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647A -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 Google Patents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647A
KR20210077647A KR1020200177530A KR20200177530A KR20210077647A KR 20210077647 A KR20210077647 A KR 20210077647A KR 1020200177530 A KR1020200177530 A KR 1020200177530A KR 20200177530 A KR20200177530 A KR 20200177530A KR 20210077647 A KR20210077647 A KR 2021007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oligodendrocytes
differentiation
oligodendrocyte
organo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805B1 (ko
Inventor
이상훈
장미윤
우혜지
Original Assignee
코아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스템(주) filed Critical 코아스템(주)
Publication of KR2021007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2Glial cells, e.g. astrocyte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97Artificial constructs associating cells of different lineages, e.g. tissue equival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12N2500/10Metals; Metal chelators
    • C12N2500/20Transition metals
    • C12N2500/24Iron; Fe chelators; Transfer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8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46Amines, e.g. putresc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05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Epidermal growth factor [E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35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48Transforming growth factor alpha [TGF-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5Bone morphogenic proteins [BMP];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 inducing f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12N2501/385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of the family of the retinoic acid recptor, e.g. RAR, RX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12N2501/39Steroid hormones
    • C12N2501/392Sexual stero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40Regulators of development
    • C12N2501/41Hedgehog proteins; Cyclopamine (inhibi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2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mbryonic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45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 C12N2509/10Mechanical dissoc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 C12N2533/32Polylysine, polyornith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2Fibronectin; Lamin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패턴화하고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배양하고 분화를 유도하여 최종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량 확보된 희소돌기아교세포는 기존 분화방법에 의해 분화된 세포에 비해 재현성, 안정성, 기능성 면에서 동등 또는 우수하면서 분화 시간은 현저히 단축시킴으로써 세포치료제나 치료 약물 스크리닝에 매우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Description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Differentiation method of securing large amount of cells by chopping oligodendrocytes enriched 3D organoids prepar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본 발명은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분리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를 다량 확보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으로 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희소돌기아교세포에 병증이 나타나는 신경계 염증성 질환으로는 다발성 경화증, 다계통위축증(MSA)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다계통위축증은 확실한 치료 약제가 없고 또한 급속한 임상경과를 보이는 질환으로, 타입에 따라 병변 부위가 다르며 명확하여 줄기세포 이식치료에 적합한 질환이다. 이러한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 질환의 세포 치료를 위해서는 줄기세포로부터 인간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며, 인간 배아줄기세포(hESC)나 인간 만능줄기세포(hiPSC)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프로토콜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분화법에는 적은 수율과 효율적인 분화법 부재로 바로 임상 적용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 질환들을 연구하기 위해 랫트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생체 내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지만 이러한 동물 모델은 실제 인간의 뇌 환경과는 차이가 있고, 유전적 발현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인간의 질병을 타겟으로 하는 연구에는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로 분화법이 개발되어 왔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1)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 분화로 얻을 수 있는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수율이 적다. 즉, 지금까지 개발된 방법에서는 중간에 증식이 가능한 단계 없이 바로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게 되어 있어 한 번의 분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양에 한계가 있었다.
2)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린다. 현재까지 개발된 분화방법들은 줄기세포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까지 최종 분화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최소 95일부터 200일 이상까지 걸린다. 또한, 증식이 가능한 단계가 없이 바로 희소돌기아교세포까지 분화시키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stock으로 freezing시켜 필요 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단계가 없다.
3) 실제 인간 세포를 이용한 다계통위축증 질병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 분화시킨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이용한 생체 외 다계통위축증(MSA) 병증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물 세포 환경이 아닌 인간 세포 환경에서의 다계통위축증의 병증에 대해 연구하기가 어렵다.
Differentiation of human oligodendrocyte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Nature Protocols. 2009;4(11):1614-22. Human iPSC-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Can Myelinate and Rescue a Mouse Model of Congenital Hypomyelination, Cell Stem Cell Volume 12, Issue 2 Pages 139-264 (7 February 2013) Efficient Generation of Myelinating Oligodendrocytes from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atients b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tem Cell Reports, VOLUME 3, ISSUE 2, P250-259, AUGUST 12, 2014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oligodendrocytes in human three-dimensional neural cultures, Nature neuroscience, 2019 Mar;22(3):484-49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3차원 배양에서 추출된 세포가 기존 2차원 배양된 세포보다 기능적으로 우수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OPCs)를 다수 함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패터닝을 발생시킨, 복부 패터닝 오가노이드(ventral patterning organoid)를 제작하고, 제작된 오가노이드를 해체(chopping), 배양 증식하여, 이로부터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는 새로운 인간 만능 줄기세포 유래 희소돌기아교세포(hPSC-Oligodendrocyte) 분화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패턴화하고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배양하고 분화를 유도하여 최종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얻은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얻은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이용한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패턴화하고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배양하고 분화를 유도하여 최종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만능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 PSC)"는 몸을 구성하는 어떠한 형태의 세포로도 유도 분화가 가능한 줄기세포를 의미하며, 만능 줄기세포에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C)와 유도 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역분화 줄기세포)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오가노이드 (organoid)"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최소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만든 '미니 유사 장기'로서, 3차원 구조로 만들어져 실험실에서도 실제 신체 기관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오가노이드 (organoid)"는 3D 입체구조를 가지는 세포를 의미하며, 동물 등에서 수집, 취득하지 않은 인공적인 배양 과정을 통하여 제조한 신경, 장 등의 장기와 유사한 모델을 의미한다. 이를 구성하는 세포의 유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가노이드 (organoid)는 세포의 성장 과정에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되는 환경을 가질 수 있다. 2D 배양과는 달리, 3D 세포 배양은 체외에서 세포가 모든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3D 오가노이드는 실제로 생체 내에서 상호 작용을 하고 있는 장기를 거의 완벽히 모사하여, 질병의 치료제 개발 및 등을 관찰할 수 있는 훌륭한 모델이 될 수 있다.
오가노이드는(organoid)는 일반적으로 인간 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킨슨병 유래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신경외배엽 구체 (neuroectodermal sphere) 형태의 신경외배엽 구체로 분화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화"는 세포가 분열하여 증식하며 전체 개체가 성장하는 동안에 세포의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형태 및 기능으로 변하는 과정을 말하며, 예를 들어, 만능 줄기세포가 외배엽(대뇌 피질, 중뇌, 시상하부 등), 중배엽(난황낭 등) 및 내배엽 세포로 변하는 과정뿐 아니라 조혈모세포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변하는 과정, 즉 전구세포가 특정 분화형질을 발현하게 되는 것도 모두 분화에 포함될 수 있다.
