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77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777A
KR20210076777A KR1020190168317A KR20190168317A KR20210076777A KR 20210076777 A KR20210076777 A KR 20210076777A KR 1020190168317 A KR1020190168317 A KR 1020190168317A KR 20190168317 A KR20190168317 A KR 20190168317A KR 20210076777 A KR20210076777 A KR 2021007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ssembly
outer filter
holder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777A/ko
Publication of KR2021007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개방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를 열교환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는 필터어셈블리가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필터어셈블리를 감싸되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독립적으로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된다. 상기 외곽필터는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입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의 안쪽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걸러낸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를 처리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어셈블리를 갖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 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히트펌프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처리공간(드럼 혹은 옷이 걸린 스팀공간)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처리공간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응축식(순환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는 피처리물을 처리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필요가 있다.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이물질들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부품에 붙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물질 여과를 위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에 필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에는 미세한 구멍들이 있는 여과망이 설치되는데, 여과망이 공기만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미세한 구멍으로 걸러낸다. 걸러진 이물질은 여과망에 점점 쌓여 여과망의 미세한 구멍들을 막게 된다. 따라서 자칫 공기순환률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분리하여 여과망을 털어주거나 별도로 세척해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필터를 의류처리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필터에 붙어있던 이물질들이 의류처리의 아래쪽으로 낙하할 수 있다. 필터에는 여과망에 걸러져 뭉쳐진 먼지나 크기가 큰 이물질이 붙어있는데, 필터가 분리될 때의 충격으로 이들이 중력에 의해서 아래쪽, 즉 의류처리기의 안쪽으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이물질 등이 여과없이 의류처리기의 안쪽으로 유입되고, 부품의 오작동이나 악취를 발생시키게 된다.
물론, 필터를 분리하는 과정 뿐 아니라, 필터를 세척하기 위해 의류처리기로부터 분리해 놓은 상태에서도 필터의 삽입부가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다.
이처럼,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에는 필터의 분리 시에 이물질이 의류처리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의 필터나 거름망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주기 위한 여과망을 필터와는 별도로 추가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제조가 완료된 의류처리장치의 필터장착부위에 별도의 여과망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필터는 다중 필터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가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이물질을 이중으로 걸러낼 수 있는 것이다. 다중 필터가 서로 조립된 후에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면, 순환공기는 안쪽의 이너필터를 거쳐 아우터필터를 통과한 후에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다중 필터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의 사이로 순환공기가 유입되기도 한다.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의 조립부위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면 그 사이로 순환공기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이너필터는 거치지 못하고 아우터필터만 통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333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에서 필터를 분리하는 과정이나, 필터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의류처리기의 안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와는 별도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도 외곽필터를 새롭게 추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어셈블리를 구성하는 (i) 이너필터-아우터필터의 틈새와, (ii) 아우터필터-외곽필터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가 필터의 여과망 쪽으로만 유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개방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를 열교환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는 필터어셈블리가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필터어셈블리를 감싸되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독립적으로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된다. 상기 외곽필터는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입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의 안쪽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걸러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를 분리하는 과정, 또는 분리하여 세척하는 동안에 의류처리장치의 안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고장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필터에는 상기 외곽필터의 안쪽에 수납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외곽필터의 바깥쪽에 있는 가이드덕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기통과홀이 있다. 따라서 순환공기는 공기통과홀을 통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외곽필터에는 상기 외곽필터의 안쪽에 수납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여과홀과 마주보는 제1공기통과홀과, 중력방향을 따라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에 개구되는 제2공기통과홀이 있다. 즉, 순환공기는 외곽필터에 방해받지 않고 여러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필터의 내부에 있는 필터삽입부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필터삽입부의 상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외곽필터의 상부로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필터어셈블리는 외곽필터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필터는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수납공간의 입구에 걸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필터거치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함께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필터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나 사용자가 외곽필터에 의한 이물질 유입 예방을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외곽필터는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필터부와,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 사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부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와 상기 하부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필터부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여과홀을 마주보는 제1공기통과홀이 있고, 상기 하부필터부에는 중력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공기통과홀이 있다. 따라서 여러방향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모두 걸러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필터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 중 어느 한쪽에서 반대편 쪽으로 돌출된 필터암부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상기 필터암부는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필터암부들의 사이에 제2공기통과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곽필터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필터부를 접으면 그 사이에는 공기통과홀이 형성된 하부필터부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 및 아우터필터를 포함한다. 이중필터구조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면에서 밀착되어 상기 이너필터 및 상기 아우터필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곽필터는 상기 아우터필터의 표면을 둘러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필터 및 상기 외곽필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필터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아우터필터의 하단과 이격된다. 따라서 하부필터부가 공기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필터의 표면에는 지지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눌려 상기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외곽필터에는 고정후크가 탄성변형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후크의 고정단이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의 입구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고정후크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고정단은 상기 필터수납공간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려 상기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수납공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에 인접한 상기 고정후크의 표면에는 고정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구비된 안착턱에 걸려 지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외곽필터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외곽필터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고정후크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외곽필터의 상단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의 입구 안쪽에 걸린다. 따라서 외곽필터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의 바깥쪽에는 외곽필터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필터를 분리하더라도 외곽필터는 여전히 의류처리장치에 고정되어, 필터가 분리된 빈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를 분리하는 과정, 또는 분리하여 세척하는 동안에 의류처리장치의 안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고장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외곽필터는 필터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져 필터를 바깥쪽에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외곽필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곽필터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지거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곽필터가 필터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므로, 기존의 필터 장착부위에 외곽필터를 먼저 끼워넣은 후에 필터를 외곽필터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외곽필터를 적용할 수 있고, 외곽필터의 추가를 위해서 의류처리장치를 새롭게 설계하거나 제조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외곽필터는 필터어셈블리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지지만, 필터어셈블리와는 독립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어셈블리를 의류처리장치에 분리하는 과정에서 외곽필터가 함께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나 사용자가 외곽필터에 의한 이물질 유입 예방을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곽필터에는 별도의 여과망(메쉬망)이 설치되지 않고, 외곽필터는 합성수지 등의 한가지 재질로만 만들어진다. 이때, 외곽필터에는 다수개의 공기통과홀이 만들어지는데, 특히 외곽필터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필터부를 접으면 그 사이에는 공기통과홀이 형성된 하부필터부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외곽필터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쉬운 효과도 있다.
