14)이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불부(21)가 구비되는 호형 구간(AS) 및 호형 구간(AS)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인 원형 구간(C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 구간(CS)에는 충돌마찰부(15)가 구비되고, 호형 구간(AS)에는 충돌마찰부(15)가 구비되지 않으면서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출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바디부재(10)는 유체 유입부(20)에서 유체 배출부(21)의 원주 방향으로는 테두리측벽(14)에 형성된 충돌마찰부(15)가 형성되고, 유체 배출부(21)에서 유체 유입부(20)의 원주 방향으로는 테두리측벽(14)에 충돌마찰부(15)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유입부(20)에서 유체 배출부(21)의 원주 방향에 존재하는 유체 유입부(20)와 유체 배출부(21) 사이에는 테두리측벽(14)에 충돌마찰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체 배출부(21)와 유체 유입부(20)의 원주 방향에 존재하는 유체 배출부(21)와 유체 유입부(20) 사이에 존재하는 테두리측벽(14)에는 커버부재(29)와의 결합 구조에 따른 단차(SP)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바디부재(10)는 테두리측벽(14)의 대부분의 영역이 충돌마찰부(15)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영역은 커버부재(29)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단차(SP)를 포함하는 단차(SP)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테두리측벽(14) 중 유체 유입부(20)에서 유체 배출부(21)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하는 테두리측벽(14)에는 충돌마찰부(15)가 형성되고, 유체 배출부(21)에서 유체 유입부(2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하는 테두리측벽(14)에는 결합을 위한 단차(S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22)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받은 유체가 충돌되는 테두리측벽(14)의 대부분의 영역은 충돌마찰부(15)로 이루어지므로 바디부재(10) 내부에서 마찰에 의한 유체의 가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돌마찰부(15)가 구비되지 않는 일부의 영역(구체적으로, 유체 배출부(21)에서 유체 유입부(2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하는 유체 배출부(21)와 유체 배출부(21) 사이의 일부 영역)에는 다른 부재(예를 들어, 커버부재(29))와의 쉬운 결합을 위한 단차(S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부재(예를 들어, 바디부재(10) 및 커버부재(29))가 볼트(B) 체결되기 전에 일차적으로 부재간의 얼라인을 효율적으로 맞출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충돌마찰부(15)를 구성하는 반원형 단면부(15a) 및 경사 돌출부(15b)는 교번적으로 반복 형성되되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돌마찰부(15)의 구조에 의해 유체는 회전부재(22)의 원심력에 의해 충돌마찰부(15)의 경사 돌출부(15b)에 충돌하면서 반원형 단면부(15a)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5(a)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돌출부(15b)의 단부면(15b')은 반원형 단면부(15a)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경사 돌출부(15b)에 충돌된 유체가 단부면(15b')을 따라 반원형 단면부(15a)로 쉽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반원형 단면부(15a)는 반원형 단면을 따라 유체가 큰 손실없이 빠르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회전부재(22)의 원심력에 의해 반원형 단면부(15a)로 유입되는 유체는 반원형 단면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는 유체와 충돌할 수 있다.
유체는 경사 돌출부(15b)의 단부면(15b')에 의해 마찰되면서 반원형 단면부(15a)로 유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회전부재(22)로부터 이탈된 유체와 부딪쳐 충돌할 수 있다. 충돌된 유체는 경사 돌출부(15b)의 단부면(15b')에 의해 반원형 단면부(15a)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유체는 반원형 단면부(15a) 및 경사 돌출부(15b)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반원형 단면부(15a)로 유입되었다가 단부면(15b')을 따라 빠르게 반원형 단면부(15a)로부터 이탈되면서 유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는 바디부재(10) 내부에서 마찰 저항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열되면서 신속하게 승온할 수 있다.
