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397A - 프린트헤드에서의 수성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트헤드에서의 수성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397A
KR20210078397A KR1020200161227A KR20200161227A KR20210078397A KR 20210078397 A KR20210078397 A KR 20210078397A KR 1020200161227 A KR1020200161227 A KR 1020200161227A KR 20200161227 A KR20200161227 A KR 20200161227A KR 20210078397 A KR20210078397 A KR 2021007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reservoir
temperatur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우 츄-헹
케이. 헤르만 더글라스
제이. 맥콘빌 폴
엠. 르페브레 제이슨
프라하라지 시밋
에이. 반코웬버그 데이비드
제이. 레비 마이클
씨. 후버 린
제이. 위블 토마스
피. 메이어스 존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7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07Conditioning of the inside of ink supply circuits, e.g. flushing during start-up or shut-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88Structure of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63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detecting head temperature; Ink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66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detecting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14Conditioning of the outside of ink supply systems, e.g. inkjet collector cleaning, ink mist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002/14177Segmented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002/14185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eater and the nozzle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수성 잉크젯 프린터 내의 환경 컨디셔너가 프린터 내의 인쇄 구역을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게 한다. 환경 컨디셔너는 일정 체적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갖는 가습 챔버; 물 저장소 내의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 가습 챔버 내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구; 가습 챔버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제거하고, 가습된 공기를 프린트헤드의 면판과 프린트헤드의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챔버는 수분을 공기에 전달하기 위해 가열된 공기 또는 위킹 재료에 의한 흡수를 위한 수분 제공된 미스트를 생성하는 초음파 무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트헤드에서의 수성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ATTENUATE THE DRYING OF AQUEOUS INKS IN A PRINTHEA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매체 상에 잉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잉크젯(inkjet)으로부터 속건성(fast-drying) 잉크를 방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이미징 장치는 이미지 수용 표면 상에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프린트헤드(printhead)로부터 액체 잉크를 방출한다. 프린트헤드는 몇몇 유형의 어레이로 배열되는 복수의 잉크젯을 포함한다. 각각의 잉크젯은 프린트헤드 제어기에 결합된 열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thermal or piezoelectric actuator)를 갖는다. 프린트헤드 제어기는 이미지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발사 신호(firing signal)를 생성한다. 프린트헤드의 잉크젯 내의 액추에이터는 잉크 챔버로 확장되어 이미지 수용 부재 상으로 잉크젯 노즐을 통해 잉크 액적을 방출하고 발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는 잉크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발사 신호에 응답한다.
일부 잉크젯 이미징 장치는 저 점도 상태로부터 고 점도 상태로 비교적 신속하게 변화하는 잉크를 사용한다. 수성 잉크는 그러한 잉크이며, 인쇄 작업 동안에도 비교적 빈번하게 작동되지 않는 잉크젯에서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수성 잉크 색상은 다른 잉크 색상보다 건조되기 더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식은 잉크 이미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잉크젯을 발사시켜서 잉크가 잉크젯을 통해 계속 이동하고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잉크 이미지의 품질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미사용 잉크젯을 발사시키는 것은 어려운데, 그 이유는 잉크 이미지 위에 관련없는 잉크를 산포시켜 인간 관찰자의 눈으로부터 잉크를 위장하기 위해 복잡한 계획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잉크젯의 가끔의 발사에 의지함이 없이 인쇄 작업 동안에 수성 잉크가 건조하지 않도록 잉크젯 내에서 수성 잉크의 점도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 작동 방법은 인쇄 구역 환경을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게 한다. 본 방법은 매체를 매체 이송부에 의해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시키는 단계; 매체가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매체 상에 잉크 이미지들을 형성하도록 프린트헤드들을 작동시키는 단계; 가습 챔버(humidifying chamber)의 저장소 내의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는 단계; 공기를 공기 유입구를 통해 가습 챔버 내로 이동시켜 공기에 가습하는 단계; 가습 챔버로부터의 가습된 공기를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 및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프린트헤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의 면판(faceplate)과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의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환경 컨디셔너(environmental conditioner)가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구역에서 공기를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들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게 한다. 환경 컨디셔너는 일정 체적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갖는 가습 챔버; 저장소 내의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 가습 챔버 내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구; 가습 챔버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제거하고, 가습된 공기를 프린트헤드의 면판과 프린트헤드의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터의 인쇄 구역 환경을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들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게 하는 장치를 가지고 구성된다. 프린터는 복수의 프린트헤드들; 매체가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프린트헤드들이 매체 상에 잉크 이미지들을 형성하도록 매체를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매체 이송부; 및 환경 컨디셔너를 포함하고, 환경 컨디셔너는 일정 체적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갖는 가습 챔버; 물 저장소 내의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 가습 챔버 내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구; 가습 챔버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제거하고, 가습된 공기를 프린트헤드의 면판과 프린트헤드의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배출부를 구비한다.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도록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구역 환경을 컨디셔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전술한 태양 및 다른 특징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잉크 이미지를 매체의 웨브(web)에 직접 인쇄하고, 프린터 내의 인쇄 구역 환경을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게 하는 수성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프린터 내의 인쇄 구역 환경을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게 하는 도 1의 프린터를 위한 환경 컨디셔너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프린터 내의 인쇄 구역의 입구에 위치된,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컨디셔너들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컨디셔너들의 작동을 위한 최대 및 최소 온도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도 1의 프린터를 위한 절대 최대 습도 및 최소 절대 습도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온도 및 습도 수준들의 그래프.