그리고, 필터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면에서 밀착되어 이너필터 및 상기 아우터필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곽필터는 아우터필터의 표면을 둘러 밀착되어 아우터필터 및 외곽필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순환공기는 다른 경로로 누설되지 않고, 애초에 의도된 순환경로인 필터어셈블리의 여과망 쪽을 통과하도록 유도되므로 이물질의 여과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여기에 결합된 부품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에서 필터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면프레임의 뒤쪽 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선에 대한 단면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선에 대한 단면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6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어셈블리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거치대에 필터어셈블리 및 외곽필터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어셈블리와 외곽필터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어셈블리가 외곽필터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어셈블리의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외곽필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외곽필터가 펼쳐진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외곽필터가 필터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4의 II-II'선에 대한 단면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피처리물인 의류나 침구류를 열처리한 후에,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피처리물을 처리하고 처리모듈(본 실시례에서는 드럼)을 빠져나온 순환공기에는 린트 등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걸러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처리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필터어셈블리(500)가 있다. 아래에서는 필터어셈블리(5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의류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이외에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 히트펌프시스템이 포함되는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서 캐비넷(110) 등 외부구조들은 점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10), 처리모듈(200, 이하 드럼이라 함), 히트펌프시스템, 순환팬(도시되지 않음), 배수통(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아래쪽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별도의 세척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응축수를 이용해서 히트펌프시스템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먼저 캐비넷(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설치공간이 있는 통체로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캐비넷(110)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고, 설치공간은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10)의 재질은 금속이지만,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캐비넷(110)의 외관형상은 대략 육면체 구조이지만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도어(112)가 있고, 도어(112) 안쪽에는 피처리물 투입구(113)가 있다.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113)는 도어(112)를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의류 등 피처리물을 드럼(2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져 내부공간을 볼 수 도 있고, 힌지를 이용해서 개폐되는데, 접이방식이나 슬라이딩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캐비넷(110)의 아래쪽에는 하부프레임(120)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캐비넷(110)의 설치공간 바닥쪽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20)은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20)의 위쪽 공간을 통해서 열처리를 마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입출력패널(13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배수통(700)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코스의 선택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부(132)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40)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140)은 캐비넷(110)의 전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넓은 판형상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40)의 중앙에는 도어가 열리면 외부와 연결되는 투입구(113)가 있다. 도시된 상기 전면프레임(140)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면에서 F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을 가리키고, R은 후방을 가리킨다.
