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059A -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059A
KR20210076059A KR1020217014124A KR20217014124A KR20210076059A KR 20210076059 A KR20210076059 A KR 20210076059A KR 1020217014124 A KR1020217014124 A KR 1020217014124A KR 20217014124 A KR20217014124 A KR 20217014124A KR 20210076059 A KR20210076059 A KR 20210076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design
sealing member
pack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618B1 (ko
Inventor
심페이 고마츠
마사히로 가시와기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2577/041Details of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2577/042Comprising several inner containers
    • B65D2577/045Comprising several inner containers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 집합체(1)는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 및 곤포재(2)를 포함한다.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20); 백 부재(30); 및 시일 부재(40)를 포함한다. 백 부재(30)는 개구부(31)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32)를 가지고 있다. 시일 부재(40)의 일부분을 백 부재(3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개구 규정부(32)가 파단되어 개구부(31)가 형성된다.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 중에서,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에서는 시일 부재(40A)의 제1 위치에 도안(51A)이 제공되고,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10B)에서는 시일 부재(40B)의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 도안(51B)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냅킨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복수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로서, 특허문헌 1에는, 냅킨을 추출하기 위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제공되는 라벨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 테이프에 의해 개구부를 재밀봉할 수 있는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중국 실용신안 공고 2481312호
생리용 냅킨과 같은 흡수성 물품을 복수개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사용자가 점포 또는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통해 구입할 때,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한번에 대량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보관하는 경우에, 대량으로 구입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재밀봉 가능한 것이고 화장실 또는 옷장의 선반에 합쳐서 보관되고 있으면, 재밀봉에 의해 청결감이 유지될 수 있지만, 개봉된 포장체와 미개봉 포장체를 구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복수개 보관할 때 이미 개봉된 포장체를 구별하기 쉽게 하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는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곤포하는 곤포재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위치에 도안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상기 도안이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복수개 보관하는 경우에,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시일 부재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안을 참조함으로써, 이미 개봉된 포장체를 구별하는 것이 더 용이해지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개봉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2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a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시일 부재(40)를 투시한 상태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A)의 도안(51A)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B)의 도안(51B)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서랍에 수납되어 있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시일 부재(40)를 다른 위치에 고정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A)의 도안(52A)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B)의 도안(52B)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서랍에 수납되어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곤포하는 곤포재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위치에 도안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상기 도안이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제공된 시일 부재에 의해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개봉 후에 재밀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복수개 보관하고 있는 경우라도, 각 시일 부재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안을 참조함으로써,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개봉 완료되었는지를 사용자가 구별하기 쉬워진다.
또한,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곤포하는 곤포재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생물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의 도안을 가지며,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도안과 동일한 형태 및 상기 도안과 다른 색을 갖는 도안; 및
상기 도안과 다른 형태를 갖는 도안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제공된 시일 부재에 의해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개봉 후에 재밀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복수개 보관하고 있는 경우라도, 시일 부재에 제공된 생물/캐릭터의 도안, 또는 다른 색의 도안, 또는 다른 형태의 도안을 참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개봉 완료인지를 구별하기가 더 쉬워진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및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각각의 소정 위치에, 상기 도안과 다른 공통 도안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시일 부재에 공통 도안을 제공함으로써 통일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도안과 다른 도안이 각 시일 부재에 더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가지며, 상기 도안이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공통 도안이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전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면에 도안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포장체를 중첩시키거나 또는 나란히 배열하여 보관하는 경우라도, 포장체를 상면측에서 봄으로써 각 포장체를 구별하기 쉽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제공되는 도안을 제1 도안으로 하고,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제공되는 도안을 제2 도안으로 하며,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및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각각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도안 및 상기 제2 도안과 다른 공통 도안이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시일 부재에 공통 도안을 제공함으로써 통일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공통 도안과 다른 제1 도안 및 제2 도안이 시일 부재에 더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1 도안 및 상기 제2 도안이 각각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면과 전면 사이의 경계에 걸치도록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제1 도안 및 제2 도안이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면과 전면에 걸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복수의 포장체를 중첩시키거나 또는 나란히 배열하여 보관하는 경우라도, 포장체를 상면측에서 봄으로써 각 포장체를 구별하기 쉽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 후,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개구부는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재밀봉 가능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백 부재에 제공된 본체 도안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도안은 상기 본체 도안과 함께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공통 도안과 본체 도안을 합하여 하나의 도안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시일 부재에 의해 재밀봉할 때에 위치 맞춤의 기준이 된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개구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개구부를 재밀봉하는 경우,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공통 도안과 상기 본체 도안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지 않도록 개구부를 재밀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일 부재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재밀봉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도안과 본체 도안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지 않는 위치에서 개구부를 밀봉함으로써 개봉 완료된 포장체를 인식하기가 용이하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공통 도안과 상기 본체 도안 사이의 경계에 소정의 폭을 갖는 경계선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시일 부재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공통 도안과 본체 도안 사이의 경계에 제공된 경계선이 안표가 되어 개봉하기 쉬워진다.