도 5는 프린터 내의 인쇄 구역 환경을 컨디셔닝하여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도 1의 프린터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환경뿐만 아니라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상세 사항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도면이 참조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요소를 지시하기 위해 전체에 걸쳐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어 "프린터"는 디지털 복사기, 서적제조 기계, 팩스기, 다기능 기계 등과 같은, 매체 상에 잉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스 방향"은 이미징 드럼 또는 인쇄 매체와 같은 이미지 수용 표면의 이동 방향을 지칭하고, 용어 "프로세스-횡단(cross-process) 방향"은 이미지 수용 표면의 평면 내에서 프로세스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이다. 또한, 아래에 제시된 설명은 프린터 내의 잉크젯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의 증발을 감소시키기 위해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구역 내의 공기를 컨디셔닝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환경 컨디셔닝"은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그의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고 건조되지 않도록 프린터의 인쇄 구역에서 주위 공기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독자는 또한 이러한 설명에 기재된 원리가 다른 마킹 재료의 픽셀에 의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유사한 이미징 장치에 적용가능한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은 제어기(80)가 프린트헤드(34A, 34B, 34C, 34D)의 노즐에서의 수성 잉크가 인쇄 작업 동안에 저 점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고속 수성 잉크 이미지 생성 기계 또는 프린터(10)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제어기(80)가 샤프트(42)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액추에이터(40)들 중 하나를, 샤프트 및 샤프트를 중심으로 장착된 권취 롤(take up roll)(46)을 회전시키도록 작동시킴으로써 프린터(10)를 통해 당겨지는 매체의 웨브(W)의 표면 상에 잉크 이미지를 직접 형성하는 프린터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린트헤드 모듈은 프린터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프로세스-횡단 방향으로 가장 넓은 매체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단지 하나의 프린트헤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린트헤드 모듈은, 각각의 프린트헤드가 프린터가 인쇄할 수 있는 프로세스-횡단 방향으로 가장 넓은 매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복수의 프린트헤드를 갖는다. 이들 모듈에서, 프린트헤드는 단일 프린트헤드보다 넓은 매체가 인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엇갈린 프린트헤드의 어레이로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프린트헤드는 또한 프로세스-횡단 방향으로 프린트헤드에 의해 방출되는 액적의 밀도가 프로세스-횡단 방향으로 프린트헤드 내의 잉크젯들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 클 수 있도록 인터레이싱될(interlaced) 수 있다.
수성 잉크 전달 서브시스템(20)은 하나의 색상의 수성 잉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저장소를 갖는다. 예시된 프린터(10)가 다색 이미지 생성 기계이기 때문에, 잉크 전달 시스템(20)은 4가지 상이한 색상(CYMK)(시안, 황색, 마젠타, 흑색)의 수성 잉크에 해당하는 4개의 잉크 저장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잉크 저장소는 프린트헤드 모듈 내의 프린트헤드 또는 프린트헤드들에 연결되어 모듈 내의 프린트헤드에 잉크를 공급한다. 퍼지(purge) 시스템(24)의 압력 공급원 및 통기구(vent)는 또한 프린트헤드 모듈 내의 프린트헤드와 잉크 저장소 사이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매니폴드 및 잉크젯 퍼지를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도 1에 도시되지 않지만, 프린트헤드 모듈 내의 각각의 프린트헤드는 매니폴드 및 잉크젯 퍼지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잉크를 수집하기 위하여 밸브에 의해 대응하는 폐잉크 탱크에 연결된다. 프린트헤드 모듈(34A 내지 34D)은 제어기(80)에 의한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의 작동을 위한 연관된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한 연결은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프린터(10)가 각각 프린트헤드의 2개의 어레이를 갖는 4개의 프린트헤드 모듈(34A 내지 34D)을 포함하지만, 대안적인 구성은 모듈 내에 상이한 개수의 프린트헤드 모듈 또는 어레이를 포함한다. 제어기(80)는 또한 더욱 완전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린트헤드 모듈 내의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 잉크의 저 점도를 보존하기 위해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를 작동시킨다.