상기 전면프레임(140)의 후면에는 프론트서포터(15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서포터(150)는 드럼(20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전면프레임(14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150)와 리어서포터(240)에 각각 그 양쪽 끝이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프론트서포터(150)는 대략 원형의 틀 형상이고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부분은 투입구(113)의 일부로 볼 수 있다. 프론트서포터(150)의 형상은 드럼(200)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서포터(150)에는 필터거치대(16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거치대(160)는 필터어셈블리(500)가 설치되는 일종의 고정틀 역할을 하는데, 프론트서포터(15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필터거치대(160)는 순환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200)에서 나온 순환공기는 필터어셈블리(500)를 통과하게 된다. 다만, 필터거치대(160)와 필터어셈블리(50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소정의 틈이 있고, 그 틈으로 순환공기가 유입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틈을 줄여 순환공기가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필터거치대(160)의 구성은 아래에서 필터어셈블리(500)의 구성을 설명할 때 다시 한번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드럼(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드럼(200)은 캐비넷(110) 내의 롤러(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10)는 드럼(200)의 외면에 맞닿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하면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는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드럼(200)을 사이에 두고 도어(112)가 있는 전방쪽에는 프론트서포터(150)가 있고, 후방쪽인 배면에는 리어서포터(240)가 있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150)와 리어서포터(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열교환모듈(300)을 살펴보면, 열교환모듈(300)은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인 증발기와 응축기, 그리고 순환팬을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은 이들 부품을 감싸 그 내부에 순환유로를 만드는 부품들(330,340,3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모듈(300)의 반대쪽에는 압축기, 드럼모터 등이 설치되는데, 도 1에는 다른 부품에 가려서 표현되어 있지 않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개구에 가까운 프론트서포터(150)의 아래쪽에는 가이드덕트(310)가 설치된다. 가이드덕트(310)는 상기 열교환모듈(300)과 필터어셈블리(5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이드덕트(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필터어셈블리(500)와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가이드(330)를 연결한다. 가이드덕트(310)는 드럼(200) 내부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아웃렛덕트(310)로 볼 수도 있고, 그 자체가 일종의 순환공기 유동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을 보면 드럼(200)의 후방측개구에는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있는데, 리어덕트커넥터(320)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어덕트커넥터(320)는 드럼(200)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인렛덕트(320)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모듈(3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가이드덕트(310)와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위치하여 열교환 전/후의 공기가 유입/배출될 수 있다.
드럼(200)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전방측개구를 통해 배출되어 필터어셈블리(500) 방향으로 유입된다.(도 2의 화살표 ①, ②참조) 이때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는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도 2의 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도 2의 화살표 ②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공기는 아웃렛덕트(310)인 가이드덕트(310)를 통해 아래쪽으로 배출되고(도 3을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 열교환가이드(330)에 의해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된다.열교환가이드(330)는 가이드덕트(31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공기가 열교환가이드(330)를 거치면서 하부프레임(12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어 열교환모듈(300)로 유입된다.
여기서 열교환모듈(300)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열교환가이드(3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가 나란히 설치된다. 열교환모듈(300)은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모듈(300)은 열교환가이드(3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팬설치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구획하우징(340)에 의해 측면이 감싸진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의 상부는 베이스커버(400)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도면부호 410,450은 베이스커버(400)를 구성하는 두개의 부품을 나타낸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순환유로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인 피처리물을 건조시키고,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다시금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필터어셈블리(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필터어셈블리(500)는 처리모듈인 드럼(200)과 가이드덕트(310) 사이에 위치해서 순환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에 가이드덕트(310) 방향으로 배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처리모듈인 드럼(200)과 가이드덕트(310)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16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데,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510) 및 아우터필터(550)를 포함하여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순환공기를 상기 가이드덕트(3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공기의 유동구조를 보면, 필터어셈블리(500)는 필터거치대(160)를 통해 위쪽으로 노출되어 순환공기를 받아들인 후에,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 아래쪽과 옆쪽으로 배출한다. 도 6을 보면, 필터어셈블리(5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아래쪽(화살표④ 방향)으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필터어셈블리(500)의 옆쪽(화살표④' 방향)으로도 배출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필터어셈블리(500)의 옆쪽은 가이드덕트(310)에 의해 감싸져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아래쪽으로 모아져 배출된다.
이처럼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친 순환공기는 이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순환공기를 필터어셈블리(5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공기가 필터어셈블리(500) 내부를 거치지 않고 이너필터(510)-아우터필터(550) 사이의 틈이나 아우터필터(550)와 외곽필터(580)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필터어셈블리(500)는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로 구성되고, 외곽필터(580)는 필터어셈블리(500)와 독립된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외곽필터(580)도 필터어셈블리(5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외곽필터(580)가 필터거치대(160)에서 분리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어셈블리(500)를 필터거치대(160)에서 분리한 후에, 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에는 일종의 촘촘한 그물망인 메쉬망(M1,M2)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메쉬망(M1,M2)으로 인해 순환공기는 통과하지만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한다. 도 3에는 구체적인 형상을 보이기 위해서 외곽필터(580)도 함께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외곽필터(580)는 필터거치대(160)에 고정되어 사용되고, 필요한 경우에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거치대(16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필터수납공간(162)이 있어서 필터어셈블리(50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필터수납공간(162)의 가장자리에는 거치단(163)이 있는데, 거치단(163)에 필터어셈블리(500)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은 필터거치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데, 평면방향으로 보면 대략 사각형상의 입구가 있고, 거치단(163)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은 아래쪽의 가이드덕트(310)와 연결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순환공기는 가이드덕트(310)의 아래쪽(도 3의 화살표 ④방향)으로 배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쳐 나온 순환공기는 가이드덕트(310)에서 모여 아래쪽으로 안내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거치대(160) 자체도 프론트서포터(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의 사이는 기본적으로 밀착이 되지만 일체로 구성된 것은 아니므로 어느 정도 틈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틈으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필터어셈블리(5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이드덕트(310)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10에서 점선 부분(S)이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의 사이를 나타내며, 이 부분은 외곽필터(58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의 밀착구조를 통해 공기유입을 방지하고 있다.
