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28B1 -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28B1
KR101536928B1 KR1020140154198A KR20140154198A KR101536928B1 KR 101536928 B1 KR101536928 B1 KR 101536928B1 KR 1020140154198 A KR1020140154198 A KR 1020140154198A KR 20140154198 A KR20140154198 A KR 20140154198A KR 101536928 B1 KR101536928 B1 KR 10153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connecting rod
pressing
extending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섭
Original Assignee
박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849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369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섭 filed Critical 박균섭
Priority to KR102014015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28B1/ko
Priority to PCT/KR2014/010826 priority patent/WO20160725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뇌기능 활성화를 위한 발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발가락을 교정함으로써 정상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라 관절의 운동성과 뇌기능의 활성화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Foot Correcting Device for Vitalization for Brain Fucntion and Correction Foot}
본 발명은 뇌기능 활성화 및 발 교정을 위한 발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발가락을 교정함으로써 정상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라 관절의 운동성과 뇌기능의 활성화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화, 질병 또는 잘못된 보행 습관으로 인해 발가락의 형상이 변형되게 되면 그로 인해 정상 보행이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관절의 운동성이 쇠퇴 되며, 결과적으로 신체 전신의 기능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아울러, 발가락의 수평 방향의 변화로 인해, 척추의 중심축의 평형 상태가 무너지게 되면, 그에 따라 척추와 연결되어 있는 뇌기능의 활성화가 저해된다.
뿐만 아니라, 발가락이 모아지는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면, 인체의 보행성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01250호(1996.06.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발가락을 교정함으로써 정상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라 관절의 운동성과 뇌기능의 활성화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 교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기능 활성화를 위한 발 교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는 발뒤꿈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길이,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발등면 또는 발바닥면을 따라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하부에는 발바닥면을 통해 종골을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평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직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되지 않은 인접한 발가락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발뒤꿈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0)와, 상기 발뒤꿈치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기 발뒤꿈치의 중앙부가 노출되는 환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와 상기 연결대 사이에는 사용자의 중족골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는 상기 중족골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71), 상기 중족골의 측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272), 상기 중족골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제3 가압부(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구비된 발가락 삽입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가락 삽입부(400)는 발바닥의 중족골 부위을 지지하는 돌출면(4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면(45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고리부(110);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대(210); 상기 제1 연결대(210)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에서 상기 제1 연결대(2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대(220); 및 상기 제2 연결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는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고리부(1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는 발뒤꿈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길이,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대(210)는 발등면 또는 발바닥면을 따라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하부에는 발바닥면을 통해 종골을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평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직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리부(110)에는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된 발가락과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지 않은 인접한 발가락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발뒤꿈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0)와, 상기 발뒤꿈치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기 발뒤꿈치의 중앙부가 노출되는 환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리부(110)와 상기 제1 연결대(210)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중족골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는 상기 중족골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71), 상기 중족골의 측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272), 상기 중족골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제3 가압부(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리부(110)와 상기 제2 고리부(120)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구비된 발가락 삽입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가락 삽입부(400)는 발바닥의 중족골 부위을 지지하는 돌출면(4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면(45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발가락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발가락을 교정함으로써 정상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라 관절의 운동성과 뇌기능의 활성화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제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의 내부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의 