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상기 시일 부재의 표면의 외연에 테두리부가 제공되고, 상기 경계선이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에 따르면, 테두리부가 백 부재와 시일 부재 사이의 경계선을 보다 눈에 띄게 하여,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개봉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곤포재로 곤포된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중의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위치에 도안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중의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 상기 도안을 형성하는,
도안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집합체의 제조 방법.
이러한 흡수성 물품 집합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 포장체 각각에 제공된 시일 부재에 의해 개봉 후 재밀봉 가능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복수개 보관하는 경우라도, 각 시일 부재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안을 참조함으로써,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개봉 완료인지를 사용자가 구별하기 더 쉬워지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기본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개략 사시도이며,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 집합체(1)는,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 및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2)(여기서는, 예로서 골판지 상자(2))를 포함한다. 예컨대, 골판지 상자(2)에는, 골판지 상자(2)의 좌우 방향으로 4열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8열 배열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곤포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골판지 상자(2)는 개봉된 상태지만, 실제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는 골판지 상자(2)를 밀봉한 상태로 공장으로부터 점포 등에 출하된다.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기본 구성
도 2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개봉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a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시일 부재(40)를 투시한 상태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는 복수의 포장된 흡수성 물품(20), 복수의 포장된 흡수성 물품(20)을 수용하기 위한 백 부재(30), 및 시일 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갖는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포장된 흡수성 물품(20)을 꺼내는 측을 "상"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하"측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포장된 흡수성 물품(20)을 꺼내는 측을 "전"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측으로 한다.
생리용 냅킨(이하 "냅킨(20)"이라고 함)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된 흡수성 물품(20)의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포장된 흡수성 물품(20)은 생리용 냅킨 뿐만 아니라, 팬티 라이너, 경실금용 패드 등을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20)은, 흡수성 물품(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포장 시트(21)에 의해 포장된 개별 포장체이다. 냅킨(20)은, 제품 상태(도 3)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횡방향, 종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냅킨(20)에서, 흡수성 물품 및 포장 시트(21)는 전개 상태에서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고, 포장 시트(21)가 외측이 되도록 냅킨(20)이 종방향으로 절첩되어 있다(예컨대 종방향으로 3번 절첩). 그리고, 냅킨(20)의 좌우 방향 양 단부에, 포장 시트(21)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종방향을 따라 접합시킨 사이드 시일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냅킨(20)의 개봉구는 리드 테이프(22)로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개별 포장체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포장 시트(21)의 접합 방법으로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 접착제,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주지의 접합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부재(30)는 복수의 냅킨(20)을 수용하고 있다. 백 부재(30)에 있어서, 각각의 냅킨(20)은, 냅킨(20)의 좌우 방향 양단에 있는 사이드 시일부(23)가 백 부재(30)의 좌우 방향 양단을 따르도록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냅킨(20)은, 백 부재(3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수용된다. 그때, 각 냅킨(20)은, 리드 테이프(22)가 고정되어 있는 면이 백 부재(30)의 후측을 향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최초로 개봉하기 전의 상태에서, 백 부재(30)는 도 2b에 도시된 개구부(31)를 규정하기 위한 미싱선과 같은 개구 규정부(32)(이하 "미싱선(32)"이라 함)를 가지고 있다. 도 4에서는, 편의적으로 시일 부재(40)의 범위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미싱선(32)(점선 부분)의 위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시일 부재(40)를 투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일 부재(40)에서는, 후술하는 각 도안도 생략되어 있다. 미싱선(32)은, 시일 부재(40)의 외연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미싱선(32) 전체가 시일 부재(40)에 의해 덮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그리고 또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제공되어 있다. 즉, 시일 부재(40)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과 전면 사이의 경계에 걸치도록 제공된다. 시일 부재(40)에는 손잡이부(41)가 제공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부(41)를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개봉 및 재밀봉하기가 더 쉬워진다. 또한, 시일 부재(40)는 두께 방향으로 백 부재(30)측의 면에 점착층을 포함하고, 도 2a에 되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는 백 부재(30)에 접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40)의 점착층은 백 부재(30)에 대하여 시일 부재(40)를 반복적으로 접착 및 박리할 수 있는 점착력을 가진다.
