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287A -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287A
KR20210079287A KR1020217011089A KR20217011089A KR20210079287A KR 20210079287 A KR20210079287 A KR 20210079287A KR 1020217011089 A KR1020217011089 A KR 1020217011089A KR 20217011089 A KR20217011089 A KR 20217011089A KR 20210079287 A KR20210079287 A KR 2021007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mber
adjustment
game controller
head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랭 팔크
앙투안느 반드커코브
발렌틴 델루
야닉 앨러트
Original Assignee
나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콘 filed Critical 나콘
Publication of KR2021007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2Setup operations, e.g. calibration, key configuration or button ass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된 쉘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3)를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3)는, 상기 조립된 쉘(2)을 관통하고, 상기 조립된 쉘의 외부에 상기 제어 부재(3)를 조작하기 위한 헤드(32)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32)는, 피봇가능하고(pivotable), 휴지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들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헤드(32)는 회전 탄력적인 방식으로 상기 휴지 위치로 복귀하는,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게임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부재(3)의 정지각(α)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5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요소(5A)는,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게임 컨트롤러의 쉘을 해체하지 않고 상기 제어 부재(3)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5A)가 제공된 제어 부재(3)는, 상기 제어 부재(3)의 기울어짐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조정 요소(5A)가 인접하는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기울임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본 발명은,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tiltable), 피봇 "스틱" 타입, 특히 "조이스틱" 또는 "썸스틱(thumbstick)"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피봇 제어 부재(pivoting control member)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서, 본 발명은, 게임 컨트롤러의 사용자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게임 타입에 컨트롤러를 더 잘 적응시키기 위해, 피봇 제어 부재의 응답성(responsiveness)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량품에 관한 것이다.
이제 모든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아날로그 피봇 스틱 타입, 특히 "조이스틱" 또는 "썸스틱(thumbstick)"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피봇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비디오 게임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피봇 제어 부재는, 중앙 휴지 위치(central rest position)를 포함하고, 중앙 휴지 위치에서 피봇 제어 부재는 탄력적으로 회전되며, 피봇 제어 부재는 2개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이 휴지 위치에 대한 제어 부재의 회전을 측정하는 변위 센서에 결합된다. 이 변위 센서에 의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측정 신호는, 게임 컨트롤러에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프로세싱되고, 플레이어에 의한 피봇 제어 부재의 수동적 활성화는 예컨대, 비디오 게임에서 캐릭터나 물체를 이동시키는 것과 같이 비디오 게임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특히, 비디오 게임을 제어하기 위해서, 컨트롤러를 유지하고 있는 플레이어의 우측 및 좌측 엄지손가락을 각각 사용하여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조이스틱"으로 지칭되며, 종종 "썸스틱"으로도 지칭되는 2개의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이제 일상화되었다.
이러한 타입의 게임 컨트롤러는 예컨대, 다음의 공보, 국제특허출원공보 WO2016/200548, WO2016/200615, WO2016/210586 및 미국 특허 US 9,971,420, US 9,710,072, US 9,868,058에 설명되어 있다.
실제로, 이러한 게임 컨트롤러는, 임의의 수단, 예컨대 나사 및/또는 접착제 및/또는 용접에 의해 함께 조립된 적어도 2개의 하프 쉘(half-shell)의 형태를 일반적으로 갖는 조립된 쉘을 포함한다. 이 쉘은, 플레이어에 의한 컨트롤러의 그립(gripp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체공학적(ergonomic)이다.
컨트롤러의 전자 제어 수단은, 상기 조립된 쉘의 내부에 하우징된다. 이 전자 제어 수단은 특히,
- 상술한 변위 센서들과,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를 자동 실행할 수 있고,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FPGA 타입의 프로그램가능한 전자 회로 또는 ASIC 타입의 특수목적용 전자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서와,
- 상기 프로세서가 게임 콘솔 등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한다.
각각의 조이스틱 타입의 피봇 제어 부재에 대해, 게임 컨트롤러의 쉘은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제어 부재는 개구를 관통한다.
더욱 특히, 각각의 피봇 부재는 상기 쉘의 개구를 관통하는 피봇 베이스 요소(base element) 및 피봇 제어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인체공학적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베이스 요소의 하단은 조립된 쉘의 내부에 하우징되고, 변위 센서에 결합되며, 예컨대, 헤드의 상부 표면은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으로서, 돔 형상이거나(domed) 또는 평탄할 수 있다.
본래, 헤드와 피봇 베이스 요소는, 영구적으로 함께 조립된 몇몇 조각들 또는 단일 조각으로 이루어진 모노리식(monolithic) 유닛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었다.
보다 최근에는, 특히 플레이어가, 그에게 가장 적절한 제어 부재 헤드를 선택하게 하기 위해, 게임 컨트롤러 제조사들은 "조이스틱" 타입의 몇몇 쉽게 상호교환가능한 피봇 제어 부재 헤드들을 갖는 게임 컨트롤러들을 제안하였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조이스틱" 타입의 피봇 제어 부재로서, 그 헤드가 피봇 베이스 요소 위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는 피봇 제어 부재와, 헤드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과, 피봇 베이스 요소가 오로지 기계적인 타입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magnetic) 타입인, 피봇 제어 부재에 대한 솔루션을 설명하는 상술한 공보, WO2016/200548 및 WO2016/200615를 참고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게임 컨트롤러에서, "조이스틱" 타입의 피봇 제어 부재는, 그것의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모든 방향에서 극단적인 위치까지, 이하 "정지 위치(stop position)"까지 수동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피봇 제어 부재는 상기 정지 위치에 접하게 되며(in abutment), 기울어지는 것이 차단된다. 피봇 제어 부재의 각각의 기울임 방향에 대한 정지 위치는, 휴지 위치에 대한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stop angle)을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피봇 제어 부재를 릴리스하면, 피봇 제어 부재는 복귀 스프링(들) 타입의 적절한 기계적 복귀 수단에 의해 휴지 위치로 회전하여 탄력적으로 복귀한다.
일반적으로, 피봇 제어 부재의 휴지 위치는 중앙 위치이고,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값은, 제어 부재의 모든 기울임 방향들에 대하여 360°전역에 걸쳐 동일하며, 38°의 차수를 갖는다. 하지만, 상이한 기울임 방향들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각도 값들을 갖는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피봇 제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게임 컨트롤러의 타입에 따라,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 위치는, 상이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공지의 제1 타입의 게임 컨트롤러에서, 이 정지 위치는, 개구의 주변 에지 또는 상기 피봇 제어 부재를 둘러싸고 개구에 고정된 부착된 링의 내부 에지를 하부 회전 정지부(lower rotation stop)로 사용함으로써 획득되며, 피봇 재어 부재는 상기 개구를 관통한다.
