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676A - 암단자 - Google Patents

암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676A
KR20210081676A KR1020190173872A KR20190173872A KR20210081676A KR 20210081676 A KR20210081676 A KR 20210081676A KR 1020190173872 A KR1020190173872 A KR 1020190173872A KR 20190173872 A KR20190173872 A KR 20190173872A KR 20210081676 A KR20210081676 A KR 2021008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ring plate
bent
reinforcing rib
fe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801B1 (ko
Inventor
이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9017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Landscapes

  • Discharge Heating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블레이드 형의 수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단자에 있어서, 와이어가 클램핑 되는 클램핑부; 및 상대의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수단자의 상측에서 접압되어, 하측으로 접압력을 가하는 스프링판; 및 상기 스프링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판이 과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가 상기 스프링판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리브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판은, 상기 삽입홈을 바라보는 자유단인 선단에서, 삽입된 수단자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어져 형성된 접촉부; 상기 보강리브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2 이상 꺾어져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에서 연결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가 개시된다. 따라서, 접촉부가 회동할 수 있는 범위를 늘릴 수 있어,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접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암단자{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선의 끝단에 결합되며, 블레이드 형의 수단자가 결합되는 암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전기 커넥터 조합체는 수커넥터(male connector)와 암커넥터(female connector)를 포함하는데, 이들 양 커넥터는 상호 결합가능한 전기 단자들을 장착 또는 수납하고 있다. 수커넥터는 단자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암커넥터 안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단자들은 수형 및 암형 또는 핀 및 소켓 단자들을 포함하여 여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형상의 수단자와 결합되는 암단자의 경우, 전면이 개구 형성되어 수단자가 삽입이 가능하 도록 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 도체를 접힘 가공하여 내부에 수단자를 가압하도록 탄성편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암단자 스프링 구조에 있어서, 수단자의 오삽입시, 암단자의 변형의 우려가 매우 크며, 암단자의 탄성 변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큰 접압력이 가해서, 단자의 결합시, 많은 힘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단자의 삽입시, 입구측에 간섭으로 인해, 오삽입의 우려도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암단자의 스프링판의 충분한 가동범위를 확보하여, 변형의 우려가 적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접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오삽입의 우려도 적은 암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블레이드 형의 수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단자에 있어서, 와이어가 클램핑 되는 클램핑부; 및 상대의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수단자의 상측에서 접압되어, 하측으로 접압력을 가하는 스프링판; 및 상기 스프링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판이 과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가 상기 스프링판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리브판;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판은, 상기 삽입홈을 바라보는 자유단인 선단에서, 삽입된 수단자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어져 형성된 접촉부; 상기 보강리브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2 이상 꺾어져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에서 연결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를 제공한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보강리브와 사이에 하측으로 굴곡된 제 1 굴곡부; 상기 보강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굴곡부의 반대측서 상측으로 굴곡된 제 2 굴곡부; 및 상기 제 2 굴곡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접촉부를 향해 하측으로 굴곡된 제 3 굴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수단자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접촉부를 향해 돌출된 하부 가이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가이드 돌출편은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프링판의 상기 선단의 상측에 위치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상기 삽입홈을 향하는 끝단이 하측으로 곡면으로 꺾어진후, 상기 삽입홈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판의 상기 선단은,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삽입가이드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판의 일모서리와, 상기 스프링판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제 1 측판; 및 상기 하판의 타모서리와, 상기 보강리브판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제 2 측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판과 상기 보강리브판을 연결하는 모서리에는 변형 방지 홈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판의 타모서리에는 상기 변형 방지 홈에 끼워지도록 하측 변형 방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암단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굴곡부를 2이상 형성함으로써, 접촉부가 회동할 수 있는 범위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접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가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여,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판이 하측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암단자와, 암단자에 결합되는 수단자의 결합전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암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반대측에서 바라본 암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V-IV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절단선 V-V에 따른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수단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암단자와, 암단자에 결합되는 수단자의 결합전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암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반대측에서 바라본 암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V-IV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절단선 V-V에 따른 파단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단자(20)는 블레이드(blade) 형상의 수단자(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단자이다.
암단자(20)는, 와이어(미도시)가 클램핑 되는 클램핑부(100)와, 상대의 수단자(10)가 삽입되는 삽입홈(201)이 형성된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클램핑부(100)에 클램핑 되는 와이어는 통상 중앙에 전기전도가 되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피복으로 이루어진다. 클램핑부(100)는 피복이 제거된 코어를 클램핑하는 코어 클램핑부(110)와, 피복을 클램핑하는 피복 클램핑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삽입홈(201)으로 삽입된 수단자(10)의 상측에서 접압되어, 하측으로 접압력을 가하는 스프링판(210)과, 상기 스프링판(2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판(210)이 과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221)가 상기 스프링판(210)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리브판(220)과, 상기 삽입홈(201)으로 삽입된 수단자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판(230)과, 상기 하판(230)의 일모서리와, 상기 스프링판(210)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제 1 측판(250)과, 상기 하판(230)의 타모서리와, 상기 보강리브판(220)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제 2 측판(260)을 포함한다.
결합부(200)는 전체적으로 4각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한다. 즉, 하판(230)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 1 측판(250) 및 제 2 측판(260)을 수직으로 절곡하고, 제 1 측판을 절곡하여 스프링판(210)을 형성하고, 제 2 측판(260)을 절곡하여 보강리브판(220)을 스프링판(210) 상측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하나의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프링판(210)은, 상기 삽입홈(201)을 바라보는 자유단인 선단(211)에서, 삽입된 수단자(10)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어져 형성된 접촉부(212)와, 상기 보강리브(221)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2 이상 꺾어져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굴곡부(217)와, 상기 굴곡부(217)에서 연결된 본체부(219)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217)는, 상기 본체부(219)에서, 상기 보강리브(221)와 사이에 하측으로 굴곡된 제 1 굴곡부(213)와, 상기 보강리브(22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굴곡부(213)의 반대측서 상측으로 굴곡된 제 2 굴곡부(214)와, 상기 제 2 굴곡부(214)와 상기 접촉부(212) 사이에서, 상기 접촉부(212)를 향해 하측으로 굴곡된 제 3 굴곡부(2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굴곡부를 2이상 형성함으로써, 접촉부(212)가 회동할 수 있는 범위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접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221)가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여,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판(230)은, 상기 접촉부(212)를 향해 돌출된 하부 가이드 돌출편(231)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가이드 돌출편(231)은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접촉부(212)를 전후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삽입된 수단자(1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스프링판(210)의 상기 선단의 상측에 위치한 가이드판(240); 및 상기 가이드판(240)의 상기 삽입홈(201)을 향하는 끝단이 하측으로 곡면으로 꺾어진후, 상기 삽입홈(201)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가이드(2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판(210)의 상기 선단(211)은, 상기 가이드판(240)과 상기 삽입가이드(211)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수단자(10)가 도 7과 같이,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어도, 선단(211)에 간섭을 받지 않고, 도 8 및 도 9와 같이, 직선으로 안정적으로 진입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제 2 측판(260)과 상기 보강리브판(220)을 연결하는 모서리에는 변형 방지 홈(26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판(210)의 타모서리에는 상기 변형 방지 홈에 끼워지도록 하측 변형 방지 돌기(2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스프링판(210)이 하측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경우, 변형방지홈(261)과 하측 변형 방지 돌기(218)가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암단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굴곡부를 2이상 형성함으로써, 접촉부(212)가 회동할 수 있는 범위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접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221)가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여,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판이 하측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수단자 100: 클램핑부
200: 결합부 201: 삽입홈
210: 스프링판 211: 선단
212: 접촉부 213: 제 1 굴곡부
214: 제 2 굴곡부 215: 제 3 굴곡부
217: 굴곡부 218: 하측 변형 방지 돌기
219: 본체부 220: 보강리브판
221: 보강리브 230: 하판
231: 하부 가이드 돌출편 240: 가이드판
241; 삽입가이드 250: 제 1 측판
260: 제 2 측판 261: 변형 방지 홈

