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712B1 - 마찰보일러 - Google Patents
마찰보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7712B1 KR101777712B1 KR1020170037456A KR20170037456A KR101777712B1 KR 101777712 B1 KR101777712 B1 KR 101777712B1 KR 1020170037456 A KR1020170037456 A KR 1020170037456A KR 20170037456 A KR20170037456 A KR 20170037456A KR 101777712 B1 KR101777712 B1 KR 1017777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iction
- fluid
- housing
- hot water
- imp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4J3/0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40/00—Production or use of heat resulting from internal friction of moving fluids or from friction between fluids and moving bod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보일러는, 난방수를 수용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난방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고 유체를 수용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를 밀폐하도록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체와 충돌하는 마찰하우징을 가지는 열원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하우징은, 내측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둘레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된 마찰면을 가지는 충돌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난방방법은 크게 연료를 연소시켜 실내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직접 가열방법과, 실외 보일러에서 가열되는 증기, 온수를 열교환파이프 내부로 순환시켜 실내를 난방 하는 열교환 난방방법이 있다.
이중 열교환 난방방법은 통상 벽이나 바닥천장 속에 파이프를 넣고, 그 속에 온수열풍 등을 보내줌으로써 벽, 바닥, 천장의 표면온도를 높여 난방하는 복사난방 방법이다.
예를 들면,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온수순환펌프에 의해 사용처에 공급된다. 온수는 온수파이프를 거쳐 온수분배기에서 각 방으로 분기되고, 각 방의 바닥에 매설된 온수코일을 통해 온수의 열기를 바닥 및 실내에 공급하게 된다.
온수는 각 방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보일러는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작동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연료가 소모된다. 또한, 온수를 각 사용처로 전송하기 위해 온수순환펌프가 사용되며, 온수순환펌프의 작동에 의해서도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규모가 큰 건물, 농업용 및 산업용에 이용되는 보일러의 경우, 온수를 만들고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체를 순환시켜 유체의 온도를 높이고, 고온의 유체를 난방수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난방수를 만들 수 있는 마찰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보일러는, 난방수를 수용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난방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고 유체를 수용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를 밀폐하도록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체와 충돌하는 마찰하우징을 가지는 열원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하우징은, 내측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둘레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된 마찰면을 가지는 충돌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마찰부는, 상기 마찰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상기 마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면은 상기 마찰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면은 회전하는 상기 유체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면은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면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마찰부는, 상기 유체의 유입부분에서 상기 유체의 배출부분보다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보일러는, 유체를 순환시켜 유체의 온도를 높이고, 이를 난방수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난방수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보일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열원가열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마찰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되는 임펠러, 회전하는 유체와 충돌하는 충돌마찰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열원가열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마찰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되는 임펠러, 회전하는 유체와 충돌하는 충돌마찰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보일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마찰보일러(1000)는 온수탱크(300), 열원가열부(100) 및 열교환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탱크(300)는 건물의 난방을 위한 난방수(310)를 수용한다. 난방수(310)는 온수탱크(300)에 형성된 유출구(미도시) 및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건물에 공급될 수 있다. 온수파이프(320)는 온수탱크(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파이프(320)로 유입되는 상수(上水)는 온수탱크(300) 내부에 수용된 난방수(310)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의 상수는 온수파이프(320)로 유입되며, 난방수(310)와 열교환하여 고온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온수탱크(3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열교환기(200) 내부로 고온의 유체(400, 도 3 참조)가 순환된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200) 내부를 순환하는 유체(400)는 내마모성, 점착력, 점도지수 및 마찰 계수가 높은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유체(400)는 고온용 오일일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난방수(310)에 잠겨 있으며, 열교환기(200) 주위의 난방수(310)와 열교환 할 수 있다. 열교환기(200) 외부로 방열핀이 형성될 수 있다. 유체(400)는 공급라인(210)을 통해 열교환기(200)로 보충 및 공급될 수 있다.