충돌마찰영역(CF)은 테두리측벽(14)에 형성된 충돌마찰부(15)를 포함하고, 충돌마찰부(15)는 반원형 단면부(15a)와 인접하는 반원형 단면부(15a)들 사이에서 반원형 단면부(15a)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15b)를 포함하되, 경사 돌출부(15b)는 바디부재(1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그 단부면(15b')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으로 경사지는 단부면(15b')은 바람직하게는 반원형 단면부(15a)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는 회전부재(22)에서 원심력을 받아 이탈한 유체가 경사 돌출부(15b)에 충돌하여 단부면(15b')을 따라 반원형 단면부(15a)로 쉽게 유입되기 위함일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2)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충돌마찰영역(CF)은 충돌마찰부(15)에 의해 충돌마찰영역(CF)에서 마찰 저항을 받으면서 가열되는 유체의 가열 효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디부재(10)의 바닥면(11a)과 충돌마찰부(15)의 경사 돌출부(15b) 사이에는 복수개의 리브 형태로 형성되는 제3마찰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3마찰부(19)는 경사 돌출부(15b)와 제1원주홈(CH1) 사이에 형성되되, 경사 돌출부(15b) 방향으로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경사 돌출부(15b)의 단부면(15b')에 연결될 수 있다.
제3마찰부(19)는 제1원주홈(CH1)을 따라 원심력을 받는 유체가 제3마찰부(19)의 경사를 따라 단부면(15b')을 흘러 반원형 단면부(15a)로 쉽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3마찰부(19)는 충돌마찰영역(CF)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재차 마찰 저항을 받을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부재(10)는 유체 유입구(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유입부(20)가 형성되고, 유체 배출구(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배출부(21)가 형성되고, 유체 유입부(20)의 바닥면(20G)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체 배출부(21)의 바닥면(21G)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가 모두 커버부재(29)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바디부재(10)는 커버부재(29)의 유체 유입구(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유입부(20)가 형성되고, 유체 배출구(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배출부(21)가 형성되어 도 1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출부(21)는 경사지는 바닥면(20G, 21G)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출부(21)의 유체를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출부(21)의 바닥면(20G, 21G)이 경사지는 상, 하향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5(b)는 바디부재(10)의 유체 유입부(2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출부(21)는 각각의 바닥면(20G, 21G)이 경사지는 방향이 다른 차이점을 제외하고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5(b)의 유체 유입부(20)를 참조하여 유체 유입부(20) 및 유체 배출부(21)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로서 유체 유입부(20)의 바닥면(20G)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유입부(20)는 유체가 유입되는 커버부재(29)의 유체 배출구(3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마찰 헤더(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충돌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유입부(20)의 바닥면(20G)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유체 유입구(32)를 통해 마찰 헤더(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유체 배출부(21)는 회전부재(22)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가 원심력을 받아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체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되면서 충돌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유체 배출부(21)는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배출부(21)의 바닥면(21G)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유체 배출부(21)의 바닥면(21G)에 충돌하는 유체를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체 배출부(21)의 바닥면(21G)에 충돌하면서 바닥면(21G)에 의해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체가 충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찰에 의해 유체의 가열 효율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바디부재(10)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다. 바디부재(10)는 모터(200)의 플랜지부(201)에 볼트 결합되는 체결 플랜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 플랜지(18)에는 모터(200)의 플랜지부(201)의 안착부(201a)에 형성된 제2볼트 체결홀(BH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볼트 체결홀(BH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6,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2)는 제1볼트 체결홀(BH1)을 포함하는 체결부(23), 제1추진 리브(RB1) 및 제2추진 리브(RB2)를 포함하는 추진 리브(RB)가 구비되는 중간부(27) 및 중간부(27)의 외곽으로 형성되는 외곽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회전에 의해 유체는 바디부재(10)의 테두리측벽(14)의 충돌마찰부(15)에 충돌하게 된다.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는 임펠러일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일면(22a) 및 타면(22b)에는 각각 제1추진 리브(RB1) 또는 제2추진 리브(RB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의 일면(22a)에 제1추진 리브(RB1)가 형성되고, 타면(22b)에 제2추진 리브(RB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은 바디부재(10)의 제1원주홈(CH1)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고,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은 후술할 커버부재(29)의 제2원주홈에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의 양면에 각각 추진 리브(RB1, RB2)를 구비하였으나, 추진 리브(RB)는 회전부재(22)의 일면(22a) 및 타면(22b)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추진 리브(RB)가 구비되는 회전부재(22)의 어느 면과 마주보는 방향에 원주홈(구체적으로, 회전부재(22)의 일면(22a)에 제1추진 리브(RB1)가 구비될 경우에는 제1원주홈(CH1), 회전부재(22)의 타면(22b)에 제2추진 리브(RB2)가 구비될 경우에는 제2원주홈(CH2))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회전부재(22)는 양면에 각각 제1, 2추진 리브(RB1, RB2)를 구비하고 바디부재(10) 및 커버부재(29) 각각에는 제1, 2원주홈(CH1, CH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추진 리브(RB1, RB2)는 표면마찰영역(SF)에서 각각에 대응하는 제1, 2원주홈(CH1, CH2)의 상측에서 회전하며 제1, 2원주홈(CH1, CH2)으로 유입되는 유체와 제1, 2추진 리브(RB1, RB2)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와의 마찰을 통해 유체의 마찰 저항을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 6, 11,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2)의 일면(22a)에는 제1추진 리브(RB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이 바디부재(10)의 제1원주홈(CH1)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회전부재(22)의 하면일 수 있다.
