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804B1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 Google Patents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804B1
KR102641804B1 KR1020200188117A KR20200188117A KR102641804B1 KR 102641804 B1 KR102641804 B1 KR 102641804B1 KR 1020200188117 A KR1020200188117 A KR 1020200188117A KR 20200188117 A KR20200188117 A KR 20200188117A KR 102641804 B1 KR102641804 B1 KR 10264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vortex
supply uni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016A (ko
Inventor
김정우
안성준
안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0018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804B1/ko
Priority to KR1020210174426A priority patent/KR20220097236A/ko
Publication of KR2022009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0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at the burne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0Mixing tubes or chambers; Burner heads
    • F23D11/406Flame stabilising means, e.g. flam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F24H1/28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including one or more furnace or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essure-Spray And Ultrasonic-Wave- Spray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너는,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를 연소공간에 소정의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노즐을 구비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제공된 연료와 공기가 발화하게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연료제공부에 의해 분무된 연료가 상기 연소공간에 도달하도록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해 상기 연료와 함께 화염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노즐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E SAME}
본 발명은 버너와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물 가열기는 용기 내의 유체를 가열하여 원하는 영역을 난방하거나, 가열된 물을 이용해 온수를 형성하여 수요처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물을 데우기 위해, 물 가열기는 버너를 이용해 연소반응을 일으켜 화염과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고, 화염으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연소가스가 전달하는 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가진다.
버너가 연소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연료가 필요하다. 연료로는 화석연료의 일종인 액화석유가스나 액화천연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오일 타입의 경유나 등유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오일 타입의 연료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의 발생이 적은 버너를 이용한 물 가열기를 설계할 경우, 청색 화염의 생성을 위해 연료와 함께 공기를 고속으로 급기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급기된 공기와 연료가 만나 착화 시, 화염이 있어야 할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고 날아가는 리프팅(lifting)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착화가 원활하게 되지 못하고, 불완전연소가 일어나 질소산화물의 발생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불완전연소 발생시 그을음에 의해 노란색 화염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고, 정해진 경로로 연소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된 보일러 내부의 통로들이 막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청색 화염을 용이하게 생성하되 착화 시 화염의 안착률을 증대하여 리프팅 발생을 저감시키며 안정적인 연소를 구현하여 질소산화물 발생이 저감된 버너와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를 연소공간에 소정의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노즐을 구비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제공된 연료와 공기가 발화하게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연료제공부에 의해 분무된 연료가 상기 연소공간에 도달하도록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해 상기 연료와 함께 화염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노즐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연소공간에 오일 타입의 연료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공간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및 분무된 상기 연료와 분사된 상기 공기의 혼합 물질을 발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제공부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 및 상기 플레임홀더의 상기 블로어튜브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블로어튜브 및 상기 플레임홀더에 결합되는 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는,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공간인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 반응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를 이용해 외부에서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해 유동하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관; 및 상기 연소 반응을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연소공간에 오일 타입의 연료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공간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및 분무된 상기 연료와 분사된 상기 공기의 혼합 물질을 발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제공부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임홀더의 외측면은 상기 블로어튜브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에 따라, 물 가열기의 버너에서 청색 화염이 용이하게 형성되면서도, 착화시 화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화염 리프팅이 저감되며,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여 질소산화물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내부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내부 구조가 드러나도록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버너에서 화염형성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화염형성부를 내부의 구조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화염형성부로부터 블로어튜브를 분해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화염형성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플레임홀더, 점화부, 연료노즐 및 화염형성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화염형성부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플레임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버너에서 공기제공부와 관련된 부분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공기제공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내부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내부 구조가 드러나도록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 가열기(1)는, 열을 발생시킨 후 이로부터 발생한 연소가스와 물의 열교환을 통해 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물 가열기(1)는 연소실(30), 버너(20), 연관(40) 및 프로세서(P)를 포함한다. 물 가열기(1)는 케이스(10), 외함(60) 및 버플 플레이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물 가열기(1)는 오일 타입의 연료를 사용하는 오일 보일러일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들을 내장하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공간인 연소공간(300)을 제공하는 연소실(30)이 마련될 수 있고, 연소공간(300)에 버너(20)가 배치되어 연소반응을 통해 열과 연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연소실(30)은 케이스(1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위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연소실(30)은 연관(40)의 일단과 연통될 수 있다. 연소실(30)과 연관(40)의 외부에 배치되어 연소실(30)과 연관(40)의 주위로 물이 흐를 수 있게 마련되는 중공(70)이 케이스(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30)에서 생성된 연소가스가 연관(40)을 통해 연관(40)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동안, 연관(40)과 연소실(30) 주변의 중공(70)에서 유동하는 물이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어 배출될 수 있다.