다음으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개구부(31)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초회 개봉시에, 사용자는 시일 부재(40)의 손잡이부(41)를 잡고 백 부재(30)의 상측을 향하여 시일 부재(40)를 부분적으로 박리한다. 예컨대, 도 4에서, 시일 부재(40)는 상하 방향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서서히 박리된다. 이때, 시일 부재(40)의 박리가 도 4 및 도 2b에 도시된 미싱선(32) 상의 지점(A)에 도달할 때까지는, 시일 부재(40)만이 백 부재(3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시일 부재(40)의 박리가 A 지점에 도달한 때, 미싱선(32)의 파단이 시작되어, 백 부재(30) 중 미싱선(32)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부분이, 시일 부재(40)에 접착된 채로 시일 부재(40)와 함께 백 부재(30)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백 부재(30)의 전면 및 상면에 있어서, 파단된 미싱선(32)이 개구부(31)가 되어, 사용자가 개구부(31)로부터 냅킨(20)을 꺼낼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한번 개봉한 후에도, 시일 부재(40)로 개구부(31)를 덮고, 점착층을 통해 시일 부재(40)를 백 부재(30)에 접착시킴으로써, 개구부(31)를 재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개봉 및 재밀봉을 반복할 수 있어, 포장체(10)의 개봉 후에도 냅킨(20)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공통 도안(50) 및 도안(51)의 구성
다음으로, 시일 부재(40)에 제공되는 도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일 부재(40)는, 손잡이부(41) 또는 그 근방에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통 도안(50)을 가진다. 공통 도안(50)은,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각각에 접착되는 시일 부재(40)에서, 동일한 위치에 제공된 동일한 도안이다. 이러한 공통 도안(50)은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통일감을 부여할 수 있지만, 모든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동일한 도안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분간하기가 어렵다. 그 결과,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보관하는 경우, 어떤 포장체(10)가 이미 개봉 완료된 포장체(10)인지를 사용자가 곧바로 식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가 공통 도안(50)과는 다른 도안(5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안(51)은 각 시일 부재(40) 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공통 도안(50) 및 공통 도안(50)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도안(51)을 제공함으로써,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안(51)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라 함)에 접착되어 있는 시일 부재(40A) 및 다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10B)라 함)에 접착되어 있는 시일 부재(40B)를 예로 든다. 도 5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A)의 도안(51A)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B)의 도안(51B)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서랍에 보관되어 있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의 시일 부재(40A)에 있는 도안(51A)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A)의 좌상 부분(제1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한편,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10B)의 시일 부재(40B)에 있는 도안(51B)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B)의 우상 부분(제2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도안(51)의 위치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마다 다르므로,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보관되어 있는 경우라도, 도안(51)의 위치를 안표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포장체(10) 중에서 사용 중인 포장체(10)를 구별하기가 더 쉬워진다. 또한, 보관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점포 등에서 상품으로서 진열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구입할 때도, 사용자가 자기의 기호에 따라 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 구입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안(51)의 배치는 상기 언급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와는 다른 별도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도 2a,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안(51), 도안(51A) 및 도안(51B)은 각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10A, 10B)의 상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고, 공통 도안(50)은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전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각 도안(51)을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배열하여 보관한 경우라도,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상면측에서 봄으로써 도안(51A 내지 51E)의 위치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각 도안(51A 내지 51E)을 참조함으로써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구별하기 쉬워져,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개봉 완료된 것인지 사용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백 부재(30)의 전면에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체 도안(33)이 제공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도안(33)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미개봉시 또는 사용자가 시일 부재(40)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재밀봉한 때 공통 도안(50)과 함께 하나의 도안을 구성한다. 즉, 사용자가 시일 부재(40)를 이용하여 개구부(31)를 재밀봉할 때,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이 합해져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도록 시일 부재(40)의 손잡이부(41)를 백 부재(30)와 위치를 맞추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이는 밀봉의 위치 맞춤에 대한 기준이 된다.