제1추진 리브(RB1)는 체결부(23)와 외곽부(28) 사이의 중간부(27)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추진 리브(RB1)는 전면이 경사면(24)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수직면(25)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사면(24)은 상향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24)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평평한 면의 중간면(27a)에서부터 경사면(24)을 따라 상방향으로 흘러 제1추진 리브(RB1)를 지나 회전할 수 있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추진 리브(RB1)는 경사면(24)으로 형성되는 전면이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경우, 회전부재(22)의 하면에 구비되는 제1추진 리브(RB1)는 경사면(24)이 시계 방향측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2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위치하는 경사면(24)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 저항은 발생하되 회전부재(22)의 회전시 소음 및 과부하가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추진 리브(RB1)를 반시계 방향측에 수직면(25)이 위치하도록 구비할 경우, 회전부재(22)의 회전 과정에서 소음 및 과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가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하도록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이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에 위치하도록 이로 인해 회전부재(22)의 회전시 걸리는 부하 및/또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제1추진 리브(RB1)는 제1원주홈(CH1)의 상측이면서 제1원주홈(CH1)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추진 리브(RB1)에 의해 제1원주홈(CH1)측으로 원심력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와 제1추진 리브(RB1)를 따라 흐르는 유체간의 마찰 저항이 더욱 커질 수 있다.
표면마찰영역(SF)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원주홈(CH1)과 회전부재(22)의 일면(22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추진 리브(RB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원주홈(CH1)과 제1추진 리브(RB1)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은 유체는 회전부재(2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도 함께 받으면서 더욱 큰 마찰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헤더(100) 내부에 표면마찰영역(SF)이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타면(22b)에는 체결부(23)와 외곽부(28) 사이의 중간부(27)에 제2추진 리브(RB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이 회전부재(22)의 상면일 수 있다.
커버부재(29)의 제2원주홈(CH2)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22)의 상면에는 제2추진 리브(RB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추진 리브(RB2)는 제1추진 리브(RB1)를 상, 하 반전시킨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추진 리브(RB2)는 전면이 경사면(24)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수직면(25)으로 형성되되,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경사면(24)이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부재(2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유체는 제2추진 리브(RB2)의 경사면(24)을 타고 회전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22)는 경사면(24)에 의해 유체에 마찰 저항은 발생되도록 하면서 소음 및 과부하의 유발없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재(22)의 일면(22a) 및 타면(22b)에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을 고려하여 경사면(24)이 위치하도록 제1, 2추진 리브(RB1, RB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마찰 헤더(100)는 고속 회전시 제1, 2추진 리브(RB1, RB2)의 경사면(24)에 의해 유체에 마찰 저항은 발생하면서 과도하게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부하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추진 리브(RB) 사이에는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가 관통하며 유동하는 관통유입홀(26)이 구비될 수 있다. 관통유입홀(26)의 주변에는 추진 리브(RB)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 헤더(100)는 회전부재(22)의 타면(22b)측에서 유동하는 유체 및 회전부재(22)의 일면(22a)측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관통유입홀(26)을 통해 통과하며 와류가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의 온도는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관통유입홀(26)은 제1, 2추진 리브(RB1, RB2)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되며 상, 하 방향으로 흐름 방향이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면마찰영역(SF)에 계속적으로 유체가 존재하며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외곽부(28)에는 복수개의 리브로 구성되는 제2마찰부(28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마찰부(28a)는 유체에 보다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브와 리브 사이로 이동하는 유체에 원심력이 전달되면서 유체는 매우 빠르고 강하게 테두리측벽(14)에 충돌할 수 있다. 제2마찰부(28a)와 충돌마찰부(15)간의 이격거리는 매우 협소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체는 충돌마찰부(15)와 강하게 충돌하면서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유체는 마찰력과 압축력을 받을수 있고 이에 의해 온도가 크게 상승될 수 있다.
