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970A - 연료 필터 - Google Patents

연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970A
KR20210075970A KR1020217006679A KR20217006679A KR20210075970A KR 20210075970 A KR20210075970 A KR 20210075970A KR 1020217006679 A KR1020217006679 A KR 1020217006679A KR 20217006679 A KR20217006679 A KR 20217006679A KR 20210075970 A KR20210075970 A KR 20210075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filter
contact
fuel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르지오 지론디
Original Assignee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21007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02M37/26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 F02M37/28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with means activated by the presence of water, e.g. alarms or means for automatic drai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5Breaking emulsions with coales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5Liquid level sensing means, e.g. for water in gasoil-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02M37/26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01D2201/295End caps with projections extending in a radial outward direction, e.g. for use as a guide, sp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 B01D2201/347Radial seal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에서 분리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챔버(26)를 갖는 케이싱(20);
-상기 케이싱(20)으로 뻗어 있고, 상기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는 전기 수위 접점(33)과 상기 케이싱(20) 내부 및 상기 집수 챔버(26) 외부에 배열된 중간 전기 접점(34)이 제공되는 수위 센서(30); 및
-수분 분리기 요소(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 필터 요소(41, 42);
· 연료가 교차하도록 관통 개구(444)가 제공되어 전기 수위 접점(33)이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는 필터 요소 지지체(43, 44);
· 상기 필터 요소 지지체(43, 44)에 제공된 전도성 요소(50)를 구비하며,
상기 전도성 요소(50)에는:
· 상기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는 수위 전극(51); 및
· 상기 수위 전극(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접촉 전극(52)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전극(52)은 상기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과 접촉하는 연료 필터(1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료 필터
본 발명은 연료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한 요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연 자동차용 경유(디젤) 및 이러한 물 분리 요소를 구비한 연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수분 분리기 요소가 알려져 있으며, 각 요소는 수위 센서의 전기 접점과 협력하여 이러한 수분 분리기 요소를 포함한 연료 필터 케이싱의 바닥에 배열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집수 챔버로 상기 전기 접점을 전개하도록 구성된 전도성 요소를 포함한다.
수분 분리기 요소 부문에서 느껴지는 한 가지 요구 사항은 연료 필터의 완전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수분 분리기 요소가 주기적으로 교체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물의 효과적인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신뢰할 수 있는(즉, 변조 및 위조가 어려운) 수분 분리기 요소로 대체되고, 동시에 집수 챔버에 물이 축적되었음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요구는 수위 센서의 전기 접점과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전도성 요소 사이에 직접 전기 접점을 더 간단하고, 증가된 진동 또는 충격력이 있더라도, 연결이 끊기지 않게 더 안정적으로 만들고 또한 수위 센서와 수분 분리기 요소 사이에 올바른 정확한 위치 지정을 하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요구는 케이싱에서 수분 분리기 요소의 각도 위치에 관계없이 수위 센서와 수분 분리기 요소 사이의 정확한 상호 위치 지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 부문에서 느끼는 또 다른 요구는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이러한 연료 필터, 특히 연료 필터의 사용 수명 동안 자주 교체되는 소비재인 수분 분리기 요소의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합리적이며 저렴한 방안의 범위 내에서 종래 기술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주어진 본 발명의 특성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및/또는 특히 유리한 측면을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싱의 바닥에 연료에서 분리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집수 챔버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으로 뻗어 있고, 집수 챔버로 뻗어 있는 전기 수위 접점(즉, 요망 수위를 측정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싱 내부 및 상기 집수 챔버 외부에 배열된 중간 전기 접점이 제공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케이싱에 수용된 수분 분리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분리기 요소는:
· 연료가 교차하도록 형성된 필터 요소;
· 상기 전기 수위 접점이 상기 집수 챔버로 뻗어 있도록 수위 센서가 교차하는 관통 개구가 제공되는 필터 요소 지지체; 및
· 상기 필터 요소 지지체에 제공된 전도성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전도성 요소에는:
· 상기 집수 챔버로 뻗어 있는 수위 전극; 및
· 상기 수위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접촉 전극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전극은 상기 수위 센서의 중간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연료 필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효과적이고 저렴하며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연료 필터의 원래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동시에 현재 알려진 부품과 관련해 수분 분리기 요소와 같이 교체 대상 부품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 따라서 또한 연료 필터와 그 구성부품의 생산 공정을 상당히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수위 센서와 관통 개구 사이에 밀봉 연결부가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연료를 여과하고/하거나 연료 자체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한 케이싱의 환경과 물 집수 챔버 사이에 분리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수위 센서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전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수위 센서가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때 관통 개구가 전기 수위 접점과 중간 전기 접점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수위 센서의 (유전체) 연결부를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전기 수위 접점(및 수위 전극)은 필터 요소가 케이싱에(집수 챔버에) 있는 수위 아래에 안전하게 배치되고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접촉 전극과 직접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해 쉽고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필터 요소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 내부에 중간 전기 접점이 배치된다.
다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요소는 수위 센서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실질적인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실제로, 수위 센서는 케이싱의 공간을 절약하면서 필터 요소에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케이싱에서 필터 요소의 간편한 설치 및/또는 제거 및/또는 교체를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필터 요소 지지체는 집수 챔버에 가까운 필터 요소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관통 개구가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필터 요소 지지체는 필터 요소를 동축으로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된 지지 캔들을 포함(또는 구성)할 수 있으며, (집수 챔버에 가까운) 상기 지지 캔들의 하단 영역에 관통 개구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수위 센서의 전기 수위 접점이 케이싱에 제공된 집수 챔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관통 개구는 수위 센서용 가이드 바디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케이싱에 수분 분리기 요소를 설치하는 동안, 수분 분리기 요소와 수위 센서 사이, 즉 수위 센서와 관통 개구 사이에서 자동 정렬 축 결합을 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바디는 복수의 분리된 (반경방향)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돌출부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그 측면(즉, 관통 개구를 대면하는 내부)은 관통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공통 원뿔형 표면에 놓여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수분 분리기 요소내 가스 오일의 분포는 어떤 경우에도 최적이며 가이드 바디의 존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돌출부는 수위 센서(의 스템)에 정의된 가능한 보완(반경방향) 시트와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프리즘 결합을 얻을 수 있으므로, 둘 사이에 미리 설정된 상호 각도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필터 요소는 연료에 있는 미립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및/또는 코얼레싱) 격막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필터 요소는 연료로부터 물의 (최종) 분리를 위한 소수성 메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필터 격막 및 소수성 메시는 서로 동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반경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접촉 전극 및 중간 전기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접촉 전극과 중간 전기 접점 간에 직접적인 전기 접촉의 힘과 안정성이 증가하여 연료 필터의 모든 사용 조건 하에서, 즉, 연료 필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바와 같이, 또한 강한 진동이나 충격력을 받는 경우에도 직접 전기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접촉 전극 및/또는 중간 전기 접점의 탄성 항복 용량은 수분 분리기 요소를 교체하도록 지정된 작업자가 케이싱의 첫 번째 조립 작동에 실패해 케이싱에서 수분 분리기 요소의 위치를 원위치하지 않을 수 없는 예기치 않은 경우에 접촉 전극 및/또는 중간 전기 접점의 원치 않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접촉 전극과 중간 전기 접점 사이의 직접 전기 접점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이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접촉 전극으로, 즉 소진시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부분으로 (단독으로) 구성되게 제공되면, 교체할 때마다 직접 전기 접점의 힘도 재생할 수 있다. 즉, 접촉 전극과 중간 전기 접점 사이의 직접 전기 접점의 최적 조건을 복원한다.
접촉 전극 및/또는 중간 전기 접점은 이러한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동일한 목적을 위해 주로 반경방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접촉 전극 및/또는 중간 전기 접점은 이러한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동일한 목적을 위해 주로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 따르면, 접촉 전극 및 수위 전극은 (각각) 단일(모놀리식) 바디로 제조된 단일 세장형 전도성 요소의 두 개의 대향 자유 단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인해, 전도성 요소를 만들고 필터 요소 지지체와의 연결/통합이 특히 유리하고 저렴하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접촉 전극 및 수위 전극은 (각각) 단일(모놀리식) 바디로 만들어진 중심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단일 세장형 전도성 요소의 두 개의 대향 자유 단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전도성 요소의 중심축은 예를 들어 관통 개구의 관통 축(즉, 필터 요소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동축)과 동축일(즉, 일치할) 수 있다.
(튜브형) 전도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의 전체 내벽)을 내부적으로 덮을 수 있다.
실제로, 전도성 요소는 관통 개구에 삽입된 중앙 스트레치(예를 들어, 원통형)와 (중앙 스트레치에서 캔틸레버 식으로 반경방향으로 유도된) 환형을 가진 두 개의 대향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 접촉 전극(수분 분리기 요소의 내부를 향해 대면한 접촉 전극) 및 수위 전극(수분 분리기 요소의 바깥 쪽을 향한, 즉 외부에 배치된 접촉 전극)을 정의한다.