도 6는 순환공기가 필터어셈블리(500)를 통과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순환공기는 드럼(200)에서 나와 필터어셈블리(50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데, 상대적으로 더 위쪽으로 돌출된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 윗부분과 측면부분을 통해서 유입된다.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가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화살표 ②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화살표 ③ 방향과 같이 필터어셈블리(500)의 여과공간(T)을 거친 후에 메쉬망(M1,M2)을 통과하여 아래쪽(화살표 ④ 방향)으로 배출되거나 옆쪽(화살표 ④' 방향)으로 배출된다. 화살표 ④'와 같이 일부 공기는 옆쪽으로 배출되어서 가이드덕트(310)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아래쪽으로 바로 이동하여 가이드덕트(310)의 하단(315)으로 토출될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 배출되어도 순환공기는 메쉬망(M1,M2)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에는 각각 메쉬망(M1,M2)이 있기 때문에 이중으로 이물질 여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를 통과한 순환공기는 최종적으로는 외곽필터(580)를 통과한다. 상기 외곽필터(580)에는 별도의 메쉬망은 없지만, 다수의 공기통과홀이 있어서 순환공기가 통과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은 걸러진다. 상기 공기통과홀은 메쉬망(M1,M2)처럼 촘촘하지는 않고, 비교적 큰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통과홀이 순환공기의 흐름을 나쁘게 하지는 않는다.
도 5에는 필터어셈블리(500)와 필터거치대(160)가 표현되어 있는데,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 장착되면 필터어셈블리(500)의 아래쪽, 즉 메쉬망(M1,M2)이 끼워지는 본체는 필터거치대(160)의 아래로 노출된다. 이 노출된 부분은 외곽필터(580) 및 가이드덕트(310)에 의해 감싸지기 때문에 메쉬망(M1,M2)을 통해 배출된 순환공기는 가이드덕트(310)를 따라 최종적으로는 아래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거치대(160)는 필터어셈블리(500)에 의해 여과된 순환공기가 배출되는 것은 방해하지 않도록 필터어셈블리(500)의 위쪽만 거치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보면 필터어셈블리(500)가 필터거치대(160)에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필터거치대(160)의 구성을 보면 필터거치대(160)의 골격은 아래쪽으로 연장된 짧은 덕트 형태의 거치몸체(161)가 만들고, 거치몸체(161)의 위쪽에는 거치헤드(165)가 있다. 거치헤드(165)는 프론트서포터(150)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거치헤드(165)에서 거치몸체(16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필터수납공간(162)이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의 주변 가장자리에는 필터어셈블리(500)가 거치되는 거치단(163)이 곡면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거치단(163)은 필터수납공간(162)을 감싸므로 필터수납공간(162)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거치단(163)은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과 대응하는 면적과 형상으로 만들어져, 필터어셈블리(500)가 안착되면 통일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거치단(163)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호형상이다.
그리고 이너필터(510)를 보면 이너필터(510)는 대략 사각틀의 이너바디(511)와 그 상부에 연결된 필터헤드(520)가 골격을 만든다. 상기 이너바디(511)는 서로 떨어져 있는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필터공간(도면부호 미부여)이 있다.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는 서로 연결되어 접히거가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는데, 도 13에는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는 서로 별개물일 수도 있다.
상기 이너바디(511)의 측면과 저면에는 각각 메쉬망(M1)이 결합되어 필터공간을 감싸는데, 도면부호 515는 메쉬망(M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부(515)를 나타낸다. 이너필터(510)에 결합되는 메쉬망(M1)은 아우터필터(550)에 결합되는 메쉬망(M2)과 함께 이중필터를 구성하는데, 두 메쉬망(M1,M2)의 구멍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필터(510)의 메쉬망(M1) 보다 아우터필터(550)의 메쉬망(M2)의 구멍크기가 더 작게 되면, 이너필터(510)에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리지고 아우터필터(550)에서 보다 작은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러한 구멍크기는 통기성을 해치지 않은 선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메쉬망(M1)의 재질은 섬유, 합성수지, 금속 모두 가능하며, 강도보강을 위한 스텐레스망, 탄소섬유망도 가능하다.
도면부호 516은 메쉬망(M1)이 설치되기 전에는 빈공간인 이너여과홀(516)인데, 이너여과홀(516)은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에 각각 있고, 제1이너바디(512)와 제2이너바디(513)의 아래쪽에도 있다. 따라서 메쉬망(M1)은 이너필터(510)의 측면과 아래쪽을 가로 막는 형태로 이너여과홀(516)을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여과홀(516)로 인해 이너필터(51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너여과홀(516)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이너필터(510)에는 보강리브(517)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바디(511)의 측면에는 아우터필터(550)의 내면에 걸려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519)가 돌출되고, 그 위쪽에는 필터헤드(520)가 있다. 필터헤드(520)는 이너바디(511) 보다 더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을 사이에 두고 필터헤드(520)의 저면(521)이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필터헤드(520)는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너필터(510)가 거치단(163)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필터헤드(520)의 위쪽에는 상부유입부(523)가 있고, 상부유입부(523) 사이사이에는 상부홀(524)이 관통된다. 그리고 필터헤드(520)의 옆쪽에는 측면유입부(525)가 있고 측면유입부(525) 사이사이에는 측면홀(526)이 관통된다. 상부유입부(523)와 측면유입부(525)는 서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다수의 리브들이 그릴 형태를 만든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부홀(524)과 측면홀(526)이 모두 사각형상이지만, 다각형상이나 원형일 수 있고 그 크기도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상면홀(524)과 측면홀(526)은 필터헤드(520)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해서 순환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로 돕는다.