잉크 이미지가 웨브(W) 상에 인쇄된 후에, 이미지는 이미지 건조기(30) 아래로 통과한다. 이미지 건조기(30)는 잉크 이미지를 가열하고 이미지를 웨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적외선 히터, 가열식 공기 송풍기, 공기 순환기(air return), 또는 이들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히터는 잉크 내의 물 또는 용제를 증발시키기 위해 웨브의 표면 상의 인쇄된 이미지에 적외선 열을 인가한다. 가열식 공기 송풍기는 잉크로부터의 물 또는 용제의 증발을 보완하도록 가열된 공기를 잉크 위로 지향시킨다. 공기는 이어서 프린터 내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공기 유동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 순환기에 의해 수집되어 배기된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웨브(W)는 제어기(80)가 매체 롤이 샤프트(36)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매체 롤(38)로부터 웨브를 당기기 위해 권취 롤(46)이 그 상에 배치된 샤프트(42)를 회전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40)를 작동시킴으로써 필요한 대로 매체의 롤(38)로부터 풀린다. 웨브가 완전히 인쇄된 때, 권취 롤은 샤프트(4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쇄된 웨브는 매체를 재단, 정합(collating), 제본(binding), 및 스테이플링(stapling)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다른 처리 스테이션(도시되지 않음)으로 지향될 수 있다.
기계 또는 프린터(10)의 다양한 서브시스템, 구성요소, 및 기능의 작동 및 제어는 제어기 또는 전자 서브시스템(ESS)(80)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ESS 또는 제어기(80)는 잉크 전달 시스템(20), 퍼지 시스템(24), 프린트헤드 모듈(34A 내지 34D)(및 그에 따른 프린트헤드), 액추에이터(40), 히터(30), 및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의 구성요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ESS 또는 제어기(80)는 예를 들어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를 가진 중앙 프로세서 유닛(CPU), 및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50)를 갖는 독립형, 전용 미니-컴퓨터이다. ESS 또는 제어기(80)는 예를 들어 센서 입력 및 제어 회로뿐만 아니라 픽셀 배치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CPU는 이미지 입력 소스, 예컨대 스캐닝 시스템 또는 온라인 또는 워크 스테이션 연결과 프린트헤드 모듈(34A 내지 34D) 사이의 이미지 데이터 흐름을 판독, 캡처, 준비 및 관리한다. 이와 같이, ESS 또는 제어기(80)는 인쇄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다른 기계 서브시스템 및 기능 모두를 작동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주 멀티-태스킹 프로세서(main multi-tasking processor)이다.
제어기(80)는 프로그래밍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범용 또는 특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와 연관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그들의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회로는 후술되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기를 구성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인쇄 회로 카드 상에 제공되거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내의 회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 회로들 각각이 별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다수의 회로가 동일한 프로세서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로들은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ed) 회로 내에 제공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들 또는 회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회로들은 프로세서들, ASIC들, 별개의 구성요소들, 또는 VLSI 회로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생성될 이미지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가 프린트헤드 모듈(34A 내지 34D)로 출력되는 프린트헤드 제어 신호의 생성 및 처리를 위해 스캐닝 시스템 또는 온라인 또는 워크 스테이션 연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어기(80)로 송신된다. 추가적으로, 제어기(8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한 조작자 입력으로부터 관련 서브시스템 및 구성요소 제어를 결정 및 수용하고, 그에 따라 그러한 제어를 실행한다. 결과적으로, 적절한 색상을 위한 수성 잉크가 프린트헤드 모듈(34A 내지 34D)에 전달된다. 추가적으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잉크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웨브의 표면에 대한 픽셀 배치 제어가 수행되고, 매체는 권취 롤 상에 감기거나 달리 처리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프린트헤드로부터의 신속하게 건조되는 잉크의 증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가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프린트헤드의 노즐에서의 잉크의 점도를 노즐에서의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에 적절한 점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승온에서 높은 상대 습도를 갖는 가습된 공기로 프린트헤드의 면판을 덮도록 환경 컨디셔너(60)를 작동시키는 프로세스(400)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아래의 논의에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400)에 대한 언급은 프린터 내의 다른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기(80)와 같은, 제어기의 작동을 지칭한다. 