유리하게는, 필터 요소 지지체 및 전도성 요소는 단일 바디로 통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상기 개시된 동일한 목적을 위해 연료에서 분리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집수 챔버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으로 뻗어 있고 집수 챔버로 뻗어 있는 전기 수위 접점과 상기 케이싱 내부 및 집수 챔버 외부에 배열된 중간 전기 접점이 제공되는 수위 센서; 및
연료가 교차하도록 형성된 필터 요소; 전기 수위 접점이 필터 요소를 지나 집수 챔버로 뻗도록 연료 필터의 수위 센서가 교차하게 형성된 관통 개구가 제공된 필터 요소 지지체; 및 상기 필터 요소 지지체 상에 제공된 전도성 요소를 포함하는 수분 분리기 요소를 포함하는, 연료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연료 필터 요소로서,
상기 전도성 요소에는:
집수 챔버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수위 전극; 및
상기 수위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접촉 전극이 제공되며, 상기 접촉 전극은 상기 집수 챔버 외부에 배치된 상기 수위 센서의 중간 전기 접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연료 필터 요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표에 예시된 도면의 도움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하기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의 제 1 실시예의 축측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분 분리기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전도성 요소의 접촉 전극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연료 필터의 수위 센서 및 케이싱 커버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의 제 2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에 직교하는 길이방향 단면에 따른 도 7의 연료 필터의 추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연료 필터의 수위 센서의 제 1 축측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위-엘 센서의 제 2 축측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제 2 실시예의 아래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면 XII-X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터의 제 3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분리기 요소의 제 3 실시예의 아래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면 XV-XV를 따른 단면도이다.
특히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면, 연료, 특히 자동차의 디젤 엔진의 경유로부터 물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연료 필터가 전체적으로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도 1 및 2 및 도 7, 8 및 13을 참조하면, 연료 필터(10)는 차례대로 예를 들어(하부) 컵형 바디(21) 및 상기 컵형 바디(21)를 막도록 형성된 (상부) 커버(22)를 포함하는 케이싱(20)을 포함한다.
컵형 바디(21)는 커버(22)에 나사 결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밀봉식으로 나사 결합되거나 밀봉 링(210)의 개재에 의해 결합된다.
실제로, 케이싱(20), 즉 컵형 바디(21) 및 커버(22)는 내부에 (닫힌) 체적을 내부에 둘러싼다.
케이싱(20)(이 예에서, 커버(22))은 여과될 가스 오일용 입구 덕트(23) 및 여과된 가스 오일용 출구 덕트(24)를 포함한다.
다시, 케이싱(20)(이 예에서 컵형 바디(21))은 상기 케이싱(20), 즉 컵형 바디(21)의 바닥에, 가령, 연료에서 분리한 물이 수집되는 집수 챔버(26)에 축적된 물의 배출 덕트(25)를 포함한다.
집수 챔버(26)는 컵형 바디(21)의 바닥에 가까운 케이싱(20) 내부 체적의 하단부에 의해 정의된다.
더욱이, 캡(27)(도 2 및 도 7, 8 및 13 참조)은 예를 들어 스레드 연결에 의해 배출 덕트(25)를 탈착식으로 막는다.
전체 케이싱(20), 즉 컵형 바디(21)와 커버(22) 모두가 전기 절연(유전체)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재료(PA) 또는 폴리에틸렌계 재료(PBT)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필터(10)는 예를 들어 또한 별개로 보호될 수 있는 수위 센서(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센서는 연료의 여과 동안 집수 챔버(26)에 축적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이 분야의 전문가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즉, 커넥터(300)를 통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유닛(미도시)과 연결된다.
수위 센서(30)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중공이고 중앙 길이방향 축(A)을 갖는 길이방향 스템(31)을 포함한다.
스템(31)은 전기 절연(유전체)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재료(PA) 또는 폴리에틸렌계 재료(PBT)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스템(31)은 (내부에서) 커버(22)에 견고하게 구속된 (예를 들어 안정적으로 탈착 불가능하거나 탈착식으로 고정된) 상부 스트레치와 상기 상부 스트레치의 하단에서 도출되고 (커버(22)가 컵형 바디(21)를 닫을 때) 집수 챔버(26)로 연결되거나 집수 챔버(26)를 향하도록 구성된 (자유 단부를 정의하는) 하부 스트레치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스템(31)은 (상기 상부 스트레치를 정의하는) 원통형 스트레치(310)를 가지며, 스템의 상단은 커버(22)에 구속되고(그리고 그로부터 직접 유도되고), 스템의 하단은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스트레치를 정의하는) 클로징 캡(311)에 의해 폐쇄된다.
클로징 캡(311)은 그 자유 단부를 향해 수렴하는 원뿔형 또는 절두 원뿔형이다((또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스트레치를 갖는다).
클로징 캡(311)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간섭 연결 또는 스냅 연결, 또는 (스레드 및/또는 베이오넷 또는 유사한 연결과 같은) 다른 알려진 연결에 의해 원통형 스트레치(310)와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클로징 캡(311)은 (원형) 개구, 예를 들어, 중앙 홀, 즉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동축인 개구가 형성된 바닥 벽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클로징 캡(311) 및 원통형 스트레치(310)는 탈착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령 하나의 바디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통형 스트레치(310)의 상단은 커버(22)의 내벽에 제공된 후킹 생크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수위 센서(30)는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커버(22)에 통합되어 있으며, 특히 스템(31)은 커버(22) 자체의 바닥에서 유도되고 하나의 바디로 제조되며, (컵형 바디로부터 0 거리가 아니라) 컵형 바디(21)의 바닥을 향해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으로 뻗어 있다
그러나, 도 7-15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31)은 커버(22)와 함께 별도의 바디에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예를 들어 인터락킹 또는 기타 알려진 고정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제 2 및 제 3 구현 실시예(도 7-15)에서, 스템(31), 즉 스템의 상부 스트레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슬리브 또는 (약간) (더 작은 밑변이 아래를 향한) 원뿔형 슬리브(310)를 포함하고, 스템의 상단은 수위 센서(30)의 지지체에 구속되고(그리고 그로부터 직접 유도되며), 차례로 커버(22)에 견고하게 구속된다(즉, 탈착식으로 또는 탈착 불가능하게 안정된 방식으로 고정된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 스템(31)은 수위 센서(30)의 지지체 바디에 구속된(그리고 그로부터 직접 유도되는) 상단과 상부 스트레치(즉, 슬리브(310))의 바닥에서 유도되고 (커버(22)가 컵형 바디(21)를 닫을 때) 집수 챔버(26) 안으로 또는 마주보도록 구성된 (스템(31)의 하부 스트레치를 정의하는) 하단을 갖는 (슬리브(310) 내부에 동축으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0이 아닌 반경방향 거리에) 길이방향 로드(311)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에는 (길이방향 로드 자체에 장착된) 하부 환형 개스킷(3110)이 수용되는 환형 시트가 제공된다.
로드(311)는 예를 들어 중실 바디 또는 실질적인 횡단면 또는 다른 원하는 형상을 갖는 바디에 의해 정의된다.
슬리브(310)와 길이방향 로드(311) 사이에, 유입 덕트(23)의 예에서, 수위 센서 지지체(30)의 바디를 통해 연결된유체 유입 또는 유출 덕트의 축방향 단부 스트레치를 정의하는 반경방향 갭이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수위 센서(30)는 전자제어회로(32)를 포함하는 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전자 기판에 의해 정의되며, 전자제어회로(32)는 커버(22)에 (및/또는 스템(31)에, 즉, 제공된 경우 지지 바디에) 형성된 하우징 시트 내부에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스템(31)은 상기 스템 자체의 외부에 드러나는(또는 출현되거나 배열되는) 하나의 전기 수위 접점(33)과 하나의 중간 전기 접점(34)의 서로 구별되는 한 쌍의 개별 전기 접점을 지지한다. 즉, 이 접점들은 스템(31)의 외부로부터 가시적 및/또는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수위 전극은 스템(31)(제조되는 플라스틱)이 출현하거나 돌출하고 사용에 적응되어 여과되는 유체에, 즉, 수위 센서(30)의 유체에 침지된 프로브를 정의하기 위해 집수 챔버(26)에 축적된 연료 및/또는 물에 직접 접촉해 잠기도록(즉, 젖게 되는) 수위 센서(30)의 전도성 표면을 의미한다.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 및 중간 전기 접점(34)은 상호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사용시, 즉 연료 필터(10)가 작동 중이고/중이거나 정확하게 설치되고 완료될 때) 오프셋이다. 즉, 이들은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상이한 축(및/또는 반경방향)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 및 중간 전기 접점(34)은 케이싱(20)의 다른 높이, 바람직하게는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0이 아닌) 2 개의 다른 거리에 (사용시) 배치된다.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 및 중간 전기 접점(34)은 (전체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금속(가령, 강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구리)으로 제조되고 전자제어회로(32)의 전기 단자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아래에서 더 명백하다.
전기 수위 접점(33)은 집수 챔버(26) 내로 직접 뻗어 있도록 구성된다. 즉, 내부로 인도되고 그 안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기 수위 접점(33)은 스템(31)의 자유(하부) 단부, 즉 커버(22)로부터 원위(및 컵형 바디(21)의 바닥에 가깝게)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수위 접점(33)은 (0이 아닌) 축방향 스트레치에 의해 스템(31)의 하단 자유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스템(31) 자체를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특정 상황에서, 전기 수위 접점(33)은 실질적으로 스템(31)의 하단 자유 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작은) 축방향 스트레치만큼 그 내부에 리세스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전기 수위 접점(33)은 예를 들어 하부 환형 개스킷(3110)(제공된 경우, 도 7-15 참조)이 위치되는 축방향 높이보다 낮은 축방향 높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수위 접점(33)(즉, 그 자유 하단부)은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0이 아닌) 소정의 거리에 배치된다(그리고, 스템(31)에 구속되거나 결합된 상단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크거나 동일한 한계에 있는 바닥으로부터의 거리에 배치된다).