기존의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바로 분화 유도하여 해당 세포로 분화시키는 경우 세포주 또는 실험실(실험 환경)에 따라 재현성에 문제가 있으며, 안정적인 유지인자 발현이 되지 않으며, 일례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경우에는 실제의 생체 내에서도 다른 신경계의 세포들 중에서 가장 발생 시기가 늦고, 현재까지 적절한 대량 분화법이 개발되지 않아, 한번의 분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최종 세포의 양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충분히 포함될 수 있는 배쪽 신경관 오가노이드 (ventral neural tube organoid) 를 패턴화하여 제작하고 (target cell enriched), 즉 각 타겟으로 하는 세포를 최대한 함유하고 있는 오가노이드 확보, 이 오가노이드 조직을 해체하여 해당 줄기세포 또는 전구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이차원적으로 분화 유도된 세포군에 대비하여, 실제의 뇌로부터 분리된 세포와 보다 비슷하고, 그 특성이 잘 유지되고 있으며, 생존력이 확보된 세포군으로의 분화 확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패턴화"는 오르가노이드 제작 시에, 뇌 세부 조직들 중 최종적으로 뽑아내고자 하는 세포의 오리진 조직의 특성을 지니는 운명체의 세포군을 다수의 세포군으로 함유되도록 (target cell enriched) 오르가노이드를 제작함을 의미한다. 또한, 패턴화 마커는 발생 단계에 따라, NKX2.2, SOX10, OLIG2, A2B5, PDGFRa, O4, MBP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해체(chopping)"는 계대 배양 전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물리적으로 (예, 니들을 이용 등) 여러 조각으로 잘라 나누어 흩어지게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1) 인간 만능 줄기세포를 증식 배양하여 3D 오가노이드를 제작하는 단계;
2)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패턴화하고 해체하는 단계; 및
3) 상기 해제된 오가노이드로부터 뽑아낸 세포들 내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증식시키고 다량 분화 유도하여 최종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간 만능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다량 확보하고 이를 최종 분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다량"은 처음 사용한 만능줄기세포 1개의 배양접시(dish)의 시작으로부터 도입하였을 때 (25~30개)의 3D 오가노이드 제작하고, 이 오가노이드들을 해체하여 생존 세포를 확보하고, 이를 5번의 계대배양을 기준으로 대략 약 100~130배로 증가된 양을 의미한다. 특히, 단순한 양적인 증식뿐만 아니라, 특성의 유지까지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는 배아 신경관(Embryonic neural tube)의 배엽대(Ventricular germinal zone)에서 형성되어 다른 지역으로 이주(migration)하며, 도착한 신경 영역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Differentiation)한 뒤에 주변의 축삭돌기에 대해 미엘린초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희소돌기아교세포"는 희소돌기아교세포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로부터 만들어진다.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뻗어 나온 가지는 주변의 신경세포 축삭돌기를 감싸는 미엘린초를 형성하며, 하나의 희소돌기아교세포가 50여 개의 서로 다른 축삭돌기를 감싸기도 한다. 신경세포와 밀접한 연관이 있고, 다른 신경교세포와 마찬가지로 뉴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확보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를 포함한다.
"세포치료제"는 대상체로부터 분리, 배양 및 특수한 저작을 통해 제조된 세포 및 조직으로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미국 FDA규정)으로서, 세포 혹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동종, 또는 이종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선별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지칭한다. 세포치료제는 세포의 분화 정도에 따라 크게 체세포치료제, 줄기세포치료제로 분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상체"는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소, 돼지, 말, 염소, 개, 고양이, 쥐, 생쥐, 토끼, 기니아 피그, 인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질환과 관련된 임상적 상황을 억제하거나 완화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증가된 생존을 의미할 수 있다. 치료는 치료적 수단 이외에 예방적 수단을 동시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는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에 의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에 의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은 예를 들어 다계통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MSA),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척수 손상, 뇌졸중, 루이체치매 및 알파시누클린 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확보된 희소돌기아교세포는 세포 치료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포 치료제로서 포함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각종 제형의 형태로 통용되는 기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는 질병 부위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든지 투여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줄기세포를 병변으로 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비히클에 로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는 국소 (협측, 설하, 피부 및 안내 투여를 포함), 비경구 (피하, 피내, 근육내, 점적, 정맥 내, 동맥 내, 관절 내 및 뇌척수액 내를 포함) 또는 경피성 투여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병부위에 직접 투여한다. 일 양태로서 세포는 적합한 희석제에 약 현탁시켜 개체에 투여할 수 있는데, 이 희석제는 세포를 보호 및 유지하고, 목적하는 조직에 주입 시 사용에 용이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희석제로는 생리식염수, 인산완충용액, HBSS 등의 완충용액, 뇌척수액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약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주사제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Hank 용액 또는 멸균된 수용액 등의 수성용제, 올리브 오일 등의 식물유, 에틸올레인산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비수성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점막 투과를 위해, 통과할 배리어에 적합한 당업계에 공지된 비침투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변질방지를 위한 안정화제로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과,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의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 등의 약학적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확보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이용한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확보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중요한 특징으로 다량의 세포 생산 확보 가능성과 냉동보존 시에도 그 특성의 유지로 장기간 같은 성격의 세포군 유지 가능성, 생체 유래 세포와 보다 흡사하게 분화됨에 있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나, 동일한 상태의 다량의 세포를 요구하고 이의 반복 분석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동일한 세포의 확보가 관건인, 다종의 약물의 동시 스크리닝 시에 적합하다. 주요 마커가 유지되는 동일한 성격의 세포군이 스크리닝 작업 시작 시점에서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계속 사용 가능함으로 스크리닝 세포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약물은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에 의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로서, 상기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에 의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은 예를 들어 다계통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MSA),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척수 손상, 뇌졸중, 루이체치매 및 알파시누클린 병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퇴행성 신경계 질환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오가노이드로부터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증식시킴으로써 최종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으로 분화시킬 수 있으므로, 다량의 세포를 한번에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분화방법은 세포주에 따른, 또는 batch-to-batch variation 없이 손쉽게 분화를 유도할 수 있어 쉽게 재현이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개발된 방법 대비 보다 빨리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간에 증식 배양할 수 있는 단계에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stock으로 freezing시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 시에 바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얻을 수 있고 바로 희소돌기아교세포로 2~3주 정도 분화시켜 사용이 가능하여, 전체 hPSC-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간으로는 6~8주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다른 보고들은 전체 분화시간이 10~20주가량 걸리므로 상대적으로 빠른 분화가 가능하다 (비특허문헌 1~4). 특히, 최초로 인간 만능줄기세포로 분화시킨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이용한 생체 외 다계통위축증(MSA) 병증 모델의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인간 세포 환경에서의 다계통위축증의 병증에 대해 연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분화 프로토콜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두 배치(batch)에서 복부 패터닝 오가노이드(ventral patterning organoid)의 제작을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패턴화된 오가노이드의 qPCR을 통해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mRNA 마커로서, NKX2.2, Olig2, NG2, O4, PDGFRa, SOX10 등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오르가노이드 냉동절편에서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마커 OLIG2 발현을 면역세포화학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오가노이드를 물리적인 해체 과정(chopping)을 거쳐 2D 배양 환경으로 전환 후 세포가 증식되는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냉동 보존하기 전 (좌) 대비 해동 후(우)에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분화 유도 시 그 분화능력이 유지되어 마커인 MBP가 발현되는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됨을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5계대까지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능이 유지되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로 중식이 가능함을 마커인 OLIG2로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유지 마커인 OLIG2, A2B5, PDGFRa로 확인한 것이다.