회전부재(22)는 커버부재(29)에 구비되는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를 통해 외곽부(2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헤더(100)는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를 통해 회전부재(22)의 외곽부(28)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커버부재(29)는 커버부재(29)의 테두리부(34)에 형성되는 제4볼트 체결홀(BH4) 및 바디부재(10)의 테두리부(13)에 형성되는 제5볼트 체결홀(BH5)에 볼트가 삽입됨으로써 바디부재(10)와 결합되도록 바디부재(10)의 테두리부(13)측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29)는 바디부재(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부재(22)의 대향 방향으로 일면(29a)이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재의 일면(29a)은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가 구비되는 면일 수 있다.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의 중앙에는 회전부재(22)의 제1볼트 체결홀(BH1)에 삽입되는 볼트(B)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홈(30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29)는 수용홈(30a) 주위에 형성되는 중간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에 형성된 중간부(27)에는 하나의 예로서 제2원주홈(C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주홈(CH2)은 하나의 예로서 서로 다른 내경을 갖도록 원형 띠 형상으로 파인 구조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2원주홈(CH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제2원주홈(CH2)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주홈(CH2)과 제2추진 리브(RB2)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 유체는 회전부재(22)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도 함께 받으면서 마찰 저항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제2원주홈(CH2)은 바디부재(10)에 형성되는 제1원주홈(CH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원주홈(CH2)은 유체 유입구(32)를 통해 표면마찰영역(SF)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2원주홈(CH2)을 따라 흘러 회전력과 원심력을 받으면서 표면마찰영역(SF)에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원주홈(CH2)은 제2원주홈(CH2)으로 유입된 유체를 제2원주홈(CH2)을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표면마찰영역(SF)에 유체가 잔존하도록 저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면마찰영역(SF)에서 유체 간의 마찰 저항이 커질 수 있다.
마찰 헤더(100)는 제2원주홈(CH2)과, 제2원주홈(CH2)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22)의 제2추진 리브(RB2)에 의해 표면마찰영역(SF)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면마찰영역(SF)은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원주홈(CH2)과 회전부재(22)의 타면(22b)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추진 리브(RB2)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마찰영역(SF)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사이 공간 또는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와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사이 공간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제1원주홈(CH1)과, 제1원주홈(CH1)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제1추진 리브(RB1)를 포함하는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와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의 사이 공간은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의 제2원주홈(CH2)과, 제2원주홈(CH2)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의 제2추진 리브(RB2)를 포함하는 공간일 수 있다.