예시된 예에서 전기 수위 접점(33)은 축 대칭 바디(예시에서 고체)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중심 대칭축은 바람직하게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비 제한적인 방식으로, 전기 수위 접점(33)은 상부 원통형 스트레치 및 원뿔형(도 1-6 참조) 또는 반구형(도 7-15 참조) 스트레치를 포함하며, 그 하부 자유 단부를 향해 수렴한다.
전기 수위 접점(33)은 전도성 컬럼(330), 예를 들어, 금속 컬럼의 스템(31)으로부터 나오는(즉,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단) 단부 스트레치이고, 상단 스트레치는 스템(31)에 포함되어 있으며 (직접) 전기 접점에 있는 전자제어회로(32)의 하우징 시트를 향하거나(도 7-15 참조) 상단에서 뻗어 있다(그리고 들어 간다)(도 1-6 참조).
도 1-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전도성 컬럼(330)은 예를 들어 그 상단부에, 예를 들어 커버(22)에 스냅 식으로 연결되거나 간섭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바디를 가져 그 상단부가 전자 회로의 하우징 시트로 인도되어 전기 단자 중 하나 (예를 들어, 그 제 1 전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도성 컬럼(330)은 하부 스트레치에서 클로징 캡(311)의 개구에 측정하기 위해 삽입되고, 예를 들어, 구속 연결, 가령 (전도성 컬럼(330)으로 만들어진 환형 시트에 스냅 식으로 삽입되고 스템(31)에서 전도성 컬럼 자체의 상부 스트레치를 전기 수위 접점(33)을 정의하는 스템(31) 외부의 하부 스트레치와 축방향으로 분리하는 클로징 캡(311)에서 만들어진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가요성 치차(teeth)에 의해 획득된) 스냅 연결에 의해 그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도 7-15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전도성 컬럼(330)은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삽입(결합)되어 그와 함께 공동 성형된다(즉, 적절한 그루브 내부에서 출현한다).
중간 전기 접점(34)이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에 있더라도, 집수 챔버(26)의 외부, 즉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에 축적되는 물의 수위까지 결코 도달되지 않는 케이싱(20)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중간 전기 접점(34)은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미리 결정된(고정 또는 조정 가능) (0이 아닌) 거리에 있으며, 이 거리는 전기 수위 접점(33)의 상단부의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의 거리보다 (훨씬) 더 크다. 즉, 스템(31)의 자유 단부의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의 거리보다 멀다.
중간 전기 접점(34)은 (그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스템(31)의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의 유전체 스트레치에 의해 및/또는 빈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간격에 의해) 전기 수위 접점(33)과 축방향으로(및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중간 전기 접점(34)은 예를 들어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으로부터 0이 아닌 반경방향 거리에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제 1 실시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커버(22)로부터 원위에 있는(그리고 컵형 바디(21)에 가까운) 스템(31)의 원통형 스트레치의 (하단) 단부에서 정의된다.
이 제 1 실시예에 예시된 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실질적으로 환형 바디(예를 들어 실질적인 축 대칭)에 의해 정의되고(즉, 이로 구성되고), 중심(대칭) 축은 바람직하게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한다.
도 1-6에 도시된 이 제 1 실시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의 (전체) 반경방향 외벽은 스템(31)에 의해 노출된다. 즉, 스템(31)의 외부면에 의해 내부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중간 전기 접점(34)을 그 자체로 정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체) 중간 전기 접점(34)은 바깥 쪽을 향하는, 즉 길이방향 축(A)에 대해 반대쪽을 향하는 반경방향 접점이다.
중간 전기 접점(34)의 축방향 하부 벽이 스템(31)에 의해 노출되도록(그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즉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된 중간 전기 접점(34)을 그 자체로 정의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강체) 중간 전기 접점(34)은 아래쪽을 향하는, 즉 컵형 바디(21)(또는 일반적으로 케이싱(20))의 바닥을 향하는 축방향 접점이다.
예를 들어, 중간 전기 접점(34)은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하는) 중심축 주위에 접혀 있고 반대쪽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결합된 (평평하고 길쭉한) 루프형 스트립으로 정의된다.
단순화된 실시예(이 제 1 실시예)에서, 이러한 접힌 스트립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불완전한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즉, 그들 사이에 (유전체) 원주간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중간 전기 접점(34)은 스템(31)의 축 부분, 예를 들어 그 원통형 스트레치에 감겨진다.
예를 들어, 중간 전기 접점(34)은 그 하부 자유 단부를 향해 수렴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뿔형 축방향 스트레치이거나 이를 포함 할 수 있거나, 형상이 완전히 원통형일 수 있다.
(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안으로, 중간 전기 접점(34)은 평평한 호일 또는 원형 섹터(전체 턴 동안 완전히 연장되지 않고 제한된 호에 대해서만 연장됨)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중간 전기 접점(34)은 하부 자유 단부, 또는 임의의 경우 경사진 단부를 향해 수렴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원뿔형 축방향 스트레치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커버(22)로부터 원위에 (그리고 컵형 바디(21)의 바닥에 가까이) 있는 스템(31)의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 단부 스트레치에서 정의된다.
이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가능한) 중간 전기 접점(34)은 하기에 더 잘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아래쪽을 향하는, 즉 컵형 바디(21)(또는 전반적으로 케이싱(20))의 바닥을 향하는 축방향 접점이다.
이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예시된 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제 1 실질적 환형 바디(345)(예를 들어 실질적인 축대칭)를 포함하며(또는 포함 할 수 있으며), 중심(대칭) 축은 바람직하게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한다.
도 7-15에 도시된이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제 1 바디(345)의 (전체) 하부 축방향 외벽은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의해 노출되고 예를 들어 길이방향 로드(311)의 단계 또는 반경방향 확대에서 스템(31)의 외부 면에 의해 내부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345)는 (편평한 또는 디스크/원뿔형) 와셔 또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하는) 중심축 주위로 접히고 (실질적으로) 맞은편 단부들에서 결합된 루프형 (평평하고 길쭉한 또는 원뿔형)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바디(345)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제조된다.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제 1 실시예 변형의) 단순화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접힌 스트립의 대향 단부 사이에 불완전한 결합이 제공될 수 있는데, 즉 단부 사이에 (유전체) 원주 간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중간 전기 접점(34)의 제 1 바디(345)는 실제로 스템(31)의 축 부분, 특히 길이방향 로드(311), 예를 들어 하부 스트레치(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과 상부 스트레치(즉, 슬리브(310))의 자유 하단 사이에 위치한 축방향 중간 부분에 감겨져 있다(그리고 0이 아닌 축방향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에 대한 대안으로서, 중간 전기 접점(34)의 제 1 바디(345)는 (전체 턴 동안 완전히 연장되지 않고 제한된 호에 대해서만 연장된) 평평한 호호일 또는 원형 섹터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제 1 바디(345)는 하단 자유 단부와는 다른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축방향 높이에, 예를 들어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길이의 중앙 축 높이에 있는 근위 영역에 위치한다.
이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전기 접점(34)의 제 1 바디(345)의 하부 축벽은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211)에 의해 노출되고, 그로부터 축방향(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하거나 아래를, 즉 컵형 바디(21)(또는 일반적으로 케이싱(20))의 바닥을 향한다.
도 7-15의 이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특히,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하거나 가변적 치수인 (스템(3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 메인 바디(346)를 포함한다.
메인 바디(346)는 중간 전기 접점(34)의 변형 가능한(축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바디를 정의한다.
중간 전기 접점(34)의 메인 바디(346)는 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A) 주위에 감겨있다.
바디(346)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346)는 바람직하게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하는 중심축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긴 나선형 형상을 갖는다.
실제로, 메인 바디(346)는 (상단 코일에 의해 정의된) 상부 축단부 및 (하단 코일에 의해 정의된)대향 하부 축단부를 가지며, 이는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길이방향 축(A)를 따라 서로 다른 축 높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바디(346)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메인 바디(346)는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한다(또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나선형 스프링은 확장 단부가 바닥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절두 원뿔 형상을 갖는다.
특히, 바디(346)는 스템(31), 특히 길이방향 로드(311)의 축방향 부분, 예를 들어 하부 스트레치(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과 상부 스트레치(즉, 슬리브(310))의 자유 하단 사이에, 가령, 제 1 바디가 제공되는 경우, 제 1 바디(345)(즉, 하부 축방향 외벽)와 하부 스트레치(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중간 축방향 스트레치에 감겨져 있다(그리고 0이 아닌 축방향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바디(346)는 스템 자체의 외부에서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의해)에 의해 지지된다.
바디(346)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예를 들어 길이방향 로드(311)의 계단 또는 반경방향 확장부에 위치된다.
