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198A -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198A
KR20210081198A KR1020190173504A KR20190173504A KR20210081198A KR 20210081198 A KR20210081198 A KR 20210081198A KR 1020190173504 A KR1020190173504 A KR 1020190173504A KR 20190173504 A KR20190173504 A KR 20190173504A KR 20210081198 A KR20210081198 A KR 2021008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phere
aspherical mirror
hea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198A/ko
Priority to DE202020107314.1U priority patent/DE202020107314U1/de
Priority to US17/130,628 priority patent/US11340455B2/en
Priority to CN202023117219.XU priority patent/CN214151246U/zh
Publication of KR2021008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9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suppo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6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3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mechanical means other than scan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whole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반사하는 비구면미러가 안정적을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로어케이스와; 상기 로어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로어케이스에 상하방향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어케이스의 양측에는 마운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는 상기 마운트부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IMPROVED COMBINING STRUCTURE OF ASPHERICAL MIRROR }
본 발명은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빛을 반사하는 비구면미러가 안정적을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시장은 자동차 고유의 향상뿐만 아니라 첨단 IT, 편리기능이 장착된 지능형 자동차를 선호하는 추세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 흐름 속에서, 자동차의 전장화가 확산되어 IT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이 접목된 기능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운전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지원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가 다양한 제품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속도, 연료 잔량, 길 안내 정보 등이 담긴 영상을 차량 앞창인 윈드실드(Windshield)에 보여주는 장치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발광형표시기에서 위와 같은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빛으로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빛은 비구면미러를 통해 상방향으로 반사되면서 차량의 앞유리창에 표시된다.
상기 비구면미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등에 조립되는데, 외부 충격에 의해 비구면미러가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등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는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비구면미러가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로어케이스와; 상기 로어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로어케이스에 상하방향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어케이스의 양측에는 마운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는 상기 마운트부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서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구형상의 회전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회전구가 안착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한다.
상기 마운트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호 연결되어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구의 상단은 상기 마운트부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의 상부에서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을 상기 마운트부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돌기의 상하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가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회전구의 상단이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와 접하는 안쪽이 바깥쪽보다 하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상기 회전구에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부가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스냅핏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에는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하부에 상기 가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표면에 도포된다.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주걱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는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를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주걱돌기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에 의해 밀린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된다.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로어케이스와; 상기 로어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로어케이스에 상하방향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어케이스의 양측에는 마운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는 상기 마운트부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마운트부와 상기 스크린부 사이에서 구속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스보관부는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돌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내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상기 회전돌기에 공급된다.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회전돌기의 상부에서 배치되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돌기에 도포된다.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서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구형상의 회전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회전구가 안착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표면에 도포된다.
상기 마운트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호 연결되어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구의 상단은 상기 마운트부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가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회전구의 상단이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와 접하는 안쪽이 바깥쪽보다 하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상기 회전구에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부가한다.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주걱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는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를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주걱돌기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에 의해 밀린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된다.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돌기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마운트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마운트부에서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회전구의 표면에 그리스를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구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스크린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비구면미러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부의 그리스보관부 및 가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스보관부와 가압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돌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회전돌기가 왼쪽으로 회전하여 그리스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회전돌기가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그리스가 토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케이스(10)와, 스크린부(20)와, 비구면미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어케이스(1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 중 하부에 위치한 케이스를 의미한다.
