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570A -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570A
KR20210079570A KR1020190171505A KR20190171505A KR20210079570A KR 20210079570 A KR20210079570 A KR 20210079570A KR 1020190171505 A KR1020190171505 A KR 1020190171505A KR 20190171505 A KR20190171505 A KR 20190171505A KR 20210079570 A KR20210079570 A KR 20210079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hyaluronic acid
acid
deoxycholic aci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형
한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Priority to KR102019017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570A/ko
Publication of KR2021007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주사제 또는 외용제로서 사용되는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Lipolytic substan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주사제 또는 외용제로서 사용되는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비만으로 인하여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비만은 식습관, 생활습관, 유전, 환경화학물질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비만이 위험한 이유는 심혈관 질환, 이상지질혈증, 제2 형당뇨병, 고혈압, 지방간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만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외모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stress)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더욱 발전하여 우울증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만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현재 시도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행동치료, 운동치료, 식이요법, 수술, 약물치료 등이 비만을 일으키는 지방을 제거하는 치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치료 방법 중 지방을 제거하는 대표적인 외과적 수술방법으로는 지방흡입수술이 있다. 지방흡입수술은 주로 미적인 목적을 위해 시술되며, 부위별로 쌓인 지방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수술은 마취를 동반하고 합병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드문 경우이기는 하나 시술을 받는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담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비외과적 지방제거 수술이 비만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지방 분해 물질을 국소적으로 피하에 주사하여 지방을 분해하는 시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방 분해 주사제로서 사용되는 물질로서 디옥시콜린산이 있다. 이러한 디옥시콜린산을 주사하여 지방을 분해하는 시술은 마취나 입원이 필요하지 않아서 비용이 저렴하고 수술 상처의 노출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피하 지방에 약물 주입시 많은 통증이 발생하며, 부종, 마비, 붓기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술을 받는 사람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종, 마비, 붓기 등과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디옥시콜린산의 지방 분해 효능을 더 향상시킨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디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옥시콜린산과 상기 히알루론산은 3:7 내지 7:3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kDa)은 100 이상 3,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옥콜린산과 상기 히알루론산은 전체 용액에서 0.5 내지 4 w/v%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옥시콜린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은 소듐 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성장 인자 물질(Growth factor), 펩타이드(peptide), 비타민(vitamin), 리도카인(lidocaine), 카페인(caffeine),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 Polydeoxyribonucleotide), 글라타티온(glutathi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 분해 물질을 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제1 농도의 디옥시콜린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기설정된 제2 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옥시콜린산 용액과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을 배합하여 배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합 용액에 용매를 추가하여, 기설정된 제3 농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합 용액에 용매를 추가하여, 기설정된 제3 농도로 조절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배합 용액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농도는 1 내지 9 w/v% 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2 농도는 1 내지 9 w/v% 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 농도는 0.5 내지 4 w/v%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100 이상 3,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옥시콜린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은 소듐 디옥시콜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 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알모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EGF(Epidermal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펩타이드(peptide), 