연관(40)은 도 1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그 내부를 통해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연관(40) 내부에는 버플 플레이트(50)가 배치될 수 있다. 버플 플레이트(50)가 배치되어, 연관(40) 내에서 유동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연관(40)은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유동하게 마련되는 구성요소로, 도시된 것과 같이 물 가열기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연관(40) 내에는 버플 플레이트(50)가 삽입된다. 연관(40)의 일단은 연소실(30)과 연통될 수 있다. 연관(40)은 중공(70)을 가로질러 연관(40)의 타단이 외부로 연소가스를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관(40)의 일단은 하측에 위치한 하단일 수 있고, 타단은 상측에 위치한 상단일 수 있다.
버너(20)는 공기와 연료로부터 연소반응을 일으키게 마련된다. 물 가열기(1)의 버너(20)가 사용하는 연료는 오일 타입일 수 있다. 연료가 분사되는 버너(20)의 말단은 연소실(30)에 위치하여, 연소실(30)의 연소공간(300)에서 연소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외함(60)은 도 1에서 설명된 물 가열기(1)의 내부구조들을 내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외함(6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외함(60)에는 프로세서(P)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이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각종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각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각종 센서 또는 획득부들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를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P)는 물 가열기(1)가 포함하는 공기제공부(22), 점화부(24), 연료노즐(2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더 가져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물 가열기(1)는 저장매체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P)가 수행하는 제어명령들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P)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버너(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버너(20)는 연소반응을 일으키는 구성요소로, 청색 화염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너(20)는 연료노즐(23), 점화부(24) 및 공기제공부(22)를 포함한다. 버너(20)는 하우징(21), 플레임홀더(25), 튜브프레임(28), 블로어튜브(26) 및 연료펌프(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버너(20)의 구성요소들을 감싸거나 각 구성요소와 결합된 뒤 케이스(10)와 결합되어 버너(20)의 구성요소들의 케이스(1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하우징(21)은 공기제공부(22)와 화염형성부가 결합되고,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연소실(30)의 개구를 덮는 연소실 커버(211) 및 연소실 커버(211)에 결합되어 화염형성부를 덮는 화염형성 커버(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실 커버(211)에는 공기제공부(22)가 케이스(10)의 외측에서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블로어 결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연료펌프(27)는 외부로부터 제공받거나 별도의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공급관(273)을 통해 연료노즐(23)로 압송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연료펌프(27)는 연료를 가압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압력형성부(271)와, 전력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이러한 연료압력형성부(271)가 구동될 수 있는 동력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연료모터(2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버너(20)에서 화염형성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화염형성부를 내부의 구조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화염형성부로부터 블로어튜브(26)를 분해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화염형성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플레임홀더(25), 점화부(24), 연료노즐(23) 및 화염형성 커버(21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화염형성부의 저면도이다.