프로세스(400)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도 1의 프린터(10) 내의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잉크젯 비활동의 기간 동안 수성 잉크의 증발을 감소시키는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 60', 60")의 3가지 상이한 실시예가 도 2a, 도 2b, 및 도 2c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컨디셔너들 각각은 가습 챔버(204), 히터(208), 주위 공기 유입구(212), 및 가습된 공기 배출부(21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주위 공기가 주위 공기 유입구(212)를 통해 가습 챔버(204)에 들어가고, 공기의 수분 용량을 상승시키도록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를 적절한 습도 수준으로 가습시킨 후에, 처리된 공기는 프로세스 방향으로 인쇄 구역을 통해 이동하는 매체와 프린트헤드들 사이의 인쇄 구역 내로 배출된다. 컨디셔너(60)들은 가습 챔버 내에서 공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들의 구성 및 유형이 상이하다. 도 2a에서, 가습 챔버(204)는 미리 결정된 체적의 물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물 저장소(220)를 포함한다. 물 저장소(220)로의 물 유입구는 도관(228)에 의해 물 공급원(232)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어기(80)는 도관(228) 내에 삽입된 밸브(23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물 저장소(220) 내의 유체 레벨 센서(240)는 저장소(220) 내의 수위(water level)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기(80)는 센서(2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240)로부터의 신호가 저장소 내의 수위가 미리 결정된 최소치임을 나타낼 때 물이 저장소(220)로 들어가도록 밸브(236)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기(80)는 또한 센서(240)로부터의 신호가 저장소 내의 수위가 미리 결정된 최대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밸브를 폐쇄하도록 밸브(236)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주위 공기 유입구(212)는 천공된 구멍(248)들을 갖는 매니폴드(244)에 연결된다. 유입 주위 공기는, 물이 매니폴드로 들어감이 없이, 공기를 매니폴드(244) 내로 그리고 매니폴드 내의 천공된 구멍들을 통해 외부로 가압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팬(fan) 또는 펌프와 같은 압력원(252)에 의해 가압된다. 온도 센서(256)가 저장소 내의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소(220) 내에 위치되고, 센서(256)는 저장소(220) 내의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히터(208)는 또한 제어기(80)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제어기(80)는 센서(256)로부터의 신호가 물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최소 온도 미만임을 나타낼 때 히터를 작동시켜 저장소 내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센서(256)로부터의 신호가 저장소(220) 내의 물이 미리 결정된 최대 온도 이상임을 나타낼 때, 제어기(80)는 히터(208)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의 최대 온도는 가습된 공기가 프린트헤드의 면판 상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린트헤드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높으며, 최소 온도는 공기의 물 운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입 주위 공기의 온도보다 높다. 따라서, 매니폴드(244) 내의 천공된 구멍들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저장소(220)의 가열된 물을 통해 스며들어, 공기가 가열되어 그의 물 흡수 용량을 증가시키게 하고, 가열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216)를 통해 가습 챔버(204)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가습되게 한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컨디셔너의 물 유입구(224)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도관(228)을 통해 물 공급원(232)에 연결되고, 수위는 레벨 센서(240)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제어기가 밸브(236)를 작동시켜 수위를 도 2a에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이상으로 유지하게 하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256)는 제어기(80)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제어기가 가습 챔버(204)의 물 저장소(220) 내의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히터(208)를 작동시키게 한다. 역시나, 이들 구성요소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도 2b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212)는 저장소(220) 내의 물의 최대 수위 위에 위치된다. 초음파 무화기(atomizer)(260)가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초음파 무화기(260)가 가열된 물을 진동시켜 가습 챔버(204) 내에서 수분 미스트(mist)를 생성하게 한다. 가열된 물은 유입 공기를 가열하여 공기의 수분 용량을 증가시키고, 공기는 공기 배출부(216)를 통해 가습 챔버(204)를 빠져나가기 전에 수분 미스트를 흡수한다.