또한, 개구부(31)를 시일 부재(40)에 의해 재밀봉하는 경우,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지 않도록 재밀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시일 부재(40)를 다른 위치에 고정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예컨대, 도 7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수용되어 있는 냅킨(20)의 수가 약 절반으로 감소한 경우에, 시일 부재(40)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측보다 전면측을 더 많이 덮도록 재밀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을 합하여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는 위치에서 재밀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 내의 냅킨(20)의 수가 감소하여,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는 위치에서 재밀봉하기가 어려워진 경우에도, 백 부재(30)를 더 압축하도록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에서 재밀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지 않는 위치에서 재밀봉함으로써, 다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와의 외관의 차이를 사용자가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보관하는 경우라도, 개봉 완료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외관상의 차이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재밀봉 위치는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지 않는 위치의 일례일 뿐이며, 사용자는 시일 부재(40)의 손잡이부(41)가 반드시 백 부재(30)의 하측을 향하도록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시일 부재(40)의 손잡이부(41)를 백 부재(30)의 좌우 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어긋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고의로 어긋나게 하여 고정함으로써, 백 부재(30)의 상부의 형상이 다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형상과 다르게 되어, 사용자가 이것을 개봉 완료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안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a,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 사이의 경계에는 소정 폭을 갖는 경계선(X)이 제공되어 있다.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기 때문에, 도안만으로 구성하면 시일 부재(40)의 손잡이부(41)와 백 부재(30) 사이의 경계선을 인식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통 도안(50)과 본체 도안(33) 사이의 경계에 소정 폭을 갖는 경계선(X)을 제공함으로써, 개봉시에, 경계선(X)을 안표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잡이부(41)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개봉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a,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에는 표면의 외연을 따라 테두리부(42)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경계선(X)은 테두리부(42)의 일부이다. 테두리부(42)에 의해, 백 부재(30)와 시일 부재(40) 사이의 경계가 더 눈에 띄게 되므로, 시일 부재(40)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쉽게 개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제조 단계에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백 부재(30)에 접착하는 시일 부재(40)를 형성한다. 시일 부재(4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통 도안에 대하여 도안(51)의 위치가 다른 복수의 패턴의 시일 부재(40)를 준비한다. 예컨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A)에서, 시일 부재(40A)의 좌상 부분(제1 위치)에 도안(51A)을 형성한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B)에서, 시일 부재(40B)의 우상 부분(제2 위치)에 도안(51B)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각 시일 부재(40)에서, 제1 및 제2 위치와는 다른 제3 위치, 제4 위치 등에 도안(5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공통 도안(50)이 인쇄되어 있고 제1 위치에 도안(51A)이 인쇄되어 있는 시일 부재(40A)를, 미싱선(32)을 덮도록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의 백 부재(30)의 소정 위치에 접착시킨다. 공통 도안(50)이 인쇄되어 있고 제2 위치에 도안(51B)이 인쇄되어 있는 시일 부재(40B)를, 미싱선(32)을 덮도록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10B)의 백 부재(30)의 소정 위치에 접착시킨다. 마찬가지로, 제3 위치, 제4 위치 등에 도안(51)이 인쇄되어 있는 시일 부재(40)도 각각 백 부재(30)에 접착시킨다.