화염형성부는 플레임홀더(25), 튜브프레임(28), 블로어튜브(26), 연료노즐(23) 및 점화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화염형성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섞이며 화염이 일어나 연소실(30)의 연소공간(300)에 화염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화염형성부 - 연료노즐(23)
연료제공부는 연료를 연소반응을 위해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연료노즐(23)과 연료펌프(27)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노즐(23)은 연소공간(300)에 오일 타입의 연료를 분무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연료노즐(23)은 연료공급관(273)을 통해 연료펌프(27)와 연결되어, 연료펌프(27)로부터 오일 타입의 연료를 전달받을 수 있고, 연료펌프(27)가 연료를 압송한 그 압력으로 연소공간(300)에 연료를 분무한다. 연소공간(300)에 연료노즐(23)이 연료를 분무하는 방향을 기준방향(D)이라 하자. 기준방향(D)은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일 수 있고, 버너(20)가 케이스(10)에 삽입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연료노즐(23)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연료노즐(23)이 연료를 분무하는 유량은, 연료펌프(27)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연료노즐(23)은 화염형성 커버(212)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연료노즐(23)의 기준방향(D)측 말단이자 연료가 분사되는 출구가 형성되는 부분인 노즐 내측단(23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소실(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기준방향(D)을 따라 하우징(21)을 관통하는 기둥형의 노즐 몸체(232)로부터 연장되면서 기준방향(D)에 직교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염형성부 - 점화부(24)
점화부(24)는 분무된 연료와 분사된 공기가 혼합된 혼합 물질을 발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점화부(24)를 점화 플러그인 것으로 설명하나, 점화 플러그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점화를 실시하는 장치가 점화부(24)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점화부(24)는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혼합 물질이 점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오일 타입의 연료가 분무되고, 공기가 분사되어 화염형성부 및 연소공간(300)에서 혼합되어 혼합 물질을 형성한 상황에서 전기 스파크가 발생함에 따라,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몸체(242)는 하우징(21)을 기준방향(D)을 따라 관통하고, 점화부(24)의 기준방향(D) 반대측 말단은 프로세서(P) 또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점화부(24)의 기준방향(D)측 말단인 플러그 내측단(241)은 연소실(30)의 내측에서 노즐 내측단(23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료노즐(23)은 기준방향(D)을 따라 바라볼 때 블로어튜브(26)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점화부(24)는 이러한 연료노즐(23)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내측단(241)은 플러그 몸체(242)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가면서 노즐 내측단(2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 내측단(241)에서 스파크가 형성될 수 있다.
화염형성부 - 블로어튜브(26)
블로어튜브(26)는 연소실(30)의 내측으로 삽입된 연료노즐(23)과 점화부(24)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공기제공부(22)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블로어튜브(26)는 공기제공부(22)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과, 연소공간(300)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료노즐(23)에 의해서 분무되는 연료와 공기제공부(22)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는 배출개구를 통해 연소공간(300)으로 배출될 수 있고, 스파크가 일어나면서 화염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개구는 플레임홀더(25)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일 수 있다.
블로어튜브(26)는 원기둥형태의 외관을 가지고 기준방향(D) 반대측 말단이 하우징(21)에 결합되는 직관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어튜브(26)는 직관부(262)의 기준방향(D)측 말단으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가면서,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부분인 테이퍼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테이퍼부(261)는 블로어튜브(26)의 기준방향(D)측 말단과 인접한 영역인 튜브 말단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테이퍼부(261)의 내측에 플레임홀더(25)가 배치될 수 있다. 직관부(262)의 내측에는 튜브프레임(28)이 배치되고, 직관부(262)의 내측면에 튜브프레임(28)이 결합될 수 있다.
블로어튜브(26)의 테이퍼부(261)의 내측면과 플레임홀더(25)의 외측면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배출개구를 플레임홀더(25)가 전부 가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0.8mm 이상 1.8mm 이하일 수 있으나, 버너(20)가 발생시키는 열량 또는 기타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기준방향(D)을 따라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를 바라볼 때, 배출개구와 플레임홀더(25)는 동심원을 형성할 수 있다.