도 9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분화 이후 희소돌기아교세포로 정상 분화하여, 신경세포의 수초화(myelination) 기능을 수행함을 신경세포다발 마커인 NF와 성숙한 희소돌기아교세포 마커인 MBP로 확인한 것이다.
도 10은 성숙한 희소돌기아교세포 마커인 MBP로 확인한 것이다.
도 11은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 시누클리오병증(synucleiopathy)을 유발할 수 있는 알파-신클레인(synclein)을 과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GFP)가 잘 도입됨을 GFP 마커로 확인한 것이다.
도 12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 알파-신클레인을 과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GFP)를 형질도입시킨 후 그 세포에서 발현되는 알파-신클레인은 단량체 형태의 알파-신클레인 대비 PK(proteinase K)에 의해 잘리지 않는 병증 단백질임을 확인(100ug M 대비 O8, O11, O12)한 것이다.
도 13은 각 neuron, astrocyte 대비 희소돌기아교세포에 세포의 종류마다 알파-신클레인 PFF(pre-formed fibrils)를 날짜 별로 uptake하는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희소돌기아교세포의 PFF uptake와 희소돌기아교세포 내의 a-syn 응집(aggregation)되는 정도를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중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mDA(중뇌 도파민) 신경세포로의 분화
[실험방법]
인간 배아줄기세포 또는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배양
한양대학교(서울, 대한민국)의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의해 승인된 hESC 리서치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hESCs 및 hiPSCs를 배양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hESCs 및 hiPSCs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미분화 hESC/iPSC의 증식 및 유지를 위해, 피더층 없이 37℃ 설정된 CO2 인큐베이터에서, mTESR-1 배지 (Stemcell Technologies Inc., Vancouver, BC, Canada)를 이용하여 MatrigelTM 상에서 혹은 vitronectin (Human; Gibc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Gibco A31804; 0.5 ug/cm2)-코팅된 6cm 디쉬(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상에서 배양하였고, 배지 교체는 매일 수행하였다. 미분화된 줄기세포들은 매일 배지 교체로 분화능이 유지되었으며 4~5일마다 Acutase (Stemcell Technologies Inc.)를 이용하여 계대배양되었다.
3D 오가노이드제작법을 활용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제작
간단하게, 복부(ventral) 3D 오가노이드를 먼저 제작하고, 이를 잘게 잘라서 배양접시에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상태로 대량 증식시키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정상 배양하는 인간배아줄기세포(hESC)나 인간 만능줄기세포(hiPSC)를 AccutaseTM를 이용하여 떼어내고 카운팅한 뒤, 150ul에 10,000개의 세포가 되도록 하기 표 2의 Day0 배양액에 세포를 풀어주었다. 그 후 세포를 풀어준 Day0 배양액을 150ul(10,000개 세포/well)씩 Low binding 96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이후 배양액의 조성이 바뀌는 날에 배양액을 날짜에 맞게 교체해 주고 배양액 조성이 같을 시 격일로 배양액을 교체하였다. 배양액은 표 2, 3의 조성대로 150ul씩 교체하였다. Day7이 되면 오가노이드들을 Low binding 6well plate에 8개/wel씩 옮겨주었다. 옮겨줄 때는 1000ul 파이펫에 팁을 끼운 후 팁의 끝을 멸균된 가위로 잘라주고 그 부분으로 오가노이드를 잡아서 Low binding 6well plate에 옮겨주었다. 그 후 Low binding 6well plate를 Orbitary shaker (80~100 rpm)에 돌려주면서 배양액 조성이 바뀌는 날, 또는 격일로 well당 3ml씩 배양액을 교체하였다. Day36일에는 오가노이드들을 30G needle 로 물리적으로 잘라준(chopping) 후 Poly-l-ornithine과 fibronectin으로 코팅을 한 60mm dish를 가장자리 부분을 석션해주고 가운데 부분에 지름이 4cm 정도 되는 원으로 세포를 2D plating 해주었다. 첫 번째 plating 이후에는 계대 배양을 위하여 일주일에 한 번씩 80~90% 정도 세포가 충만되었을 때, AccutaseTM를 이용하여 PLO/FN 혹은 Poly-l-ornithine과 fibronectin 코팅된 60mm 배양접시에 4 X 106의 세포를 평면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표 2에 있는 D36~ 배양액으로 배양을 하며, 마이토젠 (bFGF 20ng/ml, PDGF-AA 10ng/ml, EGF 20ng/ml)를 첨가한 것을 증식 배지로 사용하였다. 이 과정이 다량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증식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단계이며 세포를 stock으로 냉동 보관이 가능한 단계이다. 이후 분화 과정으로 유도를 원할 시 표 2의 Differentiation 배양액으로 교체해 주었다.