내부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제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제3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한 제1 상태에서의 발바닥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한 제2 상태에서의 발바닥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서의 제2 고정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1에서의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가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의 제1 가압부에 의해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의 상부면이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9는 도 18에서의 돌출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는 제1 고리부(110), 제2 고리부(120), 제1 연결대(210), 제2 연결대(22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제1 고리부(110)에는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며, 제2 고리부(120)에는 약지 발가락이 삽입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 고리부(110)에는 엄지 발가락과 함께, 엄지 발가락에 인접한 발가락(들)이 추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고리부(120)에는 약지 발가락과 함께, 약지 발가락에 인접한 발가락(들)이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부위로서, 고정부(300)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위가 밀착되어 결합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뒤꿈치의 종골(발꿈치뼈: calcaneus)은 고정부(30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제1 연결대(210)는 제1 고리부(110)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연결대(210)에 가해지는 장력을 통해 고정부(300)와 제1 고리부(110)의 사이에서, 제1 연결대(210)에 삽입되어 있는 발가락(들)을 고정부(300)의 방향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2 연결대(220)는 제2 고리부(120)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 연결대(220)에 가해지는 장력을 통해 고정부(300)와 제2 고리부(120)의 사이에서, 제2 연결대(220)에 삽입되어 있는 발가락(들)을 고정부(300)의 방향으로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 장치는 실리콘, 고무, 탄성 재질의 천 등으로 일체로서 제조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제조자는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는 삽입되어 있는 발가락에 대한 견인력을 조절하기 위해 길이, 두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부(300)의 하부 중앙에는 발뒤꿈치의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홀(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홀(305)의 아래쪽 부분에는 지지부(330)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고정부(300)의 삽입홀(305)을 발뒤꿈치의 모서리 부분에 삽입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지지부(330)는 발바닥면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지지부(330)는 발바닥면을 통해 종골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재질의 지지부(330)가 발바닥면을 통해 종골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는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목이 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정상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8에서와 같이 지지부(330)는 종골의 상부에 위치하며, 엄지발가락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아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엄지 발가락 방향인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아치 형태를 이루는 지지부(330)는 착용자의 발에서의 거골의 내전 현상을 바로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거골이 내측 복숭아뼈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인 내전 현상은 발목에 염좌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평발과 요족의 원인이 되며, 무지 외반증, 몰톤 신경증, 및 그로 인한 뇌의 혈류량의 변화를 유발하게 되는데, 도 8에서와 같은 형상의 지지부(330)는 거골이 외측 복숭아뼈 방향으로 회전되는 외전 현상을 유도함으로써, 거골의 내전 현상을 바로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의 지지부(330)의 두께를 일체로서 조절하거나, 지지부(330)의 일부분의 두께만을 조절하거나, 탄성 재질의 지지부(330)에 가해지는 장력 및 그로 인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거골의 내전 정도 및 방향에 따른 개별적 맞춤형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거골의 내전 정도에 따라 도 8에서의 지지부(330)가 거골의 중심점의 상부로부터 동일한 아치형 형태를 유지하며 설상골의 영역까지 전개되도록 지지부(330)의 폭을 단계적으로 확대 및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제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발 교정 장치의 제2 고리부(120)에 약지 발가락을 삽입하고, 제2 연결대(220)를 발등면을 따라 발목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고정부(300)의 내면을 발뒤꿈치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 연결대(210)를 발등면을 따라 엄지 발가락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제1 고리부(110)를 엄지 발가락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대(210)와 제2 연결대(220)가 각각 발등면을 따라 전개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엄지 발가락과 약지 발가락은 각각 위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발목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300)의 내부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고정부(300)의 내부면에 돌기(350)를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300)의 내부면에 구비된 돌기(350)는 발뒤꿈치의 중앙선(A-A')인 종골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각각 7개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300)의 내부면에 복수개의 돌기(350)를 구비한 결과 고정부(300)가 발뒤꿈치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의한 견인력을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35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견인력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조자는 총 14개의 돌기(350) 중 특정 위치의 일부 돌기(350) 만을 형성함으로써,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의한 견인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부(300) 내부에 형성된 특정 돌기(350)와 발뒤꿈치가 밀착되는 지점은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의한 견인력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므로, 제조자는 고정부(300) 내부에 형성되는 돌기(35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삽입된 발가락의 견인 방향을, 사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수평 방향(교정 방향)으로 정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300)의 내부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고정부(300)의 내부면에 돌기(350)를 구비하되, 발뒤꿈치에서의 각각 다른 높이의 4개의 수평 평행선(Line1,2,3,4)을 따라 각 14개의 돌기(350)가 구비되되, 발뒤꿈치의 