화염형성부 - 튜브프레임(28)
튜브프레임(28)은 화염형성부 내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튜브프레임(28)은 블로어튜브(26)의 직관부(262)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튜브연결부(281)와, 튜브연결부(281)에 연결되되 플레임홀더(25)에 결합되는 홀더연결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프레임(28)은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되, 기준방향(D)을 따라 바라볼 때 동심원을 그릴 수 있는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튜브연결부(281)는 직관부(262)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연결부(281)의 중심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연료노즐(23)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홀더연결부(282)는 튜브연결부(281)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돌출되어 플레임홀더(2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안정적으로 플레임홀더(25)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홀더연결부(282)의 기준방향(D)측 말단은 플레임홀더(25)에 형성되는 결합공(256)에 삽입되거나, 결합공(256)에 삽입된 체결구와 체결되어 플레임홀더(25)와 결합될 수 있다.
튜브프레임(28)은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의 유지를 위한 것이므로,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멍 중 하나를 점화부(24)가 관통할 수 있다.
예시적인 버너의 경우, 플레임홀더와 블로어튜브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어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버너에서는 플레임홀더와 블로어튜브 사이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에 따라서 누적된 공차만큼 플레임홀더와 블로어튜브가 상대적 위치에 있어 차이를 가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20)의 화염형성부는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튜브프레임(28)을 블로어튜브(26)의 내측에 배치하여,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른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화염형성부 - 플레임홀더(25)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플레임홀더(25)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플레임홀더(25)는 원활한 화염형성을 위해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플레임홀더(25)는 홀더판(251)과 홀더둘레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임홀더(25)는 홀더판(251)에 형성되는 중심개구(253), 와류개구(254), 결합공(256) 및 와류날개(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판(251)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블로어튜브(26)에 형성되는 배출개구를 적어도 일부 가리도록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홀더판(251)이 기준방향(D)에 직교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홀더둘레부(252)는 홀더판(251)의 둘레로부터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된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홀더판(251)이 원판형으로 형성되므로, 홀더판(251)의 원주를 따라 기준방향(D)으로 돌출된 원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홀더둘레부(252)의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홀더둘레부(252)의 기준방향(D)측 말단은, 블로어튜브(26)의 기준방향(D)측 말단으로부터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소정 간격은, 기준방향(D)을 따라 연료노즐(23)으로부터 홀더판(251)에 이르는 거리의 2.3배 이상 3.6배 이하일 수 있다.
플레임홀더(25)는 튜브프레임(28)에 의해, 홀더둘레부(252)의 외측면이 블로어튜브(26)의 튜브 말단영역에 해당하는 테이퍼부(261)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인 이격간격(W1)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임홀더(25)의 외측면과 테이퍼부(261)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된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이 이격간격(W1)이 되도록, 튜브프레임(28)이 플레임홀더(25)와 블로어튜브(26)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둘레부(252)의 외측면과 블로어튜브(26)의 내측면의 사이에 이격간격(W1)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환형의 둘레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둘레개구에 대응되는 영역이 A3으로 지칭되어 있다.
중심개구(253)는 연료노즐(23)에 의해 분무된 연료가 연소공간(300)에 도달하도록 홀더판(251)의 중심에 형성되는 개구이다. 중심개구(253)를 통해서 공기가 배출될 수도 있다. 중심개구(25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둘레의 일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불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개구(253)는 원형영역과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영역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와류개구(254)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돌출영역은 원형영역의 둘레 중 일부분으로부터 원형영역의 반경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점화부(23)의 기준방향(D)측 말단은 돌출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중심개구(25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0에, 중심개구(253)에 대응되는 영역이 A1으로 지칭되어 있다.
와류개구(254)는 홀더판(251)에 형성되는 다른 개구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와류개구(254)는 중심개구(253)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의 와류개구(254)가 등각인 90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하나, 그 개수와 배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와류개구(254)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제공부(22)에 의해 블로어튜브(26)로 제공된 공기가 연소공간(300)으로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해 연료와 함께 화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와류개구(254)에 대응되는 영역이 A2로 지칭되어 있다.