표면마찰영역(SF)은 회전부재(22)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추진 리브(RB)가 구비되고,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 및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바닥부(11, 30)에 원주홈(RH)이 구비되어 표면마찰영역(SF)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표면마찰영역(SF)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제1원주홈(CH1)과, 제1원주홈(CH1)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제1추진 리브(RB1)를 포함하는 공간 및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의 제2원주홈(CH2)과, 제2원주홈(CH2)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의 제2추진 리브(RB2)를 포함하는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는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 및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에 각각 제1, 2원주홈(CH1, CH2)이 형성되고, 회전부재(22)의 양면(22a, 22b)에 제1, 2추진 리브(RB1, RB2)가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마찰 헤더(100)는 충돌마찰부(15)를 따라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면서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CF) 및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이에 대향하는 회전부재(22)의 일면 사이 또는 커버부재(29)와 이에 대향하는 회전부재(22)의 타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회전부재(22)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표면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면서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S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찰 헤더(100) 내부에서 유체가 보다 효과적으로 마찰 저항을 받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마찰 헤더(100)가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유체를 승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마찰 헤더(100)의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9)는 수용홈(30a), 제2원주홈(CH2), 제1마찰부(31),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용홈(30a)은 제1볼트 체결홀(BH1)에 삽입된 볼트(B)의 일단을 수용하므로 제1볼트 체결홀(BH1)이 형성되는 회전부재(22)의 체결부(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30a)의 주변으로 형성되는 제2원주홈(CH2)은 서로 다른 내경을 갖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주홈(CH2)은 마찰 헤더(100) 내부에서 원심력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원심력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흘러 들어오면서 유체의 마찰 저항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원주홈(CH2)의 주변이면서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의 외측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제1마찰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마찰부(31)는 복수개의 리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찰 헤더(10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는 제1마찰부(31)에 충돌하면서 마찰 저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마찰부(31)는 유동하는 유체에 재차 마찰 저항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예로서 커버부재(29)에 커버부재(29)를 상, 하 관통하도록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를 형성하여 유체의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원심력 방향의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높일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헤더(100) 내부에 유체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부분에서 유체의 원심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방지되고 유체에 대한 마찰 저항이 더욱 커지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어 보다 신속하게 유체를 승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가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커버부재(29)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유체 유입구(32) 및 유체 배출구(33)는 동일한 구성(예를 들어, 커버부재(29))에 형성되지 않고, 마찰 헤더(100)를 구성하는 구성(예를 들어, 커버부재(29) 및 바디부재(10))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29)의 테두리부(34)에는 바디부재(10)와 볼트 체결될 수 있는 제4볼트 체결홀(BH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재(29)는 바디부재(10)와 결합하여 마찰 헤더(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충돌마찰영역(CF)과, 표면마찰영역(SF) 중 하나인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사이 공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면마찰영역(SF)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사이 공간 또는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와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는 설명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표면마찰영역(SF)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는 바닥부(11) 및 바닥부(11)의 외측에 바닥부(1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13)에 의해 회전부재(2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도면상 회전부재(22)는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상측에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마찰 헤더(100)는 바디부재(10)의 테두리측벽(14)과 회전부재(22)의 외곽부(28) 사이 공간에 의해 충돌마찰영역(CF)이 형성될 수 있다. 충돌마찰영역(CF)에서 회전부재(22)에 의해 유체가 테두리측벽(14)에 충돌하면서 마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5)는 반원형 단면부(15a) 및 경사 돌출부(15b)에 의해 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제2마찰부(28a)는 복수개의 리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 유체는 마찰 저항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돌마찰영역(CF)에서의 유체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관통유입홀(26)로는 마찰 헤더(10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유입홀(26)을 통과하면서 마찰 저항을 받을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추진 리브(RB)사이에 관통유입홀(26)이 구비되는 구조는 마찰 헤더(100) 내부의 충돌마찰영역(CF) 및 표면마찰영역(SF)에서의 유체의 마찰 저항이 더욱 커지도록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마찰열에 의한 유체의 가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S)에 따른 표면마찰영역(SF)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예로서 회전부재(2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에서 제1, 2추진 리브(RB1, RB2) 주변에 인접하게 도시된 화살표는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에 따른 유체의 흐름 방향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는 회전부재(22)의 회전에 의해 일면(22a) 및 타면(22b)에 구비된 제1, 2추진 리브(RB1, RB2)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 2추진 리브(RB1, RB2)의 경사면(24)은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유체가 마찰 저항을 받으면서 표면마찰영역(SF)을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는 제1, 2추진 리브(RB1, RB2)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하며 관통유입홀(26)을 통과하거나 인접하는 다음 추진 리브(제1추진 리브(RB1)의 경우 인접하는 다음 제1추진 리브(RB1), 제2추진 리브(RB2)의 경우 인접하는 다음 제2추진 리브(RB2))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1, 2추진 리브(RB1, RB2)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2원주홈(CH1, CH2)은 제1, 2원주홈(CH1, CH2)을 따라 회전력을 받으면서 표면마찰영역(SF)에 유체가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추진 리브(RB2)의 경사면(24)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관통유입홀(26)을 통과하여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을 따라 흐르는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유입홀(26)로 통과하지 않고 제2추진 리브(RB2)와 인접하는 다음 제2추진 리브(RB2)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하는 흐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체는 제1원주홈(CH1)과 제1추진 리브(RB1) 사이 공간의 표면마찰영역(SF)에서도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을 따라 회전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원주홈(CH1)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의해 제1원주홈(CH1)과 제1추진 리브(RB1) 사이 공간의 표면마찰영역(SF)에는 유체가 계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을 따라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관통유입홀(26)을 통과하여 제2추진 리브(RB2)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할 수 있고, 제1추진 리브(RB1)와 인접하는 다음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을 따라 유동할 수도 있다.