특히 WO2016/200548 및 WO2016/200615 공보에 설명된, 공지된 제2 타입의 게임 컨트롤러에서, 이 정지 위치는 돔 형상 부분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돔 형상 부분은, 게임 컨트롤러의 쉘 내부에 하우징되면서 피봇 제어 부재에 고정되고, 상부 정지부를 갖는 컨트롤러의 쉘 내부의 부분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부 정지부는 예컨대, 피봇 제어 부재가 관통하는 개구 근처의 쉘의 내부 부분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피봇 제어 부재를 둘러싸고 개구에 고정된 부착된 링의 쉘 내부의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특정 비디오 게임 및 예컨대 격투 게임에 있어서, 플레이어는 가능한 한 빠르게 응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플레이어가 가능한 한 빠르게 기울어진 방향에서 정지 위치로 피봇 제어 부재를 가져오는 것을 허용하는 더 응답성이 높은 게임 컨트롤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타입의 비디오 게임에 있어서, 피봇 제어 부재를 상기 정지 위치로 가져오는 속도는 덜 중요하며, 따라서 사용되는 게임 컨트롤러는 더 적은 응답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플레이어가 특히 상이한 타입의 비디오 게임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게임 컨트롤러의 응답성을 쉽고 빠르게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는 새로운 기술적 해결 수단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플레이어가 특히 격투 비디오 게임에 사용하기에 더 적절하게 게임 컨트롤러의 응답성을 쉽고 빠르게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새로운 기술적 해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제어 수단 및 조립된 쉘을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는 조립된 쉘을 관통하고, 조립된 쉘의 외부 상에 상기 제어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피봇될 수 있고(pivotable), 회전 탄력적인(rotationally elastic) 방식으로 복귀되는 휴지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제어 수단은 제어 부재의 정지각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더 포함하고, 조정 요소는 제어 부재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게임 컨트롤러의 쉘을 해체(disassemble)하지 않고 제어 부재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가 제공된 제어 부재는, 제어 부재의 기울임이 차단되도록 하고, 조정 요소가 접하게 되는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기울임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는, 서로 조합되어 또는 독자적으로 하기의 추가적이며 선택적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제어 부재의 헤드는 제거가능하고 조정 요소는 헤드가 제거될 때 제어 부재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 상기 조정 요소는, 헤드가 제거될 때 제어 부재의 부분 상에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슬립(slip)될 수 있는 링이다.
- 제어 부재는 그 상부 부분에 개방 캐비티를 갖는 조립형 단부 피스(assembly end piece)를 포함하고, 제거가능한 헤드의 일부는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조정 요소는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헤드가 제거될 때 조립형 단부 피스로 제거가능하게 슬립될 수 있다.
- 상기 조정 요소는 제어 부재의 헤드와 제어 부재의 다른 부분 사이에 축방향으로 차단됨으로써 제어 부재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 상기 조정 요소가 제공되고,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진 제어 부재의 휴지 위치에 대한 기울기 각도인 정지각(α)의 값은, 제어 부재의 모든 기울기 방향에 대해 동일하다.
- 상기 조정 요소가 제공되고,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진 제어 부재의 휴지 위치에 대한 기울기 각도인 정지각(α)의 값은, 9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사이다.
- 정지각(α)은 상기 조정 요소가 제공되고,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진 제어 부재의 휴지 위치에 대한 기울기 각도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며, 조정 요소는 각각의 동일한 기울기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각의 정지각 값(α)을 갖는 정지 위치에서 부재의 기울임을 차단하는 것을 허용한다.
- 게임 컨트롤러는, 이를 통해 제어 부재가 위치하는 조립된 쉘 내부의 개구의 경계를 정하고 제어 부재를 둘러싸는 내부 에지를 포함하고, 조정 요소는 제어 부재 상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개구를 통해 배치되며, 조정 요소의 일부분은 쉘의 내부에 하우징되고, 조정 요소의 다른 부분은 쉘의 외부에 배치된다.
- 각각의 조정 요소는 실린더형 조정 링이다.
- 각각의 실린더형 조정 링의 외부 면은 조정 링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한다.
- 게임 컨트롤러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조정 링에 의해 구성되고, 조정 링의 외부 면은 조정 링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고, 조정 링의 외부 면의 원형 단면을 갖는 상기 실린더형 부분은 상이하다.
- 조정 링은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갖고, 특히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조정 링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 피봇 제어 부재의 일부는 조립된 쉘 내부에 고정되고 하우징되며, 게임 컨트롤러는 조립된 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피봇 제어 부재의 회전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게임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에 관한 것이며, 게임 컨트롤러는 제어 부재가 이를 통해 통과하는 조립된 쉘을 포함하고, 제어 부재는 쉘의 외부에서 제어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헤드를 포함하며, 제어 부재는 회전 탄력적 방식으로 휴지 위치로부터 정지 위치로 모든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는 제어 부재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게임 컨트롤러로부터 쉘을 분해하지 않고 제어 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 요소는 서로 조합되어 또는 독자적으로 하기의 추가적 및 선택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조정 요소는 제거가능한 링으로 구성된다.
-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조정 요소는 제거가능한 링으로 구성되고, 제거가능한 링의 외부 면은 조정 링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상술한 조정 요소 및 바람직하게는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적어도 3개의 상술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assembly)이며, 상기 조정 요소들은 상이하고, 제어 부재의 각각의 동일한 기울임 방향에 대해 상이한 각각의 정지각 값(α)을 갖는 정지 위치에서 제어 부재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체는 서로 조합되어 또는 독자적으로 하기의 추가적 및 선택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조정 요소들은 각각 조정 링에 의해 구성되고, 조정 링의 외부 면은 조정 링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조정 링의 외부 면의 원형 단면을 갖는 상기 실린더형 부분의 외경은 상이하다.