바디(346)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 즉 제 1 바디(345) 자체의 축방향 하부 외벽의 (원주) 부분과 (직접) 접촉한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346), 즉 메인 바디(346) 자체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 즉 접촉해 있는 제 1 바디(345) 자체의 하부 축방향 외벽의 (원주) 부분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메인 바디(346), 즉 메인 바디(346) 자체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 즉 접촉해 있는 제 1 바디(345) 자체의 하부 축방향 외벽의 (원주) 부분에 영구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바디(346), 즉 메인 바디(346) 자체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와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메인 바디(346), 즉 메인 바디(346) 자체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예를 들어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정 리벳 또는 스레드 시스템 또는 다른 공지된 영구 또는 반영구 고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전도성 고정 시스템에 의해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에, 즉 접촉하는 제 1 바디(345) 자체의 축방향 하부 외벽의 (원주) 부분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바디(346), 즉 메인 바디(346) 자체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예를 들어 해제가능한 고정 시스템(예를 들어, 나사, 볼트 또는 후크 등의 그룹)에 의해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 즉 접촉하는 제 1 바디(345)의 축방향 하부 외벽의 원주 부분에 탈착식이거나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경우, 고정 시스템은 어떠한 경우에도 메인 바디(346)와 제 1 바디(345) 사이의 전기적 연결(전기적으로-중단없이-제 1 바디(345) 및 메인 바디(346)와 접촉할 가능성)의 연속성(즉, 중단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고정 시스템은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으로부터 메인 바디(346)의 축방향 적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메인 바디(346)를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시스템은 예를 들어,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1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기(돌출)하고 스템(31)으로부터, 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자유 하단)으로부터, 메인 바디(346)의 축방향 적출을 대항 및/또는 방지하도록 적응된 숄더를 정의하는 유지 요소(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메인 바디(346), 예를 들어 하부 축방향 단부 또는 상부 축방향 단부 또는 하부 축방향 단부와 상부 축방향 단부 사이의 임의의 중간 축방향 스트레치가 유지 요소(350) 상에 (직간접적으로) 놓인다.
이 예에서, 유지 요소(350)는 메인 바디(346)가 (직간접적으로) 안착되는 (스템(31)의 상부 구속 단부를 향하는, 즉 컵형 바디(21)의 바닥 반대쪽에 있는) 상부면을 갖는다.
유지 요소(350)는 바람직하게는 (배제된) 자유 하단부와 상술한 단계 사이에 포함된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미리 결정된(및 고정된) 축방향 높이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지 요소(350)는 상술한 단계와 길이방향 로드(311)에 제공된 하부 환형 개스킷(3110)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예시된 예에서, 상술한 축 높이는 계단보다 낮은 자유 단부에 더 가깝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지 요소(350)는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탈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유지 요소가 스템(31)에 영구히 및/또는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 요소(350)는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동축으로) 장착된, 예를 들어 스템 그 자체에 형성된(즉, 동일한 길이방향 로드(311)에 있는)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환형 시트에 (측정하기 위해) 삽입된, 환형 바디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된 예에서, 유지 요소(350)는 링,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링(즉, O-링)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유지 요소(350)가 강체 링(예를 들어, 와셔 또는 스레드 너트 또는 스레드 또는 반강체 링 너트(예를 들어, Seeger 링)) 또는 기타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유지 요소(350)의 축방향 위치는 미리 결정된 예비 하중(즉, 예압)을 메인 바디(346)에 정의하는 것과 같다.
상술한 예압은 메인 바디(346)를 정의하는 나선형 스프링이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 및/또는 단차와 유지 요소(350)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스프링은 정지시 축방향 (또는 변형되지 않은) 신장율보다 작은 축방향 신장율을 갖는다.
이러한 예압은 메인 바디(346)의 상부 축방향 단부와 제 1 바디(345) 사이의 강제 접촉을 선호하는 것과 같다.
동등하게, 고정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메인 바디(346)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기(돌출)하고 스템(31)으로부터, 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자유 하단)으로부터 메인 바디(346)의 축방향 적출을 대항 및/또는 방지하도록 적응된 숄더를 정의하는데, 이는 하부 행정 끝단이 제공되고 이 고정 요소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축방향 그루브/가이드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각 유지 요소는 가령 하부 축방향 단부에/가까이 메인 바디 내부에서 돌출한 (그리고 직간접적으로 고정된) 각각의 반경방향 치차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나 대안으로, 고정 시스템은 메인 바디(346)에(즉, 하부 축방향 단부에 있거나 그에 가까이) 만들어지고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행정 끝단이 제공된 각각의 (축방향) 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절한 (반경방향 내부) 그루브 또는 노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346), 즉 메인 바디(346) 자체의 상부 축방향 단부는 제 1 바디(345)(제공된 경우)에, 즉 접촉하는 제 1 바디(345) 자체의 하부 축방향 외벽의 (원주) 부분에 간단히 안착(강제)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바디(346)의 상부 축방향 단부를 제 1 바디(345)의 축방향 외벽에 대고 (축방향으로 아래에서 위로 밀어) 가압하는 나선형 스프링의 추력에 의해 상호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 요소(350)는 예를 들어 메인 바디(346)에 대한 하부 숄더 및 예비 하중 역할을 하며, 이는 메인 바디(346)의 상부 축방향 단부 및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 사이에 강제 (및 이에 따라 안전한) 접촉을 보장하는 축방향 추력을 생성한다.
중간 전기 접점(34)은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축대칭) 환형 인 제 2 바디(34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심(대칭)축은 바람직하게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바디(347)는 메인 바디(346)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바디(347)는 예를 들어 메인 바디(346)의 하부 축방향 단부가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 높이에서 스템(31), 즉 길이방향 로드(311)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바디(347)는 메인 바디(346)의 하부 축방향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촉해) 견고하게 고정된다(그리고 뻗어 있고/있거나 사실상 동일하게 정의된다).
실제로, 제 2 바디(347)는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놓이고 스템(31)의 상부 구속된 단부를 향하는 상부 축방향 외벽 및 스템(31)의 길이방향 축(A)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에 놓이고 스템(31)의 자유 하단을 향한(즉, 컵형 바디(21)의 바닥을 향한) 하부 축방향 외벽을 갖는다.
상부 축방향 외벽은 (직접) 접촉하고, 예를 들어 (전도성) 용접 또는 (전도성) 접착 또는 기타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또는 제한적 탈착/해제가능한) 고정 시스템에 의해 메인 바디(346)의 하부 축방향 단부(즉, 메인 바디의 마지막 하단 코일의 적어도 하나-나선형-스트레치)에 구속된다.
또한, 제 2 바디(347)가 메인 바디(346)와 일체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 바디(347)는 (평면 또는 디스크/원뿔 형상의) 와셔로 구성될 수 있다(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 2 바디(347)는 중앙 (원형) 개구를 정의하고 한정하는 상승하는 중앙 원통형 스트레치를 상단에서 갖는 와셔에 의해 정의된다.
제 2 바디(347)는 유지 요소(350)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내경(또는 최소 치수)을 갖는 중앙 홀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요소(350)는 제 2 바디(347)용의 (따라서 메인 바디(346)의 하부 축방향 단부에 대해 간접적으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숄더를 정의한다.
제 2 바디(347)는 메인 바디(346)의 하부 축방향 단부의 (최대) 외경보다 큰(또는 동일한) 외경(또는 최대 치수)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부 축방향 외벽은 축방향 아래를 향하는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을 (멀리서) 둘러싸는 상대적으로 큰 원형 크라운을 형성한다.
제 2 바디(347)(제공되는 경우)의 하부 축방향 외벽 또는 메인 바디(346)의 하부 축방향 단부(즉, 메인 바디(346)를 정의하는 나선형 스프링의 마지막 하단 코일)가 축방향으로 아래로 (즉,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 향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중간 전기 접점(34)의 접촉 표면(또는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표면)을 정의한다.
실제로, 접촉(또는 접촉 가능) 표면은 사용 중에 수위 센서(30)로부터 (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잘 설명될 필터 요소 지지체에 제공된 전도성 요소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가능한 구조의 전기 전도성 요소(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직접) 접촉되도록 의도된 표면이다.
실제로,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서로 상호 접촉을 통해 구속된 여러 전기 전도성 바디(제 1 바디(345), 메인 바디(346) 및 제 2 바디(347))의 결합으로 구성되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항상 (중단없이) 보장된다.
중간 전기 접점(34)(도 1-6의 제 1 실시예 및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 모두)은 전도성 호일(340), 예를 들어 금속 호일의 (하부) 단부 스트레치이고, 상부 스트레치는 하우징 시트 내부의 전자제어회로(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예를 들어 커버(22)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1-6의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호일(340)은 (완전히) 스템(31) 외부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템(31), 즉 원통형 스트레치의 (턴보다 작은, 예를 들어 직각보다 작은) 원주 부분을 감싼다.
이 경우, 전도성 호일(340)은 예를 들어 상단에 커버(22)의 하부면, 즉 전자제어회로(32)의 하우징 시트 아래에 놓이는 (90°) 폴드에 의해 정의되는 연결 스트레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나사와 같은 연결 나사(341)가 전도성 컬럼(340)(즉, 연결 스트레치)을 하부 벽을 가로 질러 커버(22)에 고정하여 전기 단자 중 하나(즉, 제 2 전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제어회로(32)의 하우징 시트로 인도하도록 형성된다.
실제로,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에 배치된) 연결 나사(341)의 헤드가 전도성 컬럼(340)과 직접 전기 접촉되고 (케이싱의 내부 체적 외부와 전자제어회로(32)의 하우징 시트 내부에 배치된) 연결 나사(341)의 팁이 전기 단자 중 하나(즉, 제 2 전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안으로,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호일(340)은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 내부에 (완전히)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통합되고 전도성 컬럼(33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분리된다(또는 스템(31)으로부터 나온다).