와류날개(255)는 와류개구(254)와 인접하게 홀더판(251)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와류날개(255)는 와류날개(255)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와류날개(255)는 와류개구(254)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되, 와류개구(25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와류날개(255)는 와류개구(254)의 둘레로부터 연소공간(300)의 외측, 즉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와류날개(255)는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에 대해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임홀더(25)를 기준방향(D)을 따라 바라봤을 때, 와류개구(254) 각각의 둘레는, 중심개구(253)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시계방향측 모서리와 반시계방향측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와류날개(255)는 복수의 와류개구(254)의 시계방향측 모서리들 또는 반시계방향측 모서리들 중 공통된 방향의 모서리들로부터 돌출되되,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임홀더(25)를 기준방향(D)을 따라 바라봤을 때, 와류날개(255)는 와류개구(254)를 적어도 일부 가릴 수 있다. 도면에서 드러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와류개구(254)의 시계방향측 모서리들로부터 돌출되되, 기준방향(D)의 반대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와류날개(255)가 홀더판(251)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인 θ는, 20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도일 수 있다. θ가 20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게 될 경우, 지나치게 강한 와류가 형성되며 공기량이 많아져 착화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θ가 45도보다 큰 각도를 가지게 될 경우, 와류가 매우 약하게 형성되어 공기량이 희박해져 착화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공기와 연료 비율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와류날개(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와류날개(255)와 와류개구(254)의 형상에 의해, 블로어튜브(26)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플레임홀더(25)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가, 와류날개(255)의 형상을 따라 회오리쳐 와류를 형성할 수 있고, 분무된 연료와 함께 혼합 물질을 보다 잘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 원활하게 형성되어, 화염이 플레임홀더(25)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리프팅 현상의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홀더판(251)에는 결합공(256)이 형성되어, 상술한 튜브프레임(28)의 홀더연결부(282)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공(256)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플레임홀더(25)가 균형있게 지지되도록, 홀더판(25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등간격 및 등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공기제공부(22)와 연료제공부에 의해서 각각 공기와 연료가 제공될 때, 중심개구(253)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과, 복수의 와류개구(254)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과, 둘레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의 합을 총통과유량이라 하자. 중심개구(253)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총통과유량으로 나눈 값은 0.285 이상 0.395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와류개구(254)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총통과유량으로 나눈 값은 0.131 이상 0.181 이하일 수 있다. 둘레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총통과유량으로 나눈 값은 0.424 이상 0.584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유량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심개구(253), 복수의 와류개구(254), 둘레개구 및 복수의 와류날개(255)가 형성될 수 있고, 블로어튜브(26)와 플레임홀더(25)가 튜브프레임(28)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와류개구(254)는, 그 면적이 중심개구(253)의 면적 및 둘레개구의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와류개구(254)의 면적과, 중심개구(253)의 면적과, 둘레개구의 면적의 합을 총개구면적이라 할 때, 중심개구(253)의 면적을 총개구면적으로 나눈 값은 0.235 이상 0.287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중심개구(253)의 면적보다 큰 면적의 중심개구를 가지는 예시적인 물 가열기를 생각할 수 있다. 중심개구(253)의 면적 차이로 인해, 예시적인 물 가열기에서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서는 연료와 공기가 빠르게 배출되어 청색화염을 생성하기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따라 리프팅 현상 발생의 위험이 커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서는 와류날개(255)가 홀더판(251)과 이루는 각도가 상술한 것과 같이 형성되어 강한 와류를 형성하여 청색 화염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개구(253), 와류개구(254) 및 둘레개구를 통과하는 유량이 상술한 것과 같이 분배되어, 청색 화염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제공부(22)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버너(20)에서 공기제공부(22)와 관련된 부분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공기제공부(22)의 분해사시도이다.
공기제공부(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연소공간(300)에 압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공기제공부(22)는 블로어일 수 있다. 공기제공부(22)는 공기를 압축시켜 블로어튜브(26)로 전달하기 위한 임펠러(224)와, 임펠러(22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여 임펠러(224)에 전달하는 블로어 모터(22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제공부(22)는 블로어 결합부(213)에 내장되는 임펠러(224)를 덮을 수 있는 임펠러 커버(222)와, 임펠러 커버(222)에 안착된 블로어 모터(223)를 덮는 모터 커버(2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커버(221)는 내부에 블로어 모터(223)를 내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터 커버(221)는 블로어 모터(223)를 내장한 채로 하우징(21)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모터 커버(221)는 블로어 모터(223)를 내장하는 모터 내장부(2211)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공기유입부(221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2212)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모터 내장부(2211)에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가 임펠러(224)로 전달되어 블로어튜브(26)로 압송될 수 있다.