비타민(vitamin), 리도카인(lidocaine), 카페인(caffeine),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 Polydeoxyribonucleotide), 글루타티온(glutathione)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 분해 물질을 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디옥콜린산과 상기 히알루론산은 전체 용액에서 0.5 내지 4 w/v% 비율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용액은 식염수,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 분해 물질을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제1 농도의 디옥시콜린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기설정된 제2 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옥시콜린산 용액과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을 배합하여 배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합 용액에 첨가제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배합 용액에 용매를 추가하여, 기설정된 제3 농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식염수,물 또는 에탄올이고, 상기 디옥시콜린산 용액,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 상기 배합 용액은 식염수, 물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방 분해 물질을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분산 효과로 인하여 디옥시콜린산의 주사에 따른 수소 이온 농도(pH)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빠른 분산 효과를 통하여 시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종, 마비, 붓기 등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주사된 지점으로부터 디옥시콜린산을 넓은 영역으로 빠르게 분산됨으로써 표적되는 지방 세포를 더 빠르게 파괴하여 지방 분해 효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빠른 흡수에 따른 디옥시콜린산의 신속한 분산을 통하여 지방 조직 이외의 조직 세포로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다섯째, 지방 분해 물질의 유효 성분으로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선택함으로써 더 많은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어서, 더 뛰어난 지방 분해 효과를 가지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 1도는 돼지 지방에 히알루론산만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돼지 지방에 디옥시콜린산만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돼지 지방에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돼지 지방에 아무런 처리도 수행되지 않은 컨트롤군에서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앞서 살펴본 도면 1도 내지 도면 4도의 실험 결과를 표로 정리한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도면 5도의 표를 그래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히알루론산을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도는 디옥시콜린산만을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도는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도는 컨트롤군으로서 사용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도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의 배합 비율을 조절하여 실험한 결과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 13도는 H&E 염색법으로 염색된 컨트롤군의 지방 조직을 5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14도는 H&E 염색법으로 염색된 컨트롤군의 지방 조직을 20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15도는 Oil Red O 염색법으로 염색된 컨트롤군의 지방 조직을 5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16도는 Oil Red O 염색법으로 염색된 컨트롤군의 지방 조직을 20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17도는 H&E 염색법으로 염색된 실험군의 지방 조직을 5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18도는 H&E 염색법으로 염색된 실험군의 지방 조직을 20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19도는 Oil Red O 염색법으로 염색된 실험군의 지방 조직을 5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도면 20도는 Oil Red O 염색법으로 염색된 실험군의 지방 조직을 20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옥시콜린산은
Figure pat00001
의 화학식을 가지며, 다음과 갖은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골격구조식 1]
Figure pat00002
디옥시콜린산은 장내 세균의 대사 부산물인 2차 담즘산염으로 교질 입자를 형성하며, 식품산업에서는 유화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담석을 예방하고 용해시키는데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디옥시콜린산을 통한 지방 분해 효과를 주목하여 주사제로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실용화한 제품으로서 대표적으로 앨러간(Allergan) 사의 벨카이라(belkyra) (미국명, 카이벨라(kybella))라는 제품이 있다.
이러한 디옥시콜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 주사제는 턱밑에 주사하여 피하 지방을 분해하여 미용 효과를 달성하고자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시술시 많은 통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부종이나 마비, 붓기 등의 부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증은 디옥시콜린산의 체내 유입에 따른 수소 이온 농도의 상승으로 인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통증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디옥시콜린산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를 시술받는 것에 대하여 거부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히알루론산은 고점도성, 보습성, 생체 적합성 등의 특징을 지는 수용성 다당류의 생체 고분자 물질로서, 다음과 같은 골격구조식을 가지는 물질이다.