표면마찰영역(SF)에서 유체는 관통유입홀(26)을 통해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에서 제2추진 리브(RB2)의 경사면(24) 또는 제2추진 리브(RB2)의 경사면(24)에서 제1추진 리브(RB1)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하는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유입홀(26)에서 상, 하방향으로 흐름 방향이 교차하는 유체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며 유체의 온도가 보다 빠르게 상승될 수 있다.
표면마찰영역(SF)에서 제1, 2추진 리브(RB1, RB2) 및 제1, 2원주홈(CH1, CH2)은 회전부재(2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력 및 원심력을 받는 유체가 제1, 2추진 리브(RB1, RB2)의 경사면(24)을 따라 유동하고 관통유입홀(26)을 통과하며 상, 하 방향으로 흐름 방향이 교차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표면마찰영역(SF)에서 유체가 마찰되며 온도가 상승하는 과정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마찰 헤더(100)는 유체의 마찰로 인한 온도 상승 영역이 마찰 헤더(100)의 외측 영역뿐만 아니라 내측 영역 방향에도 존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마찰 헤더(100)의 유체를 승온하는 기능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재(10)의 테두리측벽(14)과 회전부재(22)의 외곽부(28) 사이 공간이 형성되어 충돌마찰영역(CF)이 형성될 수 있다.
충돌마찰영역(CF)에 포함되는 테두리측벽(14)의 충돌마찰부(15)와 회전부재(22)의 제2마찰부(28a) 사이의 이격 거리는 매우 협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는 회전부재(22)의 회전에 의해 충돌마찰부(15)에 강하게 부딪치면서 회전부재(22)의 회전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충돌마찰영역(CF)에서 마찰에 의한 유체의 온도 상승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표면마찰영역(SF)은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의 바닥면(11a)에 형성된 제1원주홈(CH1)과 제1원주홈(CH1)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제1추진 리브(RB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체는 원심력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1원주홈(CH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마찰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원주홈(CH1)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회전하는 제1추진 리브(RB1)의 회전에 의해 유동하는 유체와 제1원주홈(CH1)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충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면마찰영역(SF)에서 유체가 마찰열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마찰 헤더(100)는 바디부재(10), 회전부재(22) 및 커버부재(29)를 구비하는 구조에 의하여 충돌마찰영역(CF) 및 표면마찰영역(SF)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바디부재(10)에 형성되는 구성(예를 들어, 충돌마찰부(15) 및 제1원주홈(CH1)), 회전부재(22)에 형성되는 구성(예를 들어, 제1, 2추진 리브(RB1, RB2)) 및 커버부재(29)에 형성되는 구성(예를 들어, 제2원주홈(CH2))과 같이 각각의 구성에 구비되는 구성들은 상호 작용하여 유체의 마찰 저항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마찰 헤더(100)의 충돌마찰영역(CF) 및 표면마찰영역(SF)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유체를 가열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유체를 승온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마찰 헤더(100)는 보일러를 구성하여 신속하게 유체를 승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일러는 모터(200), 모터(200)의 회전축(200a)이 관통하는 관통공(12)이 구비된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외측에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10), 바디부재(1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29), 바디부재(10)와 커버부재(29) 사이에서 모터(200)의 회전축(200a)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2), 바디부재(10)의 테두리측벽(14)과 회전부재(22) 외곽부(28)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CF) 및 바디부재(10)의 바닥부(11)와 회전부재(22)의 일면(22a)의 사이 공간 또는 커버부재(29)의 바닥부(30)와 회전부재(22)의 타면(22b)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SF)을 포함하는 마찰 헤더(100) 및 마찰 헤더(100)에 의해 승온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일러는 내부에 충돌마찰영역(CF) 및 표면마찰영역(SF)을 구비하는 마찰 헤더(100)를 통해 유체를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승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가열된 유체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0: 모터 200a: 회전축
201: 플랜지부 201a: 안착부
100: 마찰 헤더
10: 바디부재 11: 바디부재의 바닥부
11a: 바닥면 12: 관통공
13: 바디부재의 테두리부 14: 테두리측벽
15: 충돌마찰부 15a: 반원형 단면부
15b: 경사 돌출부 15b': 단부면
18: 체결 플랜지 19: 제3마찰부
20: 유체 유입부 20G: 유체 유입부의 바닥면
21: 유체 배출부 21G: 유체 배출부의 바닥면
22: 회전부재 23: 체결부
22a: 회전부재의 일면 22b: 회전부재의 타면
24: 경사면 25: 수직면
26: 관통유입홀 27: 중간부
27a: 중간면 28: 외곽부
28a: 제2마찰부 29: 커버부재
29a: 커버부재의 일면 30: 커버부재의 바닥부
30a: 수용홈 31: 제1마찰부
