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914A -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914A
KR20210080914A KR1020190172984A KR20190172984A KR20210080914A KR 20210080914 A KR20210080914 A KR 20210080914A KR 1020190172984 A KR1020190172984 A KR 1020190172984A KR 20190172984 A KR20190172984 A KR 20190172984A KR 20210080914 A KR20210080914 A KR 20210080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ergency exit
fire alarm
presen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9017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914A/ko
Publication of KR2021008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비상구 방향으로 투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광을 받아 서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비상구의 4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4개의 반사거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화재시 대피자들이 비상구의 위치와 형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발생한 연기에 광이 비쳐져 비상구까지의 방향을 알려줘 수월하게 대피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Fire alarm apparatus for inducing to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시 발생되는 매연에도 비상구를 용이하게 안내하는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 등의 재난시 외부로 통하는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24시간 연속하여 점등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시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고, 정전시에는 자동으로 내부에 구성된 재충전식 백업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유도등의 구조는 유도등을 천정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도등의 방향을 조절하지 못한다. 즉, 천정의 경사 등을 고려하여 유도등의 전면 및 후면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므로, 피난자들이 비상구를 용이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근거리에 있을 경우 파악이 되지만,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는 비상구를 확실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비상구 유도등의 표시형태가 불분명한 문제도 발생하였다.
특히, 화재시 발생되는 매연으로 인해 비상구를 안내하는 유도등의 램프 식별이 용이하지 않아 유도등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10-078926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발생되는 매연에도 비상구를 용이하게 안내하는 화재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비상구 방향으로 투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광을 받아 서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비상구의 4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4개의 반사거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에서 상기 광원부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켜 투광하는 레이저 광모드 또는 LED 광을 발생시켜 투광하는 LED 광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에서 상기 LED 광모드는 다수의 LED 칩을 장착한 LED 발광기; 및 상기 LED 발광기에 인접하여 상기 LED 발광기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4개의 반사거울 중 어느 하나의 반사거울로 투광하는 렌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에서 상기 렌즈 기구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화재시 대피자들이 비상구의 위치와 형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발생한 연기에 광이 비쳐져 비상구까지의 방향을 알려줘 수월하게 대피가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광원부를 나타낸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를 구성하는 제 2 반사거울을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를 구성하는 제 3 반사거울을 나타낸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광원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를 구성하는 제 2 반사거울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를 구성하는 제 3 반사거울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비상구의 위치와 형태를 대피자들에게 인식시키고 안내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비상구 방향으로 투광하는 광원부(100) 및 광원부(100)의 광을 받아 서로 반사시키도록 비상구의 4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4개의 반사거울(201,202,203,204)을 포함한다.
광원부(100)는 비상구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천장 또는 벽면 일측에 구비되어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광을 비상구의 4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4개의 반사거울(201,202,203,204) 중 제 1 반사거울(201)로 투광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광원부(100)는 2가지 모드, 즉 (1)레이저 광을 발생시켜 투광하는 레이저 광모드 및 (2)LED 광을 발생시켜 투광하는 LED 광모드를 가질 수 있다.
(1)레이저 광모드는 녹색 또는 적색의 광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한 레이저 포인터를 장착할 수 있고, 이러한 레이저 포인터는 원격의 거리에서도 녹색 또는 적색의 광을 원활하게 제 1 반사거울(201)로 투광할 수 있다.
(2)LED 광모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LED 칩을 장착한 LED 발광기(110) 및 LED 발광기(110)에 인접하여 LED 발광기(110)에서 발생하는 광을 제 1 반사거울(201)로 투광하는 렌즈 기구(120)를 적용한다.
여기서, (2)LED 광모드의 LED 발광기(110)는 예컨대 아두이노 프로 미니 328(Arduino Pro Mini 328)를 장착하여 다수의 LED 칩이 동시에 광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또한, (2)LED 광모드의 렌즈 기구(120)는 예컨대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장착하여, LED 발광기(110)에서 발생하는 광을 투사하여 제 1 반사거울(201)을 초점으로 모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반사거울(201)과의 거리가 렌즈의 초점거리(Focal length)가 되도록 렌즈 기구(120)가 LED 발광기(1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렌즈 기구(120)의 초점거리에 제 1 반사거울(201)이 위치하면, 광이 넓은 쪽에서 좁은 곳으로 방향성을 표시하듯이 비상구의 방향을 알 수 있게 한다.
4개의 반사거울(201,202,203,204)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비상구의 문틀(10)에서 4모서리에 소정의 각도를 갖고 구비되어, 광원부(100)에서 투사된 광을 서로 반사시키도록 배치된다. 특히, 제 1 반사거울(201)은 광원부(100)에서 투사된 광을 받아 제 2 반사거울(202)로 반사시키므로, 광원부(100)의 광이 제 2 반사거울(202)로 반사되는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부(100)가 광을 비상구의 제 1 반사거울(201)로 투광하고, 제 1 반사거울(201)은 광원부(100)의 광을 제 2 반사거울(202)로 반사시키며, 제 2 반사거울(202)은 제 1 반사거울(201)로부터 받은 광을 제 3 반사거울(203)로 반사시키며, 제 3 반사거울(203)은 제 2 반사거울(202)로부터 받은 광을 제 4 반사거울(204)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제 1 반사거울(201)로부터 제 4 반사거울(204)의 광반사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의 위치와 형태를 대피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화재시 주변에 발생한 연기에 광원부(100)의 광이 비쳐지는 포그 스크린(Fog Screen) 현상으로 비상구까지의 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화재시 대피자들이 비상구의 위치와 형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발생한 연기에 광이 비쳐져 비상구까지의 방향을 알려줘 수월하게 대피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원부 110: LED 발광기
120: 렌즈 기구 201: 제 1 반사거울
202: 제 2 반사거울 203: 제 3 반사거울
204: 제 4 반사거울