Day 0 A media(recipe below) + SB431542(10μM, Tocris, Bristol, UK) + Noggin(200ng/ml, Peprotech, Rocky Hill, NJ) + Y27632(Sigma, #Y0503, 20μM)
Day 1~2 A media(recipe below) + SB431542(10μM, Tocris, Bristol, UK) + Noggin(200ng/ml, Peprotech, Rocky Hill, NJ) + Sonic hedgehog(100ng/ml, SHH, Peprotech) + purmorphamine(1μM, Calbiochem, MilliporeSigma, Burlington, MA)
Day 3~4 A media(recipe below) + SB431542 (10μM, Tocris, Bristol, UK) + Noggin(200ng/ml, Peprotech, Rocky Hill, NJ) + Sonic hedgehog(100ng/ml, SHH, Peprotech) + purmorphamine(1μM, Calbiochem, MilliporeSigma, Burlington, MA) + Retinoic acid(0.1μM, Sigma-Aldrich, #R2625)
Day 5~11 A media(recipe below) + Noggin(200ng/ml, Peprotech, Rocky Hill, NJ) + Sonic hedgehog(100ng/ml, SHH, Peprotech) + purmorphamine(1μM, Calbiochem, MilliporeSigma, Burlington, MA) + Retinoic acid(0.1μM, Sigma-Aldrich, #R2625)
Day 12~16 A media(recipe below)+ Sonic hedgehog(100ng/ml, SHH, Peprotech) + purmorphamine(1μM, Calbiochem, MilliporeSigma, Burlington, MA) + Retinoic acid(0.1μM, Sigma-Aldrich, #R2625)
Day 17 A media(recipe below)+ Sonic hedgehog(100ng/ml, SHH, Peprotech) + purmorphamine(1μM, Calbiochem, MilliporeSigma, Burlington, MA) + bFGF(20ng/ml, R&D Systems) + EGF(10ng/ml, R&D Systems)
Day 18~35 B media(recipe below) + bFGF(20ng/ml, R&D Systems) + EGF(10ng/ml, R&D Systems)
Day 36~ B media(recipe below) + bFGF(20ng/ml, R&D Systems) + PDGF-AA(10ng/ml, R&D Systems, #221-AA) + EGF(10ng/ml, R&D Systems)
Differentiation day 0~14 N2 media + T3(60ng/ml, Sigma-Aldrich, #T0281) + db-cAMP(1μM, Sigma-Aldrich, #D0627) + Biotin(100ng/ml, Sigma-Aldrich, #B4639) + PDGF-AA(10ng/ml, R&D Systems, #221-AA) + IGF-1(10ug/ml, peprotech, #110-11) + NT3(10ug/ml, peprotech, #450-03) + Ascorbic Acid (200μM, Sigma,St. Louis, MO) + insulin (Gibco, #12585014, 0.31㎕/ml)
Differentiation day 15~ N2 media + T3(60ng/ml, Sigma-Aldrich, #T0281) + cAMP(1μM, Sigma-Aldrich, #D0627) + Biotin(100ng/ml, Sigma-Aldrich, #B4639) + IGF-1(10ug/ml, peprotech, #110-11) + NT3(10ug/ml, peprotech, #450-03) + Ascorbic Acid (200μM, Sigma,St. Louis, MO) + insulin (Gibco, #12585014, 0.31㎕/ml)
Figure pat00002
면역 세포 화학 분석
면역세포화학분석법은 표적단백질에 대한 1차 항체를 부착한 뒤 해당 항체에 대한 형광이 부착된 2차 항체를 부착하여 표적단백질을 가시화하는 분석 방법이다. 2차 항체의 형광 종류에 따라 가시화할 수 있는 단백질의 수가 정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혹은 3가지의 형광을 사용하였다.
샘플을 고정액(4% Paraformaldehyde/PBS)으로 20분 간 고정시킨 뒤, PBS로 5분씩 3번 헹군다. Blocking buffer(1% BSA/PBS, 0.1% Triton X100)를 이용해 40분 blocking을 진행한 뒤 1차 항체를 동일한 버퍼에 녹여 샘플에 24시간 부착하였다. 0.1% BSA/PBS로 샘플을 3번 헹군 뒤 2차 항체를 동일한 버퍼에 녹여 1시간 부착한다. 이후 0.1% BSA/PBS로 샘플을 3번 헹군 뒤 D.W.로 1번 헹구고 Mounting solution(Vectashield, Vector Lab)으로 커버 슬라이드에 마운팅 하였다.
오가노이드 절편 면역세포화학분석법의 경우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오가노이드를 고정액에 30분 이상 고정시킨 뒤, PBS로 10분씩 3번 헹군 후 30% sucrose 용액에 24시간 배양하여 탈수시켰다. 탈수가 끝난 샘플을 OCT(Optimal Cutting Temperature Compound) 컴파운드에 얼린 뒤 microtome으로 10~12μm 두께로 절단하여 위의 blocking 과정부터 진행하였다.
오가노이드의 냉동 절편(cryosection)
앞을 살짝 자른 1000ul tip을 파이펫에 끼우고 이걸로 배양접시에 담겨있는 오가노이드를 잡아서 4% PFA가 1ml 담겨있는 15ml tube에 옮겼다. 상온에서 15분간 고정시킨 후 4% PFA는 버리고 PBS로 3ml씩 15분간 3번을 반복하여 워싱해주었다. 그 후 washing한 용액은 다 버리고 sucrose용액을 3ml 넣어주고 3일정도 냉장 보관을 하며 오가노이드를 가라앉혔다. 3일 후 오가노이드가 가라앉은 것을 확인하고 호일로 윗면이 뚫린 원통형의 틀을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OTC compound를 호일로 만든 틀에 부어주고 sucrose용액에 가라앉아 있는 오가노이드를 앞을 살짝 자른 1000ul tip과 파이펫을 이용해 호일로 만든 틀에 옮겨주었다. 딥프리저에 3시간 이상 보관한 후 차갑게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일을 벗겨주었다. 그리고 chuck에 OCT compound를 표면을 덮을 정도로 뿌려주고 호일을 벗긴 원통형으로 얼은 오가노이드를 chuck에 올려주어 붙였다. 두 개가 붙으면 다시 한번 OCT compound를 전체적으로 뿌려주고 다시 딥프리저에 3시간 이상 얼리고 난 뒤 cryostat을 진행하였다. Cryostat의 두께는 12~18mm로 진행하였다.
qPCR
분석하고자 하는 샘플의 RNA를 Trizol 을 이용해 추출한 뒤, RNA extraction 완료 후 cDNA를 합성하여 RT-PCR을 진행하였다. 샘플 간 존재하는 RNA의 상대적인 양을 비교할 수 있는 실험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샘플 간 비교를 통해 특정 샘플의 마커단백질 발현을 확인하는데 사용하였다.