[골격구조식 2]
Figure pat00003
히알루론산은 체내에서 관절액의 주성분으로서 존재하고, 조직의 세포외 기질에 널리 분포하며 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미용으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처진 주름 등을 개선하고 얼굴 윤곽을 개선하고자 하는 필러(filler) 주사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필러 시장 중에서 히알루론산 필러가 90 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등 대표적인 필러 제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턱밑 등의 국소 부위에서 지방을 제거하는 디옥시콜린산과 피하 조직을 채워서 윤곽을 개선하는 필러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을 대표적인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만드는 것은 상반된 효과를 가지는 물질의 조합이기 때문에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쉽게 다가갈 수 없는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입증하듯이 대부분의 지방 분해 주사제는 디옥시콜린산의 효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있다. 즉, 디옥시콜린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 분해 주사제 중에는 국소 부위에서 피하 지방이 분해되어 외부에서 더 잘 시인할 수 있도록 히알루로니다아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있을 수 있으나, 디옥시콜린산의 지방 분해 효과를 상쇄시킨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 주사제는 시중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경우에는 인체 조직 내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점을 주목하고, 기존의 지방 분해 물질에 대한 제시 방향과는 반대로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동시에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 물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시술을 받는 사람의 통증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디옥시콜린산의 지방 분해 효능까지 더 향상된 지방 분해 물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에 무기산 및 유기산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저분자화 공정 등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효소를 이용하는 공정 등을 통하여서도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에 사용되는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그 분자량(kDa)이 100 이상 3,500 이하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히알루론산이 저분자됨에 따른 이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체 조직으로의 매우 높은 투과도를 보여주는 것 이외에 물 등의 용매에도 더 뛰어난 용해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일 예로, 분자량이 150만 이상인 고분자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너무 커서 물 등의 용매에 0.5 w/v%도 용해시키기 어려우나, 본 발명은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사용하여 0.5 내지 4 w/v%로 히알루론산을 용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사용에 따른 발생하는 이점은 저분자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조직 내의 더 빠른 침투뿐 아니라 더 많은 히알루론산이 제공되어 히알루론산의 이동과 함께 디옥시콜린산도 함께 더 빠르게 이동된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은 그 비율이 3:7 내지 7:3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디옥시콜린산과 저분자 히알루론산 사이의 최적의 비율은 5:5로 예상되나, 지방 분해 물질의 사용 목적, 형태 등에 따라서 3:7 내지 7:3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은 전체 용액 내에서 0.5 내지 4 w/v% 비율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고분자 히알루론산은 물 등의 용매에 0.5 w/v%도 녹이기 어려우나, 본 발명은 고분자 히알루론산 대신 100 내지 3,500 범위의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사용함으로써, 주사제 등으로 사용되는 용액 내에 더 많은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이 주사제로 사용되는 경우, 같은 용량의 주사제 내에 더 많은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제품에 비하여 더 향상된 지방 분해 효과의 달성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이 용해되어 있는 용액 또는 용매는 식염수 또는 물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에탄올(ethanol)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을 구성하는 디옥시콜린산과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서 제공되어 물, 식염수, 에탄올 등의 용액에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옥시콜린산은 소듐 디옥시콜레이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데트탈부틸암모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는데, EGF(Epidermal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FGF(fibroblast growth factor) 등의 다양한 성장 인자 물질, 쿠퍼 펩타이드(Copper tripeptide-1), 아크릴 헥사펩타이드(Acetyl hexapeptide-8) 등의 다양한 펩타이드가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더불어 비타민(vitamin), 리도카인(lidocaine), 카페인(caffeine),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 Polydeoxyribonucleotide), 글루타티온(glutathione) 등이 선택되어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첨가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 