도 7-15의 이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전도성 호일(340)의 하단은 안정된(및 전도성) 방식으로 제 1 바디(345)(제공되는 경우)에 고정되거나 자체적으로 상술한 제 1 바디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전도성 호일(340)의 하단은 (전도성) 용접 또는 (전도성) 접착 또는 다른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또는 제한적 탈착식/해제가능한) 고정 시스템에 의해 제 1 바디(345)에 고정된다.
더욱이, 제 1 바디(345)가 전도성 호일(340)로 단일 바디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제 1 바디(345) 자체가 전도성 호일(340)의 하단을 형성한다.
사실, 각 실시예에서, 전도성 호일(340)은 축방향으로 중간 전기 접점(34)을 스템(31)의 상부 구속된 단부까지 또는 전자제어회로(32)까지 뻗어 있다. 연료 필터(10)는, 특히 도 2, 3 및 4, 7, 8, 12-15를 참조로,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40으로 표시된 수분 분리기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 분리기 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별개로 보호될 수 있으며 연료로부터 물의 분리를 분리 또는 촉진하고 디캔팅(즉, 집수 챔버(26) 내의 위치)을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특히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수위 센서(30)의 제 1 실시예와 함께 (비제한적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된 제 1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특히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수위 센서(30)의 제 2 실시예와 함께 (비제한적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된 제 2 실시예의 도 7-1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특히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수위 센서(30)의 제 3 실시예와 함께 (비제한적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된 제 3 실시예의 도 13-15에 도시되어 있다.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교체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에 통합(또는 구성)된다. 즉, 한 번 고갈될 때까지 사용한 필터 카트리지는 새 (동일한) 카트리지로 교체하여 연료 필터(10)의 완전한 기능을 복구할 수 있다.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내부 체적을 2 개의 개별 환경으로 분리하고, 그 중 입구 덕트(23)와 연통하는 제 1 환경(더러운 쪽)은, 입구 덕트(23)에서 출구 덕트(24)로 연료의 흐름 방향으로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상류에 놓이고, 출구 덕트(24)와 연통하는 제 2 환경(깨끗한 쪽)은, 입구 덕트(23)로부터 출구 덕트(24)로 연료의 흐름 방향으로 수분 분리 요소(40)의 하류에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입구 덕트(23)를 통해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에 들어가고 출구 덕트(24)를 통해 빠져 나가는 연료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구성된 필터 요소를 포함한다.
필터 요소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 예를 들어 (대칭의) 길이방향 중심축(B)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토로이드형(축 대칭)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는 아래에서 보다 명백한 바와 같이 수위 센서(30)의 적어도 축방향 부분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필터 요소는 수위 센서(30)와 실질적으로 동축인 케이싱(20) 내부에, 즉 길이방향 중심축(B)이 수위 센서(30)의 길이방향 축(A)과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실제로, 필터 요소는 커버(22)에 가까운 상단 및 컵형 바디(21)의 하단에 가까운 하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예를 들어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이 있는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사전 결정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거리에 배치된다.
필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연료에서 미립자(즉, 연료의 불순물로 정의된 고체 또는 반고체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격막(41)을 포함한다.
필터 격막(41)은 (필터 격막(41)이 주름형 격막인 경우) 별 모양 횡단면 또는 (필터 격막(41)이 깊이 유형의 격막인 경우) 실질적으로 환형 횡단면을 갖는 튜브형(전역 원통형)이고, 중앙 길이방향 축(B)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필터 격막(41)은 케이싱(20)의 내경보다 실질적으로 (약간) 더 작은 외경을 가지므로, 갭이 필터 격막(41) 외부에 형성되는 데, 이는 도 1-6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 1 환경의 적어도 일부(더러운 쪽)를 정의하는 반면,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 2 환경(깨끗한 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것과 같다.
필터 격막(41)의 내경은 수위 센서(30)의 외경보다 (많이) 더 크므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내부 공동이 필터 격막(41)에 (즉, 내벽과 수위 센서(30)의 외벽 사이에) 정의되고, 이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6의 제 1 실시예에서 공동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제 2 환경(깨끗한 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반면,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 1 환경(더러운 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것과 같다.
필터 격막(41)은 (또한) 가스 오일로부터 수분의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코얼레싱 타입일 수 있다.
대안으로, 코얼레싱 격막이 필터 격막(41) 상에, 예를 들어 축방향(외부 또는 내부)로, 바람직하게는 벽과 접촉하여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요소는 연료로부터 수분을 최종 분리하기 위한 소수성 메시(42)(또는 최종 분리기 격막)를 포함한다.
실제로, 소수성 메시(42)는 연료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교차되고 그 안에 포함된 수분을 정지시켜 중력에 의해 집수 챔버(26)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소수성 메시(42)는 튜브형(전역적으로 원통형)이며, 바람직하게는 얇은 벽을 가지며, 중심 길이방향 축(B)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실제로, 소수성 메시(42)는 예를 들어 0이 아닌 거리에서 필터 격막(41)에 동축이다.
제 2 및 제 3 실시예(도 7-15)에서, 수분 및/또는 소수성 메시를 분리하는 기능은 예를 들어 필터 격막(41)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는 (유착력을 갖는 것 외에도) 또한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물이 집수 챔버(26)로 떨어지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소수성 메시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적절한 외부 지지 캔들에 의해 지지되는)필터 격막(41) 외부에, 바람직하게는 필터 격막 자체와 동축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될 것이다.
필터 격막(41)과 메시가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를 통해 집수 챔버(26)와 연통하여 배치되는 소수성 메시 사이에 갭이 정의되며, 그 기능 및 구조는 설명된 도 1-6의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잘 설명된다.
도 1-6의 제 1 실시예에 예시된 구현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요소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교차된다.
여기서, 여과될 연료가 들어가는 입구 덕트(23)는 주변 (또는 외부) 덕트, 즉 (측벽에 가까운) 그 주변 영역에서 커버(22)의 케이싱(20)으로 이어지거나 임의의 경우 필터 요소와 케이싱(20)의 내벽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된 환경과 유체 연통하는 덕트인 반면, 여과된 연료가 빠져 나가는 배출 덕트(24)는 중앙 (또는 내부) 덕트,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와 동축으로) 커버(22)의 케이싱(20)으로 중앙으로 이어지는 원통형 단부 스트레치(24')(도 1-6의 제 1 실시예 참조)에 의해 정의된다.
더욱이, 이 경우, 소수성 메시(42)(도 1-6의 제 1 실시예에서)가 필터 격막(41)에 있어, 내부에 정의된 내부 원통형 챔버를 2 개의 챔버로 분할하며, 이 중 환형 챔버는 소수성 메시(42) 외부에 그리고 필터 격막(41) 내부에 있고, (배출 덕트(24)와 직접 연통하는) 내부 원통형 챔버는 소수성 메시 자체의 내부에 있다.
도 1-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소수성 메시(42)는 필터 격막(41)의 내경 보다 (많이) 작은 외경을 갖고 있어 소수성 메시(42)가 필터 격막(41)(의 내벽)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에 있고 그 사이에 갭이 정의되며, 이는 예를 들어 상술한 외부 환형 챔버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실시예(도 1-6 참조)를 구현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 메시(42)의 내경은 수위 센서(30)의 외경보다 커서 상술한 내부 환형 챔버를 정의하는 것과 같은 실질적으로 토로이드형 갭이 소수성 메시(42)에(즉, 수위 센서(3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정의된다.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예시된 대안적인 구현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요소는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교차된다.
여기서, 여과될 연료가 들어가는 입구 덕트는 중앙 (또는 내부) 덕트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와 동축으로) 커버(22)의 케이싱(20)으로 중앙으로 이어지는 슬리브(310)에 의해 정의된 입구 덕트(23)의 단부 스트레치로부터 정의된다(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 참조); 여과된 연료가 빠져 나가는 출구 덕트(24)는 대신에 커버(22)의 케이싱(20)으로, (측벽에 가까운) 주변 영역으로 이어지거나, 임의의 경우에 필터 요소와 케이싱(20)의 내벽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된 환경과 유체 연통하는 주변 (또는 외부) 덕트이다,
이러한 제 2 및 제 3 실시예(도 7-15 참조)에 따르면, 필터 격막(41)의 내경은 수위 센서(30)의 외경보다 커서 상술한 내부 원통형 챔버를 정의하는 것과 같은 실질적으로 토로이드형 갭이 필터 격막(41)에(즉, 수위 센서(3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다.
수분 분리기 요소(40)(도 1-15의 모든 구현 실시예에서)는 또한 필터 요소를 위한 지지체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든 구성 요소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는 전기 절연(유전체)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재료(PA) 또는 폴리에틸렌계 재료(PBT))로 제조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모든 구성 요소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요소 지지체는 전도성 플라스틱(예를 들어, 예를 들어 폴리머 매트릭스를 갖는, 가령, 지방족 폴리아미드계와 같은 전도성 폴리머 및/또는 전도성 복합 재료 및 가령, 탄소 나노 튜브 및/또는 카본 블랙과 같은 탄소계 보강재) 또는 금속(또는 금속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격막(41)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필터 격막(43)의 지지체를 포함한다.
필터 격막 지지체(43)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격막(41)의 상단에 (예를 들어, 열 밀봉 또는 접착에 의해)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431)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431)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의 길이방향 중심축(B)에 중심을 둔 상부 중앙 홀(432)를 갖는다.
