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948A -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948A
KR20210080948A KR1020190173045A KR20190173045A KR20210080948A KR 20210080948 A KR20210080948 A KR 20210080948A KR 1020190173045 A KR1020190173045 A KR 1020190173045A KR 20190173045 A KR20190173045 A KR 20190173045A KR 20210080948 A KR20210080948 A KR 2021008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pad
arch
thumb
big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웰니스
Priority to KR102019017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948A/ko
Publication of KR2021008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9Foot or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having 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엄지 발가락과 발 뒤꿈치에 힘이 들어가고 발바닥 종족골의 아치 부위가 바닥에서 떨어지면서 근육 및 근막에 정렬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발의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및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사이의 발바닥인 아치(50)를 지지하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아치(50)의 압력 유무를 확인 하는 압력센서부(200); 및 상기 압력센서부(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면서 상용자의 발목(70)에 링 형태로 착용되어 상기 압력센서부(200)에서 설정된 압력이 측정되면 알림신호가 발산되는 피드백발찌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CORRECTION APPARATUS FOR POSTTURE CONTROL PEDESTRIAN}
본 발명은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엄지 발가락과 발 뒤꿈치에 힘이 들어가고 발바닥 종족골의 아치 부위가 바닥에서 떨어지면서 근육 및 근막에 정렬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은 신발을 착용하면서 올바르지 않은 보행자세 때문에 발에 관련하여 다양한 증상의 건강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루 동안 걸어 다닐 때 보행자의 두 다리에 작용하는 충격은 성인남여 기준으로 평균 약 400톤 정도이며 이러한 충격은 보행자의 발바닥으로 고스란히 전달되는데, 잘못된 보행자세로 인하여 상기 보행시의 충격이 발바닥의 일부 영역에 집중될 경우 조금만 걸어도 피로감이 쌓이거나 티눈, 굳은살 등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잘못된 보행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경우 무지외반증이나 족저근막염 등의 질병을 발생시켜 발 건강을 해치게 되며, 나아가서는 다리와 척추계에 관절염이나 디스크 등의 질병을 발생시켜 다리나 척추계의 건강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행 시에는 전신(全身)의 근육과 관절, 신경 및 골격(骨格), 특히 척추, 어깨, 무릎 등 주요한 관절을 모두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잘못된 자세로 보행하게 되면 각 관절마다의 자극(관절 사이의 압력, 방향, 각도 등)이 신경수용체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결국 신체 기능이 저하되고, 잘못된 보행습관이 장시간에 걸쳐 지속되면 전신의 관절뿐만 아니라 근육, 골격, 신경 등에 피로감을 주게 되어 전신균형이 흐트러지게 되고 각 부위에 통증 등의 장해가 유발된다.
대개, 잘못된 보행자세는 우선 요통증상이 나타나고나서 목, 어깨, 고관절, 무릎, 발목 등의 순서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통상적으로, 보행 시에는 발의 뒤꿈치의 중앙부분이 지면에 닿아야 하기 때문에, 발 뒤꿈치의 안쪽(안장걸음;안짱걸음) 혹은 바깥쪽(팔자걸음) 등 뒤꿈치의 중앙을 벗어난 부분이 지면에 닿는다면 균형을 잃은 보행자세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발의 아치형상이 정상보다 높은 요족(pes cavus)의 경우는 발바닥에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발가락에 힘을 주기 때문에 발가락의 변형이 초래되는 바, 그러한 요족의 경우에 충격흡수는 약하기 때문에 발의 통증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신발에 보행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해주는 기능이 부가된다면 바람직하게 되는 바, 그러한 보행자세교정 기능에 대해서는 안장걸음과 팔자걸음 또는 요족증상에 대한 선택적인 교정이나 보정이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그에 더하여 보행 시에 발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도 완화시키기 위한 기능의 부가도 바람직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보행보조기들은 발부위에 착용하여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긴 하지만,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보행보조기 자체가 발부위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존의 보행보조기들은 발부위에 착용한 후 사용자가 반복되는 보행을 하면서 기존 보행자세로 인한 보행보조기의 변형이 발생되어 잘못된 보행이 발생되어도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27224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보행시 엄지 발가락과 발 뒤꿈치에 힘이 들어가고 발바닥 종족골의 아치 부위가 바닥에서 떨어지면서 근육 및 근막에 정렬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사용자의 발부위 착용을 최소화 하여, 보행 교정기에 의해 발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방지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보행 교정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반복되는 보행으로 인해 보행 보조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발의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및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사이의 발바닥인 아치(50)를 지지하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아치(50)의 압력 유무를 확인 하는 압력센서부(200); 및 상기 