중앙선(A-A')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조자는 총 4의 수평 평행선 중에서 돌기(350)를 형성할 하나의 수평 평행선을 선택하고, 해당 수평 평행선 상에서 돌기(350)를 형성할 위치를 선택한 후, 적어도 하나의 돌기(350)를 형성함으로써,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의한 견인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부(300) 내부에 형성된 특정 돌기(350)와 발뒤꿈치가 밀착되는 지점은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의한 견인력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므로, 제조자는 고정부(300) 내부에 형성되는 돌기(350)의 수직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연결대(210) 및 제2 연결대(220)에 삽입된 발가락의 견인 방향을, 사용자의 발 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수직 방향(교정 방향)으로 정밀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제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발 교정 장치의 제1 고리부(110)에 엄지 발가락을 삽입하고, 제1 연결대(210)를 발등면을 따라 발목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고정부(300)의 내면을 발뒤꿈치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 연결대(220)를 발바닥면을 따라 약지 발가락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제2 고리부(120)를 약지 발가락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대(210)가 발등면을 따라 전개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엄지 발가락은 위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발목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제2 연결대(220)는 발바닥면을 따라 전개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약지 발가락은 아래로 내려짐과 동시에 발목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는 제1 고리부(110)와 제1 연결대(210), 고정부(300)만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 고리부(120)와 제2 연결대(220)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발 교정 장치의 제1 고리부(110)에 엄지 발가락을 삽입하고, 제1 연결대(210)를 발등면을 따라 발목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고정부(300)의 내면을 발뒤꿈치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300)를 발목을 따라 밀착시키며 돌린 후에 고정부(300)의 단부를 제1 연결대(210)의 상부면에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고정부(300)의 단부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천 재질의 제1 연결대(210)의 상부면과의 결합을 위한 벨크로 등이 구비되어 있음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고정부(300)와 제1 연결대(210)와 포개어지는 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 연결대(210)에 의한 엄지 발가락의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제1 연결대(210)가 발등면을 따라 전개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엄지 발가락은 위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발목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7은 도 1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제3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발 교정 장치의 제2 고리부(120)에 약지 발가락을 삽입하고, 제2 연결대(220)를 발등면을 따라 발목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고정부(300)의 내면을 발뒤꿈치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 연결대(210)를 발바닥면을 따라 엄지 발가락 방향으로 전개시킨 후에, 제1 고리부(110)를 엄지 발가락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대(220)가 발등면을 따라 전개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약지 발가락은 위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발목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제1 연결대(210)는 발바닥면을 따라 전개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엄지 발가락은 아래로 내려짐과 동시에 발목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연결대(210)와 제2 연결대(220)가 포개어지는 부분인 교차부(250)를 단일한 층으로서 일체로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교차부(250)로부터 제1 연결대(210)와 제2 연결대(220)가 분기되는 구조를 구비한 발 교정 장치를 통해서도 도 2를 통해 설명한 교정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고리부(110)와 제2 고리부(120)의 두께를 1cm 내지 2cm 정도로 형성함으로써, 고리부(110,120)에 삽입된 발가락과 고리부(110,120)에 삽입되지 않은 발가락이 고리부(110,120)의 두께로 인해 자연스럽게 이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고리부(110)와 제2 고리부(120)의 측면에 1cm 내지 2cm 정도의 두께를 갖는 별도의 실리콘 재질의 스페이서를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고리부(110,120)의 내부를 각각 복수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일정 두께의 격막을 고리부(110,120) 내부에 형성한 상태에서, 고리부(110,120) 내부의 복수개의 구획에 복수개의 발가락을 각각 하나씩 삽입함으로써, 고리부(110,120)를 통해 복수개의 발가락이 동시에 교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함께 교정되는 복수개의 발가락들 사이가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격막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고리부(110)와 제2 고리부(120)에 자성을 갖는 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제1 고리부(110)와 제2 고리부(120)의 측면에 광물질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 교정 장치는 항균 처리되어 제작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한 제2 상태에서의 발바닥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고정부(300)의 삽입홀(305)을 발뒤꿈치의 모서리 부분에 삽입하게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지지부(330)는 발바닥면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지지부(330)는 발바닥면의 중앙부를 통해 종골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발바닥면을 가로 지르는 지지부(33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지지부(330)를 통해 발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부분적으로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부(330)의 폭을 부분적으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지지부(330)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부분적으로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의 지지부(330)는 종골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거골과 종골이 발가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인 플랜타 플랙션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플랜타 플랙션 현상으로 인해 평발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도 10에서와 같이, 종골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330)에 의해 플랜타 플랙션 현상이 개선됨으로써, 평발의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0에서의 지지부(330)의 두께를 일체로서 조절하거나, 지지부(330)의 일부분의 두께만을 조절하거나, 탄성 재질의 지지부(330)에 가해지는 장력 및 그로 