RNA 추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Trizol 1ml 에 5분동안 세포를 녹이고, 200ul의 클로로포름을 추가하여 흔들어서 섞어준 후 2~3분 동안 방치하였다. 4℃에서 12000 Xg, 15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의 투명한 부분을 따서 (400~500ul) 새로운 튜브에 옮겨주고 거기에 500ul 의 이소프로판올을 넣어준 후 섞어주었다. 10분동안 인큐베이션 후 4℃에서 12000 Xg, 10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튜브 바닥에 작게 남아있는 RNA 덩어리를 제외하고 상층액을 제거한 후 1ml 의 75% 에탄올 용액을 넣어 덩어리와 섞어준다. 4℃에서 7500 Xg, 5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RNA 덩어리만 남긴 후 뚜껑을 열어 자연건조시켰다. RNase-free water 로 건조된 RNA을 녹인 후 농도를 측정하였다. 
cDNA 합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2ug의 RNA를 cDNA 합성에 사용하였다. Random primer (Invitrogen)를 이용하여 fisrt-strand cDNA 합성을 진행하고, 75℃에서 15분간 PCR 기계로 반응시켰다. 이후 얼음에서 2분간 인큐베이션 후 First-strand buffer (Invitrogen), DTT (Invitrogen), RNasin (Promega)를 추가하여 25℃에서 15분, 42℃에서 50분, 70℃에서 15분 반응시켰다.
만들어진 cDNA 는 총 20ul 이며 이를 10배 희석하여 RT-PCR 에 사용하였다. 반응에는 SYBR green master mix (Bio-rad)를 사용하였고, cDNA는 2ul씩 반응시켰다.
3D 오가노이드 유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대량 증식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대량 증식은 Day36일에 30G needle 로 물리적으로 잘라준(chopping) 오가노이드들을 Poly-l-ornithine과 fibronectin으로 코팅을 한 60mm dish에 가운데 지름 4cm 정도 원의 넓이로 2D plating 해주고, 첫 번째 plating 이후에는 계대 배양을 위하여 일주일에 한 번씩 세포가 충만되었을 때, AccutaseTM를 이용하여 PLO/FN 혹은 Poly-l-ornithine과 fibronectin 코팅된 60mm 배양접시에 4 X 106의 세포를 평면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표 2에 있는 D36~ 배양액으로 배양을 하며, 마이토젠 (bFGF 20ng/ml, PDGF-AA 10ng/ml, EGF 20ng/ml)를 첨가한 것을 증식 배지로 사용하였다. 이 과정이 다량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증식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단계이다.
3D 오가노이드 유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냉동 보관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대량 증식을 통해 60mm 배양접시에 세포를 얻게 되면 이 세포를 떼어내서 냉동보관을 할 수 있다. 냉동 보관 방법은 세포를 계대배양 하고 일주일 이상 표 2에 있는 마이토젠이 첨가 된 D36~ 배양액으로 배양을 한다. 그 후 AccutaseTM를 이용하여 세포를 떼어내고 counting을 통해 세포 수를 결정한다. 한 vial 당 6 X 106의 세포를 조성이 10% DMSO, 90% D36~ 배양액의 냉동보관 용액 1ml에 풀어준 후 cryotube에 넣어 냉동 보관하였다.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GFP) 형질도입
a-syn-GFP를 발현하는 lenti virus를 100X로 D36~ 배양액에 첨가해 주고 세포에 처리하여 overnight 해주었다. 그리고 다음날 배양액을 원래의 D36~ 배양액으로 교체해주었다.
synuclein monomer와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a-synclein aggregate의 차이 비교
희소돌기 아교전구세포에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GFP) 형질도입을 시켜준 뒤 5일간 D36~ 배양액을 넣고 배양하였다. 그 후 Differentiation day 0~14 배양액으로 7일동안 분화를 시켰다. 7일째에는 세포를 PBS로 워싱한 후 Ripa buffer 150ul를 세포에 처리하였다. 세포에 처리해준 뒤 ice에 5분정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sonication을 5초정도 짧게 시켜주고 단백질 정량을 한 뒤 단백질 양을 10ug으로 맞춰주고 monomer의 양은 300ng으로 맞추었다. Proteinase K를 각각 0.12U, 0.6U, 3U을 처리하였다. 그리고 shaking을 37℃에서 1시간 동안 해주었다. Incubation 후 5X sample buffer를 넣어준 후 95℃ heat block에서 10분 incubation 한 후 15mm, 15% SDS gel에 sample을 loading 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세포 간 α-syn uptake 분석
각 세포를 종류별로 7일 동안 분화를 시킨 후 PFF를 배양액에 1ug/ml 농도로 처리하여 overnight하였다. PFF는 alexa fluor 488 microscale protein labeling kit를 이용하여 형광을 붙여주었다. D0일부터 하루 이틀을 간격으로 형광현미경을 이용해 intensity를 측정하고 PFF를 uptake한 세포의 개수를 카운팅하였다.