이어서, 포장 시트(21)에 의해 포장된 각각 개별 포장체인 냅킨(20)(도 3 참조)을 백 부재(30)에 복수개 삽입한다. 그때, 각 냅킨(20)의 사이드 시일부(23)가 백 부재(30)의 좌우 방향 단부를 따르도록 그리고 리드 테이프(22)가 접착되는 면이 백 부재(30)의 후측을 향하도록 삽입한다. 또한, 복수의 냅킨(20)은, 백 부재(3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수용된다. 냅킨(20)을 삽입한 후, 백 부재(30)를 밀봉하기 위해 백 부재(30)의 상부를 접합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골판지 상자(2)의 좌우 방향으로 4열 및 길이 방향으로 8열로 배열된 상태로 곤포된다. 골판지 상자(2)에 곤포하는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개수나 배열 방법은 골판지 상자(2)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점포에서 상품으로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배열될 때,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개의 상품을 구입하여 보관하고 있는 경우에도,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시일 부재(40)의 다른 위치들에 도안(51)이 배치되므로, 이 도안(51)을 안표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이미 개봉 완료된 포장체(10)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집합체(1)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A)의 도안(52A)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10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일 부재(40B)의 도안(52B)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서랍에 수납되어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각 시일 부재(40)에 있어서, 동일 도안인 도안(51)을 다른 위치들에 배치함으로써, 개개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안(52)이 흡수성 물품 포장체들 간에 그 형태나 색이 다른 것이 허용되고, 또한, 도안(52)이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허용된다. 주로 이 점에서 제2 실시형태는 상기 개시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다른 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시일 부재(4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안(52)을 가진다. 도안(52)은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대하여 다른 형태 및/또는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이하에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도안(52A)(제1 도안(52A))은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라 함)에 접착되어 있는 시일 부재(40A)에 제공된 생물 또는 캐릭터 도안의 일례이다. 도 10b에 나타내는 도안(52B)(제2 도안(52B))은, 다른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10B)라 함)에 접착되어 있는 시일 부재(40B)에 제공된, 도안(52A)과는 다른 형태 및 다른 색의 도안의 일례이다. 도 10b에 나타낸 도안(52B)은, 도안(52A)과 형태 및 색이 다르지만, 도안(52B)은 도안(52A)과 동일한 형태 및 상이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안(52B)은 도안(52A)과 다른 형태를 가지지만, 색은 도안(52A)과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도안(52A) 및 도안(52B)과 다른 형태 및/또는 다른 색을 갖는 도안(52)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안(52)을 참조하여 개개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재밀봉 가능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복수개 보관하는 경우라도, 어떤 포장체(10)가 이미 개봉 완료된 포장체(10)인지를 사용자가 곧바로 구별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40)는, 손잡이부(41)에 또는 그 근방에 공통 도안(50)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도 10a의 시일 부재(40A)와 도 10b의 시일 부재(40B)를 이용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의 공통 도안(50)을 설명한다. 공통 도안(50)은, 제1 도안(52A) 및 제2 도안(52B)과는 다른 도안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공통 도안(50)이, 제1 도안(52A) 또는 제2 도안(52B)과 같이 도안(52)과 접하고 있거나 중첩되어 있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통 도안(50)은, 각 시일 부재(40)에 제공되는 도안 중 도안(52)을 제외하고 공통인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통 도안(50)은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통일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공통 도안(50)과는 다른 도안(52)(예컨대,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있어서의 제1 도안(52A) 또는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있어서의 제2 도안(52B))을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안(52A) 및 제2 도안(52B)은, 각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과 전면 사이의 경계에 걸치도록, 즉, 상면 및 전면의 두 면에 걸리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로써,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나란히 배열하여 보관하는 경우라도,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상면측에서 봄으로써 각 도안(52)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개개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구별하기가 더 쉬워진다.
도안(52A 내지 52E)을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이들의 상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배열하여 보관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면측에서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봄으로써 각 도안(52A 내지 52E)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각 도안(52A 내지 52E)을 참조함으로써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 내지 10E)를 구별하기가 더 쉬워져, 어떤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개봉 완료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골판지 상자(2)에 곤포한 상태에서도, 각 흡수성 물품 포장체(10)를 인식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곤포재(2)의 일례로서 골판지 상자(2)를 설명하였다. 곤포재(2)는 공장에서 출하될 때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비닐 백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제조된 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각 시일 부재(40)에, 공통 도안(50) 외에 하나의 도안(51)이 제공되지만, 도안(51)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복수의 도안(5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 도안(51)은 각 시일 부재(40)에 있어서 동일하지만, 각 시일 부재(40)의 도안(51)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의 도안(51)은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10A)에 있어서는 제1 위치에 그리고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10B)에 있어서는 제2 위치에 제공된다. 