인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플랜타 플랙션 현상의 진행 정도 및 진행 방향에 따른 개별적 맞춤형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플랜타 플랙션 현상의 진행 정도에 따라 도 10에서의 지지부(330)가 거골의 상단부로부터 중족골의 영역(중족골의 발바닥 중앙에서의 시작점으로부터 중족골의 1/3 길이 지점)까지 전개되도록 지지부(330)의 폭을 단계적으로 확대 및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서의 고정부(300)는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310)는 고정부(300)에서 발뒤꿈치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며, 제2 고정부(320)는 고정부(300)에서 발뒤꿈치의 하면에 밀착되어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20)는 발뒤꿈치의 바닥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환형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형대를 통해 발뒤꿈치를 가압함에 따라 환형대의 중앙 부분으로 종골 하부의 지방 조직이 모여짐으로써, 종골 하부의 지방 조직에 의한 하중 지지 기능, 체형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능, 및 충격 완화 기능이 강화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20)를 형성하는 환형대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발뒤꿈치에서의 충격 완화 기능을 더욱 보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20)는 발뒤꿈치의 바닥면 경계를 U자형으로 지지하는 말굽 자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20)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착용자의 족저 인대(플랜타 인대)에는 장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발바닥의 아치 구조는 강화되고, 그에 따라 평발 또는 요족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3에서의 U자형 제2 고정부(320)의 발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왼발과 오른발의 길이 편차를 조정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20)가 발뒤꿈치의 바닥부 전면을 지지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에서의 제2 고정부(3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선천적인 소아마비나 후천적 수술로 인해 양쪽 다리 길이가 동일하지 않은 사용자는 이와 같은 형태의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동일한 다리 길이로의 교정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서의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함에 따라, 발뒤꿈치에서의 힐 리프트(Heel Lift) 작용을 통해 골반의 천골이 높여짐으로써 골반의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양쪽 다리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5에서와 같이 제2 고정부(320)가 발뒤꿈치의 바닥면 경계를 비대칭의 U자형으로 지지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의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거골 및 종골에서의 내전 현상을 개선 및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발뒤꿈치에서의 힐 리프트(Heel Lift) 작용을 통해 골반의 천골이 높여짐으로써 골반의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양쪽 다리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1 내지 도 15에서의 제2 고정부(320)는 그 두께를 부분적으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제2 고정부(320)를 통해 발뒤꿈치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부분적으로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320)의 폭을 부분적으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제2 고정부(320)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부분적으로 달라지도록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는 제1 고리부(110)와 제1 연결대(210)의 사이에는 가압부(270)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압부(270)는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 부위 또는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 부위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270)에 의해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 부위 또는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무지 외반증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11에서의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가압부(27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가압부(270)는 도 17에서와 같이 발등면에서 중족골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271), 발 측면에서 중족골의 측부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272), 및 발바닥면에서 중졸골의 하부를 가압하는 제3 가압부(273)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부(271)는 중족골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엄지 또는 약지 발가락의 상방향으로의 기울어진 상태인 외전 현상을 교정할 수 있게 되며, 제3 가압부(273)는 중족골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엄지 또는 약지 발가락의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인 내전 현상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압부(270)의 내부면인 가압면을 도 16에서와 같이 4개의 영역(A,B,C,D)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4개의 영역의 두께를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하거나, 4개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의 두께를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압부(270)를 통해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 또는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에 가해지는 압력이 부분적으로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무지 외반증, 발가락의 외전 현상, 내전 현상의 정도 및 방향에 따른 개별적 맞춤형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를 사용자의 발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는 착용자의 발가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일체로서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부(400)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가락 삽입부(400)에는 제1 고리부(110)와 제2 고리부(120)가 일체로서 구비되어 있으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일체로서 구비되어 있고, 지지면에는 도 18에서와 같이 발바닥 면에서 중족골 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돌출면(450)이 구비되어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발바닥의 앞부분을 중족골 부분까지 지지하는 지지면을 소정의 두께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체중이 발바닥 앞부분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곱추, 오리 궁둥이, 거북목 등의 증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 발바닥의 앞쪽으로 체중이 쏠리게 되는데, 도 18에서와 같은 형태의 발 교정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체중이 발바닥 앞부분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체중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곱추, 오리 궁둥이, 거북목 등에 의한 