병리학적 α-syn 응집체 검출
각각의 세포를 12well plate에서 8일 분화시킨 후 PFF를 2ug/ml의 농도로 overnight 처리하였다. 세포에 PFF를 처리하기 전인 D0부터 PFF 처리 후 D1, D3, D11마다 배양액을 25ul를 걷어주고 딥프리져에 보관해 두다가 실험 시 녹여서 5X sample buffer를 처리하여 SDS gel에 로딩하였다. 세포 샘플도 같은 날짜별로 50ul의 1% triton x-100, 1% protease inhibitor cocktail in PBS 용액을 이용해 걷어준다. 세포 샘플은 걷어준 후 ice에 15분 incubation시킨 후 딥프리져에 보관이 가능하고 실험 시 다시 녹여서 4 ℃, 16,000xg centrifuge를 10분간 돌려주었다. supernatant은 soluble form으로 따로 1.5ml tube에 옮겨주고 BCA assay를 통해 정량을 한다. 남은 pellet은 insoluble form으로 1X sample buffer를 25ul 넣어주고 sonication하였다. 정량한 soluble form의 단백질 농도를 기준으로 soluble form 단백질 10ug를 5X sample buffer과 섞어서 SDS gel에 loading해주고, insoluble form도 soluble form 단백질 양을 기준으로 10ug의 단백질을 gel에 loading해주고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인간 만능줄기세포로부터 복부 패터닝 오가노이드(ventral patterning organoid) 제작 확인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OPCs)를 다수 함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발생시킨, 복부 패터닝 오가노이드 (ventral neural tube)를 제작 확인은 광학현미경을 통한 크기 측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오가노이드의 정상적 배양 확인은 크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1.6mm~1.8mm의 크기로 배양이 되고 이 범위를 벗어난 오가노이드는 정상적으로 배양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즈 1.6mm~1.8mm의 크기로 성장한 정상적으로 복부 패터닝 오가노이드가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패턴화된 오가노이드의 qPCR을 통해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mRNA 발현 확인
오가노이드 내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mRNA 발현 수준을 q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세포의 오리진 조직의 특성을 지니는 운명체의 세포군을 다수의 세포군으로 함유되도록 (target cell enriched) 오르가노이드를 제작되었음을, 패턴화 마커 발생 단계에 따라, NKX2.2, SOX10, OLIG2, A2B5, PDGFRa, O4, MBP 등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배아 줄기세포, H9과 비교하였을 때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마커인 NKX2.2는 150배, OLIG2는 20배 높게 발현이 되었다.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OPCs)를 다수 함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발생시킨, ventral patterning organoid 염색 사진
21일 동안 패턴 배양한 오가노이드를 냉동절편(cryosection) 후 immunostaining을 통해 대표적인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마커 (Oligodendrocyte progenitor marker)를 확인하였다. 간단히 3일동안 딥프리져에서 초저온 냉동한 chuck에 OCT compound를 표면을 덮을 정도로 뿌려주고 냉동한 오가노이드를 chuck에 올려주어 붙였다. 두 개가 붙으면 다시 한번 OCT compound를 전체적으로 뿌려주고 다시 딥프리저에 3시간 이상 얼리고 난 뒤 cryostat을 진행하였다. Cryostat의 두께는 12~18mm로 진행하였다. 이를 형광면역분석법으로 그 마커를 분석하였다.
도 4의 좌측 도면은 본 발명의 오가노이드에서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마커인 OLIG2이 음성대조군인 cortex organoid(우측 도면)에 비해 OLIG2가 훨씬 많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다량 확보
오가노이드 물리적인 해체 과정을 거쳐 2D 배양 환경으로 전환 후 세포가 증식되는 수치와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마커를 확인하였다.
Day36일된 오가노이드들을 30G needle로 물리적으로 잘라준(chopping) 후 Poly-l-ornithine과 fibronectin으로 코팅을 한 60mm dish를 가장자리 부분을 석션해주고 가운데 부분에 지름이 4cm정도 되는 원으로 세포를 2D plating 하고, 첫 번째 plating 이후에는 계대 배양을 위하여 일주일에 한 번씩 80~90% 정도 세포가 충만되었을 때, AccutaseTM를 이용하여 PLO/FN 혹은 Poly-l-ornithine과 fibronectin 코팅된 60mm 배양접시에 4 X 106의 세포를 평면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표 2에 있는 D36~ 배양액으로 배양을 하며, 마이토젠 (bFGF 20ng/ml, PDGF-AA 10ng/ml, EGF 20ng/ml)를 첨가한 것을 증식 배지로 사용하였다. 계대하면서 단계마다 계수하였다.
오가노이드를 30G needle로 물리적으로 해체 (chopping) 분해 후 6mm PLO/FN 코팅 dish에 2차원 2D 배양 환경으로 전환 후 계대배양을 통해 증식하는 PDL(population doubling level)과 accumulated PDL의 수치를 구했고,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단계에서 증식이 불가능한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본 프로토콜은 첫 번째 plating이후로 5번의 계대 배양을 기준으로 했을 때 120배 정도 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오르가노이드 25~30개를 해체(chopping)하면, 죽은 세포 말고 살아있는 세포만을 기준으로 약 4X10^6 개의 세포 확보가 가능하며 이를 60mm dish에 깔고, 여기서부터 시작해서 5계대배양하면 120배가량 세포수가 늘어나 약 4.8X10^8개의 세포수에 이르게 된다. 보통 세포의 냉동 vial을 만들 때, 6X10^6개의 세포를 1 vial에 넣으므로, 5계대까지 확보된 세포들을 가지고 80vial의 세포 stock을 만들 수 있다.)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냉동 보관 후 희소돌기아교세포 분화 확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냉동보존하기 전 (좌) 대비 해동 후에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분화 유도 시 그 분화능력이 유지되어 마커인 MBP 가 발현되는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 세포를 2D plating 해주고, 계대 배양을 위하여 일주일에 한 번씩 80~90% 정도 세포가 충만되었을 때, 배양 배지는 표 2에 있는 D36~ 배양액으로 배양을 하며, 마이토젠 (bFGF 20ng/ml, PDGF-AA 10ng/ml, EGF 20ng/ml) 를 첨가한 것을 증식 배지로 사용하며, 이 과정이 다량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증식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단계이며 세포를 stock으로 냉동 보관이 가능한 단계이다. 증식 배양 단계에서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freezing하여 stock으로 보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 시 이 단계부터 바로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프로토콜로 사람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만드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인 최소 36일 정도를 절약할 수 있다.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능이 유지되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로 증식이 가능함을 마커인 OLIG2로 확인
오가노이드를 2D culture 환경으로 전환한 후에도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부터 완전히 분화된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까지 계속 발현하는 마커인 OLIG2가 계속적으로 발현하며, 보통 5~6번의 계대배양과 분화과정을 거쳐도 OLIG2의 발현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면역형광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도 7].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유지 마커 발현 확인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Day 36~ 배양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초기 마커인 A2B5가 주로 발현됨을 면역형광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세포를 2D plating 해주고, 계대 배양을 위하여 일주일에 한 번씩 80~90% 정도 세포가 충만되었을 때, 배양 배지는 상기 표 2에 있는 D36~ 배양액으로 배양을 하며, 마이토젠을 첨가한 것을 증식 배지로 사용하며, 이 과정이 다량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증식 배양하였다.
또한 Day 36~ 배양, 증식시키는 과정 또는 분화 0~14 배지를 교체하여 분화시키는 과정 초기단계에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마커인 PDGFRa의 마커를 확인하였다[도 8].