내에 포함되는 첨가제로서 성장인자 물질, 펩타이드,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는 디옥시콜린산에 의하여 지방 세포가 분해된 이후에 일반 세포의 회복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리도카인은 디옥시콜린산에 의한 수소 이온 증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국소 마취제의 역할을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주사제 또는 외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저분자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이 혼합된 용액에서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빠른 확산 및 투과에 따라 디옥시콜린산도 함께 빠르게 분산되는 것이지, 히알루론산의 관능기 중의 어느 하나를 치환하고 이에 디옥시콜린산을 공중 합체시킴으로써 하나의 고분자 물질을 형성하는 것은 아님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에 비추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 1도 내지 도면 4도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효능을 돼지 지방을 이용하여 검증한 도면으로서, 도면 1도는 히알루론산만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면 2도는 디옥시콜린산만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3도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면 4도는 돼지 지방에 아무런 처리도 수행되지 않은 컨트롤(control)군에서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험 조건은 미처리군을 제외하고 각각의 처리 조건에 따른 물질의 3 밀리리터(ml)씩 돼지 지방에 처리하였으며, 냉장보관의 조건에서 실험일로부터 7일 이후에 줄어든 돼지 지방을 비교하는 형식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먼저, 도면 1도는 돼지 지방에 히알루론산만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최초 18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 돼지 지방이 7일 이후인 X+7일에는 13 밀리미터로 줄어들어 5 밀리미터 만큼의 지방이 소실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 2도는 디옥시콜린산만 돼지 지방에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최초 20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 돼지 지방이 X+7일에는 14 밀리미터로 줄어들어 있는 것을 사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면 3도의 실험에서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최초 1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 돼지 지방이 X+7일에는 9 밀리미터까찌 돼지 지방의 크기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면 4도는 아무런 약품도 처리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최초 1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진 돼지 지방이 X+7일 이후에는 13 밀리미터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저분자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 가장 많은 지방이 분해된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발명자가 예상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의 효과가 타당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도면 5도는 앞서 살펴본 도면 1도 내지 도면 4도의 실험 결과를 표로 정리한 도면이고, 도면 6도는 도면 5도의 표를 그래프로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실험 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정리한 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 1도의 실험은 X+3일, 즉 투여일로부터 3일째 되는 때에는 남아 있는 돼지 지방의 두께가 16 밀리미터에 해당하여 약 11%의 돼지 지방이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투여일로부터 7일 째에는 남아 있는 돼지 지방의 두께가 13 밀리미터에 해당하여, 1 w/v%의 히알루론산을 처리한 경우에 실험 기간 동안 소실된 돼지 지방의 소실 비율은 28%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면 2도의 실험의 경우에는 투여일로부터 3일 이후에는 돼지 지방이 25% 소실된 것으로, 투여일로부터 7일 이후에는 최초 돼지 지방에 비하여 총 30%의 돼지 지방이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면 3도의 실험의 경우에는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의 처리 또는 투여일로부터 3일 이후에는 최초 돼지 지방 대비 33%의 지방이 소실된 것으로, 투여일로부터 7일 이후에는 최초 돼지 지방 대비 40%의 돼지 지방이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컨트롤군에 대한 실험인 도면 4도의 경우는 투여일로부터 3일 이후에는 최초 돼지 지방 대비 13%의 지방이, 투여일로부터 7일 이후에는 최초 돼지 지방 대비 13%의 지방이 소실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히알루론산 또는 디옥시콜린산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의 결과가 컨트롤군 대비 향상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결과가 타 실험보다 훨씬 높은 지방 분해 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면 4도의 컨트롤 군의 실험에서 7일 이후의 돼지 지방의 두께와 3일 이후에 돼지 지방의 두께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하여서는 3일 이후부터는 돼지 지방에서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 등에 의한 부수적 효과는 실험 결과에 기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험 시작일인 X일부터 X+3일 사이의 결과는 처리 또는 투여된 약품에 의한 효과외에 돼지 지방 자체에서의 수분 증발 등에 의하여 돼지 지방의 두께가 감소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나, 컨트롤군에서 X+3일부터 X+7일 사이에는 돼지 지방의 두께의 감소가 없음이 확인되어 X+3일 이후에는 수분 증발 등에 의한 기여효과는 더이상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위의 실험에서 소실 비율은 측정은 돼지 지방의 두께를 기초로 측정되었으며,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내었다.