증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8에서와 같이 발가락 삽입부(400)의 발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중족골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 재질의 돌출면(450)이 구비되어 있으며, 돌출면(450)은 발바닥면을 통해 중족골 부위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 18에서와 같이 돌출면(450)의 가로폭은 임의의 2개의 발가락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돌출면(450)의 세로폭은 종족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중족골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9는 도 18에서의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발 교정 장치에 구비된 돌출면(45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돌출면(450)을 4개의 영역(A,B,C,D)으로 구분한 상태에서, 4개의 영역의 두께를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하거나, 4개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의 두께를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돌출면(450)을 통해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 또는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에 가해지는 압력이 부분적으로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8에서와 같이 발가락 삽입부(400)의 발바닥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구비된 돌출면(450)은 발바닥의 용천 부위을 지지함으로써, 발바닥의 1횡궁의 아치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1횡궁의 아치가 내려앉은 형상과 방향에 따라, 도 19에서의 돌출면(450)의 4개의 영역의 두께를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용천 부위에서의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 및 압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바닥 아치의 형상에 따른 개별적 맞춤형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1 고리부, 120: 제2 고리부,
210: 제1 연결대, 220: 제2 연결대,
250: 교차부, 270: 가압부,
300: 고정부, 305: 삽입홀,
330: 지지부, 350: 돌기,
400: 삽입부, 450: 돌출면.

Claims (44)

  1. 삭제
  2.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는 발뒤꿈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길이,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 가능한 것인 발 교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발등면 또는 발바닥면을 따라 전개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5.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의 하부에는 발바닥면을 통해 종골을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구비된 것인 발 교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 형성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 형성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평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직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되지 않은 인접한 발가락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인 발 교정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발뒤꿈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0)와, 상기 발뒤꿈치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기 발뒤꿈치의 중앙부가 노출되는 환형대를 포함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5.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와 상기 연결대 사이에는 사용자의 중족골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는 상기 중족골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71), 상기 중족골의 측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272), 상기 중족골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제3 가압부(273)를 포함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인 발 교정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인 발 교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구비된 발가락 삽입부(400)를 더 포함하는 발 교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삽입부(400)는 발바닥의 중족골 부위을 지지하는 돌출면(450)을 구비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45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23. 삭제
  24.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고리부(110);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대(210);
    상기 제1 연결대(210)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에서 상기 제1 연결대(2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대(220); 및
    상기 제2 연결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는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고리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는 발뒤꿈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3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발 교정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길이,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 가능한 것인 발 교정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대(210)는 발등면 또는 발바닥면을 따라 전개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27.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고리부(110);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대(210);
    상기 제1 연결대(210)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에서 상기 제1 연결대(2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대(220); 및
    상기 제2 연결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는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고리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의 하부에는 발바닥면을 통해 종골을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구비된 것인 발 교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 형성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30)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 형성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평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평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의 내측면에서의 상기 돌기(350)의 수직 위치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삽입된 발가락의 상기 연결대에 의한 수직 견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부(110)에는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된 발가락과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지 않은 인접한 발가락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구비된 것인 발 교정 장치.