희소돌기아교세포 분화 확인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분화 이후 희소돌기아교세포로 정상 분화하여, 신경세포의 수초화 (myelination) 기능을 수행함을 신경세포다발 마커인 NF 와 성숙한 희소돌기아교세포 마커인 MBP로 확인하였다. 배양 배지는 상기 표 2에 있는 D36~ 증식 배양액으로 배양을 하며, 이후 분화 과정으로 유도 성숙한 희소돌기아교세포 발현을 확인하였다. 분화를 위해서는 표 2의 Differentiation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도 9에서 분화된 성숙희소돌기아교세포가 신경세포의 수상돌기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것으로 수초화 하는 완전한 기능을 하는 분화된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 증식단계에서 원하는 시점에 분화일 0~14배양액으로 14일 정도 배양시킨 후 미성숙희소돌기아교세포의 중요 마커인 O4의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10]. 그 후 분화일 15~배양으로 2주 정도 더 분화시킨 후 미성숙희소돌기아교세포를 완전하게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켰고, 성숙희소돌기아교세포의 중요한 마커인 MBP를 형광염색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최종 분화된 세포인 성숙희소돌기아교세포의 평균적인 비율이 전체 세포 대비 23% 이상 나왔고, OLIG2+ 세포 대비 42% 이상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종래 기술(비특허문헌 1~4)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임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희소돌기세포를 이용한 질병 모델링 가능성 확인
도 11에서는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 synucleiopathy를 유발할 수 있는 alpha-synclein을 과발현 하는 lentivirus(pEF1α-α-syn-GFP)가 잘 도입됨을 GFP 마커로 확인하였다. 세포를 2D plating 해주고, 일주일에 한 번씩 80~90% 정도 세포가 충만되었을 때, 계대 배양하였다. 마이토젠을 첨가한 것을 증식 배지로 사용하며, 증식된 다량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 실험방법과 같이 바이러스를 도입시키고 시누클린 발현 여부를 형광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 a-synclein을 과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GFP)를 형질도입시킨 후 각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종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a-syn이 잘 과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희소돌기아교세포에 a-synuclein이 aggregation되어 생기는 질병(MSA)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세포임을 확인했고 또한 이 질병을 연구를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희소돌기아교세포에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GFP)를 형질도입시킨 후, a-synclein aggregate의 차이를 synuclein monomer와 대비하여 확인하였다 (도 12).
이를 활용해 향후에 희소돌기아교세포에 특이적으로 synucleiopathy가 유발되는 MSA 같은 질병 모델링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시누클린 응집 모델을 위해 각각의 세포를 12well plate에서 8일 분화시킨 후 PFF를 2ug/ml의 농도로 overnight처리 한다. 분석을 위해 세포의 단백질을 수거한 후, 5X sample buffer를 처리하여 SDS gel에 로딩하였다.
희소돌기아교세포에 a-synuclein을 과발현하는 렌티바이러스(pEF1α-α-syn)로 a-synuclein 과발현을 시킨 후 a-synuclein monomer(M)와 각각 proteinase K를 처리하여 PK digestion의 차이를 보았다.
PK concentration이 0인 그륩에서는 monomer와 희소돌기아교세포들(O8, O11, O12)의 aggregate가 효소에 의해 잘리지 않았다. 하지만 PK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ggregate가 잘려서 monomer가 되는 것을 볼 수가 있고, 농도가 가장 높은 그륩에서는 monomer가 더 작은 크기로 잘려있지만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더 작은 크기로 잘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각 N(neuron), A(astrocyte) 대비 OPC(O, oligodendrocyte)에 세포의 종류마다 a-synuclein pre-formed fibrils(PFF)를 날짜 별로 uptake하는 양상을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서 분화일 0~14배양액으로 2주정도 분화를 시킨 희소돌기아교세포를 MACS로 sorting해 purity를 높여준 후 다른 종류의 세포(N-신경세포, A-성상세포, O-희소돌기아교세포)와 각각 7일 정도 분화시켰다. 그 후 알렉사488을 붙인 PFF를 1ug/well 농도로 배양액에 섞어 주어 하루 동안 처리를 해주고 다음날 배양액을 정상 배양액으로 교체해 주고 나서 날짜별로 세포와 세포에 발현된 형광 사진을 찍어 비교해 보았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상세포가 가장 PFF를 많이 uptake할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PFF를 phagocytosis한다. 그러나 희소돌기아교세포는 PFF를 uptake는 하지만 phagocytosis하는 능력은 없는 것을 확인했고, 희소돌기아교세포가 PFF를 uptake한다면 PFF처리만으로 희소돌기아교세포 내에 a-synuclein이 aggregation되므로 희소돌기아교세포 내에 a-synuclein이 aggregation되는 병증연구를 위한 실험이 가능하게 된다. 배지의 phagocutosis 능력을 확인하키 위해, 세포에 PFF를 처리하기 전인 D0부터 PFF 처리 후 D1, D3, D11마다 배양액을 25ul를 걷어주고 딥프리져에 보관해 두다가 실험 시 녹여서 5X sample buffer를 처리하여 SDS gel에 로딩하였다.
희소돌기아교세포의 PFF uptake와 희소돌기아교세포 내의 a-syn aggregation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 세포 종류별로 8일 동안 분화를 시킨 후 PFF를 배양액에 2u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후 PFF에 의한 a-syn aggregation확인을 위해 cell의 function을 유지해주며 날짜별로 western blot sample을 걷어주고 배양액 또한 날짜 별로 걷어주고 western blot을 통해 차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희소돌기아교세포는 media data에서 다른 cell type에 비해 PFF를 많이 uptake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하지만 PFF uptake양에 비해 세포 내에 a-synuclein의 양은 다른 세포와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hagocytosis는 활발하지 않지만 세포 내에 a-syn의 oligomerization이 잘 된다는 것으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seed activity가 신경세포나 성상세포보다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은 양의 PFF로도 희소돌기아교세포 내의 a-synclein의 병증 유발이 쉽게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이용해 희소돌기세포 내의 a-synclein 병증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종래기술(비특허문헌 1~4)과 달리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증식 단계가 있어 증식이 가능하며, 특히 초반에는 증식력이 매우 강하여 다량의 세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계대 배양을 하며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stock으로 저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 시 저장했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시간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에서 발현하는 PDGFRa의 발현이 종래기술 보다 최대 15주 이상 빠르다. 또한 미성숙희소돌기아교세포의 마커인 O4의 발현이 4~13주 정도 빠르게 발현된다.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보통 분화까지 걸리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세포로 단축되는 시간만큼 배양액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7)

  1. 인간 만능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복부(ventral) 오가노이드를 제작하고, 제작된 오가노이드를 패턴화하고 해체하여 다량의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를 확보하고, 이를 배양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량 확보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분화 방법.