상부 중앙 홀(432)에는 상부 환형 개스킷(433)이 수용되는 수용 시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중앙 홀(432)의 내경은 수위 센서(30)의 외경보다 크므로 수위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큰) 반경방향 간격으로 상부 중앙 홀(432) 자체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은 수위 센서(30)의 스템(31)의 상단이 (동축으로 및 반경방향 간격으로) 수용되는 배출 덕트(24)의 원통형 단부 스트레치(24')에 끼워진다.
실제로,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을 출구 덕트(24)의 내부 원통형 단부 스트레치(24')에 끼워 넣음으로써, 수위 센서(30)와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 사이에 동축 중심이 얻어진다.
상부 환형 개스킷(433)은 출구 덕트(24)의 내부 원통형 단부 스트레치(24')와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의 내부 에지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제 2 환경을 정의하는) 실질적인 원통형 내부 공동이 출구 덕트(24)와 연통하고 제 1 환경, 즉 입구 덕트(23)로부터 유압적으로 밀봉 분리된다.
필터 격막 지지체(43)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격막(41)의 하단에 (예를 들어, 열 밀봉 또는 접착에 의해)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43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434)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의 길이방향 중심축(B)에 중심을 둔 하부 중앙 홀(435)을 갖는다.
하부 중앙 홀(435)의 내경은 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수위 센서(30)가 (큰) 반경방향 간격으로 하부 중앙 홀(435) 자체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환형 개스킷(436)이 수용되는 수용 시트가 하부 플레이트(434)의 외측, 즉 그 외부 재킷 상에 제공된다.
하부 환형 개스킷(436)은 하부 플레이트(434)의 외부 재킷과 케이싱(20)의 내벽의 원통형 부분, 예를 들어 컵형 바디(21)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케이싱(20)의 내벽과 (제 1 환경을 정의하는) 필터 격막(41) 사이에 정의된 외부 갭이 입구 덕트(23)와 연통하고 제 2 환경, 즉 출구 덕트(24)로부터 유압적으로 밀봉 분리된다.
예시된 예에서 필터 격막 지지체(43)는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을 포함하는데, 이는 필터 격막(41)의 내부 공동에 (측정하기 위해) 삽입되어 실제로 내부적으로 감싼다.
예를 들어,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은 복수의 반경방향 관통 개구가 제공되는 필터 격막(4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튜브형 바디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는 동축으로 그리고 필터 격막(41)에 배치되고 그 상단에서는 상부 플레이트(431) 및 하단에서는 하부 플레이트(434)에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열 밀봉에 의해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어,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은 상기 외부 길이방향 캔들 자체의 상단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부 중앙 홀(432)을 둘러싸는) 상부 플레이트(431)의 중앙부에 의해 (0이 아닌 축방향 거리에서)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한 (바람직하게는 상부 플레이트(431)을 향해 상단에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시트가 제공되는) 환형판(438)를 포함한다.
이 제 1 실시예(도 1-6)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는 소수성 메시(4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소수성 메시(44)의 지지체를 더 포함한다.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는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격막 지지체(43)와 탈착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스냅 후크 또는 다른 유형의 후크 또는 연결에 의해 그와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와 연결되어 그들 사이에 상호 자유도가 없도록, 즉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단단하게 연결되도록, 또는 적어도 자유도 수준에 대해 상호 이동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길이방향 중심축(B)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다.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메시(42)의 내부 공동 내부 및/또는 외부에 (측정하기 위해) 삽입되는 내부 길이방향 캔들(441)을 포함하며, 실제로는 내부 길이방향 캔들을 감싼다.
예를 들어, 내부 길이방향 캔들(441)은 복수의 반경방향 관통 개구가 제공되는 소수성 메시(42)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튜브형 바디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내부 길이방향 캔들(441)은 동축으로 그리고 소수성 메시(42)에 배치되고 여기에 (예를 들어, 공동 성형, 접착 또는 열 밀봉에 의해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내부 길이방향 캔들(441)은 하나 이상의 치차(442)(또는 전체 연장을 위한 환형 에지)가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유도되는 개방된 상단을 가지며, 치차는 내부에 실질적으로 고정되도록(그리고 회전 가능성이 없도록)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의 환형판(438)과 (예를 들어, 상부에서 개방된 환형판(438)의 각각의 시트에 수용되는) 상부 플레이트(431)의 내부(하부)면 사이에 형성된다.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는 또한 내부 길이방향 캔들(441)의 하단에 (예를 들어, 열 밀봉 또는 접착에 의해 고정되거나 그와 함께 단일 바디로 만들어진)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443)를 포함한다.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필터 요소, 즉 소수성 메시(42)의 길이방향 중심축(B)에 중심을 둔 관통 개구(444)(도 3 참조)를 갖는다.
관통 개구(444)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거나 임의의 경우에 수위 센서(30)의 (길이방향 축(A)에 직교하는) 횡단면의 형태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퍼형의) 클로징 캡(311)에 만들어진다.
관통 개구(444)의 내경은 수위 센서(30)의 (최대) 외경보다 작거나 같아(또는 제한적으로 약간 더 크므로) 수위 센서(30)의 적어도 축방향 부분이 (스템(31)의 하단 자유 단부로부터) 그 관통 개구(444)를 통해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위 센서(30)의 적어도 전기 수위 접점(33)은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수위 센서 자체(의 스템(31))에 장착될 때 관통 개구(444)를 축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관통 개구(444)의 내경은 수위 센서의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 사이의 중간 직경이다, 다시 말해, 수위 센서(30), 즉 원통형 스트레치(310)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최소 외경, 즉 (원뿔형) 클로징 캡(311)의 최소 직경, 즉 수위 센서 자체의 자유 단부의 최소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수위 센서(30)는 상기 수위 센서(30)의 외벽, 즉 관통 개구(444)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뿔형) 클로징 캡(311) 부분의 외벽이 관통 개구(444)의 내벽에 접하여 관통 개구 자체를 위한 폐쇄 요소를 정의할 때까지 관통 개구(444) 내로 하부 자유 단부와 함께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수위 센서(30)의 외벽이 관통 개구(444)의 내벽에 접하면,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은 소수성 메시 지지체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바닥에(또는 이와 동일한 높이에) 및, 바람직하게는, (집수 챔버(26) 내)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의 바닥에 있다.
동시에,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은 대신 소수성 메시(42)(제공되는 경우)에 의해 둘러싸인 (도 1-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출구 덕트(24)와 직접 연통하며, 여기서 필터 요소가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반경방향으로 교차되는) 내부 원통형 챔버에 있다. 즉, 필터 요소의 대향 단부들(즉, 소수성 메시(42) 및/또는 필터 격막(41)의 대향 단부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다시 말해, 전기 수위 접점(33)과 중간 전기 접점(3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그리고 이에 의해 분리됨, 즉 전기 수위 접점(33)과 중간 전기 접점(34)을 떼어 놓고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스템(31)의 일부에 만들어진) 수위 센서(30)의 (도 2 및 6에서 2 개의 점선(L1 및 L2)으로 식별된) 연결부(35)가 수위 센서(30)의 외벽이 관통 개구(444)의 내벽에 접할 때 삽입되어 관통 개구(444) 내로 측정된다.
실제로, 수위 센서(30)의 연결부(35)는 관통 개구(444)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수위 센서(30)와 관통 개구(444) 사이에 밀봉 연결이 정의되며, 이 연결은, 설명된 예에서, 수위 센서(30)(즉, 연결부(35)에서 클로징 캡(311)의 외벽) 및 관통 개구(444)의 내벽 사이에 간섭에 의해 강제 연결(플라스틱 위의 플라스틱)에 의해 얻어진다.
밀봉 연결은 (주로 반경방향으로 압축에 의해 가해지는) 래디얼 타입 또는 (주로 축방향으로 압축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타입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수위 센서(30)와 관통 개구(444) 사이의 밀봉 연결은 개스킷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용 시트는 관통 개구(444)(또는 수위 센서(30) 외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시트에는 하부 환형 개스킷(미도시)이 수용되고, 수위 센서(30)의 외벽(즉, 클로징 캡(311)의 외벽)과 관통 개구(444)의 내벽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그러나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압축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비제한적인) 제 1 실시예(도 1-6)에서, 일반적으로 필터 요소 지지체는 관통 개구(444)에 진입하기 위해 수위 센서(30)를 가이드하고 인도하도록 구성된 안내 바디(445)(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는 상술한 가이드 바디(445)(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바디(445)가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 상에 제공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가이드 바디(445)는 필터 요소의 내부 원통형 챔버에 정의된다. 예를 들어,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상부(및 내부 길이방향 캔들(441)의 개방된 자유 단부의 하부)에 소수성 메시(42)의 예에서 정의된다.
도 1-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디(445)는 필터 요소 지지체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상부면, 즉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승하고 서로 분리되고, 예를 들어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고 관통 개구(444) 주위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 또는 핀을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는 내측, 즉 길이방향 중심축(B)을 향하고, 모든 투영에 공통인 관통 개구(444)를 향해 수렴하는 (수위 센서(30)의 원뿔형 스트레치에 상보적인) 원뿔형 표면에 놓여 있다.
실제로, 각 돌출부의 내측은 관통 개구(444)를 향해 (위에서) 수렴하여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축방향 병진 이동에 따라 관통 개구(444)에 동축으로 배열되도록 수위 센서(30)의 자유 단부(즉, 원뿔형 클로징 캡(311))를 가이드하는 (스트레치에서 불연속적인) 원뿔형 표면을 정의한다.