상기 필터헤드(520)에는 제1조립부(528)가 있는데, 상기 제1조립부(528)는 필터헤드(520)의 한쪽, 보다 정확하게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안쪽 공간을 향한 후방에서 필터헤드(520)의 일부가 움푹들어간 형태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조립부(528)는 후술할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에 있는 제2조립부(576)와 맞물려 오조립을 방지하고 일종의 작은 손잡이(529)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필터헤드(520)에는 손잡이(529)가 있다. 상기 손잡이(529)는 필터헤드(520)의 위쪽 일부가 안쪽으로 들어가 만들어지는데, 사용자는 손잡이(529)를 잡고 필터어셈블리(500)를 필터거치대(160)에서 뽑을 수 있다. 손잡이(529)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안쪽 공간을 향한 후방에 있게 때문에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는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아우터필터(550)를 보면,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아우터필터(550)는 이너필터(510)와 조립되어 이중필터를 구성하고,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이너필터(510)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필터(550)는 이너필터(510)의 형상과 비슷하지만 그 안쪽에 필터공간(도면부호 미부여)은 이너필터(510)의 이너바디(511) 보다 크다.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필터공간의 입구에는 개방된 삽입구(558)가 있어서, 삽입구(558)를 통해 이너필터(5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골격을 만드는 아우터바디(551)도 이너바디(511)와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서로 떨어져 있는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필터공간이 있다.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는 서로 연결되어 접히거가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는데, 도 13에는 아래쪽의 힌지부(554)를 기준으로 접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551)의 측면과 저면에는 각각 메쉬망(M2)이 결합되어 필터공간을 감싸는데, 도면부호 555는 메쉬망(M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부(555)를 나타낸다. 아우터필터(550)에 결합되는 메쉬망(M1,M2)은 이너필터(510)에 결합되는 메쉬망(M1)과 함께 이중필터를 구성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메쉬망(M1,M2)의 구멍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메쉬망(M2)의 재질은 섬유, 합성수지, 금속 모두 가능하며, 강도보강을 위한 스텐레스망, 탄소섬유망도 가능하다.
도면부호 556은 메쉬망(M2)이 설치되기 전에는 빈공간인 아우터여과홀(556)인데, 아우터여과홀(556)은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에 각각 있고,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의 아래쪽에도 있다. 따라서 메쉬망(M2)은 아우터필터(550)의 측면과 아래쪽을 가로 막는 형태로 아우터여과홀(556)을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551)의 측면에는 제1아우터바디(552)와 제2아우터바디(553)의 조립을 위한 조립수단(579)이 있는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수단(579)은 제1아우터바디(552)에 있는 조립편(도시되지 않음)과 제2아우터바디(553)에 있는 조립후크(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조립수단(579)은 이와 달리 다른 구조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조립되거나 억지끼움구조 또는 클립구조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아우터바디(551) 위쪽에는 안착단(560)이 돌출된다. 상기 안착단(560)은 아우터바디(551) 보다 더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필터거치대(160)의 거치단(16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560)은 아우터필터(550)의 중심에 있는 삽입구(558)의 가장자리를 둘러 돌출되는 일종의 얇은 처마 구조를 갖는다. 상기 안착단(560)이 돌출되어 있어서 거치단(163)에 걸리는데, 이를 위해서 거치단(163)과 안착단(560)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는 외곽필터(580)가 감싼다.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를 감싸되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 입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310)의 안쪽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외곽필터(580)도 일종의 필터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바깥쪽을 감싸는데, 필터어셈블리(500)의 전체를 감싸는 것은 아니고,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를 비롯한 필터어셈블리(500)의 상부는 감싸지 않고, 그 아래쪽 부분을 감싼다. 즉, 상기 외곽필터(580)는 필터어셈블리(500)의 하부에 있는 메쉬망(M1,M2) 부분을 감싸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보면,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필터어셈블리(500)를 바깥쪽에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외곽필터(58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곽필터(580)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지거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곽필터(58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외곽필터(580)는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는 제1측면부(582)와 제2측면부(583)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데 대략 서로 평행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의 하부에는 하부필터부(582a)가 있다. 상기 하부필터부(582a)는 상기 외곽필터(580)의 하부 바닥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81) 사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와 상기 하부필터부(582a) 사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581')가 만들어진다. 상기 필터삽입부(581')는 일종의 빈공간이고,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삽입부(581')는 도 12에서 보듯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어서 위쪽에서 필터어셈블리(5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곽필터(580)에는 힌지(584)가 있다. 상기 힌지(584)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외곽필터(580)의 하부에 있다. 상기 힌지(584)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외곽필터(580)가 사출성형된다면 상기 힌지(584)는 몰드힌지(584)로 상기 외곽필터(580)에 일체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힌지(584)는 외곽필터(580)의 측면 또는 상단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외곽필터(580)에는 다수개의 공기통과홀(586,586')이 있다. 상기 공기통과홀(586,586')은 상기 외곽필터(580)의 안쪽에 수납된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상기 외곽필터(580)의 바깥쪽에 있는 가이드덕트(3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외곽필터(580)를 관통한다. 상기 공기통과홀(586,586')은 순환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이물질은 걸러낸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통과홀(586,586')은 비교적 구멍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고, 순환공기는 원활하게 빠져나가게 한다.