- 조정 링은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갖고, 특히 동일한 내경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조정 링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상술한 게임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을 조정하는 방법이다. 조정 방법은 게임 컨트롤러의 쉘을 분해하지 않고 제어 부재 상에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장착하여,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가 제공된 제어 부재가, 조정 요소가 접하며 제어 부재의 기울임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기울임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 특히, 제어 부재는 제거가능한 헤드를 포함하고, 조정 요소를 조립하기 위해 제어 부재의 제거가능한 헤드는 사전에 제거되고, 일단 조정 요소가 장착되면, 제어 부재의 제거가능한 헤드가 교체된다.
본 발명에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본 발명의 몇몇 특정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게 되면 명백해질 것이고, 특정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고, 한정되지 않은 예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의 변형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2는 피봇 제어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 얇은 조정 링과 피봇 제어 부재의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게임 컨트롤러의 쉘을 통해 고정된 실린더형 삽입부의 개구를 통해 장착되고 조립된 경우의 피봇 제어 부재로서, 상기 피봇 제어 부재에는 도 2의 얇고 제거가능한 조정 링이 제공되고, 게임 컨트롤러의 쉘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으며, 도 2의 피봇 제어 부재의 하부 피봇 베이스 요소는 도 3에 도시되지 않고, 피봇 제어 부재는 휴지 위치에 있는, 도 2의 피봇 제어 부재의 단면이다.
도 4는 얇은 조정 링이 제공되고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진 도 3의 피봇 제어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두꺼운 조정 링이 제공되고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진 도 3의 피봇 제어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3 및 4의 얇은 조정 링의 상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얇은 링 및 도 6c의 두꺼운 링의 두께 사이에서 중간 두께를 갖는 조정 링의 상면도이다.
도 6c는 도 5의 두꺼운 조정 링의 상면도이다.
도 1은, 조립된 쉘(2) 및 특히, 2개의 피봇(pivoting) 제어 부재들(3)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1)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2개의 피봇 제어 부재들(3) 중의 하나의 피봇 부재(3)는 게임 컨트롤러(1)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고, 하나의 피봇 부재(3)는 게임 컨트롤러(1)의 우측 부분에 위치한다.
조립된 쉘(2)은, 알려진 방식에 따라, 임의의 수단, 예컨대 나사 등 및/또는 접착제 및/또는 용접에 의해 기계적으로, 하부 하프 쉘(lower half-shell; 2b)과 조립되는 상부 하프 쉘(2a)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조립된 쉘(2)은 특히, 플레이어의 양손을 사용한 그립(grip)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인체공학적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피봇 부재(3)는 상부 하프 쉘(2a)의 개구(20), 특히 원형 개구(20)를 관통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더욱 특히, 도 1 및 3을 본 발명에 대한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참조하면, 상부 하프 쉘(2a)의 각각의 원형 개구(20)에서, 게임 컨트롤러(1)는 실린더 관형 인서트(cylindrical tubular insert; 4)를 포함하고, 이는 컨트롤러(2)의 상부 하프 쉘(2a)의 개구(20) 내에 장착되고, 상부 하프 쉘(2a)에 고정된다. 인서트(4)의 상부 부분에는, 내부 에지(40a)가 쉘(2)의 개구(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개구(40b)(도 3b 참조)의 경계를 정의하는 링(40)이 제공된다. 이 관형 인서트(4)가 장착되고 게임 컨트롤러(1)의 상부 하프 쉘(2a)의 원형 개구(20)에 고정되면, 관형 인서트(4)의 원형 개구(40b)는 이 개구(20)에 대하여 그 중심이 맞춰진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게임 컨트롤러는 이러한 관형 인서트(4)를 포함하지 않거나 및/또는 링(4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링(40)이 없는 경우, 상술한 내부 에지(40a)는 게임 컨트롤러의 상부 하프 쉘(2a) 내의 개구(20)의 내부 에지로 대체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링(40)은 상부 하프 쉘(2a)의 주요한 부분일 수 있거나, 관형 인서트(4)에 또는 상부 하프 쉘(2a)의 개구(20)에 직접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애드-온(add-on) 부분일 수 있다.
도 1의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피봇 부재(3)는 "조이스틱" 타입이고, 쉘(2)의 에지 근처에 배치되어서, 게임 컨트롤러를 잡고 있는 플레이어의 좌측 엄지 또는 우측 엄지손가락에 의해 쉽게 조작될 수 있다.
게임 컨트롤러(1)의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몇몇 요소(30, 31, 32)의 모노리식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실린더형 링 및 제거가능한 조정 링(5a)이 제공된다.
피봇 제어 부재(3)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요소(30)(도 2)은 게임 컨트롤러의 쉘(2)에 대해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장착되도록 의도된 베이스 요소이다.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의 베이스 요소(30)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아래에서 간단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베이스 요소(30)는 케이싱(301)에 대해 피봇하도록 장착된, 중심 축(300a)을 갖는 실린더형 샤프트("스틱")(300)를 포함한다. 이 피봇 실린더형 샤프트(300)는 도 1과 2에 도시되는 중심 휴지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에서 케이싱(301)에 대하여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샤프트(300)는 회전 탄력적인 방식으로 중심 휴지 위치로 복귀한다. 샤프트(300)의 중심 휴지 위치로 탄력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 타입의 탄성 복귀 수단은 케이싱(301) 내부에 하우징된다.
이 피봇 샤프트(300)는 또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아날로그 변위 센서, 예컨대 전위차계 타입의 센서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는 케이싱(301) 내에 하우징되며, 도 2에서 휴지 위치에서 샤프트(300)의 중심 축(300a)에 수직인 평면을 정의하고, 서로에 대해 수직인 2개의 기준 회전 축들 각각을 중심으로, 샤프트(300)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이 센서들은, 축(300a)의 휴지 위치에 대하여, 각각의 기준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샤프트(300)의 중심 축(300a)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의 순시 값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측정 신호를 전달한다.
베이스 요소(30)는 게임 컨트롤러(1)의 쉘(2)의 내부에 장착 및 고정되어서 한편으로 그것의 케이싱(301)이 조립된 쉘(2)의 내부에 완전히 하우징되고 조립된 쉘(2)에 고정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의 피봇 샤프트(300)가 상술한 관형 인서트(4)의 원형 개구(40b)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원형 개구(40b)에 대하여 중심을 이루도록 한다.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요소(31)는, 대칭적이고 단단한 보호 부분이고,
- 하부에, 돔-형상의 컵(310)과,
- 상부에, 하부 컵(310)에 대하여 중심을 이루는 실린더형 조립체 단부 피스(311)를 포함하며, 상기 컵(310)의 중심 대칭 축은 이 실린더형 단부 피스(311)의 중심 대칭 축과 일치한다.