Claims (7)

  1. 블레이드 형의 수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단자에 있어서,
    와이어가 클램핑 되는 클램핑부; 및
    상대의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수단자의 상측에서 접압되어, 하측으로 접압력을 가하는 스프링판; 및
    상기 스프링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판이 과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가 상기 스프링판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리브판;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판은,
    상기 삽입홈을 바라보는 자유단인 선단에서, 삽입된 수단자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꺾어져 형성된 접촉부;
    상기 보강리브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2 이상 꺾어져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굴곡부; 및
    상기 굴곡부에서 연결된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보강리브와 사이에 하측으로 굴곡된 제 1 굴곡부;
    상기 보강리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굴곡부의 반대측서 상측으로 굴곡된 제 2 굴곡부; 및
    상기 제 2 굴곡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접촉부를 향해 하측으로 굴곡된 제 3 굴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수단자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접촉부를 향해 돌출된 하부 가이드 돌출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돌출편은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프링판의 상기 선단의 상측에 위치한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상기 삽입홈을 향하는 끝단이 하측으로 곡면으로 꺾어진후, 상기 삽입홈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삽입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판의 상기 선단은,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삽입가이드에 의해 감싸지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판의 일모서리와, 상기 스프링판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제 1 측판; 및
    상기 하판의 타모서리와, 상기 보강리브판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제 2 측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판과 상기 보강리브판을 연결하는 모서리에는 변형 방지 홈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판의 타모서리에는 상기 변형 방지 홈에 끼워지도록 하측 변형 방지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단자.
KR1020190173872A 2019-12-24 2019-12-24 암단자 KR10244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872A KR102446801B1 (ko) 2019-12-24 2019-12-24 암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872A KR102446801B1 (ko) 2019-12-24 2019-12-24 암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676A true KR20210081676A (ko) 2021-07-02
KR102446801B1 KR102446801B1 (ko) 2022-09-26

Family

ID=7689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872A KR102446801B1 (ko) 2019-12-24 2019-12-24 암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8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048A (ja) * 1996-10-17 2001-05-08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ンタクト
KR20090073779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67486Y1 (ko) *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JP2018041541A (ja) * 2016-09-05 2018-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KR20190055576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단자 스프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048A (ja) * 1996-10-17 2001-05-08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ンタクト
KR20090073779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67486Y1 (ko) *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JP2018041541A (ja) * 2016-09-05 2018-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KR20190055576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유라 피메일 단자 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801B1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08879146B (zh) 浮动连接器
US10256560B2 (en) Flat contact socket with a cantilever
CN100492778C (zh) 电连接器组件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KR101157672B1 (ko) 커넥터
US2006029293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ual contact function spring contact terminal
US20070099520A1 (en) Connecting terminal
JP2000311738A (ja) 電気コンタクト
CN106981754A (zh) 连接器
US2018001953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CN106252968B (zh) 电连接器
CN110546820B (zh) 阴端子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CN1881700B (zh) 阴端子以及使用阴端子的电连接器
KR102446801B1 (ko) 암단자
KR101967506B1 (ko) 암형 전기 단자
JPH0735317Y2 (ja) コネクタ用接続端子
KR100780735B1 (ko) 저가형 커넥터
WO2021124842A1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JP5737446B1 (ja) 電気コネクタの嵌合構造
US11381009B2 (en) Contact and connector
KR102055392B1 (ko) 피메일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