도 2c의 실시예에서, 가습 챔버(204)에는 물 공급원(232)으로부터 물 유입구(224) 및 도관(228)을 통해 물이 제공되는 물 저장소(220)가 제공되며, 저장소(220) 내의 물의 수위는 도 2a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수위 센서(240) 및 밸브(236)를 사용하여 제어기(80)에 의해 컨디셔닝되지만,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제어기(80)는 히터(208)를 작동시켜 저장소(220) 내의 물을 가열하고, 저장소 내의 물의 온도는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256)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기에 의해 조절된다. 저장소(220) 내의 가열된 물 위의 공기 공간은 위킹 천(wicking fabric)(268),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섬유(예를 들어, 면), 합성 섬유 및 다른 재료로 제조된 직조 천, 특히 향상된 친수성을 위해 처리된 직조 천으로 채워진다. 위킹 천(268)은 저장소(220) 내의 가열된 물로부터 생성되는 가열된 수분을 흡수한다. 유입 공기 유입구(212)는 공기를 위킹 천(268)을 통해 배출부(216)로 밀어내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공기를 이러한 위킹 천(268) 내로 안내하도록 위치된다. 공기가 위킹 천(268)을 통해 이동할 때, 공기는 가열되어 그의 수분 용량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가열된 공기는 위킹 천을 통해 순환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공기의 상대 습도를 증가시킨다.
이들 3개의 컨디셔너 구성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팬 또는 펌프일 수 있는 다른 압력원(272)(도 1에 도시됨)이 제어기(80)에 의해 작동되어, 가열되고 가습된 공기를 가습된 공기 배출부(216)로부터 끌어당기며, 가습된 공기를 인쇄 구역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인쇄 구역에 평행한 튜브 또는 매니폴드(276)(도 1) 내로 안내한다. 이러한 튜브 또는 매니폴드(276)는 프린트헤드와 웨브(W) 사이의 인쇄 구역의 에지에서 천공된 구멍들을 가져, 가습된 공기가 튜브 또는 매니폴드를 빠져나가고 프린트헤드의 면판과 인쇄 구역을 통해 이동하는 웨브(W) 사이의 인쇄 구역에 들어가게 한다. 압력원(272)은 이러한 배출된 공기의 속도를, 인쇄 구역을 통해 이동하는 매체를 향해 잉크젯의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잉크 액적의 비행 경로를 교란시킬 미리 결정된 속도보다 아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인쇄 구역 내의 가습된 공기는 프린트헤드의 노즐 내의 잉크가 노즐에서 건조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컨디셔너(60)의 3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컨디셔너(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가 인쇄 영역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매체 위에 위치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가습된 공기 배출부(216)는, 매체가 인쇄 구역에 들어갈 때, 가열되고 가습된 공기를 매체를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습된 공기는 프린트헤드의 노즐 내의 잉크가 노즐에서 건조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매체에 의해 인쇄 구역 내로 운반된다.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에 대한 온도 요건은 도 4에 도시된 곡선들을 참조하여 논의된다. 가열되고 가습된 공기는 인쇄 구역 내에서 프린트헤드의 이슬점 미만인 상대 습도 수준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가열되고 가습된 공기는 면판 상에 응축되고 아마도 매체 상으로 적하된다. 도 4 내의 곡선(404)은 프린트헤드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의 절대 습도를 묘사한다. 본 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100% 상대 습도"는 곡선(404)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온도에서의 공기의 이슬점을 의미한다. 곡선(408, 412, 416)들은 그래프에 도시된 온도 범위에 걸쳐 80%, 50%, 및 20% 상대 습도 수준을 각각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온도 범위 및 상대 습도 범위는 37℃의 예시적인 온도에서 작동되는 프린트헤드에 대한 것이다.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에 대한 작동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하기 절차가 도 4의 그래프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최대 절대 습도는 그래프 상의 점 B인, 최대 프린트헤드 온도에서의 이슬점에 의해 결정된다. 최소 절대 습도는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헤드의 유형 및 방출되고 있는 잉크에 의존하고 실험에 의해 경험적으로 결정되며, 이 값은 점 A에서 수분 포화 곡선(100% 상대 습도)과 교차한다. 점 B에서의 온도는 컨디셔너의 최대 작동 온도(Tmax)이고, 이는 습도가 점 B에서의 이슬점을 초과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공기가 100% 상대 습도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가습된 공기가 프린트헤드 면판에 도달하기 전에 인쇄 구역 내에서의 또는 그 둘레에서의 주위 공기에 의한 가습된 공기의 잠재적인 희석 때문에, Tmax는 점 B에서의 온도보다 약간 더 높을 수 있다. 점 A에서의 온도는 컨디셔너에 대한 최소 작동 온도(Tmin)의 하한이다. 이러한 최소 온도에서, 수분의 어떠한 손실도 없는 100% 상대 습도는, 노즐 내의 잉크를 적절하게 수화된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수분을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 실제로, Tmin은 점 A에서의 온도보다 상당히 더 높아야 한다. 작동 온도 및 상대 습도의 범위들은 삼각형-유사 형상(AB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예시된다. 제어기가 컨디셔너의 작동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경우, 컨디셔너의 최적 작동 온도는 점 B에서의 온도보다 약간 낮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온도에서, 상당한 범위의 상대 습도 백분율이 허용될 수 있으며, 잉크젯 내의 잉크가 적절하게 수화된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수분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상대 습도가 50%인 주위 공기와 비교하여, 컨디셔너(60)는 프린트헤드의 면판 상에서의 수분 응축의 상당한 위험 없이 인쇄 동안 37℃에서 프린트헤드 면판에 최대 5배 더 많은 수분을 제공한다.
