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905A -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 Google Patents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905A
KR20210078905A KR1020190170855A KR20190170855A KR20210078905A KR 20210078905 A KR20210078905 A KR 20210078905A KR 1020190170855 A KR1020190170855 A KR 1020190170855A KR 20190170855 A KR20190170855 A KR 20190170855A KR 20210078905 A KR20210078905 A KR 2021007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ack
piece
medium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혜빈
김준영
박종성
박창호
이정환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905A/ko
Priority to US17/073,435 priority patent/US11600150B2/en
Priority to RU2020134406A priority patent/RU2751571C1/ru
Priority to EP20202761.1A priority patent/EP3812330B1/en
Priority to CN202011141756.XA priority patent/CN112707193B/zh
Publication of KR2021007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매체를 집적 또는 분리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가 소개된다.
이 중에서 스택시트는 회전축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회전 홀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바디와, 회전 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핀과 매체의 집적을 위해 시트 핀에 결합되는 시트 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STACK SHEET AND PAPER MEDIUM STACKING APPARATUS HAVING IT}
본 발명은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 등에서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거나, 잔액 확인 및 계좌 이체 등과 같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저장부에는 매체를 매체 저장부에 집적하거나, 매체 저장부에 적재된 지폐나 수표와 같은 매체를 낱장씩 분리하기 위한 매체집적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매체집적장치는 매체 저장부로부터 매체를 낱장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픽업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매체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거나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온 매체를 매체 저장부로 집적하기 위한 피드롤러와, 피드롤러와 오버랩(Overlap)된 상태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외주면에 다수 개의 스택시트가 형성된 시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매체의 집적시, 스택시트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매체의 이송 경로 상으로 진입되어 집적되는 매체의 후단부를 타격함으로써, 매체를 매체 저장부에 가지런히 집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스택시트의 경우, 매체의 분리시 스택시트의 날개가 스택시트 커버와 지속적으로 마찰될 수 있고, 스택시트의 날개가 주변의 부품에 간섭되는 경우 과도한 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아이들(IDLE) 상태에서는 스택시트의 날개 연결부가 과도하게 꺾인 상태가 유지되므로, 부품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허공개공보 10-2018-0075762 (2018.07.06.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트와 바디 간 연결 부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매체의 집적 및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택시트는, 매체를 집적 또는 분리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택시트에 있어서, 회전축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회전 홀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회전 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핀과, 상기 매체의 집적을 위해, 상기 시트 핀에 결합되는 시트 편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는 회전축이 결합 가능한 중심홀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의 가장자리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회전 홀부; 상기 지지판부의 중심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제공되는 스토퍼 턱부; 및 상기 시트 편이 펼쳐질 때, 상기 시트 편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스토퍼 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는 반원 형태로 제공되는 제 1 바디편; 및 상기 제 1 바디편에 대응되는 반원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바디편에 스냅핏(snap-fit) 조립되는 제 2 바디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핀은 상기 시트 편이 권취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편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회전 홀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마련되는 걸림 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편은 시트부; 상기 시트 핀에 결합되도록 상기 시트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결합부; 상기 바디의 스토퍼 홈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 편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시트부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는 상기 바디의 외주연에 복수 개 장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시트는 상기 바디가 상기 매체의 집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바디에서 펼쳐지면서 상기 매체를 집적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매체의 분리방향으로 회전될 때, 서로 연동하여 상기 바디에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매체집적장치는, 매체의 집적 또는 분리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택시트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택 시트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회전 홀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회전 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핀과, 상기 매체의 집적을 위해, 상기 시트 핀에 결합되는 시트 편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택시트의 시트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시트의 꺾임으로 인한 시트의 연결 부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에서 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의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장치에서, 매체가 집적될 때, 스택시트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장치에서, 매체가 분리될 때, 스택시트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에서 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의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시트(100)는, 바디(110) 및 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10)는 매체를 집적 또는 분리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110)는 지지판부(114), 회전 홀부(111), 스토퍼 턱부(113) 및 스토퍼 홈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부(114)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결합 가능한 중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부(114)는 스토퍼 턱부(113)를 통해 연결되도록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판부(114)는 제 1 바디편(114a)와 제 2 바디편(114b)을 포함할 수 있다.