열원가열부(100)는 온수탱크(300) 외부에 위치하며, 열교환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를 온수탱크(300) 내부에 위치시켜, 열교환 면적을 증대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원가열부(100)는 유체(400)를 열교환기(200) 내부로 공급하고 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유체(400)는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원가열부(100)는 유체(400) 순환 과정에서 유체(400)에 마찰을 발생시켜 유체(400)를 고온으로 만들 수 있다. 유체(400)는 가스 또는 기름 등의 화석연료 에너지 소비 없이 온도가 상승될 수 있어, 화석연료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열원가열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열원가열부(100)는 하우징본체(110)와 마찰하우징(120), 임펠러(130) 및 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0)는 하우징본체(110) 외부에 위치하고 임펠러(130)와 회전축(142)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140)에 연결된 회전축(142)에는 두 개의 베어링(142a)이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142a) 사이로 임펠러(130)가 연결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회전판(132)과 회전판(132) 표면에 형성되는 날개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32)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42)은 홀에 삽입되어 회전판(132)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날개부(134)는 회전판(132)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날개부(134)는 회전판(132) 전면과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0)에는 토출구(111) 및 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본체(110) 양측으로 마찰하우징(12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0) 내부에 임펠러(130)가 위치하게 된다. 하우징본체(110)는 유체(400, 도 1 참조)를 수용하며, 유체(400)는 하우징본체(110)에서 가열되어 높아져 열교환기(200)로 흐르게 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유체(400)는 임펠러(130)의 회전에 의해 유동하게 되며, 토출구(111)를 통해 열교환기(200)로 흐르게 되며, 유입구(112)를 통해 하우징본체(11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유체(400)는 하우징본체(110)와 열교환기(200)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마찰하우징(120)은 하우징본체(110) 양측으로 결합되어 하우징본체(110)를 밀폐할 수 있다. 마찰하우징(120)은 하우징본체(1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충돌마찰부(125) 및 기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는 마찰하우징(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마찰부(125)는 임펠러(130) 외측을 둘러 싸며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마찰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되는 임펠러에 의해 회전하는 유체 충돌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충돌마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마찰하우징(120)은 중앙에 삽입홀(121a)이 형성된 몸체부(121)와 회전축(142)의 베어링(142a)과 연결되는 지지부(123) 및 몸체부(121)와 지지부(123)를 연결하는 연결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3)는 회전축(142)의 베어링(142a)과 연결되며,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4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3)는 몸체부(121)로부터 이격되며, 연결부(122)를 매개로 몸체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기준부(124)는 대략 직육면체일 수 있다. 기준부(124) 양측으로 유체(400)가 유입 또는 토출될 수 있다. 즉, 기준부(124)를 기준으로 유체(400)의 흐름은 분리 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는 삽입홀(121a)과 이격되며, 마찰하우징(120)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마찰부(125)는 기준부(124)로부터 이격되어 마찰하우징(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는 하우징본체(110)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 내측으로 임펠러(130)가 위치하게 된다. 임펠러(130)의 회전에 의해 유체(400)에 회전력이 가해져 유체(400)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펠러(13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유체(400)도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임펠러(130)에 의해 회전하는 유체(400)는 임펠러(130) 외측에 위치하는 충돌마찰부(125)와 충돌하게 된다. 유체(400)는 충돌마찰부(125)와 충돌하면서 충돌마찰부(125) 내측 및 외측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는 제1 면(125a), 제2 면(125c) 및 마찰면(125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마찰부(125)의 제1 면(125a)은 마찰하우징(12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면(125c)은 제1 면(125a)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마찰면(125b)은 제2 면(125c) 및 제1 면(125a)과 제2 면(125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충돌마찰부(125)는 면이 3개로 형성되어 평면이 삼각형일 수 있다.