  2. 제 1 항의 방법으로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치료제는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으로 인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세포치료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으로 인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은 다계통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MSA),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척수 손상, 뇌졸중, 루이체치매 및 알파시누클린 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세포치료제.
  5. 제 1 항의 방법으로 얻은 희소돌기아교세포를 이용한 약물 스크리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으로 인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스크리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세포 병증으로 인한 신경계 염증성 질환은 다계통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MSA),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척수 손상, 뇌졸중, 루이체치매 및 알파시누클린 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약물 스크리닝 방법.
KR1020200177530A 2019-12-17 2020-12-17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KR102650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17 2019-12-17
KR20190168517 2019-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647A true KR20210077647A (ko) 2021-06-25
KR102650805B1 KR102650805B1 (ko) 2024-03-25

Family

ID=7647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30A KR102650805B1 (ko) 2019-12-17 2020-12-17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21826A1 (ko)
EP (1) EP4079843A4 (ko)
JP (1) JP2023511003A (ko)
KR (1) KR102650805B1 (ko)
WO (1) WO2021125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49017A1 (en) * 2020-01-13 2023-02-16 Corestem Co., Ltd Differentiation method for procuring large amount of cells by chopping 3d organoids prepar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10313A1 (en) * 2015-06-24 2016-12-29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Culture medium for generating microglia from pluripotent stem cells and related methods
US20180298333A1 (en) * 2017-04-13 2018-10-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ersonalized 3d neural culture system for generating human oligodendrocytes and studying myelination in vitro
JP6429280B2 (ja) * 2013-05-14 2018-11-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効率的な心筋細胞の誘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1014A1 (en) * 2002-07-11 2005-05-12 Keirstead Hans S. Oligodendrocyte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for remyelination and treatment of spinal cord injury
KR100941036B1 (ko) * 2007-10-05 2010-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척수신경계 희소돌기 아교세포생산을 위한 삼단계 분화기법
EP2954046A4 (en) * 2013-02-06 2016-07-20 Univ Rochester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derived from isolated pluripotent cells to treat myelin disease
US10801010B2 (en) * 2014-03-07 2020-10-13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inducing direct transdifferentiation into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from somatic cells and use thereof
US20210163888A1 (en) * 2018-04-17 2021-06-03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Induction of myelinating oligodendrocytes in human cortical spheroi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9280B2 (ja) * 2013-05-14 2018-11-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効率的な心筋細胞の誘導方法
WO2016210313A1 (en) * 2015-06-24 2016-12-29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Culture medium for generating microglia from pluripotent stem cells and related methods
US20180298333A1 (en) * 2017-04-13 2018-10-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ersonalized 3d neural culture system for generating human oligodendrocytes and studying myelination in vitro

Non-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 SEP 3;503(1); 352_358 [DOI.ORG/10.1016/J.BBRC.2018.06.033] *
BIORXIV PREPRINT DOI: HTTPS://DOI.ORG/10.1101/334359; POSTED MAY 31, 2018 *
BRAIN 2019: VOL.142; P.3806-3833 [DOI:10.1093/BRAIN/AWZ319] *
BRAIN RESEARCH, VOL. 1717 (2019) P.190-203 [DOI.ORG/10.1016/J.BRAINRES.2019.04.025] *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oligodendrocytes in human three-dimensional neural cultures, Nature neuroscience, 2019 Mar;22(3):484-491.
Differentiation of human oligodendrocyte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Nature Protocols. 2009;4(11):1614-22.
Efficient Generation of Myelinating Oligodendrocytes from Primary Progressive Multiple Sclerosis Patients b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tem Cell Reports, VOLUME 3, ISSUE 2, P250-259, AUGUST 12, 2014
Human iPSC-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Can Myelinate and Rescue a Mouse Model of Congenital Hypomyelination, Cell Stem Cell Volume 12, Issue 2 Pages 139-264 (7 February 2013)
NAT MED. 2016 NOVEMBER ; 22(11): 1358-1367. *
NEURON. 2017 APRIL 19; 94(2): 278-293.E9. [DOI:10.1016/J.NEURON.2017.03.042. ] *
NEUROSCIENCE RESEARCH, VOL. 79 (2014) P.34-40 [DOI.ORG/10.1016/J.NEURES.2013.12.002 ] *
Stem Cell Reports, 12권, 페이지 890-905(2019.05.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9843A1 (en) 2022-10-26
KR102650805B1 (ko) 2024-03-25
JP2023511003A (ja) 2023-03-16
EP4079843A4 (en) 2023-05-31
WO2021125844A1 (ko) 2021-06-24
US20230021826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5163B2 (ja) 移植用中脳ドーパミン(da)ニューロン
JP6673966B2 (ja) 神経変性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Toda et al. The potential of amniotic membrane/amnion-derived cells for regeneration of various tissues
Klassen et al. Isolation of retinal progenitor cells from post‐mortem human tissue and comparison with autologous brain progenitors
US20180064761A1 (en)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diseases of the retina
CN103396993B (zh) 衍生自灵长类胚胎干细胞的用于脊髓损伤的再髓鞘化和治疗的少突胶质细胞
US20110165682A1 (en) Human Trophoblast Stem Cells and Use Thereof
US10982188B2 (en) Synthetic retina
Bhagavati et al. Generation of skeletal muscle from transplanted embryonic stem cells in dystrophic mice
CN109312303A (zh) 表达间充质和神经元标志物的干细胞、其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10308187A1 (en)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diseases of the retina
RU243317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омогенной популяции стволовых клеток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US20200277567A1 (en) Methods for chemically induced lineage reprogramming
KR20160058822A (ko) 약물 스크리닝 및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인간 다능성 줄기 세포로부터의 성상세포의 유도 분화
KR20180115657A (ko) 개과동물 양막-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
EP3149155B1 (en) Methods of inducing myelination and maturation of oligodendrocytes
KR102650805B1 (ko) 인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제작된 3d 오가노이드를 해체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를 다량 확보하는 분화방법
CN104755610B (zh) 脂肪组织细胞
CN117529550A (zh) 心肌细胞和组合物以及用于生产它们的方法
US20230220337A1 (en) Method of microglia differentiation capable of securing large quantity of microglia by using 3d organoid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US20130312130A1 (en) Somatic cell-derived pluripotent cell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20240060040A1 (en) Methods for generating inner ear hair cells
CN118006554A (zh) 人多巴胺能神经元样细胞分化的方法及分化的细胞和应用
US20080274446A1 (en) Cryopreserved human neuronal cultures
Jeong a Differentiation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into inner ea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