더욱 특히,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 벽(311b)과 측벽(311c)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바람직하게는 실린더형인 캐비티(311a)(도 2 및 3)를 포함한다. 하부 벽은 돌출된 중심 돌기(central lug, 311d)를 포함한다(도 3). 측벽(311c)은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대향된 조립 슬롯(311e)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 요소(31)는 그 하부에 중심 실린더형 하우징(312)을 더 포함한다. 이 중심 실린더형 하우징(312)은, 베이스 요소(30)의 피봇 샤프트(300)의 하우징(312) 내에 꽉 맞는 수치를 갖는다. 실린더형 하우징(312)의 단면과 피봇 샤프트(300)의 단면은 원형이 아니고, 피봇 샤프트(300)가 이 하우징(312) 내에서 중심 축에 대하여 회전이 차단되도록 선택된다. 요소(31)는 요소(31)를 베이스 요소(30)의 피봇 샤프트(300) 상에 축방향으로 맞춤으로써 단순하게 장착된다.
보호 요소(31)의 컵(310)은, 최대 외경이 관형 인서트(4)의 개구(40b)의 직경보다 큰 수치를 갖는다. 요소(31)의 컵은, 베이스 요소(30)의 샤프트(300)의 피봇을 방해하지 않고, 관형 인서트(4)의 개구(40b)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특히 조립된 쉘(2) 내부의 이물질이나 요소의 우발적 도입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게임 컨트롤러(1)의 심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요소(32)는 피봇 제어 부재(3)의 헤드를 구성하고, 일단 장착되면, 조립된 쉘의 외부에 배치된다(도 1). 이 헤드(32)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엄지손가락 중 하나를 사용한, 피봇 제어 부재(3)의 플레이어에 의한 조작에 적절한 기하학적 구조 및 수치를 갖는다.
더욱 특히, 이 헤드(32)는 제거가능하여, 특히 게임 컨트롤러(1)로부터 쉘(2)을 분해할 필요없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장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헤드(32)는 하위 요소들(312, 322)로 구성된다.
하위 요소(321)는 중심 대칭 축(321a)을 갖는 대칭 모노블록 부분(monobloc part)이며, 예컨대 주입된(injected) 플라스틱 부분이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의 상부(3210)와, 상기 디스크 형상의 상부(3210)에 수직으로 배향되고, 상기 디스크 형상의 상부(3210)에 대해 중심이 맞춰진 실린더형 하부(3211)를 포함한다.
하위 요소(322)는 디스크 형상이고, 플레이어의 엄지손가락과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하위 요소(322)는, 하위 요소(321)의 디스크 형상의 상부(3210) 상에 일반적으로 몰딩되거나, 영구적이고 견고한 방식으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상기 하위 요소(321)의 디스크 형상의 상부(3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하위 요소(322)는 예컨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과의 그립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하위 요소(322)의 상면(322a)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만곡되고, 오목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하위 요소(322)의 상면(322a)은 예컨대, 돔형이고 볼록하거나 평면일 수 있다.
헤드(32)의 하위 요소(321)의 실린더형 하부(3211)는 보호 요소(31)의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 안으로 탄력적으로 맞춰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다.
더욱 특히, 도 2 및 3의 구체적인 변형 실시예에서, 헤드(32)의 실린더형 하부(3211)는, 각각에 외부 조립형 돌기(assembly lug)(3211b)가 제공되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레그(leg)들(3211a)을 포함한다. 각각의 조립형 돌기(3211b)는 기계적인 스트레스의 인가에 의해 압축될 수 있고,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없는 경우, 도 2의 휴지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할 수 있고, 여기서 돌기는 레그(3211a)의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헤드(32)의 실린더형 하부(3211)는 또한, 보호부(31)의 돌기(311d)의 기하학적 형상에 맞춰진 하부 슬릿(3211c)을 포함한다.
헤드(32)를 보호 요소(31)(도 3)와 조립하기 위해, 실린더형 캐비티(311a)의 하단에서 돌출되는 돌기(311d)가 슬릿(3211c)에 진입할 때까지, 헤드(32)의 실린더형 하부(3211)를 손에 의해 보호 요소(31)의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의 실린더형 캐비티(311a) 내로 삽입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보호 요소(31)에 대하여 헤드(32)의 회전을 차단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축방향 삽입 동안에, 각각의 돌기(3211b)가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의 조립 슬롯(311e)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조립 슬롯(311e)에 진입할 때까지(도 3의 구성), 각각의 돌기(3211b)의 다소 오목한 곳이 레그(3211a)의 내부를 향해 얻어질 수 있고, 이는 보호 요소(31)에 대하여 헤드(32)를 축방향으로 차단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조립 돌기(3211b)의 탄성(elasticity)은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에 대하여 헤드(32)의 실린더형 하부(3211)의 방사형 클램핑(radial clamping)을 더 허용한다. 이 방사형 클램핑은, 보호 요소(31)에 대하여 헤드(32)의 우발적 변위(accidental dislocation)를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하다. 하지만, 이 방사형 클램핑은, 돌기들(3211b)이 그들 각각의 어셈블리 슬롯(311e)을 이탈시키기에 충분한, 레그(3211a)의 내부를 향하는 조립 돌기(3211b)의 오목한 곳을, 이 축방향 트랙션의 영향 하에서 획득하기 위하여, 헤드(32)에 대해 충분한 힘으로 그리고 손으로 축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가 보호 요소(31)로부터 헤드(32)를 고의로 제거(dislodge)하는 것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약하다.
따라서, 헤드(32)는,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게임 컨트롤러(1) 상에 제거가능한 조정 링(5A)을 쉽고 빠르게 배치하거나, 게임 컨트롤러(1)의 쉘(2)을 해체할 필요없이 조정 링(5A)을 쉽고 빠르게 게임 컨트롤러(1)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제거가능한 조정 링(5A)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에는 높이(H)를 갖는, 단단하고 제거가능한 실린더형 조정 링(5A)이 제공된다.