블로어 모터(223)는 고정자(2232)와, 샤프트(2234)와, 회전자(2233)와, 모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프레임 내에 고정자(2232)와 회전자(2233)가 배치되고, 모터프레임이 임펠러 커버(222)에 결합되어 블로어 모터(223)를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자(2232)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복수 회 전도성의 코일을 감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2233)는 고정자(2232)의 중심에 기준방향(D)을 따라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되, 전도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이 블로어 모터(223)에 인가되면, 고정자(2232)와 회전자(2233)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자(2233)가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자(2233)의 중심에는 기준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2234)가 삽입된다. 샤프트(2234)는 후술할 임펠러(224)의 동력전달부(2242)에 결합되어, 회전자(2233)의 회전을 임펠러(224)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임펠러(224) 역시 기준방향(D)을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 커버(222)는 환형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 커버(222)는 블로어 결합부(213)에 내장되는 임펠러(224)를 덮으며 하우징(21)에 결합될 수 있다. 임펠러 커버(222)의 상면에 블로어 모터(223)가 결합될 수 있고, 모터 커버(221)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커버(2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 커버(22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임펠러(224)의 중심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샤프트(2234)는 임펠러 커버(22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임펠러(224)의 동력전달부(2242)에 결합될 수 있다.
임펠러(224)는 회전함으로써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송기한다. 따라서 임펠러(224)는 특수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완만한 원뿔 또는 원뿔대형으로 형성된 몸체의 외측면에 나선형의 날개가 복수 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임펠러(224)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펠러(224)의 입구는 원뿔의 꼭지점 또는 원뿔대의 상면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224)의 중심에 형성되는 동력전달부(2242)와 슈라우드(2241)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구멍이 임펠러(224)의 입구로 작용할 수 있다. 임펠러(2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임펠러(224)의 회전에 따라 날개와 날개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임펠러(224)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임펠러(224)의 출구로 전달되고, 압축된 상태에서 배출될 수 있다. 임펠러(224)는 날개를 덮는 슈라우드(2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에는 블로어 결합부(213)와 블로어튜브(26)를 연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224)의 출구는 이러한 공기통로로 압축된 공기를 송기한다.
공기제공부(22)는 복수의 서로 다른 풍속으로 공기가 블로어튜브(26)에 압송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공기제공부(22)가 저단 또는 고단으로 작동하도록 공기제공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블로어 모터(223)에 상이한 크기의 전류를 제공함으로써 블로어 모터(223)가 저단 또는 고단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단에서 프로세서(P)는 블로어 모터(223)에 소정의 저단 전류를, 고단에서 프로세서(P)는 블로어 모터(223)에 저단 전류보다 큰 고단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P)는, 착화시점에는 저단으로, 착화 이후에는 고단으로 작동하도록 공기제공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저단은 소정의 풍속인 저단 풍속으로 공기를 제공하도록, 블로어 모터(223)가 저단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저단 속도는 버너(20)의 저단 공기비 또는 발생시키는 열량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고단은 저단 풍속보다 큰 고단 풍속으로 공기를 제공하도록, 블로어 모터(223)가 저단 속도보다 큰 고단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저단 속도는 고단 속도의 20% 내지 60%인 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단 속도는 1400 rpm 이상 2600rpm 이하일 수 있고, 고단 속도는 3000rpm 이상 3400rpm 이하일 수 있다. 공기제공부(22)가 상술한 것과 같이 착화 시점 및 착화 이후 서로 다르게 제어되어, 착화시 지나치게 강한 공기의 풍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염의 리프팅 현상을 방지하되, 착화 이후에는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도록 강한 풍속으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물 가열기
10 : 케이스
20 : 버너
21 : 하우징
22 : 블로어
23 : 연료노즐
24 : 점화 플러그
25 : 플레임홀더
26 : 블로어튜브
27 : 연료펌프
28 : 튜브프레임
30 : 연소실
40 : 연관
50 : 버플 플레이트
60 : 외함