32: 유체 유입구 33: 유체 배출구
34: 커버부재의 테두리부
CH1: 제1원주홈 CH2: 제2원주홈
CS: 원형 구간 AS: 호형 구간

Claims (14)

  1.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테두리측벽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곽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 및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을 포함하는 마찰 헤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마찰영역은,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충돌마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마찰부는 반원형 단면부와 인접하는 상기 반원형 단면부들 사이에서 상기 반원형 단면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사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재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되, 그 단부면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찰 헤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마찰영역은,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원주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1추진 리브를 포함하는 마찰 헤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마찰영역은,
    상기 커버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원주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2추진 리브를 포함하는 마찰 헤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를 포함하는 마찰 헤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바디부재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체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유체가 상기 바디부재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 배출구가 구비되는 마찰 헤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체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유입부의 바닥면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 배출구의 바닥면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찰 헤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부에서 상기 유체 배출부의 원주 방향으로는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충돌마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배출부에서 상기 유체 유입부의 원주 방향으로는 상기 테두리측벽에 상기 충돌마찰부가 형성되지 않는 마찰 헤더.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유체 배출구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의 외곽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마찰 헤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는 상기 모터의 플랜지부에 볼트 결합되는 체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마찰 헤더.
  11.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에 체결되며, 유체 유입구와 유체 배출구가 구비된 커버부재;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충돌마찰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곽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유체를 상기 테두리측벽에 형성된 상기 충돌마찰부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 및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 사이 또는 상기 커버부재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 방향과 수직한 표면 방향으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면서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을 포함하는 마찰 헤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측벽은 상기 충돌마찰부가 구비되는 원형 구간과, 상기 충돌마찰부가 구비되지 않으면서 외측으로 볼록한 2개의 호형 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호형 구간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체 유입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재에 형성된 유체 유입부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유체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부재에 형성된 유체 배출부인 마찰 헤더.
  13.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형성된 테두리측벽을 구비하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테두리측벽과 상기 회전부재 외곽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유체를 승온하는 충돌마찰영역; 및 상기 바디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면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면의 사이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를 승온하는 표면마찰영역을 포함하는 마찰 헤더; 및
    상기 마찰 헤더에 의해 승온된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를 포함하는 보일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안착부에 상기 바디부재의 체결플랜지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보일러.