이 조정 링(5A)을 구성하는 재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
본 특정 실시예에서, 이 조정 링(5A)은 원형 단면의 직선형 실린더를, 링(5A)의 전제 높이(H)에 걸쳐 형성하는 외부면(50)을 포함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이 조정 링(5A)의 외부면(50)은, 링의 높이(H)의 오로지 일부에 걸쳐서만 원형 단면의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링(5A)의 내부 섹션 및 특히, 내경(Din)(도 6a)은, 요소(31)의 조립형 단부 피스(311) 상에서의 링(5A)의 가이드된 축방향 슬라이딩을 허용하기에만 충분한 최소 여유값으로, 요소(31)의 조립형 단부 피스(311) 상에서 이 링(5A)의 장착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조정 링(5A)은 따라서, 이 보호 요소(31)에 고정되지 않고,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보호 요소(31)의 조립형 단부 피스(311) 위에 슬립(slip)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명확히 나타나는 것처럼, 이 실린더형 조정 링의 외경(Dout)(도 6a, 6b, 6c)의 선택은 피봇 부재(3)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한다.
피봇 부재 및 제거가능한 조정 링의 장착 및 조립
제거가능한 조정 링이 제공된 피봇 부재(3)의 장착 및 조립은 예컨대, 아래와 같이 진행함으로써 수행된다.
연관된 보호 요소(31)와 조립된 각각의 베이스 요소(30)는 미리 정의된 위치에서 상부(2a) 또는 하부(2b) 하프 쉘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쉘(2)의 내부에 하우징되도록 의도된 게임 컨트롤러의 전자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 전자 제어 회로는 피봇 제어 부재(3)의 회전 변위 센서에 의해 전달된 측정 신호의 자동 프로세싱을 허용한다. 이 전자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전자 메모리,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고,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FPGA 타입의 프로그램가능한 전자 회로 또는 ASIC 타입의 특수목적용 전자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게임 콘솔 등과 통신하게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개구(20)에서 관형 인서트(4)가 제공된 상부 하프 쉘(2a)은 하부 하프 쉘(2b) 위에 배치되어서, 보호 부재(31)를 운반하고, 중심 휴지 위치에 있는,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0)의 샤프트(300)가 관형 인서트(4)의 원형 개구(40b)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되고, 이 원형 개구(40b)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지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2개의 하프 쉘들(2a, 2b)은 예컨대, 나사에 의해 함께 조립된다.
일단 2개의 하프 쉘들(2a, 2b)이 도 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게임 컨트롤러(1)의 쉘(2)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면, 관형 인서트(4)의 원형 개구(40b)에 대하여 또한, 중심이 맞춰지는, 보호 요소(31)의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는 바람직하게는 조립된 쉘(2)의 외부로 돌출하고, 인서트의 개구(40b)를 통과하게 되어서, 조립된 쉘(2)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쉽게 액세스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조립 단계들은 공장에서 수행된다.
사용자는 조정 링, 예컨대 피봇 제어 부재(3)의 정지각을 정의하는 특정 외경(Dout)을 갖는 얇은 조정 링(5A)을 선택함으로써 그리고, 보호 요소(31)의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 상에서 이 조정 링을 제거가능하게 슬립(slip)함으로써 상술한 조립 단계들의 종료시에 획득되는 게임 컨트롤러(1)를 쉽고 빠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일단 이 조정 링이 장착되면, 사용자는 단순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요소(31)의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 내로 제거가능한 헤드(32)를 장착(fit)해야 한다. 일단 헤드(32)가 보호 요소(31) 상에 장착되면(도 3), 조정 링은 제거가능한 헤드(32) 및 보호 요소(31)의 컵(310)의 상면(310a) 사이의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피봇 제어 부재(3)의 정지각
관형 인서트(4)의 중심 대칭축은 도 3에서 A로 표시된다. 즉, 본 특정 실시예에서, 이 인서트(4)의 상부 링(40)에 의해 조립되는 쉘(2) 내에서 원형 개구(40b)의 중심 대칭축의 경계가 정해진다.
도 3에서, 이 조정 링(5A)이 제공된 피봇 제어 부재(3)는 그것의 중심 휴지 위치에 있고, 대칭축(3a)은 이 중심 휴지 위치에서, 원형 개구(40b)의 중심 대칭축(A)과 일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컨트롤러(1)의 사용자는, 도 3의 중심 휴지 위치에 대하여 기울임으로써 모든 방향에서, 조정 링(5A)이 제공된 이 제어 부재(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게임 컨트롤러(1)의 사용자가 이 제어 부재(3)를 놓으면, 제어 부재(3)는 도 3에서의 그것의 중심 휴지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한다.
제어 부재(3)의 기울임 방향과 무관하게, 조정 링(5A)이 제공된 제어 부재(3)는, 정지 위치, 가령 예컨대, 도 4의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피봇할 수 있다(도 4의 회전(R)). 이 정지 위치에서, 조정 링(5A)이 접해있고, 따라서, 피봇 제어 부재(3)의 기울임은 이 정지 위치에서 차단된다. 따라서, 조정 링(5A)은 피봇 제어 부재(3)의 기울임의 최대 이동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의 특정 경우에 있어서, 링(4)의 내부 에지(40a)는 그것의 전체 주변 경계에 걸쳐서 제어 부재(3)를 둘러싼다. 조정 링(5A)이 제공된 제어 부재(3)의 정지 위치에서, 제어 부재(3)는 상기 조정 링(5A)에 의해 링(40)의 내부 에지(40a)와 접하고, 링(40)의 내부 에지(40a)는 낮은 회전 정지 기능을 달성한다.
조정 링(5A)이 제공된 제어 부재(3)의 정지 위치는, 제어 부재(3)의 주어진 기울임 방향에 대하여 2개의 중심 대칭 축(A, 3a)에 의해 형성된 최대 각도에 대응하는 정지각(α)(도 4)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정지각(α)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조정 링이 제공된 제어 부재(3)의 모든 기울임 방향에 대해 동일하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정지각(α)의 값은 조정 링이 제공된 제어 부재(3)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기울임 방향에 대해 상이할 수 있거나, 및/또는 개구(40b)의 기하학적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가 없지만, 예컨대, 다각형 타입 또는 타원형 타입일 수 있거나, 및/또는 휴지 위치는 반드시 중심 위치일 필요가 없다.
전형적으로, 게임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정지각의 값은 90°보다 작고 일반적으로 20°내지 70°사이다.