70 : 중공
211 : 연소실 커버
212 : 화염형성 커버
213 : 블로어 결합부
221 : 모터 커버
222 : 임펠러 커버
223 : 블로어 모터
224 : 임펠러
231 : 노즐 내측단
232 : 노즐 몸체
241 : 플러그 내측단
242 : 플러그 몸체
251 : 홀더판
252 : 홀더둘레부
253 : 중심개구
254 : 와류개구
255 : 와류날개
256 : 결합공
261 : 테이퍼부
262 : 직관부
271 : 연료압력형성부
272 : 연료모터
273 : 연료공급관
281 : 튜브연결부
282 : 홀더연결부
300 : 연소공간
2211 : 모터 내장부
2212 : 공기유입부
2231 : 모터 프레임
2232 : 고정자
2233 : 회전자
2234 : 샤프트
2241 : 슈라우드
2242 : 동력전달부
2243 : 임펠러 출구
D : 기준방향
P : 프로세서

Claims (14)

  1.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를 연소공간에 소정의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노즐을 구비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제공된 연료와 공기가 발화하게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연료제공부에 의해 분무된 연료가 상기 연소공간에 도달하도록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해 상기 연료와 함께 화염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노즐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임홀더는, 상기 배출개구를 가리고, 외측면이 상기 블로어튜브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인 이격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외측면과 상기 블로어튜브의 내측면의 사이에 환형의 둘레개구를 형성하는, 버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공부와 상기 연료제공부에 의해서 각각 상기 공기와 상기 연료가 제공될 때, 상기 중심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과,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과, 상기 둘레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의 합을 총통과유량이라 할 때,
    상기 중심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상기 총통과유량으로 나눈 값은 0.285 이상 0.395 이하이고,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상기 총통과유량으로 나눈 값은 0.131 이상 0.181 이하이고, 상기 둘레개구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량을 상기 총통과유량으로 나눈 값은 0.424 이상 0.584 이하가 되도록, 상기 중심개구,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 상기 둘레개구 및 상기 복수의 와류날개가 형성되는, 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면적은, 상기 중심개구의 면적 및 상기 둘레개구의 면적보다 큰, 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면적과, 상기 중심개구의 면적과, 상기 둘레개구의 면적의 합을 총개구면적이라 하고,
    상기 중심개구의 면적을 상기 총개구면적으로 나눈 값은 0.235 이상 0.287 이하인, 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블로어튜브와 상기 플레임홀더를 바라볼 때, 상기 배출개구와 상기 플레임홀더는 동심원을 형성하는, 버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튜브의 기준방향측 말단과 인접한 튜브 말단영역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갈수록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플레임홀더의 외측면과 상기 튜브 말단영역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된 간격 중 가장 작은 간격이 상기 이격간격과 동일한, 버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튜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블로어튜브에 결합되며, 기준방향측 말단이 상기 플레임홀더에 결합되는 튜브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버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와류날개는,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상기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버너.
  10.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를 연소공간에 소정의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노즐을 구비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제공된 연료와 공기가 발화하게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연료제공부에 의해 분무된 연료가 상기 연소공간에 도달하도록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해 상기 연료와 함께 화염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노즐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임홀더를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봤을 때,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 각각의 둘레는, 상기 중심개구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시계방향측 모서리와 반시계방향측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와류날개는, 상기 시계방향측 모서리들 또는 상기 반시계방향측 모서리들 중 공통된 방향의 모서리들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버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날개가 상기 홀더판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는, 20도 이상 45 도 이하인, 버너.