KR1020190174148A 2019-12-24 2019-12-24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2339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148A KR102339399B1 (ko) 2019-12-24 2019-12-24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CN201911409163.4A CN113028638A (zh) 2019-12-24 2019-12-31 摩擦头及包括其的锅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148A KR102339399B1 (ko) 2019-12-24 2019-12-24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818A true KR20210081818A (ko) 2021-07-02
KR102339399B1 KR102339399B1 (ko) 2021-12-13

Family

ID=7645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148A KR102339399B1 (ko) 2019-12-24 2019-12-24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9399B1 (ko)
CN (1) CN11302863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222A (ja) * 1996-08-28 1998-03-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ビスカスヒータ
JPH10157441A (ja) * 1996-11-27 1998-06-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ビスカスヒータにおける循環流体の流通方法
KR100287586B1 (ko) * 1997-08-07 2001-05-02 이시카와 타다시 열발생기
KR101215475B1 (ko) * 2009-05-19 2013-01-02 김윤수 워터 히팅-펌핑 장치
KR101777712B1 (ko) * 2017-03-24 2017-09-12 김도화 마찰보일러
KR20190066374A (ko) 2017-12-05 2019-06-13 최성국 마찰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247B1 (ko) * 2014-04-11 2014-12-18 안병국 마찰식 열매체 가열 보일러 및 그 마찰식 열매체 가열 보일러의 마찰식 열매체 가열 순환펌프
CN103900241A (zh) * 2014-04-12 2014-07-02 威海都尔电子有限公司 无可燃燃料热水锅炉及加热水的方法
CN104266338A (zh) * 2014-09-15 2015-01-07 天津业和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分子释能热泵及其供热系统
CN204460654U (zh) * 2015-03-10 2015-07-08 吉林全福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阻尼发热机
CN109798695A (zh) * 2019-03-19 2019-05-24 王子忠 一种热泵、热泵组件及使用该热泵组件的热水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222A (ja) * 1996-08-28 1998-03-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ビスカスヒータ
JPH10157441A (ja) * 1996-11-27 1998-06-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ビスカスヒータにおける循環流体の流通方法
KR100287586B1 (ko) * 1997-08-07 2001-05-02 이시카와 타다시 열발생기
KR101215475B1 (ko) * 2009-05-19 2013-01-02 김윤수 워터 히팅-펌핑 장치
KR101777712B1 (ko) * 2017-03-24 2017-09-12 김도화 마찰보일러
KR20190066374A (ko) 2017-12-05 2019-06-13 최성국 마찰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399B1 (ko) 2021-12-13
CN113028638A (zh)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1546B (zh) 液冷式散熱裝置及車輛
EP3051060A1 (en) Structure of axial-type multistage turbine
KR102339399B1 (ko)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1665128B1 (ko) 고효율 액체 가열기
KR101337837B1 (ko) 원심 발열 펌프
KR101832131B1 (ko) 보일러용 펌프
JP2005246371A (ja) 気体混合装置
KR100241409B1 (ko) 비스코스 히터
KR101913518B1 (ko) 마찰보일러
CN212588702U (zh) 涡流水箱
JP5303925B2 (ja) ボイラ
KR101628941B1 (ko) 유체 마찰형 전기보일러
US11635089B2 (en) Propeller fan,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101860837B1 (ko) 유체마찰 전기보일러의 적층식 헤드
US6439848B2 (en) Drilled cooling air openings in gas turbine components
JP5718863B2 (ja) 気泡発生装置及び風呂給湯装置
KR102641804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JP6854973B2 (ja) 圧縮機
KR20240088043A (ko) 역류방지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CN106704253A (zh) 离心式叶轮和具有其的洗碗机
KR20060099881A (ko) 공조기의 터보팬
KR101828538B1 (ko) 유체 유동부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1680118B1 (ko) 유체 펌프 전기보일러
KR101860853B1 (ko) 열매체유 전기보일러 헤드
KR20240005668A (ko) 물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