도 5는, 얇은 링(5A)보다 두껍고, 따라서 얇은 링(5A)보다 큰 외경(external diameter)을 갖는, 링(5A)과 동일한 높이(H)인 실린더형 조정 링(5C)이 피봇 제어 부재(3)에 제공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정지각(α)은 얇은 링(5A)으로 획득된 정지각의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정지각(α)의 값은 사용되는 실린더형 조정 링의 외경()에 의존한다. 이 외경이 커질수록, 정지각(α)의 값은 더 작을 것이고,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의 사용자는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에 대하여 수중에 몇몇 제거가능한 조정 링들, 가령 예컨대, 도 6a, 6b 및 6c 각각의 실린더형 조정 링들(5A, 5B, 5C)을 갖는다. 이러한 도 6a, 6b 및 6c의 실린더형 조정 링들(5A, 5B, 5C)은 동일한 내부 섹션을 갖고, 특히 동일한 내경(Din)을 갖지만, 상이한 두께들(E)을 갖고, 따라서 상이한 외경(Dout)을 갖는다. 이 실린더형 조정 링들(5A, 5B, 5C)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H)를 갖는다.
가장 얇은 링(5A)은 가장 큰 정지각 값(α)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예컨대 46°의 정지각을 허용한다. 가장 두꺼운 조정 링(5c)은 가장 작은 정지각 값(α)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예컨대 30°의 정지각을 허용한다. 중간 두께의 링(5B)은 중간 정지각 값(α)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예컨대 38°의 정지각(α)을 허용한다.
정지각(α)의 값이 더 낮을 수록, 게임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응답성이 커지고,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조정 링들(5A, 5B, 5C)로 인해, 컨트롤러의 사용자는, 특히 그가 플레이하기를 원하는 게임의 타입에 맞춰 이러한 응답성을 조정하기 위해, 게임 컨트롤러(1)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응답성을 매우 쉽고 매우 빠르게 유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야하는 것은 오로지, 피봇 제어 부재(3)로부터 제거가능한 헤드(32)를 손으로 제거하고, 제어 부재(3) 상에 존재하는 조정 링을 제거하고, 필요하다면, 피봇 제어 부재(3)를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응답성에 대응하는 새로운 조정 링(5A, 5B 또는 5C)을 보호 요소(31)로 삽입하며, 제거가능한 헤드(32)를 교체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동작들은 게임 컨트롤러(1)의 조립된 쉘(2)을 해체할 필요없이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그리고 유리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게임 컨트롤러의 사용자가 더 응답성인 컨트롤러를 갖기를 원하는 경우, 예컨대, 격투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서, 그는, 가장 작은 정지각(α)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링(5C)을, 그의 게임 컨트롤러(1)의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에 장착하는(equip)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게임 컨트롤러의 사용자가 덜 응답성인 컨트롤러를 갖기를 원하는 경우, 그는, 더 큰 정지각 값들()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링(5B 또는 5C)을 그의 게임 컨트롤러(1)의 각각의 피봇 제어 부재(3)에 장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완전하지 않은 리스트)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들의 특정 변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완전하지 않은 방식으로,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에 도시되는 헤드(32)를 형성하는 하위 요소(321, 322)의 특정 수치들 및 특정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2개의 조립된 부분들(321, 322)에서의 헤드(32)의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지만, 다른 변형예에서, 헤드(32)는 2개보다 많은 조립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피스, 예컨대 주입된 플라스틱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헤드(32)는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도록 반드시 구체적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보다 일반적으로, 특히 제어 부재(3)의 헤드(32)의 구조, 기하학적 형상, 수치 및 구성 재료와는 무관하게,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임의의 피봇 제어 부재(3)를 포괄한다. 예컨대, 제어 부재(3)는 하나의 손의 2개의 손가락으로 또는 손 전체로 잡힐 수 있는 "조이스틱" 타입의 피봇 "스틱"일 수 있다.
제거가능한 헤드(32)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은 상술한 것과는 상이할 수 있고, 제거가능한 헤드는 예컨대, 자석 등에 의해 조립되거나, 그 위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제어 부재(3)의 다른 요소 또는) 보호 요소(31)의 실린더형 조립형 단부 피스(311)는, 제거가능한 헤드(32)의 관형 하부(3211) 내에 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조정 링은 헤드(32)의 관형 하부(3211)를 통해 미끄러져 빠져나가도록(slip) 설계된다.
다른 변형예에서, 헤드(32)는 반드시 제거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정지각 조정 링은, 예컨대 쉘(2)을 해체하지 않고 그리고 피봇 제어 부재로부터 헤드(32)를 제거하지 않고, 피봇 제어 부재 상에 조정 링이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함께 조립될 수 있는 2개의 분리된 부분들일 수 있다. 예컨대, 조정 링은, 조정 링을 구성하기 위해 자성 자화에 의해 제어 부재 상에 조립될 수 있는 2개의 하프 실린더(half-cylinder)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하프 실린더가 자화될 수 있거나, 피봇 제어 부재(3)가 자화될 수 있고, 2개의 하프 실린더는 강자성 재료, 예컨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2개의 하프 실린더는 또한, 임의의 다른 수단, 예컨대, 나사조임, 클립핑(clipping) 또는 피팅(fitting)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변형예의 보호 요소(31)는 선택적이고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봇 제어 부재의 헤드(32)는, 중간 부분(31) 없이 베이스 요소(30)의 피봇 샤프트(300)로 직접 맞춰지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5A, 5B, 5C)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의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는 외부 면(50)을 갖는다.
다른 변형예에서, 이 외부 면(50)의 단면은 원형이 아닐 수 있고, 예컨대, 다각형이나 타원형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형 내부 섹션을 갖는 조정 링들(5A, 5B, 5C)의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조정 링(5A, 5B, 5C)의 내부 섹션의 기하학적 형상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고, 이 내부 섹션은 가능한 경우 예컨대, 다각형(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등)일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조정 요소는, 외경이 동축 링들에 의존하는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획득하기 위해, 서로 위에 동축으로 슬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거가능한 실린더형 조정 링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피봇 제어 부재 상에 서로에 대하여 동축으로 장착된 조정 링의 개수가 더 클수록,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α)의 값은 더 낮아지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같다.