상기 스크린부(20)는 상기 로어케이스(10)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비구면미러(30)는 상기 스크린부(20)의 일측에서 상기 로어케이스(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비구면미러(30)는 미도시된 발광형표시기에서 발생된 빛(차량의 정보, 영상 등)을 상방향으로 반사시켜, 차량의 앞유리창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어케이스(10)의 양측에는 마운트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구면미러(30)의 양측에는 상기 마운트부(11)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3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돌기(31)가 상기 마운트부(11)에 안착됨으로서, 상기 비구면미러(30)는 상기 마운트부(11)가 형성된 상기 로어케이스(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부(11)는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마운트부(11)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부(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12)과 제2경사면(13)이 상호 연결되어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돌기(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32)와 회전구(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부(32)는 상기 비구면미러(30)의 양측에서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회전구(33)는 상기 기둥부(32)에서 돌출 형성된 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구(33)의 직경은 상기 기둥부(32)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회전돌기(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33)가 상기 마운트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마운트부(11)에 안착된 상기 회전구(33)의 상단은 상기 마운트부(11)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20)는 상기 마운트부(11)에 안착된 상기 회전구(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운트부(11)에 안착된 상기 회전돌기(31) 자세하게는 상기 회전구(33)의 상하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33)는 상기 마운트부(11)와 상기 스크린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의 변위가 제한되게 구속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회전돌기(31)는 상기 스크린부(20)에 의해 1차적으로 그 위치가 변동됨이 없이 그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4,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돌기(31)를 상기 마운트부(11)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21)는 다양한 형상의 회전돌기(31)를 가압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재(21)는 상기 회전구(33)를 상기 마운트부(11)에 가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33)의 상부에서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구(33)의 상단을 상기 마운트부(11)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돌기(31)의 상하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21)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구(33)가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됨으로서, 상기 가압부재(21)가 상기 회전구(33)를 지속적으로 상기 마운트부(11)에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2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스프링 중 접시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재(21)의 중심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2)에는 상기 회전구(33)의 상단이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재(2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33)와 접하는 안쪽이 바깥쪽보다 하방향으로 더 휘어져 있어, 상기 회전구(33)에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부가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21)와 상기 마운트부(11) 사이에 상기 회전구(33)가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20)를 상기 로어케이스(1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21)는 상기 회전구(33)를 하방향으로 약간 누르면서 상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21)에는 항상 하방향으로 상기 회전구(33)를 누르는 탄성복원력 즉 가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구(33)는 상기 마운트부(11)에서 임의로 유동됨이 없이 조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회전구(33)는 상기 가압부재(21)를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키면서 유동되었다가 상기 가압부재(2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21)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에는 다수개의 스냅핏(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21)는 다수개의 상기 스냅핏(24)에 끼워져 상기 스크린부(20)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2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보관부(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스보관부(23)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그리스보관부(23)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부재(21)가 장착된다.
상기 그리스부관부의 상부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그리스를 충진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리스보관부(23)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가압부재(21)에 형성된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회전구(33)의 표면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비구면미러(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구(33)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22)을 관통하는 주걱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기(31)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34)는 상기 그리스보관부(23)에 충진된 그리스를 밀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위와 같이 상기 회전돌기(31)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34)가 그리스를 밀기 때문에, 상기 그리스보관부(23)에 있는 그리스가 보다 잘 상기 회전구(33)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그리스가 상기 회전돌기(31)로 보다 잘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구(33)의 상단에는 상기 주걱돌기(34)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구(33)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35)이 길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회전돌기(31)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34)에 의해 밀린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35)을 통해 상기 회전구(33)의 하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비구면미러(30)가 파킹위치 또는 틸팅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돌기(31)가 회전되었을때, 상기 그리스보관부(23)에 충진된 그리스는 도 8 및 도 9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걱돌기(34)에 의해 밀려 자동으로 상기 유로홈(35)을 통해 상기 회전구(33) 및 마운트부(11)까지 토출되게 된다.
상기 유로홈(35)을 통해 토출된 그리스는 상기 회전구(33) 및 마운트부(11)에 도포되어, 상기 회전구(33)가 상기 마운트부(11)에서 회전할 때 상기 회전구(33)가 회전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주걱돌기(34) 없이 상기 회전구(33)의 상단에는 상기 유로홈(35)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재(21)가 상기 회전돌기(31)를 상기 마운트부(11)에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회전돌기(31)가 상기 마운트부(11)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회전돌기(31)가 상기 마운트부(11)에서 유동되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31)의 회전시 상기 회전구(33)의 표면에 그리스를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회전돌기(3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로어케이스, 11 : 마운트부, 12 : 제1경사면, 13 : 제2경사면,
20 : 스크린부, 21 : 가압부재, 22 : 관통공, 23 : 그리스보관부, 24 : 스냅핏,
30 : 비구면미러, 31 : 회전돌기, 32 : 기둥부, 33 : 회전구, 34 : 주걱돌기, 35 : 유로홈.