도 5는 인쇄 작업 동안 프린터의 인쇄 구역 내의 프린트헤드의 면판에 가열되고 가습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컨디셔너(60)를 작동시키는 프로세스(500)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아래의 논의에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스(500)에 대한 언급은 프린터 내의 다른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기(80)와 같은, 제어기의 작동을 지칭한다. 프로세스(500)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도 1의 프린터(10) 내의 인쇄 구역 환경 컨디셔너(60)에 대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프로세스(500)는 최대 및 최소 절대 습도가 식별되는 것으로 시작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최대 및 최소 물 온도들이 식별된다(블록 504). 인쇄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제어기는 물 저장소(220)를 적절한 수위로 채우고, 물의 온도를 작동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한다(블록 508). 인쇄 작업이 시작됨에 따라, 주위 공기가 가습 챔버 내로 이동되고(블록 512), 가습 챔버에서 주위 공기는 인쇄 구역 내로 배출되기 전에 수분 및 열을 흡수한다(블록 516). 인쇄 작업이 계속됨에 따라, 제어기는 전술된 바와 같이 물 저장소 내의 수위뿐만 아니라 전술된 바와 같이 물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세스를 계속한다(블록 520). 인쇄 작업이 정지될 때(블록 524), 다른 인쇄 작업이 검출될 때까지(블록 532) 가습 챔버로의 물의 유동이 억제되고 히터가 비활성화된다(블록 528).
상기에 개시된 특징부 및 기능 그리고 다른 특징부 및 기능, 또는 이들의 대안의 변형이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다른 상이한 시스템 또는 응용에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현재 예측되지 않거나 예상되지 않는 그의 다양한 대안, 수정, 변형 또는 개선이 당업자에 의해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또한 의도된다.

Claims (27)

  1.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환경 컨디셔너(environmental conditioner)로서,
    일정 체적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갖는 가습 챔버(humidifying chamber);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
    상기 가습 챔버 내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구;
    상기 가습 챔버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제거하고, 상기 가습된 공기를 프린트헤드(printhead)의 면판(faceplate)과 상기 프린트헤드의 상기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배출부
    를 포함하는, 환경 컨디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로의 물 유입구;
    일 단부에서 물 공급원에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물 유입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관;
    상기 물 공급원과 상기 저장소 사이의 물의 이동에 대해 상기 도관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도관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밸브;
    상기 저장소 내의 수위(water level)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위 센서; 및
    상기 밸브 및 상기 수위 센서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어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수위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초과이고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미만인 것으로 식별할 때 물이 상기 도관을 통해 상기 저장소 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도관을 개방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초과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물이 상기 도관을 통해 상기 저장소 내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도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환경 컨디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히터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어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물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의 상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최대 온도 초과이고 미리 결정된 최소 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물 온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물 온도 미만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물 온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물 온도 초과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히터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환경 컨디셔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천공된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최소 수위 아래에서 상기 저장소 내에 위치되는 매니폴드; 및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미리 결정된 압력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매니폴드를 통해 이동시켜, 상기 공기가 상기 매니폴드 내의 상기 천공된 구멍들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를 빠져나가게 하고, 상기 가습 챔버를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게 하는 압력원
    을 더 포함하는, 환경 컨디셔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아래로 상기 저장소 내에 위치된 초음파 무화기(atomiz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무화기는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진동시켜 상기 가습 챔버 내에서 수분 제공된(moisturized)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위에 위치되는, 환경 컨디셔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챔버 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위에 위치된 위킹(wicking)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위킹 재료 내로 이동시키도록 위치되는, 환경 컨디셔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기다란 공간을 따라 상기 가습된 공기를 분배하도록 복수의 구멍들을 갖는, 환경 컨디셔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가습된 공기를 매체 이송 표면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환경 컨디셔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프린트헤드 온도 작동 범위를 위한 최소 절대 상대 습도를 식별하고 상기 프린트헤드 온도 작동 범위를 위한 최대 절대 상대 습도를 식별하도록, 그리고
    식별된 최소 절대 상대 습도 및 최대 절대 상대 습도를 사용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물 온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물 온도를 식별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환경 컨디셔너.