Claims (4)

  1.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 일측에 구비되고,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비상구 방향으로 투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광을 받아 서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비상구의 4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4개의 반사거울;
    을 포함하는 화재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켜 투광하는 레이저 광모드 또는 LED 광을 발생시켜 투광하는 LED 광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광모드는
    다수의 LED 칩을 장착한 LED 발광기; 및
    상기 LED 발광기에 인접하여 상기 LED 발광기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4개의 반사거울 중 어느 하나의 반사거울로 투광하는 렌즈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구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장치.
KR1020190172984A 2019-12-23 2019-12-23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KR20210080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84A KR20210080914A (ko) 2019-12-23 2019-12-23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84A KR20210080914A (ko) 2019-12-23 2019-12-23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14A true KR20210080914A (ko) 2021-07-01

Family

ID=7686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984A KR20210080914A (ko) 2019-12-23 2019-12-23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9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5666A (zh) * 2021-10-08 2022-03-08 浙江高速信息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逃生指示装置及方法
KR102503853B1 (ko) 2021-09-13 2023-03-16 주식회사 한국제일안전 이동식 비상구 유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62B1 (ko) 2006-06-09 2008-01-02 엄현덕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62B1 (ko) 2006-06-09 2008-01-02 엄현덕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853B1 (ko) 2021-09-13 2023-03-16 주식회사 한국제일안전 이동식 비상구 유도장치
CN114155666A (zh) * 2021-10-08 2022-03-08 浙江高速信息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逃生指示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3233B2 (ja) プロジェクタ
US6460999B1 (en) Projector and the protector thereof
US5140301A (en)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in case of emergency evacuation
US5572183A (en) Laser light fire evacuation system
US9298074B2 (en) Projector
KR20210080914A (ko) 비상구를 알려주는 화재경보장치
US8277057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2012252252A5 (ko)
US20090115969A1 (en) System and method employed in projector for protecting eyes
US11172179B2 (en) Projection system
JP2005043868A (ja) 画像投射装置及び画像投射方法
US3544988A (en) Picture motion detection system
JP2015114653A (ja) 画像投影装置
JP6375196B2 (ja) 防災用表示灯
JP6508290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06004330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0233029A (ja) 火災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火災煙の検知装置
JP2006163353A (ja) 照明システム
JP7344831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
CN212924052U (zh) ToF电梯光幕装置和电梯
JP6167595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6237744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2515390B2 (ja) 緊急避難誘導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22107200A (ja) 防災照明装置及び救助支援システム
JP5701415B1 (ja) 非常時広域照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