상기 공기통과홀(586,586')은 상기 외곽필터(580)의 안쪽에 수납된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여과홀과 마주보는 제1공기통과홀(586)과, 중력방향을 따라 상기 외곽필터(580)의 하부에 개구되는 제2공기통과홀(58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공기통과홀(586)은 상기 측면필터부(521)에 있고, 상기 제2공기통과홀(586')은 하부필터부(582a)에서 중력방향으로 개구된 것이다. 제2공기통과홀(586')의 모습은 도 9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필터부(582a)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 중 어느 한쪽에서 반대편 쪽으로 돌출된 필터암부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필터부(582a)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필터암부는 측면필터의 어느 한쪽에서 반대편 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필터암부가 상기 하부필터부(582a)라고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521)를 접으면 그 사이에는 제2공기통과홀(586')이 형성된 하부필터부(582a)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필터(580)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에는, 제1측면부(582)와 제2측면부(583)가 서로 펼쳐진 상태로 사출성형한 후에, 이를 접어서 외곽필터(580)를 만들 수 있고, 언더컷 없이 제1공기통과홀(586) 및 제2공기통과홀(586')을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필터암부는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필터암부들의 사이에 제2공기통과홀(586')이 형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필터암부는 상기 제1측면부(582) 및 제2측면부(583)에서 각각 상대편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양쪽에서 각각 돌출된 필터암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필터부(582a)는 반드시 외팔보형상일 필요는 없고, 평판구조에 다수의 구멍(제2공기통과홀(586'))이 성형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외곽필터(580)의 표면에는 지지리브(587)가 돌출된다. 상기 외곽필터(580)가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리브(587)는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눌려 상기 외곽필터(580)가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외곽필터(580)에는 고정후크(588)가 탄성변형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후크(588)는 상기 외곽필터(580)가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외곽필터(580)가 필터거치대(160)에 결합될 때는 탄성변형을 통해 쉽게 조립되게 하지만, 반대로 분리하는 것은 어렵게 한다.
상기 고정후크(588)의 구조를 보면, 상기 고정후크(588)는 일종의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외곽필터(580)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곽필터(580)가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후크(588)의 고정단(588')이 상기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의 입구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고정후크(588)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고정단(588')은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려 상기 외곽필터(580)가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후크(588)의 고정단(588')이 필터수납공간(162)의 가장자리에 있는 거치단(163)의 단부(163')에 걸리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후크(588)의 고정단(588')이 거치단(163)의 단부(163')에 걸려 분리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8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보면, 상기 고정후크(588)의 상단 표면에 고정단(588')이 돌출된 것을 볼 수 있고, 그 아래쪽으로는 고정리브(589)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리브(589)는 상기 고정단(588')에 인접한 상기 고정후크(588)의 표면에 돌출된 것으로, 외곽필터(5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가 더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리브(589)는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구비된 안착턱(168)에 걸려 지지된다. 따라서 외곽필터(580)는 보다 안정적으로 필터거치대(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후크(588)는 상기 외곽필터(580)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후크(588)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외곽필터(580)의 상단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의 입구 안쪽에 걸릴 수 있다. 도 17을 보면, 상기 외곽필터(580)의 상단 가장자리 중 일부에는 걸림상단부(585)가 있고, 걸림상단부(585)는 상기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의 입구 가장자리(166)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외곽필터(580)가 상부로 분리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고, 외곽필터(580)의 필터수납부(581')의 입구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외곽필터(580)의 필터삽입부(581')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된 걸림단부(521,561)가 걸린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의 저면(521)과,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의 저면(561)은 서로 겹치는데, 이들 두 저면(521,561)이 서로 겹친 상태로 걸림단부(521,561)가 되고, 상기 걸림단부(521,561)는 필터삽입부(581')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필터거치대(160)의 필터수납공간(162)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수납공간(162)의 입구에 걸려, 상기 필터어셈블리(500)가 상기 필터거치대(16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함께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필터거치대(16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필터어셈블리(500)는 강하게 고정된 상태는 아니므로 상부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조립되되,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필터어셈블리(500)가 분리될 때 함께 분리되지 않는다. 다만 이들 사이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밀착되어서 순환공기가 이들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은 막아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는 필터어셈블리(500)와 외곽필터(580)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면에서 밀착되어 상기 이너필터(510) 및 상기 아우터필터(55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7을 보면 상기 이너필터(510)의 필터헤드(520)의 저면(521)과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틈(G1, G1')은 직교한 방향으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는 상단에서 서로 'ㄱ'자 형상으로 적층되는 구역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적층되는 부분에서 밀착되므로 공기가 그 틈으로 유입되기 어렵다.