대안으로, 가이드 바디(445)가 필터 요소 지지체, 특히 관통 개구(444)에 대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승하는 단일 원뿔형(오목) 돌출부로부터, 또는 관통 개구(444) 자체의 내벽에 만들어진 원뿔형 프로파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외경은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의 내경보다 (많이) 작다.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는 또한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거나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는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431)에 약간 더 가깝다.
바람직하게는 (비제한적인) 이 제 1 실시예(도 1-6)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 즉,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가 연료에서 분리한 물의 침전 및 집수 챔버(26)로의 배수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배수 개구(45)(도 2 및 3 참조)를 정의한다.
배수 개구(45)는 외부 환형 챔버에 형성된다. 즉,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그 바닥에 배열된다.
실제로, 배수 개구(45)는 필터 격막(41)과 소수성 메시(42)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된 (제 2 환경이 분리된) 외부 환형 챔버를 집수 챔버(26)와 유체 연통 시키도록 구성되어 집수 챔버(26) 자체의 외부 환형 침전 챔버에서 연료로부터 물이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집수 챔버(26)는 실제로 케이싱(20)의 내부 체적이 수분 분리기 요소(40)에 의해 분할되는 제 2 환경의 일부,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 덕트(23)로부터 출구 덕트(24)로의 연료의 교차 방향으로 필터 격막(41)의 하류와 소수성 메시(42)의 상류에 배치된 제 2 환경의 일부의 한 부분이다. 즉, (하부) 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케이싱(20)의 바닥에 가까운 부분이다.
예시된 예에서, 배수 개구(45)는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와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 사이에 개재된 환형 갭에 의해 정의되며, 이들은 서로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더욱이,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가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와 단일 바디로 만들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한 경우에, 물을 위한 배수 개구는 필터 격막(41)과 소수성 메시(42)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환형 챔버에서 만들어진 상기 단일 바디를 통한 하나 이상의 편심 관통 개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유입 덕트(2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케이싱(20)으로 들어가는 연료는 (바깥에서 안쪽으로)수분 분리기 요소(40)를 가로지르며, 즉 먼저 필터 격막(41)을 통과한 다음 소수성 메시(42)를 통과한 후, 배출 덕트(24)로부터 (집수 챔버(26)에 축적되는 물로부터 여과되고 분리되어) 빠져 나간다.
도 7-15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는 바람직하게 필터 격막(41)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필터 격막 지지체(43)를 포함한다(이는 여과되는 액체에서 물의 코얼레싱 및/또는 분리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 격막 지지체(43)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격막(41)의 상단에 (예를 들어, 열 밀봉 또는 접착에 의해)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부 플레이트(431)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431)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의 길이방향 중심축(B)에 중심을 둔 상부 중앙 홀(432)을 갖는다.
상부 중앙 홀(432) 내부에는 수위 센서(30)의 스템(31), 즉 스템(31)의 슬리브(310) 외부에 형성된 원형 시트에 끼워지는(그리고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상부 환형 가스켓이 수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중앙 홀(432)의 내경은 수위 센서(30)(즉, 슬리브(310))의 (최대) 외경보다 커서 수위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큰) 반경방향 간격을 가지며 상부 중앙 홀(432) 자체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필터링 격막 지지체(43)의)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은 스템(31)의 슬리브(310)에 끼워지며, 그 내부에서 필터 격막(41)으로 뻗어 있는 수위 센서(30)의 길이방향 로드(311)가 (동축 및 반경방향 간격을 가지며) 유도된다.
실제로, 스템(31)의 슬리브(310)에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을 끼워 맞춤으로써, 동축 중심이 수위 센서(30)와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 사이에서 얻어진다.
상부 환형 개스킷은 슬리브(310)와 상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중앙 홀(432)의 내부 에지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압축되도록 형성되어 (제 1 환경을 정의하는) 실질적인 원통형 내부 공동이 입구 덕트(23)와 연통하고 제 2 환경, 즉 출구 덕트(24)로부터 유압식으로 밀봉 분리된다.
더욱이, 상부 플레이트(431)는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상부 및/또는 하부 연장함으로써) 상부 중앙 홀(432)을 둘러싸는 원통형 또는 적절한 형상의 생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 격막 지지체(43)는 필터 격막(41)의 하단에 (예를 들어, 열 밀봉 또는 접착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43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434)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의 길이방향 중심축(B)에 중심을 둔 관통 개구(444)를 갖는다.
관통 개구(444)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거나 임의의 경우에 수위 센서(30)의 (길이방향 축(A)에 직각인) 횡단면(특히 길이방향 로드(311)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의 형태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다.
관통 개구(444)의 내경은 수위 센서(30)(길이방향 로드(311))의 (최대) 외경보다 작거나 같으므로(또는 제한으로 약간 더 커서) 수위 센서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부분이 (스템(31)의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 자유 단부로부터) 관통 개구(444) 그 자체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위 센서(30)의 적어도 전기 수위 접점(33)은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수위 센서 자체(의 스템(31))에 장착될 때 관통 개구(444)를 축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수위 센서(30)(즉, 스템(31)의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부)는 관통 개구(444)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길이방향 로드(311)에 제공되는 하부 환형 개스킷(3110)이 관통 개구(444)의 내벽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압축되어 관통 개구 자체에 대한 폐쇄(밀봉) 요소를 정의할 때까지 관통 개구(444) 내로 그 하단 자유 단부와 축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하부 환형 개스킷(3110)이 관통 개구(444)의 내벽에 대해 압축될 때,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은 필터 격막(41)의 바닥, 바람직하게는 (집수 챔버(26)에 있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의 바닥에 위치한다.
동시에,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은 대신 필터 격막(41)에 의해 둘러싸인, 즉, 필터 요소의 대향 단부(즉, 필터 격막(41)의 대향 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필터 요소가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교차하는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슬리브(300)를 통해 유입 덕트(23)와 직접 연통하는) 내부 원통형 챔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전기 수위 접점(33)과 중간 전기 접점(34) 사이, 즉 전기 수위 접점(33)과 유지 요소(350)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그리고 그로부터 분리된, 즉 전기 수위 접점(33)과 중간 전기 접점(34)을 구별하고 물리적,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스템(31)의 길이방향 로드(311)에 형성된) 수위 센서(30)의 연결부가 수위 센서(30)의 하부 환형 개스킷(3110)이 관통 개구(444)의 내벽에 접할 때(또는 조여질 때) 관통 개구(444)에 측정을 위해 삽입된다.
따라서, 수위 센서(30)와 관통 개구(444) 사이에 밀봉 연결이 정의되며, 이는 (도시된 예에서) (O- 링 유형의) 하부 원형 개스킷(3110)에 의해 구현된다.
밀봉 연결은 반경방향 (주로 반경방향으로 압축에 의해 가해지는) 래디얼 타입 또는 (주로 축방향으로 압축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타입일 수 있다.
더욱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에 의해 정의될 때 유지 요소(350)는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과 관통 개구(444)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보조) 작용을 자체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필터 격막 지지체(43)는 또한 필터 격막(41)의 내부 공동 안에 (측정하기 위해) 삽입되는 내부 길이방향 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실상 내부적으로 이를 감싸고 있다.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특히 필터 요소 지지체 상에, 즉,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그와 일체로 제조된,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 및/또는 길이방향 캔들(내부(441) 또는 외부(437)) 중 하나에 제공된 (단일) 전도성 요소(50)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예에서, 전도성 요소(50)는 하기에 더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소수성 메시 지지체(44),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메시 지지체(44) 자체의 하부 플레이트(443)에 고정된다.
그러나,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요소(50)가 필터 격막 지지체(43), 바람직하게는 그 하부 플레이트(434)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전도성 요소(50)는 완전히 (즉 그의 모든 구성 요소에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제 1 변형 예에서, 전도성 요소(50)는 금속(예를 들어, 강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또는 구리)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다.
제 2 변형에서, 전도성 전극(50)은 전도성 플라스틱(예를 들어, 전도성 폴리머 및/또는 전도성 조성물 재료) 또는 금속(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요소 지지체 및 전도성 요소(50)의 화학적 성질의 기능으로서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상이한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가능한 구성은 전기 절연(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터 요소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요소(50)는 예를 들어 필터 요소 지지체에 고정된(삽입되거나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통합되거나 공동 성형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대안으로 전도성 요소(50)는 예를 들어 필터 요소 지지체와 (예를 들어, 공동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필터 요소 지지체 자체에 고정되는(삽입되거나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통합되는)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2 가능한 구성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터 요소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요소 지지체와 전도성 전극(50) 모두를 동일한 재료(또는 동일한 종류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요소 지지체 및 전도성 전극(50)은 전도성 플라스틱, 예를 들어 동일한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필터 요소 및 전도성 전극을 금속, 예를 들어 동일한 금속 또는 다른 금속으로 만들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전도성 요소(50)는 필터 요소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모놀리식 바디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제 2 구성의 범위 내에서, 필터 요소 지지체와 전도성 전극(50) 모두를 다른 재료(또는 다른 종류의 재료)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필터 요소 지지체는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전도성 전극(50)은 각각 금속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 전도성 요소(50)가 필터 요소 지지체와 (예를 들어, 공동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될 수(삽입되거나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명백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도성 요소(50)는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수 챔버(26)를 향해 축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구성된다.
전도성 요소(50)는 (주로 길이방향 중심축(B)에 평행한) 길이방향 축 따라 연장된 모놀리식) 바디에 의해 정의된다.