Claims (23)

  1. 조립된 쉘(assembled shell, 2)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3)를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1)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3)는, 상기 조립된 쉘(2)을 관통하고, 상기 조립된 쉘(2)의 외부에 상기 제어 부재(3)를 조작하기 위한 헤드(32)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32)는, 피봇가능하고(pivotable),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모든 방향들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헤드(32)는 회전 탄력적인(rotationally elastic) 방식으로 상기 휴지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부재(3)의 정지각(stop angle, α)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5A; 5B; 5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게임 컨트롤러(1)의 쉘(2)을 해체하지 않고 상기 제어 부재(3)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5A; 5B; 5C)가 제공된 상기 제어 부재(3)는, 상기 제어 부재(3)의 기울어짐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인접하는(abut)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기울임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컨트롤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의 헤드(32)는 제거가능하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상기 헤드(32)가 제거될 때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게임 컨트롤러(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헤드(32)가 제거될 때 상기 제어 부재(3)의 부분(311) 상에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미끄러져 빠져나갈 수 있는(slipped) 링인, 게임 컨트롤러(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는, 상부에 개방 캐비티(open cavity, 311a)를 갖는 조립형 단부 피스(assembly end piece, 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헤드(32)의 부분(3211)은 상기 캐비티(311a)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헤드(32)가 제거될 때, 상기 조립형 단부 피스(311) 상에서 제거가능하게 미끄러져 빠져나갈 수 있는, 게임 컨트롤러(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상기 제어 부재(3)의 헤드(32) 및 상기 제어 부재(3)의 다른 부분(310a)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차단됨으로써,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게임 컨트롤러(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지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제공되는 상기 제어 부재(3)의, 휴지 위치에 대한 기울기 각도인 정지각(α)의 값은, 상기 제어 부재(3)의 모든 기울임 방향에 대해 동일한, 게임 컨트롤러(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지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제공되는 상기 제어 부재(3)의, 휴지 위치에 대한 기울기 각도인 정지각(α)의 값은, 90°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20°내지 70°사이인, 게임 컨트롤러(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각(α)은,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지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제공되는 상기 제어 부재(3)의, 휴지 위치에 대한 기울기 각도이고,
    상기 컨트롤러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들(5A/5B; 5A/5C; 5B;5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들(5A; 5B; 5C)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요소들(5A; 5B; 5C)은, 각각의 동일한 기울임 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각각의 정지각(α) 값들에서, 상기 정지 위치에서의 상기 부재(3)의 기울임을 차단하는 것을 허용하는, 게임 컨트롤러(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를 둘러싸고, 상기 조립된 쉘(2) 내의 개구의 경계를 정의하는 내부 에지(40a)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부재(3)는 상기 조립된 쉘(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 에지(40a)는,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제공된 제어 부재(3)가 정지 위치에서 기울어질 때, 하부 회전 정지부(bottom rotational stop)로서의 역할을 하는, 게임 컨트롤러(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를 둘러싸고, 상기 조립된 쉘(2) 내의 개구의 경계를 정의하는 내부 에지(40a)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부재(3)는 상기 조립된 쉘(2)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장착될 때, 상기 개구(40b)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조정 요소(5A; 5B; 5C)의 일부분은 상기 쉘(2)의 내부에 하우징되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의 다른 부분은 상기 쉘(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게임 컨트롤러(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정 요소는 실린더형 조정 링(5A; 5B; 5C)인, 게임 컨트롤러(1).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린더형 조정 링(5A; 5B; 5C)은, 조정 링의 높이(H)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는, 게임 컨트롤러(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들(5A/5B; 5A/5C; 5B;5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들(5A; 5B; 5C)을 포함하며, 조정 요소들은 각각 조정 링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조정 링들의 외부 면(50)은, 상기 조정 링들의 높이(H)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조정 링들의 외부 면(50)의 원형 단면을 갖는 실린더 부분들의 외경들(Dout)은 상이한 것인, 게임 컨트롤러(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들은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갖고, 특히 동일한 내경(Din)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링들은 동일한 높이(H)를 갖는, 게임 컨트롤러(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제어 부재(3)의 부분(30)은, 상기 조립된 쉘(2) 내부에 하우징되고 고정되며, 상기 게임 컨트롤러는, 상기 피봇 제어 부재(3)의 회전을 측정하고 상기 조립된 쉘(2)의 내부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1)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정지각(α)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5A; 5B; 5C)로서,
    상기 게임 컨트롤러(1)는, 상기 제어 부재(3)가 관통하는 조립된 쉘(2)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3)는, 상기 쉘(2)의 외부에서 상기 제어 부재(3)를 조작하기 위한 헤드(32)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32)는, 상기 헤드(32)가 회전 탄력적인 방식으로 복귀하는 휴지 위치로부터 정지 위치로, 모든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정지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피봇 제어 부재(3)의 정지각(α)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5A; 5B; 5C)는,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게임 컨트롤러(1)의 쉘(2)을 해체하지 않고 상기 제어 부재(3)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조정 요소(5A; 5B; 5C).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제거가능한 링(5A; 5B; 5C)으로 구성되는, 조정 요소(5A; 5B; 5C).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는, 제거가능한 링(5A; 5B; 5C)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거가능한 링(5A, 5B, 5C)의 외부 면(50)은, 상기 조정 링의 높이(H)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는, 조정 요소(5A; 5B; 5C).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들(5A/5B; 5A/5C; 5B;5C)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조정 요소들(5A; 5B; 5C)을 포함하는 조립체(assembly)로서, 상기 조정 요소들은 상이하고, 상기 제어 부재(3)의 각각의 동일한 기울임 방향에 대하여 상이한 각각의 정지각(α) 값들에서, 상기 정지 위치에서의 상기 제어 부재(3)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허용하는,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요소들은 조정 링들에 의해 각각 구성되고, 상기 조정 링들의 외부 면(50)은, 상기 조정 링들의 높이(H)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조정 링들의 외부 면(50)의 원형 단면을 갖는 실린더 부분들의 외경(Dout)은 상이한 것인,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링들은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갖고, 특히 동일한 내경(Din)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링들은 동일한 높이(H)를 갖는, 조립체.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1)의 피봇 제어 부재(3)의 정지각(α)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방법으로서,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5A; 5B; 5C)가 제공되는 제어 부재(3)가, 상기 제어 부재(3)의 기울어짐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인접하는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기울임 방향에서 수동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게임 컨트롤러(1)의 쉘(2)을 해체하지 않고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5A; 5B; 5C)를 상기 제어 부재(3)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정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는, 상기 조정 요소(5A; 5B; 5C)를 조립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헤드(3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3)의 제거가능한 헤드(32)는, 사전에 제거되고, 일단 상기 조정 요소(5A; 5B; 5C)가 장착되면, 상기 제어 부재(3)의 제거가능한 헤드(32)가 교체되는, 조정 방법.