또한 아우터필터(550)와 외곽필터(580) 사이도 밀착되는데,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의 하부는 외곽필터(580)와 밀착되지 않지만(G2),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측면 쪽 표면과 외곽필터(580)의 측면필터부(521)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면서 겹쳐지므로 그 사이의 틈(G2')으로 순환공기가 유입되기 어렵다.
그리고, 도 8을 보면, 상기 외곽필터(58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필터부(582a)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의 아우터필터(550)의 하단과 이격된다. 따라서 외곽필터(580)의 하부가 아우터필터(550)의 하부와 간섭되어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곽필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0)와 독립된 최종필터이지만, 상기 외곽필터(580)가 필터어셈블리(50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므로, 기존의 필터어셈블리(500) 장착부위에 외곽필터(580)를 먼저 끼워넣은 후에 필터어셈블리(500)를 외곽필터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외곽필터(580)를 적용할 수 있고, 외곽필터(580)의 추가를 위해서 의류처리장치를 새롭게 설계하거나 제조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배수통(700)은 드럼(20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수통(700)이 드럼(20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수커버(710)는 배수통(7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전면부에서 좌측 상단 또는 우측 상단에 배치된다. 배수커버(71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배수통(700)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서 배수커버(710)를 당기면, 배수통(700)이 배수커버(710)와 함께 물통지지프레임(720)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제어부(800)가 설치된다. 제어부(800)는 입력부(132)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800)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필터어셈블리(500)에 의한 공기유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드럼(200)에서 나온 고온의 순환공기는 바로 아래쪽에 연결된 필터어셈블리(500)와 외곽필터(580)를 통과하고, 가이드덕트(310)로 빠져나간다. 이때 필터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너필터(510)는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도 6의 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도 6의 화살표 ②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일부 순환공기는 이너필터(510)를 통하지 않고, 필터어셈블리(500)와 필거 사이나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 사이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흐름은 도 7의 화살표 ⑤, ⑥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서로 두 면에서 적층되는 이너필터(510)와 아우터필터(550)의 밀착구조로 인해 이러한 틈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필터(550)와 외곽필터(580)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아우터필터(550)의 안착단(560) 가장자리와 아우터필터(550)의 상단 사이는 밀착되지 않을 수 있지만, 상기 아우터필터(550)의 측면과 외곽필터(580)의 측면필터부(521) 사이는 밀착된 면적이 넓기 때문에 상기 아우터필터(550)와 외곽필터(580) 사이로 유입되는 순환공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순환공기가 세어나갈 수 있는 경로를 필터어셈블리(500)와 외곽필터(580)의 조립구조를 통해서 모두 차단해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순환공기는 이너필터(510)는 상하방향과 측면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순환공기가 위쪽(도 6의 화살표 ① 방향)과 옆쪽(도 6의 화살표 ②방향)으로만 유입될 수 있고, 여과공간(T)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배출되게 유도된다.
최종적으로 순환공기는 화살표 ③ 방향과 같이 필터어셈블리(500)의 여과공간(T)을 거친 후에 메쉬망(M1,M2)을 통과하여 아래쪽(화살표 ④)으로 배출되거나 옆쪽(화살표 ④')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순환공기가 외곽필터(580)의 제1공기통과홀(586) 및 제2공기통과홀(586')을 통과하게 된다.
화살표 ④와 같이 일부 공기는 옆쪽으로 배출되어서 가이드덕트(310)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아래쪽으로 바로 이동하여 가이드덕트(310)의 하단(315)으로 토출될 수도 있다. 어느 방향으로 배출되어도 결과적으로 메쉬망(M1,M2)을 통과하게 되고, 이중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시간이 늘어나면 필터어셈블리(500)의 메쉬망(M1,M2)에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필터어셈블리(500)를 필터거치대(160)에서 분리하여 메쉬망(M1,M2)을 털거나 세척한 후에 다시 필터거치대(160)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런데, 필터어셈블리(5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메쉬망(M1,M2)에 누적된 먼지가 상기 필터거치대(160)의 안쪽으로 유입되거나, 필터어셈블리(500)가 분리되어 필터수납공간(162)이 노출된 상태에서 그 안쪽으로 큰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곽필터(580)가 이를 방지한다.