압력센서부(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면서 상용자의 발목(70)에 링 형태로 착용되어 상기 압력센서부(200)에서 설정된 압력이 측정되면 알림신호가 발산되는 피드백발찌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엄지발가락(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엄지패드(110)와, 상기 아치(50)의 하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아치패드(120)와, 상기 발뒤꿈치(30)의 하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뒤꿈치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서 연장형성되고 엄지발가락(10)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엄지패드(110)가 엄지발가락(1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엄지이탈방지띠(140)와, 상기 아치패드(120)에서 연장형성되어 아치(50) 부위에서 발등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아치패드(120)가 아치(5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치이탈방지띠(150)와, 상기 뒤꿈치패드(13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발뒤꿈치(30)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뒤꿈치패드(130)가 발뒤꿈치(3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뒤꿈치이탈방지턱(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의 압력을 측정하는 엄지센서(210)와, 상기 아치패드(120)에 내장되어 상기 아치(5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아치센서(220)와, 상기 뒤꿈치패드(130)에 내장되어 상기 발뒤꿈치(30)의 압력을 측정하는 뒤꿈치센서(230)와, 상기 엄지센서(210), 아치센서(220), 뒤꿈치센서(230)에서 측정된 정보를 피드백발찌부(300)에 송신하는 송신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발찌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70)에 감싸진 채로 배치되는 발찌(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상기 발찌(31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송신기(240)로 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340)와, 상기 발찌(31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수신기(340)에서 수신된 정보를 설정된 신호로 표출하는 알림신호기(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엄지패드(110)는, 상기 엄지패드(110)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의 밀착위치를 정해주어 엄지발가락(10)이 엄지패드(110) 상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엄지발가락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사용자가 보행 교정기를 사용함으로써 근육 및 근막에 정렬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사용자의 발부위 착용을 최소화 하여, 보행 교정기에 의해 발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보행 교정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반복되는 보행으로 인해 보행 보조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보행시 엄지 발가락과 발 뒤꿈치에 힘이 들어가고 발바닥 종족골의 아치 부위가 바닥에서 떨어지면서 근육 및 근막에 정렬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특히, 압력센서부, 피드백발찌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발의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및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사이의 발바닥인 아치(50)를 지지하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아치(50)의 압력 유무를 확인 하는 압력센서부(200); 및 상기 압력센서부(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면서 상용자의 발목(70)에 링 형태로 착용되어 상기 압력센서부(200)에서 설정된 압력이 측정되면 알림신호가 발산되는 피드백발찌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부(100)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며 특히, 사용자의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및 아치(5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엄지발가락(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엄지패드(110)와, 상기 아치(50)의 하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아치패드(120)와, 상기 발뒤꿈치(30)의 하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뒤꿈치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엄지패드(110)는 사용자가 보행시 사용자 발의 엄지발가락(10)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아치패드(120)는 사용자 발바닥의 아치(50) 부위를 지지하며, 상기 뒤꿈치패드(130)는 사용자 발바닥의 발뒤꿈치(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엄지패드(110)와, 아치패드(120) 및 뒤꿈치패드(130)는 사용자의 보행시 사용자의 각각 지정된 발바닥 부위에 항상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서 연장형성되고 엄지발가락(10)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엄지패드(110)가 엄지발가락(1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엄지이탈방지띠(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아치패드(120)에서 연장형성되어 아치(50) 부위에서 발등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아치패드(120)가 아치(5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치이탈방지띠(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뒤꿈치패드(13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발뒤꿈치(30)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뒤꿈치패드(130)가 