  33.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고리부(110);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대(210);
    상기 제1 연결대(210)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에서 상기 제1 연결대(2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대(220); 및
    상기 제2 연결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는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고리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발뒤꿈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310)와, 상기 발뒤꿈치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320)는 상기 발뒤꿈치의 중앙부가 노출되는 환형대를 포함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두께를 달리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대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과 폭을 달리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7.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고리부(110);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대(210);
    상기 제1 연결대(210)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에서 상기 제1 연결대(2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대(220); 및
    상기 제2 연결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는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고리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와 상기 제1 연결대(210)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중족골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는 상기 중족골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71), 상기 중족골의 측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272), 상기 중족골의 하부면을 가압하는 제3 가압부(273)를 포함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엄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인 발 교정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가 가압하는 상기 중족골은 약지 발가락의 중족골인 것인 발 교정 장치.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7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42.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1 고리부(110);
    상기 고리부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대(210);
    상기 제1 연결대(210)에서 연장되며, 발뒤꿈치에 고정되는 고정부(300);
    상기 고정부(300)에서 상기 제1 연결대(21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대(220); 및
    상기 제2 연결대(2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에 삽입되는 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 중 적어도 하나의 발가락이 삽입되는 제2 고리부(1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리부(110)와 상기 제2 고리부(120)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구비된 발가락 삽입부(400)를 더 포함하는 발 교정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삽입부(400)는 발바닥의 중족골 부위을 지지하는 돌출면(450)을 구비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450)의 일부의 두께는 나머지 부분과 달리 형성되는 것인 발 교정 장치.
KR1020140154198A 2014-11-07 2014-11-07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KR10153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98A KR101536928B1 (ko) 2014-11-07 2014-11-07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PCT/KR2014/010826 WO2016072543A1 (ko) 2014-11-07 2014-11-12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198A KR101536928B1 (ko) 2014-11-07 2014-11-07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28B1 true KR101536928B1 (ko) 2015-07-16

Family

ID=5388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198A KR101536928B1 (ko) 2014-11-07 2014-11-07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6928B1 (ko)
WO (1) WO20160725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8685A1 (en) * 2021-09-20 2023-03-23 Global Arc, Inc. Toe stimulus imparting suppor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238U (ko) * 1990-02-14 1991-11-01
JP2501250Y2 (ja) * 1991-11-22 1996-06-12 きみ子 清永 足指矯正具
KR200378623Y1 (ko) * 2004-12-31 2005-03-18 서용성 무지외반증 교정기
JP2005305085A (ja) * 2004-04-23 2005-11-04 Shigeru Toyoda 外反母趾矯正用サポ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452A (ja) * 2003-05-02 2004-11-25 Iwao Kasahara 外反母趾及び内反小指矯正用サポーター
JP3106238U (ja) * 2004-06-28 2004-12-16 秋田 守 外反母趾又は内反小指の予防および矯正用品
KR101319464B1 (ko) * 2013-01-30 2013-10-17 이미남 발가락 교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238U (ko) * 1990-02-14 1991-11-01
JP2501250Y2 (ja) * 1991-11-22 1996-06-12 きみ子 清永 足指矯正具
JP2005305085A (ja) * 2004-04-23 2005-11-04 Shigeru Toyoda 外反母趾矯正用サポーター
KR200378623Y1 (ko) * 2004-12-31 2005-03-18 서용성 무지외반증 교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8685A1 (en) * 2021-09-20 2023-03-23 Global Arc, Inc. Toe stimulus imparting sup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543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ik et al. Flexible flatfoot
WO2009144967A1 (ja) 足の変形を伴う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サポーター構造体
US9849020B2 (en) Ankle foot orthosis
EP2910139A1 (en) High heels capable of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US8460226B2 (en) Orthotic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50251081A1 (en) Orthotic foot care and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US20100018077A1 (en) Spring-supported arch support and method
KR101641061B1 (ko)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KR101536928B1 (ko) 뇌기능 활성화와 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발 교정 장치
KR102226475B1 (ko) 체형별 신체 밸런스 조절용 패드 부착식 신발
US20120123309A1 (en) Ortho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88136B1 (ko)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KR20170003879U (ko) 균형패드가 구비된 양말
KR101861912B1 (ko) 발가락 교정구
KR20180090548A (ko) 발가락 교정구
US20220362047A1 (en) Foot brace
KR100840224B1 (ko) 발 교정기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CN104490505B (zh) 用于脑功能激活与足部矫正的定制型足部矫正装置
KR102132206B1 (ko) 발 자극 교정기
KR102534388B1 (ko) 양발 사용이 가능한 평발 교정 보조기구
KR102534387B1 (ko) 평발 교정 보조기구
US20120005925A1 (en) Orthot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98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708

Effective date: 2017031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140;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70504

Effective date: 201711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