상기 외곽필터(580)는 필터어셈블리(500)와 함께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필터어셈블리(500)를 분리하여도 여전히 큰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어셈블리(500)를 분리하는 과정, 또는 분리하여 세척하는 동안에 의류처리장치의 안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고장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캐비넷 112: 도어
120: 하부프레임 140: 전면프레임
150: 프론트서포터 160: 필터거치대
163: 거치단 200: 드럼
300: 열교환모듈 310: 가이드덕트
330: 열교환가이드 400: 베이스커버
500: 필터어셈블리 510: 이너필터
520: 필터헤드 550: 아우터필터
560: 안착단 580: 외곽필터
700: 배수통 800: 제어부

Claims (19)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개방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처리모듈;
    상기 처리모듈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를 열교환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
    상기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순환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에 순환공기를 상기 가이드덕트로 통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감싸되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입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의 안쪽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외곽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에는 상기 외곽필터의 안쪽에 수납된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상기 외곽필터의 바깥쪽에 있는 가이드덕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기통과홀이 있는 의류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에는 상기 외곽필터의 안쪽에 수납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여과홀과 마주보는 제1공기통과홀과, 중력방향을 따라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에 개방되는 제2공기통과홀이 있는 의류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의 내부에 있는 필터삽입부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되, 상기 필터삽입부의 상부가 개방되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외곽필터의 상부로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는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수납공간의 입구에 걸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필터거치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함께 분리되지 않고 상기 필터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는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필터부;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 사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부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와 상기 하부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만들어지는 의류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면필터부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여과홀을 마주보는 제1공기통과홀이 있고, 상기 하부필터부에는 중력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공기통과홀이 있는 의류처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터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 중 어느 한쪽에서 반대편 쪽으로 돌출된 필터암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의류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암부는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필터암부들의 사이에 제2공기통과홀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의 필터삽입부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된 걸림단부가 걸리는 의류처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 및 아우터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너필터와 아우터필터는 적어도 서로 다른 두 면에서 밀착되어 상기 이너필터 및 상기 아우터필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곽필터는 상기 아우터필터의 표면을 둘러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필터 및 상기 외곽필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필터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아우터필터의 하단과 이격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의 표면에는 지지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눌려 상기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지지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에는 고정후크가 탄성변형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거치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후크의 고정단이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의 입구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고정후크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고정단은 상기 필터수납공간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려 상기 외곽필터가 상기 필터수납공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에 인접한 상기 고정후크의 표면에는 고정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구비된 안착턱에 걸려 지지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외곽필터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되고, 한 쌍의 고정후크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외곽필터의 상단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의 입구 안쪽에 걸리는 의류처리장치.
  18.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개방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처리모듈;
    상기 처리모듈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피처리물을 처리한 순환공기를 열교환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덕트;
    상기 처리모듈과 가이드덕트 사이에 있는 필터거치대에 설치되어 순환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에 상기 가이드덕트로 공급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거치대에 고정되는 아우터필터;
    상기 아우터필터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로 겹쳐지게 조립되는 이너필터;
    상기 아우터필터를 감싸되 상기 아우터필터 및 이너필터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거치대의 필터수납공간 입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의 안쪽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외곽필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외곽필터는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필터부;
    상기 외곽필터의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 사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부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필터부와 상기 하부필터부 사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만들어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168317A 2019-12-16 2019-12-16 의류처리장치 KR2021007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17A KR20210076777A (ko) 2019-12-16 2019-12-1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17A KR20210076777A (ko) 2019-12-16 2019-12-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77A true KR20210076777A (ko) 2021-06-24

Family

ID=7660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317A KR20210076777A (ko) 2019-12-16 2019-12-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9167A1 (zh) * 2021-08-30 2023-03-0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过滤装置以及衣物处理装置
EP4206392A1 (en) * 2021-12-29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mbined filter for a dry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33A (ko) 2010-05-07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333A (ko) 2010-05-07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9167A1 (zh) * 2021-08-30 2023-03-0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过滤装置以及衣物处理装置
EP4206392A1 (en) * 2021-12-29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mbined filter for a dry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439B2 (en) Laundry machine including a support module with a drawer based detachable water supply
US20060075790A1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EP3124676B1 (en) Method to position a rack in a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including a rack
KR10237012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76777A (ko) 의류처리장치
US20150292140A1 (en) Machine adapted to carry out at least one laundry drying cycle
KR2014010022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953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369591B1 (ko) 의류 처리 장치
EP3779025B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US11976411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N111164256A (zh) 烘干机
JP7061127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128703A (ko) 의류 건조기
KR102625459B1 (ko) 의류 처리 장치
US20240247431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190128486A (ko) 의류 처리 장치
CN216864607U (zh) 衣物处理装置和用于衣物处理装置的过滤器
CN213328324U (zh) 用于除湿的洗衣机
US20240229337A1 (en) Laundry appliance filter and frame
EP4375412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CN115679663A (zh) 衣物干燥机
KR20230114637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20123960A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56847A (ko) 스팀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