제 1 바디편(114a)은 반원 형태로 지지판부(114)의 일측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바디편(114b)은 제 1 바디편(114a)에 대응되는 반원 형태로 지지판부(114)의 타측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제 1 바디편(114a)와 제 2 바디편(114b)을 스냅핏(snap-fit) 조립될 수 있다. 스냅핏 조립은 외팔보 변형 이론을 적용한 통상의 스냅핏 조립에 대응되는 개념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 홀부(111)는 지지판부(114)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홀(hol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홀부(111)는 지지판부(114)의 가장자리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홀부(111)는 시트(1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시트(120)의 시트 핀(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턱부(113)는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부(11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스토퍼 턱부(113)는 삼각 지지판부(114)의 중심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스토퍼 홈부(115)는 복수 개의 스토퍼 턱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 제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토퍼 홈부(115)에는 시트 편(122)의 적어도 일부(일 예로, 스토퍼부)가 위치되므로, 시트 편(122)이 시트 핀(121)을 통해 바디(110)에서 펼쳐질 때, 시트 편(122)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110)의 회전에 따라 시트 편(122)이 바디(110)에서 펼쳐질 때, 스토퍼 홈부(115)에는 시트 편(122)의 스토퍼부(122d)가 위치되므로, 시트(120)는 바디(110)의 지속적인 회전에도 시트(120)는 일정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시트(120)는 바디(110)의 회전 홀부(1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시트(120)는 바디(110)가 매체의 집적방향으로 회전될 때, 바디(110)에서 펼쳐지면서 매체를 매체 저장부의 집적공간에 집적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시트(120)는 바디(110)가 매체의 분리방향으로 회전될 때, 서로 연동하여 매체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디(110)에 접혀짐에 따라, 매체의 이송 경로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120)는 회전 홀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핀(121)과, 매체를 집적하도록 시트 핀(121)에 결합되는 시트 편(122)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핀(121)은 시트 편(122)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부(121a)와, 지지부(121a)의 양단에 마련되는 걸림 턱부(121b)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21a)는 바디(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 홀부(111)에서 회전될 수 있다. 걸림 턱부(121b)는 회전 홀부(11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12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걸림 턱부(121b)는 회전 홀부(111)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홀부(1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시트 편(122)은 가요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바디(110)가 매체의 집적방향으로 회전될 때, 시트 편(122)은 바디(110)에서 90도 이상으로 펼쳐지는(꺾여지는) 것이 제한되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 편(122)은 시트부(122b)와, 지지부(121a)에 결합되도록 시트부(122b)의 일단에 마련되는 결합부(122a)와, 시트부(122b)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2c)와, 결합부(122a)에서 쐐기 형태로 돌출되는 스토퍼부(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122d)는 바디(110)의 스토퍼 홈부(115)에 위치되므로, 시트 편(122)의 회전시, 시트 편(122)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장치에서, 매체가 집적될 때, 스택시트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장치에서, 매체가 분리될 때, 스택시트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집적장치(10)는, 매체(M)의 집적이 가능한 매체 저장부(300)와, 스택시트(100)를 통해 매체(M)를 매체 저장부(300)에 집적하는 분리집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체 저장부(300)는 매체(M)의 수납이 가능한 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 저장부(300)는 매체(M)의 저장이 가능한 스택공간(310)을 제공할 수 있다. 스택공간(310)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택 플레이트(3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스택 플레이트(330)의 상면에는 매체(M)의 스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택 플레이트(330)는 스택공간(310) 내 매체(M)의 스택공간(310)을 확보하기 위해, 매체 저장부(30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매체(M)의 집적 시, 분리집적부를 통과한 매체(M)는 스택시트(100)에 의해 매체(M)의 후단이 타격되어 스택공간(310)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스택 플레이트(330)는 스택공간(310) 내 수납된 매체(M)를 외부로 분리하기 위해, 매체 저장부(300)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택 플레이트(330)의 상하 이동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분리집적부는 매체 저장부(300)로부터 매체(M)를 낱장씩 분리하기 위한 픽업롤러(210)와, 픽업롤러(2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픽업롤러(210)에 의해 분리된 매체(M)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거나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온 매체(M)를 매체 저장부(300)로 집적하는 피드롤러(220)와, 피드롤러(220)와 오버랩(overlap)된 상태로 매체(M)를 이송하며 매체(M)의 2매 분리를 방지하는 가이드롤러(230)와, 가이드롤러(230)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구비되는 스택시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택시트(100)는 그 외주면 전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시트(12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스택시트(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스택시트(100)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에서 보듯이, 반송로를 따라 온 매체(M)를 매체 저장부(300)로 집적하는 과정에서, 스택시트(100)는 이송 경로로 진입되어 매체(M)의 이송방향 후단부를 타격함으로써, 매체(M)를 매체 저장부(300)에 가지런한 상태로 집적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매체(M)가 매체 저장부(300)로부터 분리되어 반송로 측으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스택시트(100)의 시트(120)는 매체(M)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디(110)에 접혀짐에 따라, 매체의 이송 경로로부터 퇴피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택시트의 시트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시트의 꺾임으로 인한 시트의 연결 부위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스택시트 110 :바디