도면 7도 내지 도면 10도는 각각의 물질을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 모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 7도는 히알루론산을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8도는 디옥시콜린산만을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9도는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면 10도는 컨트롤군으로서 사용된 돼지 지방의 X+7일째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각각의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디옥시콜린산만 처리한 돼지 지방에서 지방이 분해된 범위는 5 밀리미터로 확인되었으며,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돼지 지방에서는 지방이 분해된 범위가 9 밀리미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디옥시콜린산만 단독 처리하거나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하거나 모두 지방 분해의 효과가 있으나, 도면 9도의 결과를 통하여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처리한 것이 지방 분해의 효과가 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분해의 범위도 디옥시콜린산만 단독 처리한 도면 8도의 결과에 비하여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디옥시콜린산의 이송 효과에 의한 것으로 예측되며, 디옥시콜린산이 넓게 퍼짐으로써 통점의 범위도 함께 분산되어 기존의 지방 분해 주사제의 주사시 발생하는 심각한 통증도 상당히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참고로, 지방이 분해된 범위는 돼지 지방에서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색상이 투명하게 변환된 부분의 길이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면 11도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의 배합 비율을 조절하여 실험한 결과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액에 포함되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의 총량은 모든 테스트(test)군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각각의 테스트군에서의 디옥시콜린산 대 히알루론산의 양만 조절되었다. 실험 결과, 모든 테스트군에서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아서 실험 범위 내에서의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의 양 조절은 주사제의 용도로서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테스트군에서 DDS(drug delivery system)결과를 확인한 결과, 4번 테스트군에서의 DDS 결과가 44%로 확인되어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의 비율을 5:5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약물 전달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은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3:7 내지 7:3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5:5의 비율로 포함하여 제조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디옥시콜린산을 빠른 이송을 통한 통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 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은 먼저 기설정된 제1 농도의 디옥시콜린산 용액과(S6-1), 기설정된 제2 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수행될 수 있다.(S6-2) 여기서, 기설정된 제1 농도 및 기설정된 제2 농도는 1 내지 9 w/v%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5 w/v%가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의 사용 목적, 태양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목적하는 농도의 디옥시콜린산 용액과 저분자 히알루론산 용액이 준비된 다음에는 두 용액을 배합하여 배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S6-3), 이러한 배합 용액에 용매를 추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기설정된 제3 농도의 지방 분해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6-4) 그리고, 기설정된 제3 농도는 0.5 내지 4 w/v%의 범위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위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중에 가능한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다른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물질이 제조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배합 용액에 용매를 추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기설정된 제3 농도로 조절하는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장 인자류(예를 들어, EGF, IGF, FGF 등), 펩타이드류(예를 들어, 쿠퍼 펩타이드, 아크릴 헥사펩타이드 등), 펩타이드, 비타민, 리도카인, 카페인,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글루타치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체내로의 빠른 투과에 따른 디옥시콜린산의 이송 효과에 기인하여 디옥시콜린산의 지방 분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분산시키는 것이지, 히알루론산의 관능기를 화학적으로 다른 종류의 이온으로 치환하거나 가교시켜서 구조적 개질을 진행하고, 이렇게 개질된 히알루론산에 디옥시콜린산을 결합시켜 유도체를 형성하여 약물전달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이러한 방식으로 히알루론산의 관능기를 디옥시콜린산의 치환시킬때 성공 비율은 40 내지 50 %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굳이 저분자 히알루론산이라고 지칭하지 않고 히알루론산이라고 지칭하더라도,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100 내지 3,500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는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됨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면 13도 내지 도면 20도는 무균 돼지를 이용하여 지방 분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 13도 내지 도면 16도는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컨트롤군에서의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17도 내지 도면 20도는 디옥시콜린산과 히알루론산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에서의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군이나 실험군 동일하게 무균 돼지에서 목표 지방층을 설정하고, 목표 지방층을 기준으로 사방 사면에서 약물을 주사하여, 지방층에서 지방 세포가 파괴되는지 여부를 대조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참고로, 컨트롤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으며, 실험군에는 1 mg/ml의 히알루론산과 1 mg/ml의 디옥시콜린산을 배합한뒤 용매를 추가하여 최종 농도가 1 w/v%로 조절된 용액을 주사하였다. 실험은 무균돼지에 1주일에 1회씩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총 3회 투여하였으며, 1회 투여시 무균돼지의 목표 지방층에 동일하게 약물이 도달되도록 목표 지방층에서 일정하게 떨어진 사방 사면에서 각각 1 ml씩 총 4 ml의 약물을 주입하였다.
실험결과는 인체에 투여시 적용할 수 있는 결과를 예상하여 최초 실험을 시작한지 4주차에 무균돼지를 희생시키고 목표 지방층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확인되었으며, 지방 조직을 H&E(Haemotoxylin & Eosin) 염색법과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관찰을 진행하였다.