발뒤꿈치(3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뒤꿈치이탈방지턱(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엄지이탈방지띠(14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사용자의 보행시에도 엄지패드(110)가 엄지발가락(10)의 하부에 정교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아치이탈방지띠(150)도 마찬가지로, 상기 아치패드(12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아치(50) 부위와 발등 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어, 사용자의 보행시에도 아치패드(120)가 아치(50)의 하부에 정교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뒤꿈치이탈방지턱(160)은 상기 뒤꿈치패드(130)에서 상 방향으로 턱을 이루면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보행시 상기 발뒤꿈치(30)가 뒤꿈치패드(13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뒤꿈치패드(130)가 발뒤꿈치(30)의 하부에 정교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엄지이탈방지띠(140)와 아치이탈방지띠(1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각각 사용자의 엄지발가락(10)과 발등을 견고하게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패드부(100)는, 사용자의 장시간 보행시 피로도를 낮추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엄지패드(110)는, 상기 엄지패드(110)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의 밀착위치를 정해주어 엄지발가락(10)이 엄지패드(110) 상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엄지발가락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엄지발가락홈(170)은 엄지발가락(10)이 엄지패드(110) 상에서 엄지패드(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엄지발가락(10)이 엄지패드(110)에 밀착될 경우, 엄지발가락(10)이 엄지발가락홈(170)에 안착된 상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엄지발가락(10)이 엄지발가락홈(170)을 통하여 엄지패드(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상기 패드부(100)에 내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발생되는 족압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의 압력을 측정하는 엄지센서(210)와, 상기 아치패드(120)에 내장되어 상기 아치(5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아치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상기 뒤꿈치패드(130)에 내장되어 상기 발뒤꿈치(30)의 압력을 측정하는 뒤꿈치센서(230)와, 상기 엄지센서(210), 아치센서(220), 뒤꿈치센서(230)에서 측정된 정보를 피드백발찌부(300)에 송신하는 송신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엄지센서(210)는 사용자가 보행시 엄지발가락(10)에서 엄지센서(21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아치센서(220)는 사용자가 보행시 아치(50)에서 아치센서(22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뒤꿈치센서(230)는 사용자가 보행시 발뒤꿈치(30)에서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진 압력 정보는 상기 송신기(240)를 통하여 상기 피드백발찌부(300)에 송신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는 센서 출력 정보를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면 다양한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는 사용자가 보행시 엄지발가락(10)과 아치(50) 및 발뒤꿈치(3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일 실시 예로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잇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진 압력 정보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처리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바람직한 보행패턴은 상기 엄지센서(210)에 엄지발가락(10)에 의해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아치센서(220)에는 아치(50)에 의한 압력이 미 발생되며, 상기 뒤꿈치센서(230)에 발뒤꿈치(30)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의 바람직한 보행패턴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발찌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70)에 감싸진채로 배치되어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에 가해진 압력 정보를 상기 송신기(240)를 통해 전달받아 그 압력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발찌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70)에 감싸진 채로 배치되는 발찌(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상기 발찌(31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송신기(240)로 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340)와, 상기 발찌(31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수신기(340)에서 수신된 정보를 설정된 신호로 표출하는 알림신호기(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찌(310)는 사용자의 발목(70)을 감싸면서 형성되되, 금속이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 띠 형태로 탄력을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발목(70)에 직접 밀착되는 상기 발찌(31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착용 부담을 덜기 위해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밀착면(3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340)는, 상기 압력센서부(200)의 송신기(240)에서 송신된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진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신기(340)로 전달된 압력 정보는 상기 알림신호기(320)로 전달되어 알림신호기(320)를 통해 사용자의 발목(70)에 신호를 표출하게 된다.