복수개의 충돌마찰부(125) 사이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400)는 충돌마찰부(125)의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유체(400)는 복수개의 충돌마찰부(125)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유체(400)와 충돌마찰부(125) 사이의 마찰은 더욱 증대되고, 유체(400)의 혼합은 원활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펠러(130)에 의해 회전하는 유체(400)는 충돌마찰부(125)의 제1 면(125a), 제2 면(125c) 및 마찰면(125b)과 충돌하면서 불규칙하게 유동하게 된다. 이때, 충돌마찰부(125)와 유체(400)사이에 표면마찰이 발생되며, 표면마찰로 인해 발생된 마찰열은 유체(400)에 흡수될 수 있다. 유체(400)의 회전이 빠르면 빠를 수록, 유체(400)와 충돌마찰부(125) 사이에 발생된 표면마찰은 커지며, 이에 따라 유체(400)가 흡수하는 마찰열도 커진다. 따라서, 유체(400)의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하우징본체(110)로 유입된 유체(400)는 임펠러(130)의 회전에 의해 제1 흐름(F1)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흐름(F1)은 충돌마찰부(125)와 충돌되며, 제1 흐름(F1)은 경사지게 형성된 충돌마찰부(125)의 마찰면(125b)에 의해 흐름이 나뉠 수 있다. 즉, 유체(400)의 제1 흐름(F1)은 마찰면(125b)에 의해 마찰면(125b)을 따라 흐르는 마찰흐름(V1)과 제1 면측에 형성되는 와류(V2)로 나뉠 수 있다. 마찰흐름(V1)은 충돌마찰부(125)의 제2 면(125c) 및 제1 면(125a)을 따라 흐르게 되고, 충돌마찰부(125)의 외측으로 흐르는 제2 흐름(F2)과 혼합되면서 충돌마찰부(125) 주위를 흐르게 된다. 유체(400)가 고속으로 회전할수록 마찰흐름(V1)이 빨라지고 와류(V2)는 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400)는 충돌마찰부(125) 주위에서 복잡하게 혼합되고, 유체(400)의 온도는 보다 빠르게 높아지며, 유체(400)에는 수많은 기포가 발생된다.
마찰면(125b)은 표면마찰을 보다 크게 발생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면(125b)은 제1 면(125a)과 제2 면(125c)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다 기울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면(125c)과 마찰면(125b) 사이의 사이각을 10 ~ 30˚로 형성하여 보다 유체(400)의 제1 흐름(F1)과 마주하여 마찰하는 마찰면(125b)의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400)의 흐름은 경사지게 형성된 마찰면(125b)에 의해 보다 복잡하게 유동하게 되고, 와류(V2)를 크게 발생시키고 마찰면(125b)의 면적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400)에는 보다 많은 마찰열이 흡수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400)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고온의 유체(400)는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며, 열교환기(200) 내부에서 기포가 터지면서 열은 발산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는 주위의 난방수(310)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유체(400)는 하우징본체(110)로 이동되며, 임펠러(130)의 회전에 의해 재가열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의 마찰면(125b)은 마찰하우징(12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홀(121a)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면(125b)은 충돌마찰부(125)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찰면(125b)은 유체(400)의 회전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본체(1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유체(400)는 마찰면(125b)을 따라 이동하며, 유체(400)의 흐름은 난류가 될 수 있다. 즉, 마찰면(125b)으로 인해 무질서한 유체(400)의 유동이 야기되고, 유체(400)와 마찰면(125b) 사이에 발생하는 표면마찰은 크게 증대될 수 있다.