컨트롤군의 실험결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 13도와 같이 H&E 염색법으로 염색된 지방 조직을 5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도면 14도와 같이 20 배율로 보다 더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그리고, 도면 15도와 같이 Oil Red O 염색법으로 염색된 지방 조직을 5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도면 16도와 같이 20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각각의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식염수가 주입된 컨트롤군에서는 지방세포가 파괴되지 않고 온전히 보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을 함께 주입한 실험군의 실험결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E 염색법으로 염색된 실험군의 지방 조직을 도면 17도, 도면 18도와 같이 각각 5 배율, 20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였고, 이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염색된 실험군의 지방 조직을 각각 5 배율, 20 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군에서는 세포막이 무너져내려서 지방세포가 파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세포핵이 몰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직 내의 지방의 양도 줄어들어 있는 것을 확연히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시도하는 히알루론산과 디옥시콜린산이 배합된 지방 분해 물질이 지방의 감소 뿐 아니라 지방 세포 자체를 파괴하여 지방 조직을 분해한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디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디옥콜린산과 상기 히알루론산은
    전체 용액에서 0.5 내지 4 w/v% 비율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용액은 식염수 또는 물을 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분해 물질을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
  3. 기설정된 제1 농도의 디옥시콜린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기설정된 제2 농도의 히알루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옥시콜린산 용액과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을 배합하여 배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합 용액에 첨가제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배합 용액에 용매를 추가하여, 기설정된 제3 농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식염수 또는 물이고,
    상기 디옥시콜린산 용액, 상기 히알루론산 용액, 상기 배합 용액은 식염수 또는 물을 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분해 물질을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해 물질의 제조 방법.

KR1020190171505A 2019-12-20 2019-12-20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9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05A KR20210079570A (ko) 2019-12-20 2019-12-20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05A KR20210079570A (ko) 2019-12-20 2019-12-20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70A true KR20210079570A (ko) 2021-06-30

Family

ID=7660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505A KR20210079570A (ko) 2019-12-20 2019-12-20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5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60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WO2023287261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60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WO2023287261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601B1 (ko) 주입으로 인한 피부 반응 감소를 위한 필러와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의 주사가능한 조합
KR102107831B1 (ko) 지방 감소를 위한 담즙산 및 염의 방법 및 조성물
CN109937049A (zh) 用于局部脂肪去除的包括透明质酸酶的注射组合物
KR102173864B1 (ko)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427802A (zh) 使用磺胺嘧啶银和壳聚糖制备的药用乳膏以及其制备方法
DE202008018583U1 (de) Arzneimittelgabe-Vorrichtung (Drug-Delivery-System) für die lokale Analgesie, Lokalanästhesie oder Nervenblockade
KR20210079570A (ko) 지방 분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Woo Hyaluronidase injection in the vocal folds for vocal hemorrhage, Reinke edema, and hyaluronic acid overinjection: a novel application in the larynx
US20210220260A1 (en) Topical injectable composition
KR20220076382A (ko) 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KR20160061960A (ko) 국소 마취제 작용 시간 연장 진통제
KR101898816B1 (ko) 저분자 메틸셀룰로오스 기반의 비경구 약물 전달 시스템
KR20190143328A (ko) 저장성 지방 분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BR112020012466A2 (pt) neurotoxinas para uso na minimização de cicatriz
WO2008113421A1 (de) Neu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für die lipolys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10086036B2 (en) Bleomycin-based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loose skin and fatty tissue
KR102513115B1 (ko) 리토콜릭산을 포함하는 국소지방 감소용 조성물
RU2777316C1 (ru) Инъецируем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RU2739747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артр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Srivastava et al. Approaches to alleviating subcutaneous injection-site pain for citrate formulations
CN112955125B (zh) 局部可注射组合物
CN116211799B (zh) 一种局麻药复合物混悬剂
WO2024007140A1 (en) Injectable composition comprising cytolytic compound in gel, gel-forming solution or gel-forming suspension for reduction of fat
KR102358306B1 (ko) 목주름 개선을 위한 주사용 조성물
CN1068227C (zh) 干扰素脂质体凝胶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