  10. 프린터로서,
    복수의 프린트헤드들;
    매체가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린트헤드들이 상기 매체 상에 잉크 이미지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매체를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매체 이송부; 및
    환경 컨디셔너
    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일정 체적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저장소를 갖는 가습 챔버;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히터;
    상기 가습 챔버 내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공기 유입구;
    상기 가습 챔버로부터 가습된 공기를 제거하고, 상기 가습된 공기를 프린트헤드의 면판과 상기 프린트헤드의 상기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물 저장소로의 물 유입구;
    일 단부에서 물 공급원에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물 유입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관;
    상기 물 공급원과 상기 저장소 사이의 물의 이동에 대해 상기 도관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상기 도관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밸브;
    상기 저장소 내의 수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위 센서; 및
    상기 밸브 및 상기 수위 센서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어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수위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초과이고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미만인 것으로 식별할 때 물이 상기 도관을 통해 상기 저장소 내로 이동하도록 상기 도관을 개방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초과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물이 상기 도관을 통해 상기 물 저장소 내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도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저장소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히터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어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의 상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최대 온도 초과이고 미리 결정된 최소 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물 온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물 온도 미만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물 온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물 온도 초과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히터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린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천공된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최소 수위 아래에서 상기 저장소 내에 위치되는 매니폴드; 및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미리 결정된 압력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 및 상기 매니폴드를 통해 이동시켜, 상기 공기가 상기 매니폴드 내의 상기 천공된 구멍들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를 빠져나가게 하고, 상기 가습 챔버를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게 하는 압력원
    을 더 포함하는, 프린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아래로 상기 저장소 내에 위치된 초음파 무화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무화기는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진동시켜 상기 가습 챔버 내에서 수분 제공된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물 저장소 내의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위에 위치되는, 프린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물 챔버 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위에 위치된 위킹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위킹 재료 내로 이동시키도록 위치되는, 프린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가습된 공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공기 배출부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매니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가습된 공기를 상기 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헤드들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도록 복수의 구멍들을 갖는, 프린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컨디셔너는 상기 매체 이송부가 상기 프린트헤드들 옆을 지나기 전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매체 이송부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상기 환경 컨디셔너의 상기 공기 배출부는 상기 가습된 공기를 상기 매체 이송부의 표면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프린트헤드 온도 작동 범위를 위한 최소 절대 상대 습도를 식별하고 상기 프린트헤드 온도 작동 범위를 위한 최대 절대 습도를 식별하도록, 그리고
    식별된 최소 절대 상대 습도 및 최대 절대 상대 습도를 사용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물 온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물 온도를 식별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프린터.