Claims (23)

  1.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로어케이스와;
    상기 로어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로어케이스에 상하방향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어케이스의 양측에는 마운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는 상기 마운트부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서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구형상의 회전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회전구가 안착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호 연결되어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구의 상단은 상기 마운트부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의 상부에서 배치되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을 상기 마운트부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돌기의 상하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가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회전구의 상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와 접하는 안쪽이 바깥쪽보다 하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상기 회전구에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스냅핏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에는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하부에 상기 가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주걱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는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를 밀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주걱돌기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에 의해 밀린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4.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로어케이스와;
    상기 로어케이스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로어케이스에 상하방향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비구면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어케이스의 양측에는 마운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는 상기 마운트부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마운트부와 상기 스크린부 사이에서 구속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내부에 그리스가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리스보관부는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전돌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내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상기 회전돌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그리스보관부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회전돌기의 상부에서 배치되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돌기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비구면미러의 양측에서 돌출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구형상의 회전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운트부에는 상기 회전구가 안착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를 상기 마운트부에 가압하며,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는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부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상호 연결되어 V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구의 상단은 상기 마운트부의 상단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가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회전구의 상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구와 접하는 안쪽이 바깥쪽보다 하방향으로 휘어져 있어, 상기 회전구에 하방향으로 가압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주걱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는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를 밀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주걱돌기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주걱돌기에 의해 밀린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구의 회전방향으로 유로홈이 길게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상기 그리스보관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회전구의 하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73504A 2019-12-23 2019-12-23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1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04A KR20210081198A (ko) 2019-12-23 2019-12-23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E202020107314.1U DE202020107314U1 (de) 2019-12-23 2020-12-16 Fahrzeug-Head-Up-Display-Vorrichtung mit verbesserter Struktur für den Einbau eines asphärischen Spiegels
US17/130,628 US11340455B2 (en) 2019-12-23 2020-12-22 Vehicle head-up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installing aspherical mirror
CN202023117219.XU CN214151246U (zh) 2019-12-23 2020-12-22 具有用于安装非球面镜的改进结构的车辆抬头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04A KR20210081198A (ko) 2019-12-23 2019-12-23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98A true KR20210081198A (ko) 2021-07-01

Family

ID=7515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504A KR20210081198A (ko) 2019-12-23 2019-12-23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40455B2 (ko)
KR (1) KR20210081198A (ko)
CN (1) CN214151246U (ko)
DE (1) DE202020107314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70A (ko) * 2020-10-13 2022-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방법
WO2023095898A1 (ja) * 2021-11-29 2023-06-01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3717B2 (ja) * 2014-12-09 2019-04-24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836718B2 (ja) 2017-05-18 2021-03-03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20129777A1 (ja) * 2018-12-18 2020-06-25 日本精機株式会社 凹面鏡支持装置及び表示装置
US20200338944A1 (en) * 2019-04-26 2020-10-2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irror system for a head-up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40455B2 (en) 2022-05-24
US20210191121A1 (en) 2021-06-24
CN214151246U (zh) 2021-09-07
DE202020107314U1 (de)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463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20210081198A (ko) 비구면미러의 장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02652272B (zh) 光学元件、屏幕以及显示装置
WO2017096981A1 (zh) 一种头戴显示器
US9995995B2 (en) Head-up display device with dust cover
JP2019078966A (ja) ミラー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501386A (zh) 显示装置
EP3592607B1 (en) Display mirror toggle paddle
WO2013114717A1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JP3769816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KR20160047168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EP3494011B1 (en) Cam-driven toggle switch for mirror assembly
US10466481B2 (en) Electronic device
WO2013160255A1 (fr) Dispositif de visualisation adapté à fournir un champ visuel étendu
JP3202990U (ja) 手動式反射シート装置
JP2014015070A (ja) 車両用表示装置
EP3891019A1 (fr) Interface homme-machine pour planche de bord de véhicule automobile
EP3565738B1 (en) Mechanical tilt for full display mirror
JP5341162B2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KR20210080110A (ko) 체결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15520094B (zh) 一种中控台内饰总成
CN216595743U (zh) 图像调整装置、抬头显示器及汽车
JP2019179720A (ja) 照明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移動体
US20220283436A1 (en) Adjustment device, adjustment unit, head-up display and motor vehicle
CN205318002U (zh) 手动式反射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