여기서, 도 1의 골판지 상자(2) 내에 3개 이상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가 곤포되어 있는 경우, 도안(51)의 모든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1의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 중 반수에 대해서는 제1 위치에 도안(51)이 제공될 수 있고, 나머지 반수에 대해서는 제2 위치에 도안(51)이 제공될 수 있다. 별법으로, 도 1의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 중에서, 어떤 소정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대하여는 제1 위치에 도안(51)이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소정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대하여는 제2 위치에 도안(51)이 제공될 수 있고, 나머지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에 대해서는 제3 위치에 도안(51)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여러 가지 도안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의 도안(52)은 비슷한 생물의 다른 형태와 다른 색을 가진다. 그러나, 각 시일 부재(40)에 있어서 도안(52)은 예컨대 서로 다른 생물 또는 다른 캐릭터의 도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각 시일 부재(40)에 하나의 도안(52)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도안(5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도안(52)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의 도안(52)은 공통 도안(50)과 접하여 또는 중첩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 포장체(10)의 상면에 제공되는 한, 공통 도안(50)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백 부재(30)의 개구부(31)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32)에 일례로서 미싱선이 제공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개구 규정부(32)는, 백 부재(3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된 절입부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초회 개봉시에 시일 부재(40)를 박리하려고 할 때에, 시일 부재(40)의 점착력에 의해 파단되는 취약 부분을 개구 규정부(32)로서 백 부재(30)가 미리 가지고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1 흡수성 물품 집합체,
2 골판지 상자(곤포재),
10, 10A∼10E 흡수성 물품 포장체
20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21 포장 시트
22 리드 테이프
23 사이드 시일부
30 백 부재
31 개구부
32 미싱선(개구 규정부)
33 본체 도안
40, 40A, 40B 시일 부재
41 손잡이부
42 테두리부
50 공통 도안
51, 51A∼51E 도안
52, 52A∼52E 도안
X 경계선

Claims (11)

  1.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곤포하는 곤포재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위치에 도안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상기 도안이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2.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곤포하는 곤포재
    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 및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생물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의 도안을 가지며,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도안과 동일한 형태 및 상기 도안과 다른 색을 갖는 도안; 및
    상기 도안과 다른 형태를 갖는 도안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및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각각의 소정 위치에, 상기 도안과 다른 공통 도안이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가지고,
    상기 도안은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공통 도안은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전면이 되는 부분에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제공되는 도안을 제1 도안으로 하고,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에 제공되는 도안을 제2 도안으로 하며,
    상기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및 상기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 각각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도안 및 상기 제2 도안과 다른 공통 도안이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1 도안 및 상기 제2 도안은, 각각,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면과 전면 사이의 경계에 걸치도록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 후,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개구부는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재밀봉 가능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백 부재에 제공된 본체 도안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도안은 상기 본체 도안과 함께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개구부를 재밀봉하는 경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공통 도안과 상기 본체 도안이 하나의 도안을 구성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를 재밀봉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도안과 상기 본체 도안 사이의 경계에, 소정의 폭을 갖는 경계선이 제공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의 표면의 외연에 테두리부가 제공되고,
    상기 경계선은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인, 흡수성 물품 집합체.
  11.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가 곤포재로 곤포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각각,
    복수의 흡수성 물품,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을 수용하는 백 부재,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 부재는 개구부를 규정하는 개구 규정부를 가지며,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개구 규정부를 덮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 포장체는,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백 부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개구 규정부가 파단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중의 제1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의 제1 위치에 도안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흡수성 물품 포장체 중의 제2 흡수성 물품 포장체의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 상기 도안을 형성하는,