표면마찰의 증대로 유체(400)와 마찰면(125b) 사이에는 마찰열이 발생되며, 유체(400)는 고온의 마찰열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유체(400)는 마찰면(125b)과 각을 이루는 제1 면(125a)에서 와류(V2)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유체(400)의 유동은 더욱 무질서하게 될 수 있다. 와류의 형성으로 인해 유체(400)는 더욱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찰면(125b)은 충돌마찰부(125)의 내측에 형성되고, 유체(40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400)의 와류는 마찰면(125b)에 형성되며, 마찰면(125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와류에 의해 형성된 유체(400)의 기포는 마찰면(125b)과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로 인해 고온으로 바뀔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마찰하우징(120)의 충돌마찰부(125)에 형성된 마찰면(125b)은 충돌마찰부(125)의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마찰부(125)와 유체(400, 도 4 참조) 사이에 마찰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마찰면(125b)은 충돌마찰부(125)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돌마찰부(125) 외측과 하우징본체(110) 사이에는 좁은 유로가 형성된다. 좁은 유로에 경사진 마찰면(125b)을 위치시켜, 유체(400)의 제2 흐름(F2, 도 4 참조)가 마찰면(125b)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400)와 마찰면(125b) 사이의 마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찰면(125b)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400)의 마찰흐름(V1, 도 4 참조)은 제1 면(125a) 근처에서 와류가 발생되며, 임펠러(130)에 의해 충돌마찰부(125) 외측으로 이동하는 유체(400)와 혼합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의 마찰면(125b)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면(125b)은 제1 면(125a)과 제2 면(125c) 사이에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면(125b)의 마찰면적을 보다 크게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유체(400)의 마찰흐름(V1)은 만곡진 마찰면(125b)을 따라 보다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와류(V2, 도 4 참조) 역시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400)의 각 흐름은 보다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충돌마찰부(125)의 마찰면(125b)에는 복수개의 돌기(12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127)는 마찰면(125b)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찰면(125b)을 따라 흐르는 유체(400)의 마찰흐름(V1)과 보다 크게 표면마찰이 발생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난류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개의 돌기(127)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난류로 인해 기포가 발생한 유체(400)와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적용되는 충돌마찰부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마찰하우징(120)의 충돌마찰부(125)는 유체(400, 도 4 참조)가 유입되는 부분보다 유체(400)가 토출되는 부분에서 보다 조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유체(400)가 유입되는 부분에서의 충돌마찰부(125)의 이격간격(G1)은 유체(400)가 토출되는 부분에서의 충돌마찰부(125)의 이격간격(G2)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을 하고, 하우징본체(110)로 유입되는 유체(400)는 저온이며 상대적으로 기포가 적은 상태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112) 부분에서 충돌마찰부(125)의 배치를 조밀하게 형성하여 임펠러(13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유체(400)와 마찰면(125b) 사이에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400)의 기포 형성과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0: 마찰보일러 300: 온수탱크
310: 난방수 320: 온수파이프
200: 열교환기 210: 공급라인
100: 열원가열부 110: 하우징본체
111: 토출구 112: 유입구
120: 마찰하우징 121: 몸체부
121a: 삽입홀 122: 연결부
123: 지지부 124: 기준부
125: 충돌마찰부 125a: 제1 면
125b: 마찰면 125c: 제2 면
127: 돌기
130: 임펠러 132: 회전판
134: 날개부 140: 모터
142: 회전축 142a: 베어링
400: 유체 F1: 제1 흐름
F2: 제2 흐름 V1: 마찰흐름
V2: 와류 G1, G2: 이격거리
310: 난방수 320: 온수파이프
200: 열교환기 210: 공급라인
100: 열원가열부 110: 하우징본체
111: 토출구 112: 유입구
120: 마찰하우징 121: 몸체부
121a: 삽입홀 122: 연결부
123: 지지부 124: 기준부
125: 충돌마찰부 125a: 제1 면
125b: 마찰면 125c: 제2 면
127: 돌기
130: 임펠러 132: 회전판
134: 날개부 140: 모터
142: 회전축 142a: 베어링
400: 유체 F1: 제1 흐름
F2: 제2 흐름 V1: 마찰흐름
V2: 와류 G1, G2: 이격거리
Claims (8)
- 난방수를 수용하는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난방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고 유체를 수용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를 밀폐하도록 양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체와 충돌하는 마찰하우징을 가지는 열원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하우징은,
내측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둘레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된 마찰면을 가지는 충돌마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돌마찰부는,
상기 마찰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상기 마찰면이 형성되고,
상기 충돌마찰부는,