KR1020217011089A 2018-10-25 2019-10-24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KR20210079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9850 2018-10-25
FR1859850A FR3087664B1 (fr) 2018-10-25 2018-10-25 Manette de jeu comportant au moins un element de reglage amovible permettant le reglage de l’angle d’arret d’un organe de commande pivotant de la manette
PCT/EP2019/079006 WO2020084041A1 (fr) 2018-10-25 2019-10-24 Manette de jeu comportant au moins un element de reglage amovible permettant le reglage de l'angle d'arret d'un organe de commande pivotant de la mane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287A true KR20210079287A (ko) 2021-06-29

Family

ID=6549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89A KR20210079287A (ko) 2018-10-25 2019-10-24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648463B2 (ko)
EP (1) EP3870323A1 (ko)
JP (1) JP2022511656A (ko)
KR (1) KR20210079287A (ko)
CN (1) CN112930219A (ko)
AU (1) AU2019365023A1 (ko)
BR (1) BR112021007691A2 (ko)
CA (1) CA3114196A1 (ko)
CL (1) CL2021001028A1 (ko)
FR (1) FR3087664B1 (ko)
MX (1) MX2021004747A (ko)
SG (1) SG11202104223UA (ko)
WO (1) WO2020084041A1 (ko)
ZA (1) ZA202102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0152A (en) * 2022-06-29 2024-01-0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sert for a controller
EP4353342A1 (en) * 2022-10-14 2024-04-17 Byowave Ltd A controller connec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0009B1 (fr) * 1994-05-17 1996-07-05 Manzo Bodrone Marc Manette de commande adaptable sur console de jeux électronique.
JP2740145B2 (ja) * 1995-09-12 1998-04-15 コナミ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ドライビングゲーム機
US5883690A (en) * 1997-05-30 1999-03-16 Z-Products Joystick adapter for a directional keypad on a game controller
FR2826589B1 (fr) * 2001-06-27 2004-07-16 Olivier Remi Yvon Aresi Dispositif permettant d'ameliorer la progressivite des joysticks analogiques des manettes de consoles de jeux et d'ordinateurs
US7338374B2 (en) * 2003-11-14 2008-03-04 Mattel, Inc. Adjustable tension analog stick for a video game pad
US8059090B2 (en) * 2007-03-28 2011-1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avigation device
WO2012051357A1 (en) * 2010-10-12 2012-04-19 Mark Olsson Magnetic thumbstick user interface devices
US9710072B1 (en) 2012-04-09 2017-07-18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Interchangeable input mechanisms for control devices
US20140323220A1 (en) * 2013-04-25 2014-10-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Game controller
WO2015078990A1 (en) * 2013-11-29 2015-06-04 Ironburg Inventions Controller for a games console
FR3016226B1 (fr) * 2014-01-09 2017-03-31 Playrapid Bouton de commande pour manette de jeu et manette de jeu munie d'un tel bouton
CN106660171B (zh) 2014-08-08 2018-07-1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激光焊接装置以及激光焊接方法
US10441881B2 (en) * 2015-01-09 2019-10-15 Ironburg Inventions Limited Controller for a games console
US10500486B2 (en) * 2015-03-31 2019-12-10 Dakota Sidwell Analog stick
US10124249B2 (en) 2015-05-01 2018-11-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e controller with removable controller accessory
US20160346680A1 (en) * 2015-05-27 2016-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e controller with thumbstick interface ring
US9764230B2 (en) 2015-06-09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e controller with user-replaceable thumbstick top
US9925457B2 (en) * 2015-06-09 2018-03-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replaceable thumbstick top for game controller
US10427035B2 (en) 2015-06-09 2019-10-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e controller with removable trigger accessory
US9868058B2 (en) 2015-06-30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stick with adjustable tension
US9931567B2 (en) * 2016-06-24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tension thumbstick
RU2658139C1 (ru) 2016-07-04 2018-06-19 Алексей Евгеньевич Несмеев Игровой контроллер
EP3541487B1 (en) * 2016-11-21 2021-04-14 Razer (Asia-Pacific) Pte. Ltd. Game controller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game controller
US10561935B2 (en) * 2017-01-17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stick for user input device
CN113384870B (zh) * 2020-03-13 2023-11-03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摇杆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14196A1 (fr) 2020-04-30
BR112021007691A2 (pt) 2021-07-27
AU2019365023A1 (en) 2021-05-06
EP3870323A1 (fr) 2021-09-01
SG11202104223UA (en) 2021-05-28
US20210354030A1 (en) 2021-11-18
CN112930219A (zh) 2021-06-08
MX2021004747A (es) 2021-06-08
FR3087664B1 (fr) 2021-09-10
JP2022511656A (ja) 2022-02-01
US11648463B2 (en) 2023-05-16
WO2020084041A1 (fr) 2020-04-30
ZA202102756B (en) 2022-07-27
CL2021001028A1 (es) 2021-11-26
FR3087664A1 (fr)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934B2 (en) Game controller comprising at least one pivoting control member with a modifiable stop angle
KR20210079287A (ko) 컨트롤러의 피봇 제어 부재의 정지각의 조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가능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ES2839214T3 (es) Controlador de juegos y gatillo para el mismo
US20090295724A1 (en) Adjustable torque joystick
EP3561633B1 (en) Joystick structure and remote controller
US8111242B1 (en) Electronic pointing device with user variable weight
US20060135257A1 (en) Multidirectional actuator with variable return force
JP6571032B2 (ja) 多方向入力装置
RU2809480C2 (ru) Игровой контроллер, содержащи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съемный элемент регулировки,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возможность регулировки угла ограничения хода поворотного элемента управления игрового контроллера
JP4789855B2 (ja) 弾球遊技機の発射ハンドル
JP3657469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486637Y1 (ko) 낚시 거치대
EP3165990A1 (en) Command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s, in particular for ovens or stovetops
JP2008012313A (ja) 車椅子のフレーム部分にキャスタ取り付けユニット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偏心体並びに車椅子
JP2013022325A (ja) 弾球式遊技機
JP5812427B2 (ja) 遊技機
US5476186A (en) Universal replacement carafe for coffee maker
WO2013094014A1 (ja) 操作子及び操作装置
JP4722659B2 (ja) パチンコ機
JP7403599B1 (ja) 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並びにこの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を有するゲーム機器
JP2006230441A (ja) パチンコ機
JP6060207B2 (ja) 回転方向検出装置
JPH059677B2 (ko)
JPH057627Y2 (ko)
JPS5918782Y2 (ja) ポ−タブル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