  19. 프린터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매체를 매체 이송부에 의해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매체가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지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매체 상에 잉크 이미지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프린트헤드들을 작동시키는 단계;
    가습 챔버의 저장소 내의 물을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로 가열하는 단계;
    공기를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가습 챔버 내로 이동시켜 상기 공기에 가습하는 단계;
    상기 가습 챔버로부터의 가습된 공기를 공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 및
    배출되는 가습된 공기를 상기 프린트헤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의 면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의 상기 면판 옆을 지나는 매체용 경로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수위 센서에 의해, 상기 가습 챔버의 상기 저장소 내의 수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기에 의해,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물 저장소 내의 상기 수위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초과 및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 물 공급원을 상기 저장소의 물 유입구에 연결하는 도관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수위 미만인 것으로 식별할 때 물이 상기 도관을 통해 상기 저장소 내로 이동하도록 개방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수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수위 초과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물이 상기 도관을 통해 상기 저장소 내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시키기 위해 상기 도관을 폐쇄하도록 밸브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에 의해, 상기 가습 챔버의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의 상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최대 온도 초과 및 미리 결정된 최소 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물 온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물 온도 미만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물을 가열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물 온도를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물 온도 초과인 것으로 식별할 때 상기 히터를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압력원에 의해, 천공된 구멍들을 갖는 매니폴드에 연결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미리 결정된 압력에서 공기를 이동시켜, 상기 공기가 상기 매니폴드 내의 상기 천공된 구멍들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를 빠져나가게 하고, 상기 가습 챔버를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가습 챔버 내의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통과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무화기에 의해, 상기 가습 챔버의 상기 저장소 내의 상기 물을 진동시켜 상기 가습 챔버 내에 수분 제공된 공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부를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위킹 재료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챔버의 상기 공기 배출부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매니폴드에 의해, 상기 가습된 공기를 상기 매체 이송부와 상기 프린트헤드들 사이의 공간 내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에 의해, 상기 매체 이송부가 상기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통과하기 전의 일정 위치에서 상기 가습된 공기를 상기 매체 이송부의 표면을 향해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프린트헤드 온도 작동 범위를 위한 최소 습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에 의해, 상기 프린트헤드 온도 작동 범위를 위한 최대 습도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최소 습도 및 최대 습도를 사용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최대 물 온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최소 물 온도를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161227A 2019-12-18 2020-11-26 프린트헤드에서의 수성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83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19,327 2019-12-18
US16/719,327 US20210187953A1 (en) 2019-12-18 2019-12-18 System And Method To Attenuate The Drying Of Aqueous Inks In A Print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397A true KR20210078397A (ko) 2021-06-28

Family

ID=7634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27A KR20210078397A (ko) 2019-12-18 2020-11-26 프린트헤드에서의 수성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87953A1 (ko)
JP (1) JP2021094850A (ko)
KR (1) KR20210078397A (ko)
CN (1) CN1129768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3393B1 (en) 2021-11-17 2023-06-1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ink viscosity in inkjets in an inkjet printer during printing
US11712897B1 (en) 2022-01-21 2023-08-0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ink viscosity in inkjets in an inkjet printer during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538B1 (en) * 2000-05-15 2006-0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printing with air current disruption
JP2005271316A (ja) * 2004-03-23 2005-10-0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201343575Y (zh) * 2008-12-11 2009-11-11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铝电解槽用阳极夹紧装置
JP5489659B2 (ja) * 2009-11-06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185319B2 (ja) * 2010-05-14 2013-04-17 株式会社東芝 サーバ室管理用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CN102431289B (zh) * 2010-08-09 2015-05-06 Ntn株式会社 图案修正装置及图案修正方法
JP5871516B2 (ja) * 2010-08-25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9050840B2 (en) * 2013-09-05 2015-06-09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printing position shift
JP2016078250A (ja) * 2014-10-10 2016-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WO2017156410A1 (en) * 2016-03-11 2017-09-14 Moleaer, Inc Compositions containing nano-bubbles in a liquid carrier
CN106403083B (zh) * 2016-11-09 2021-11-19 北京工业大学 一种喷淋草芯的空气加湿、洗尘、降温装置
JP2019014139A (ja) * 2017-07-06 2019-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JP7137921B2 (ja) * 2017-11-07 2022-09-15 株式会社堀場エステック 気化システム及び気化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7953A1 (en) 2021-06-24
CN112976820A (zh) 2021-06-18
JP2021094850A (ja)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1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wpoint in a print zone within an inkjet printer
KR20210078397A (ko) 프린트헤드에서의 수성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7172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enuating the drying of ink from a printhead during periods of printer inactivity
JP2016215632A (ja) 水性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内の印刷ゾーンにおける印刷ヘッドの凝縮を低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77029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714683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including a humidifying unit
US11059289B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ink drop directionality degradation and perform remedial measures to prevent failing inkjets in printheads
US105185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enuating the drying of ink from a printhead
CN111300989B (zh) 用于减弱来自印刷头的油墨的干燥的系统和方法
US10919299B1 (en) System and method to counteract the drying of aqueous inks in a printhead
KR102548022B1 (ko) 아이들 기간 중에 프린트헤드로부터의 잉크의 건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7128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ink viscosity in inkjets in an inkjet printer during printing
JP7465728B2 (ja) 印刷機非活動期間中に印刷ヘッドからのインクの乾燥を減衰させるための印刷ヘッドキャップ
US107103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enuating the drying of ink from a printhead during periods of printhead inactivity
US202301502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ink viscosity in inkjets in an inkjet printer during printing
US10889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enuating the drying of ink from a printhead during periods of printer inactivity
US11884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documents with texture
KR102628066B1 (ko)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인쇄된 기재 내의 컬을 감쇠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113835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urging printh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