120 :시트 121 :시트 핀
122 :시트 편 210 :픽업롤러
220 :피드롤러 230 :가이드롤러
300 :매체 저장부 310 :스택공간
330 :스택 플레이트

Claims (7)

  1. 매체를 집적 또는 분리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택시트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회전 홀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회전 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핀과, 상기 매체의 집적을 위해, 상기 시트 핀에 결합되는 시트 편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스택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 가능한 중심홀이 중심에 형성된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의 가장자리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회전 홀부;
    상기 지지판부의 중심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제공되는 스토퍼 턱부; 및
    상기 시트 편이 펼쳐질 때, 상기 시트 편의 적어도 일부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스토퍼 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부를 포함하는,
    스택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반원 형태로 제공되는 제 1 바디편; 및
    상기 제 1 바디편에 대응되는 반원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바디편에 스냅핏(snap-fit) 조립되는 제 2 바디편을 포함하는,
    스택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핀은
    상기 시트 편이 권취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편의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회전 홀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마련되는 걸림 턱부를 포함하는,
    스택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편은
    시트부;
    상기 시트 핀에 결합되도록 상기 시트부의 일단에 마련되는 결합부;
    상기 바디의 스토퍼 홈부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 편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시트부의 타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택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바디의 외주연에 복수 개 장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시트는
    상기 바디가 상기 매체의 집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바디에서 펼쳐지면서 상기 매체를 집적하고, 상기 바디가 상기 매체의 분리방향으로 회전될 때, 서로 연동하여 상기 바디에 접혀지는,
    스택시트.
  7. 매체의 집적 또는 분리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택시트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택 시트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회전 홀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회전 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핀과, 상기 매체의 집적을 위해, 상기 시트 핀에 결합되는 시트 편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KR1020190170855A 2019-10-25 2019-12-19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KR20210078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55A KR20210078905A (ko) 2019-12-19 2019-12-19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US17/073,435 US11600150B2 (en) 2019-10-25 2020-10-19 Medium stacking sheet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RU2020134406A RU2751571C1 (ru) 2019-10-25 2020-10-20 Лист для укладывания 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я и укладывания носителя, включающее его
EP20202761.1A EP3812330B1 (en) 2019-10-25 2020-10-20 Medium stacking sheet
CN202011141756.XA CN112707193B (zh) 2019-10-25 2020-10-22 介质堆叠板及包括其的介质分离与堆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855A KR20210078905A (ko) 2019-12-19 2019-12-19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05A true KR20210078905A (ko) 2021-06-29

Family

ID=7662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855A KR20210078905A (ko) 2019-10-25 2019-12-19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9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03A (ko) * 2021-10-28 2023-05-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의 교체형 스택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762A (ko) 2016-12-26 2018-07-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집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762A (ko) 2016-12-26 2018-07-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집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003A (ko) * 2021-10-28 2023-05-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의 교체형 스택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9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장치
RU26708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бумажных денег
JP5010270B2 (ja) 紙葉類の集積装置
KR101077459B1 (ko) 시트롤러
EP3296231B1 (en) Recycling bin
US9592978B2 (en) Medium protection device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device
US8573383B2 (en) Medium transferr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20180075762A (ko) 매체집적장치
KR20210078905A (ko)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US20070257427A1 (en) Stacker wheel
US11600150B2 (en) Medium stacking sheet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49574A (ko) 스택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US10427897B2 (en) Pickup roller having front end alignment member and medium separating device using same
AU2014319761B2 (en) Paper sheet receiving stacker
JP5110737B2 (ja) シートローラ
EP4174004A1 (en) Replaceable stack sheet
KR102599175B1 (ko) 플렉서블 타입의 교체형 스택시트
JP6983303B2 (ja)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KR102563416B1 (ko) 중공 타입의 교체형 스택시트
KR101212297B1 (ko) 스택 롤러
KR101026901B1 (ko) 지폐 분리집적장치
KR100752110B1 (ko) 반송롤러
KR20180076373A (ko) 매체집적장치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US20220380155A1 (en) Medium conveyance path switching device of automated tell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