상기 알림신호기(320)가 사용자의 발목(70)에 표출하는 신호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신호가 표출될 수 있는데, 진동신호, 음향신호, 점등신호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수신기(340)로 전달된 압력 정보는 상기 알림신호기(320)가 사용자의 발목(70)에 진동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00)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며 특히, 사용자의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및 아치(5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상기 패드부(100)에 내장된 상태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발생되는 족압을 측정하고, 측정정보를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발찌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70)에 감싸진채로 배치되어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에 가해진 압력 정보를 상기 송신기(240)를 통해 전달받아 그 압력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패드부(100)는, 오른발과 왼발 양쪽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발찌(310) 또한 오른발과 왼발의 발목(70)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패드부(1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한쪽 발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발찌(310) 또한 한쪽 발의 발목(70)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패드부(100)를 착용하게 되면, 상기 엄지이탈방지띠(140)는 사용자의 엄지발가락(10)을 감싸면서 엄지발가락(10)이 상기 엄지센서(210)의 위에 위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엄지센서(210)는, 상기 엄지패드(110)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엄지발가락홈(170)이 형성된 위치의 엄지패드(110)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엄지발가락(10)은 상기 엄지패드(110) 상부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엄지발가락홈(170)에 엄지발가락(10)이 밀착되면서 보행시 엄지발가락(10)이 엄지발가락홈(170)의 하부인 엄지패드(110) 내부에 배치된 엄지센서(210)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아치이탈방지띠(150)는 사용자의 아치(50) 부위에서 발등을 감싸면서 아치(50) 부위가 상기 아치센서(220)의 위에 위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뒤꿈치이탈방지턱(160)은 사용자의 발뒤꿈치(30)의 테두리 부위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발뒤꿈치(30)가 뒤꿈치센서(230)의 위에서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드백발찌부(300)의 발찌(310)는 발찌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70)에 감싸진채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을 실시 하게 되면 상기 엄지센서(210)는 엄지발가락(10)에서 엄지센서(21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아치센서(220)는 아치(50)에서 아치센서(22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게 되며, 상기 뒤꿈치센서(230)는 발뒤꿈치(30)에서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보행이 올바른 보행의 여부판단의 기준은 사용자가 엄지발가락(10)에 힘을 가하게 되면 근육 및 근막에 정렬 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 자세조절이 되게 되는데, 엄지발가락(10)은 상기 엄지센서(210)를 가압하게 되고, 아치(50) 부위는 아치센서(220)에서 이격되게 되며, 발뒤꿈치(30)는 뒤꿈치센서(230)를 가압하는 것이 올바른 보행 시행 여부의 조건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진 압력 정보는 사용자의 올바른 보행이 시행 되었는지를 구분하여 상기 송신기(240)를 통하여 상기 피드백발찌부(300)의 수신기(340)에 송신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340)로 전달된 압력 정보는 상기 알림신호기(320)로 전달되어 알림신호기(320)를 통해 사용자의 발목(70)에 신호를 표출하게 된다.
상기 수신기(340)로 전달된 압력 정보는 상기 알림신호기(320)가 사용자의 발목(70)에 진동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보행을 시행하였는지 잘못 하였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진 압력 정보에 따라 올바른 보행을 시행하였는지의 여부를 구분하여 상기 알림신호기(320)가 동작되도록 설정 방식은 두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상기 엄지센서(210)와 아치센서(220) 및 뒤꿈치센서(230)로 가해진 압력 정보에서, 엄지발가락(10)이 상기 엄지센서(210)를 가압하고, 아치(50) 부위는 아치센서(220)에서 이격되게 되며, 발뒤꿈치(30)가 뒤꿈치센서(230)를 가압할 경우 올바른 보행이라는 것을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의 경우는, 올바른 보행을 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인위적인 반복 훈련으로 올바른 보행을 시도하면서 드물게 올바른 보행을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 보행이 올바르게 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엄지발가락(10)이 상기 엄지센서(210)를 가압하고 아치(50) 또한 아치센서(220)를 가압하는 경우, 또는 발뒤꿈치(30)가 뒤꿈치센서(230)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경우 올바른 보행이 시행되지 않았음을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되도록 설정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의 경우는, 올바른 보행 훈련이 이루어져 습관적으로 올바른 보행 자세가 된 사용자가 드물게 올바르지 않은 보행을 시행하는 경우에 보행이 잘못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올바른 보행을 많이하는 사용자의 경우 올바르지 못한 보행을 할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올바르지 못한 보행을 많이하는 사용자의 경우 올바른 보행을 할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행시마다 지속적으로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표출될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발찌(310)에서 알림신호기(320)가 최소한으로 표출되면서도 사용자가 올바른 보행이 되고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는, 사용자가 보행 교정기를 사용함으로써 근육 및 근막에 정렬유지 기전으로 인한 신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발부위 착용을 최소화 하여, 보행 교정기에 의해 발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보행 교정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반복되는 보행으로 인해 보행 보조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엄지발가락 30 : 발뒤꿈치
50 : 아치 70 : 발목