    도안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217014124A 2018-10-12 2019-07-22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47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3553 2018-10-12
JP2018193553A JP6942108B2 (ja) 2018-10-12 2018-10-12 吸収性物品集合体及び吸収性物品集合体を製造する方法
PCT/JP2019/028652 WO2020075363A1 (ja) 2018-10-12 2019-07-22 吸収性物品集合体及び吸収性物品集合体を製造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059A true KR20210076059A (ko) 2021-06-23
KR102447618B1 KR102447618B1 (ko) 2022-09-26

Family

ID=7016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124A KR102447618B1 (ko) 2018-10-12 2019-07-22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42108B2 (ko)
KR (1) KR102447618B1 (ko)
CN (1) CN112839879B (ko)
WO (1) WO2020075363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1312A (en) 1946-08-28 1949-09-06 Louis A Kirschner Closure for washing bowls, sinks, and plumbing fixtures
JP2005335791A (ja) * 2004-05-28 2005-12-08 Uni Charm Corp 包装体
EP1872758A1 (en) * 2006-06-26 2008-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rray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with colour coding
US20080053857A1 (en) * 2006-08-31 2008-03-06 Paul Vincent Enriquez Albano Package having two different views for increased awareness in display
JP2010047310A (ja) * 2008-08-25 2010-03-04 Nippon Paper Crecia Co Ltd 紙おむつ収納用具
US20100122929A1 (en) * 2008-11-19 2010-05-20 Mciver Meredith Anne Array of consumer articles having varying functionality
US20110215017A1 (en) * 2010-03-06 2011-09-08 Coulter Keegan G K Navigation system
KR20150086273A (ko) * 2012-11-21 2015-07-27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JP2015199500A (ja) * 2014-04-04 2015-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収容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261U (ko) * 1984-12-26 1986-07-17
JP2002128148A (ja) * 2000-10-27 2002-05-09 Toa Kiko Kk 包装容器
JP2002278491A (ja) * 2001-01-09 2002-09-27 Uni Charm Corp 着用対象者案内用表示及びそれを使用した陳列用包装体
CN2481312Y (zh) * 2001-04-30 2002-03-13 邓锦明 一种方便存取的卫生巾袋
JP2012506331A (ja) * 2009-08-21 2012-03-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別個の図柄及び同一図柄の両方を有する吸収性物品、及びかかる吸収性物品を印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711944B2 (ja) * 2010-11-29 2015-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882094B2 (ja) * 2011-05-19 2016-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1312A (en) 1946-08-28 1949-09-06 Louis A Kirschner Closure for washing bowls, sinks, and plumbing fixtures
JP2005335791A (ja) * 2004-05-28 2005-12-08 Uni Charm Corp 包装体
EP1872758A1 (en) * 2006-06-26 2008-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rray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with colour coding
US20080053857A1 (en) * 2006-08-31 2008-03-06 Paul Vincent Enriquez Albano Package having two different views for increased awareness in display
JP2010047310A (ja) * 2008-08-25 2010-03-04 Nippon Paper Crecia Co Ltd 紙おむつ収納用具
US20100122929A1 (en) * 2008-11-19 2010-05-20 Mciver Meredith Anne Array of consumer articles having varying functionality
US20110215017A1 (en) * 2010-03-06 2011-09-08 Coulter Keegan G K Navigation system
KR20150086273A (ko) * 2012-11-21 2015-07-27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포장체
JP2015199500A (ja) * 2014-04-04 2015-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収容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42108B2 (ja) 2021-09-29
KR102447618B1 (ko) 2022-09-26
CN112839879B (zh) 2022-07-08
CN112839879A (zh) 2021-05-25
WO2020075363A1 (ja) 2020-04-16
JP2020059544A (ja)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3651B2 (ja) サイドディスペンサーを有するソフトブリスタートレイ
RU2633240C2 (ru)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пластмассовый контейнер и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такие контейнеры
US20110315585A1 (en)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Storing, Displaying, And/Or Dispensing Absorbent Articles
JP5606784B2 (ja)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品の包装体
JP2011506217A (ja) ポケットを含むスリーブを形成するためのブランク材
EP3124396B1 (en) Packag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ducts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102447618B1 (ko) 흡수성 물품 집합체 및 흡수성 물품 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US10336481B2 (en) Display pack
WO2020262379A1 (ja) 体液吸収性着用物品を収納する袋
EP3124398B1 (en) Packag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ducts and process of manufacture of a package-product arrangement
JP2021138403A (ja) 吸収性物品の包装袋
JP4275904B2 (ja) 商品用容器
JP2005255232A (ja) 開閉可能な蓋一体型カップ状紙製容器
JP2014237459A (ja) 梱包箱及び梱包体
JP6652905B2 (ja) 包装容器
JP5590845B2 (ja) 包装袋
JP3195112U (ja) 食品包装用袋、及び食品包装用袋セット
KR20220008304A (ko) 식품 제품용 포장 및 식품 제품용 포장의 제조 방법
JPH0751468Y2 (ja) 包装体の集合・分割を容易にするテープ及び集合包装体
JP3122699U (ja) 袋体
JP3442728B2 (ja) 商品包装袋
JP5471595B2 (ja) 鏡餅セット包装箱
JP2020179921A (ja) 包装袋
KR200476152Y1 (ko) 포장용 봉지
JPS5811728Y2 (ja) 易開梱型シユリンク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