  12.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를 연소공간에 소정의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노즐을 구비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공기를 송기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제공된 연료와 공기가 발화하게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연료제공부에 의해 분무된 연료가 상기 연소공간에 도달하도록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제공된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으로 이동하며 와류를 형성해 상기 연료와 함께 화염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노즐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제공부에 의해 압송된 공기가 유동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와 연결되는 원형영역과, 상기 원형영역의 둘레 중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원형영역의 반경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부의 기준방향측 말단은 상기 돌출영역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버너.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연소공간에 오일 타입의 연료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공간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및
    분무된 상기 연료와 분사된 상기 공기의 혼합 물질을 발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제공부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 및
    상기 플레임홀더의 상기 블로어튜브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블로어튜브 및 상기 플레임홀더에 결합되는 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버너.
  14.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공간인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 반응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를 이용해 외부에서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해 유동하도록 상기 연소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관; 및
    상기 연소 반응을 일으키도록 마련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연소공간에 오일 타입의 연료를 분무하도록 마련되는 연료제공부;
    상기 연소공간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제공부; 및
    분무된 상기 연료와 분사된 상기 공기의 혼합 물질을 발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점화부;
    판형의 홀더판과, 상기 홀더판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개구와, 상기 중심개구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와류개구와, 상기 복수의 와류개구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와류날개를 구비하는 플레임홀더; 및
    상기 플레임홀더와 함께 상기 연료제공부 및 상기 점화부를 둘러싸고, 상기 공기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소공간을 향해 개방된 개구인 배출개구를 가지는 블로어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임홀더의 외측면은 상기 블로어튜브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물 가열기.
KR1020200188117A 2020-12-30 2020-12-30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KR10264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117A KR102641804B1 (ko) 2020-12-30 2020-12-30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KR1020210174426A KR20220097236A (ko) 2020-12-30 2021-12-08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117A KR102641804B1 (ko) 2020-12-30 2020-12-30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426A Division KR20220097236A (ko) 2020-12-30 2021-12-08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016A KR20220096016A (ko) 2022-07-07
KR102641804B1 true KR102641804B1 (ko) 2024-03-08

Family

ID=823978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117A KR102641804B1 (ko) 2020-12-30 2020-12-30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KR1020210174426A KR20220097236A (ko) 2020-12-30 2021-12-08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426A KR20220097236A (ko) 2020-12-30 2021-12-08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18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547Y1 (ko) * 1988-10-31 1991-05-31 이영국 버너의 화염 조절장치
KR102475418B1 (ko) * 2019-05-03 2022-12-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오일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236A (ko) 2022-07-07
KR20220096016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2093B2 (en) Fuel/air mixture and combus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e in a fuel-fired heating apparatus
EP0349635B1 (en) Turbine combustor with tangential fuel injection and bender jets
US20180187596A1 (en) Toroidal combustion chamber
RU2224953C2 (ru) Инжектор дл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горелок в газовых турбинах
JP5947515B2 (ja) 渦発生装置を有する混合管要素を備えたターボ機械
US9038392B2 (en) Gas turbine combustor
JP6805355B2 (ja) 燃料/空気の混合が改良されたスワーラ、燃焼器アセンブリおよびガスタービン
CN107735618A (zh) 用于燃气涡轮的燃烧器和操作燃烧器的方法
JPH0733893B2 (ja) パルス燃焼器
CN107120652B (zh) 一种分级燃气低氮燃烧器
KR102641804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KR102611920B1 (ko) 버너,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및 버너 제어방법
JPH06505789A (ja) 気体燃料噴射器
RU230425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форсунка дл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для горелок газовых турбин
WO2020158528A1 (ja) バ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KR20220059642A (ko) 오일 보일러
CN107850309A (zh) 用于燃气涡轮的燃烧器
CN107850308A (zh) 用于燃气轮机的燃烧器
CN110168205A (zh) 燃气涡轮发动机
RU2813234C1 (ru) Горелка,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такую горелку,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горелкой
JP4608154B2 (ja) ガスタービン用燃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JPS61252412A (ja) 旋回流発生装置
JPS63271009A (ja) 燃焼装置
KR20230063168A (ko) 버너
CN108431503A (zh) 用于燃气轮机的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