상기 유체의 유입부분에서 상기 유체의 배출부분보다 조밀하게 배치되는 마찰보일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상기 마찰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마찰보일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회전하는 상기 유체를 마주보도록 형성된 마찰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마찰보일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마찰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만곡지게 형성되는 마찰보일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7456A KR101777712B1 (ko) | 2017-03-24 | 2017-03-24 | 마찰보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7456A KR101777712B1 (ko) | 2017-03-24 | 2017-03-24 | 마찰보일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7712B1 true KR101777712B1 (ko) | 2017-09-12 |
Family
ID=5992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7456A KR101777712B1 (ko) | 2017-03-24 | 2017-03-24 | 마찰보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7712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7836B1 (ko) | 2018-06-18 | 2018-10-12 | 장석채 | 순환식 유체가열 펌프장치 |
KR101913518B1 (ko) * | 2017-10-13 | 2018-10-30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1913516B1 (ko) * | 2017-10-13 | 2019-01-14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20190041881A (ko) * | 2017-10-13 | 2019-04-23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20190041883A (ko) * | 2017-10-13 | 2019-04-23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20190041882A (ko) * | 2017-10-13 | 2019-04-23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2059730B1 (ko) * | 2017-12-05 | 2019-12-26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CN113028638A (zh) * | 2019-12-24 | 2021-06-25 | 崔成国 | 摩擦头及包括其的锅炉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247B1 (ko) * | 2014-04-11 | 2014-12-18 | 안병국 | 마찰식 열매체 가열 보일러 및 그 마찰식 열매체 가열 보일러의 마찰식 열매체 가열 순환펌프 |
KR101510074B1 (ko) * | 2014-11-04 | 2015-04-17 | 안성섭 | 유체 가열식 모터 보일러 |
-
2017
- 2017-03-24 KR KR1020170037456A patent/KR1017777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247B1 (ko) * | 2014-04-11 | 2014-12-18 | 안병국 | 마찰식 열매체 가열 보일러 및 그 마찰식 열매체 가열 보일러의 마찰식 열매체 가열 순환펌프 |
KR101510074B1 (ko) * | 2014-11-04 | 2015-04-17 | 안성섭 | 유체 가열식 모터 보일러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9223B1 (ko) * | 2017-10-13 | 2021-02-25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1913518B1 (ko) * | 2017-10-13 | 2018-10-30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1913516B1 (ko) * | 2017-10-13 | 2019-01-14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20190041881A (ko) * | 2017-10-13 | 2019-04-23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20190041883A (ko) * | 2017-10-13 | 2019-04-23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20190041882A (ko) * | 2017-10-13 | 2019-04-23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2069427B1 (ko) * | 2017-10-13 | 2020-01-22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2080376B1 (ko) * | 2017-10-13 | 2020-02-21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2059730B1 (ko) * | 2017-12-05 | 2019-12-26 | 최성국 | 마찰보일러 |
KR101907836B1 (ko) | 2018-06-18 | 2018-10-12 | 장석채 | 순환식 유체가열 펌프장치 |
CN113028638A (zh) * | 2019-12-24 | 2021-06-25 | 崔成国 | 摩擦头及包括其的锅炉 |
KR20210081818A (ko) * | 2019-12-24 | 2021-07-02 | 최성국 |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
KR102339399B1 (ko) * | 2019-12-24 | 2021-12-13 | 최성국 | 마찰 헤더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7712B1 (ko) | 마찰보일러 | |
US10077956B2 (en) | Heat exchanger with enhanced airflow | |
US10480817B2 (en) | Duct-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EP3214378B1 (en) | Air conditioner | |
US10458728B2 (en) | Turbulence member and heat exchanger using same, and water heater | |
US8826970B2 (en) |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ing system | |
KR101510074B1 (ko) | 유체 가열식 모터 보일러 | |
KR101298261B1 (ko) | 유체 가열식 순환 펌프 | |
KR102352978B1 (ko) |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조화기용 회전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
KR101913518B1 (ko) | 마찰보일러 | |
KR20190041881A (ko) | 마찰보일러 | |
JP6230852B2 (ja) |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 |
JP2011174630A (ja) | 空気調和機 | |
KR101880125B1 (ko) | 유체식 순환 스팀 보일러 | |
KR101913516B1 (ko) | 마찰보일러 | |
KR102080376B1 (ko) | 마찰보일러 | |
KR20190066374A (ko) | 마찰보일러 | |
CN220507796U (zh) | 一种热量转移装置 | |
KR102219223B1 (ko) | 마찰보일러 | |
KR101880499B1 (ko) | 유체 가열기 | |
JP2018112324A (ja) | 熱交換器 | |
JP2018112323A (ja) | 熱交換器 | |
JP2017129028A (ja) | 送風機 | |
RU2594942C1 (ru) |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 |
JP2010249380A (ja) | ラジエ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