100 : 패드부 110 : 엄지패드
120 : 아치패드 130 : 뒤꿈치패드
140 : 엄지이탈방지띠 150 : 아치이탈방지띠
160 : 뒤꿈치이탈방지턱 170 : 엄지발가락홈
200 : 압력센서부 210 : 엄지센서
220 : 아치센서 230 : 뒤꿈치센서
240 : 송신기
300 : 피드백발찌부 310 : 발찌
312 : 밀착면
320 : 알림신호기 340 : 수신기

Claims (7)

  1. 발의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및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사이의 발바닥인 아치(50)를 지지하는 패드부(100);
    상기 패드부(10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과 발뒤꿈치(30), 아치(50)의 압력 유무를 확인 하는 압력센서부(200); 및
    상기 압력센서부(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면서 상용자의 발목(70)에 링 형태로 착용되어 상기 압력센서부(200)에서 설정된 압력이 측정되면 알림신호가 발산되는 피드백발찌부(300);를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엄지발가락(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엄지패드(110)와,
    상기 아치(50)의 하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아치패드(120)와,
    상기 발뒤꿈치(30)의 하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뒤꿈치패드(130)를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서 연장형성되고 엄지발가락(10)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엄지패드(110)가 엄지발가락(1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엄지이탈방지띠(140)와,
    상기 아치패드(120)에서 연장형성되어 아치(50) 부위에서 발등을 링 형태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아치패드(120)가 아치(5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치이탈방지띠(150)와,
    상기 뒤꿈치패드(13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발뒤꿈치(30)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뒤꿈치패드(130)가 발뒤꿈치(3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뒤꿈치이탈방지턱(160)을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상기 엄지패드(110)에 내장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의 압력을 측정하는 엄지센서(210)와,
    상기 아치패드(120)에 내장되어 상기 아치(5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아치센서(220)와,
    상기 뒤꿈치패드(130)에 내장되어 상기 발뒤꿈치(30)의 압력을 측정하는 뒤꿈치센서(230)와,
    상기 엄지센서(210), 아치센서(220), 뒤꿈치센서(230)에서 측정된 정보를 피드백발찌부(300)에 송신하는 송신기(240)를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발찌 형태로 사용자의 발목(70)에 감싸진 채로 배치되는 발찌(310)를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발찌부(300)는,
    상기 발찌(31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송신기(240)로 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340)와,
    상기 발찌(31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수신기(340)에서 수신된 정보를 설정된 신호로 표출하는 알림신호기(320)를 더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패드(110)는,
    상기 엄지패드(110) 상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10)의 밀착위치를 정해주어 엄지발가락(10)이 엄지패드(110) 상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엄지발가락홈(170)을 더 포함하는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KR1020190173045A 2019-12-23 2019-12-23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KR20210080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45A KR20210080948A (ko) 2019-12-23 2019-12-23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45A KR20210080948A (ko) 2019-12-23 2019-12-23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48A true KR20210080948A (ko) 2021-07-01

Family

ID=7686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045A KR20210080948A (ko) 2019-12-23 2019-12-23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9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49B1 (ko) 2011-11-25 2013-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체 체형 맞춤형 보행 교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49B1 (ko) 2011-11-25 2013-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체 체형 맞춤형 보행 교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812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10595749B1 (en) Insole to aid in gait stability
US20110099842A1 (en) Motion control insole with muscle strengthening component
KR20150001714A (ko) 척추병들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들
KR101709736B1 (ko) 발가락 교정기를 갖는 깔창
US8356427B2 (en) Foot support device and method
KR102140044B1 (ko)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JP4896221B2 (ja)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KR101641061B1 (ko)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US10827797B2 (en) Minimalist barefoot shoes for correcting flatfeet
KR20210080948A (ko) 자세조절용 보행 교정장치
KR20170003879U (ko)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
KR101933514B1 (ko) 발가락 사이 넓힘 보조기
WO2012017236A2 (en) Stabiliser assembly
CN108741418A (zh) 一种足弓垫及设置该足弓垫的足弓鞋
CN213962068U (zh) 一种婴儿足内翻外翻的矫正装置
US20140358057A1 (en) Toe Walker Orthosis
EP2949234B1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KR101996428B1 (ko) 보정용 깔창
KR101697135B1 (ko) 스마트 지골 교정 장치
CN112674425A (zh) 婴儿足部形态矫正装置
KR101098019B1 (ko) 교정용 보정신발
KR101536928B1 (ko)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KR20220061791A (ko) 뇌졸중 환자용 갈퀴발가락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