실제로, 전도성 요소(50)는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 및 따라서 유체(연료 또는 물)가 집수 챔버(26)에 포함된 상태로 중간 전기 접점(34)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수위 센서(30)의 전자제어회로의 연장을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요소(50)는 길이방향 중심축(B)과 관련하여 필터 요소 지지체의 편심 위치에 위치된다.
전도성 요소(50)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전도성 스트립 또는 전도성 호일 또는 전도성 네일 또는 실린더로 만들어진 (수분 분리기 요소의 중심 길이방향 축(B)에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따른) 세장형 바디에 통합(또는 구성)되며, 스트립은 예를 들어 도 1-6의 제 1 실시예 또는 도 13-15의 제 3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얇고 좁고 길다.
대안으로, 전도성 요소(50)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전도성 부싱으로 만들어진 (수분 분리기 요소의 중심 길이방향 축(B)에 평행한) 중심축 주위로 연장하는 튜브형 바디에 통합(또는 구성)되며, 이는 예를 들어 도 7-12의 제 2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얇고, 좁고, 길다.
전도성 요소(50)는 집수 챔버(26) 내로 직접 뻗어 있도록, 즉 내부로 안내되고 배열된구성된 수위 전극(51)을 포함한다.
수위 전극은 전도성 요소(50)의 표면, 즉 전도성 스트립 또는 호일 또는 전도성 네일 또는 실린더 또는 이를 형성하는 전도성 부싱의 표면을 의미하며, 이로부터 (이와 함께 제조되는 플라스틱 또는 재료) 필터 요소 지지체가 출현하거나 돌출하고, 사용 중에 적용되어 여과되는 유체에 침지(또는 그에 의해 습윤)되도록, 즉 집수 챔버(26)에 축적되는 연료 및/또는 물에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유체에 잠긴 프로브를 정의한다.
실제로, 수위 전극(51)은 사용시 (특히,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케이싱(20)에 정확하게 삽입되고 수위 센서(30)에 끼워지는 경우) 집수 챔버(26) 내부에 배치되도록 의도된다.
수위 전극(51)은 전도성 요소(50)의 하단부(또는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삽입될 때 케이싱(20)의 하단부 또는 바닥에 가까운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
수위 전극(51)은 필터 요소 지지체, 특히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도 1-6의 제 1 실시예 참조)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하부면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 참조) 및/또는 길이방향 캔들(내부(441) 또는 외부(437)) 중 하나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표면에 드러나거나 (축방향 아래로) 돌출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예에서, 수위 전극(51)은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하부면으로부터 (축방향 아래로) 돌출된다.
도 7-15에 도시된 예에서, 수위 전극(51)은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의 하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아래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위 전극(51)은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및 소수성 메시(42))의 하단부를 지나 축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바람직하게는 0이 아닌과 길이의 축방향 스트레치에 의해 돌출되며, 실제로 이는 수분 분리기 요소(40)를 아래쪽으로 연장시킨다.
수위 전극(51)(즉, 자유 하단, 필터 요소 또는 도출되는 바디로부터 가장 먼 곳, 즉 하부 플레이트(443 또는 434 )또는 길이방향 캔들(441 또는 437))이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정확한 설치 위치에서) 케이싱(20)에 배치될 때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0이 아닌)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되고, 그러한 미리 결정된 거리는 실질적으로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전기 수위 접점(33)의 미리 결정된 거리와 (축방향 허용오차가 상호 연결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한) 동일하다.
수위 전극(51)의 상단은 도출되는 바디에 구속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바닥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예를 들어 전기 수위 접점(33)의 상단이 있는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 배치된다.
실제로, 수위 전극(51)은 (그로부터 유도되는 바디,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 도 7-15에 예시된 예에서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에 구속되고 결합된) 상기 상단부와 예를 들어 필터 요소의 길이방향 중심축(B)(따라서 수위 센서(30)의 길이방향 축(A))에 평행한(그리고 이로부터 분리된) 거의 직선의 길이방향 축 전개를 따라 상기 자유 하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전개된다.
수위 전극(51)의 축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즉, 스템(31)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나오는 부분)의 축방향 길이보다 더 크다(또는 더 작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개구(444)와 전기 수위 접점(33)의 축방향 길이(즉, 스템(31)로부터 축방향으로 나오는 부분)를 교차한 스템(31)(즉, 클로징 캡(311))의 자유 단부의 돌출부(하부 플레이트(443)의 바닥)의 축방향 길이의 합과 같다.
전도성 요소(50)는 수위 전극(51)으로부터 이격된(즉, 상이한 축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위치에 있는) 접촉 전극(52)을 포함하고 수위 전극(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촉 전극은 전도성 스트립 또는 호일 또는 전도성 네일 또는 실린더 또는 이를 형성하는 전도성 부싱의 전도성 요소(50)의 표면을 의미하며, 이로부터 필터 요소 지지체(이와 함께 제조되는 플라스틱 또는 재료)가 출현 또는 돌출하고, 사용시,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과 (강제) 접촉하도록 배치되게 형성되어, 따라서 전류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둘 사이에 직접 전기 접촉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접촉 전극(52)은 접촉 전극(52)을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수위 전극(51)과 함께, 아래에서 더 잘 설명된, 수위 센서(51)에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에 의해 실제로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을 전기 접점에 놓음으로써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과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도 1 내지 6에 예시된 예에서, 접촉 전극(52)은 (직접) 필터 요소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원통형 공간,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메시(42)에 의해 둘러싸인 (배출 덕트(24)와 직접 연통하는) 내부 원통형 챔버에 배치된다.
실제로,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올바르게) 케이싱(20)에 삽입될 때, 접촉 전극(52)은 케이싱(20)의 내부 체적(바람직하게는, 비제한적인, 입구 덕트(23)에서 출구 덕트(24)로 연료의 교차 방향으로 소수성 메시(42)의 하류에 배치된 체적)이 수분 분리기 요소(40)로부터 분할되는 출구 덕트(24)와 연통하는 제 2 환경(깨끗한 쪽)에 배열된다.
접촉 전극(52)은 전도성 요소(50)(또는 전도성 요소의 상단 또는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삽입될 때 케이싱(20)의 바닥으로부터 원위 영역)의 상단부에 의해 정의된다.
접촉 전극(52)은 필터 요소 지지체, 특히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도 1-6 참조)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도 7-15 참조)의 상부면으로부터 표면(실질적으로 동일면)에 드러나거나 (축방향으로 위로) 돌출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예에서, 접촉 전극(52)은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상부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위쪽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전극(52)은 소수성 메시(42)(도 1-6 참조) 및/또는 필터 격막(41)(도 7-15 참조)의 필터 요소에 배치된다. 특히, 접촉 전극(52)은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및 소수성 메시(42))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축방향으로 포함된 축방향 영역에 배치된다(그리고 그 상단에서 종료된다).
예를 들어, 접촉 전극(52)(즉, 자유 상단, 하부 플레이트 또는 유도되는 바디로부터 가장 먼 곳)은 유도된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즉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도 1-6 참조) 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로부터, (0이 아닌)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되며, 이러한 미리 결정된 거리는 수위 센서(30)가 관통 개구(444) 내로 축방향으로 (부착) 삽입될 때 (축방향 허용오차가 상호 연결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 자체(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 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로부터 중간 전기 접점(34)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제로, 도 1-6 및 13-15의 제 1 및 제 3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52)은 예를 들어 필터 요소의 길이방향 중심축(B)(따라서 수위 센서(30)의 길이방향 축(A))에 주로 평행한(그리고 이로부터 분리된) 길이방향의 기다란 전개를 따라상기 자유 상단과 그로부터 유도되는 하부 플레이트(또는 바디), 이 예에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도 1-6 참조) 및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도 13-15 참조)에 구속되고 결합된 하단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전개된다.
접촉 전극(52)의 축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중간 전기 접점(34)과 전기 수위 접점(33) 사이의 축방향 거리보다 작다.
도 1 내지 6의 제 1 실시예에서, 적어도 접촉 전극(52)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즉, 전도성 요소(50)는 적어도 접촉 전극(52)에서 주어진 변형성 또는 탄성 항복 능력을 갖는다.
예시된 예(도 1-6 참조)에서, 접촉 전극(52)은 길이방향 중심축(B)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향된다. 즉, 이는 길이방향 중심축(B)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의 내부를 향한, 즉, 길이방향 중심축(B)을 향하는 전도성 요소(50)의 표면에 의해 정의된다.
실제로, 접촉 전극(52)은 중간 전기 접점(34)이 있는 케이싱(20)에서 동일한 축방향 높이로 배열되고 그 원주부와 나란히 반경방향으로 (외부에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중간 전기 접점(34) 자체와 반경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구성에서, 접촉 전극(52)은 주로 반경방향으로 바람직하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접촉 전극(52)은 반경방향 성분(길이방향 중심축(B)로부터 멀어지는 성분)을 갖는 추력에 의해 응력을 받으면 반경방향으로 (길이방향 중심축(B)로부터 멀리) 구부러지고 그러한 응력에 탄성 반응을 가하도록(즉, 길이방향 중심축(B))에 접근하는 반경방향 탄성 추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강체) 중간 전기 접점(34)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 전극(52)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점은 강제 유형이므로 더 안전하다.
유리하게 예시된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52)은 접촉 전극 자체의 상단 자유 단부에 가까운 제 1 반경방향 외측으로 기울어진 (길이방향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스트레치를 갖는 곡선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스트레치는 접촉 전극(52)용 캠으로서 작용하는 것과 같은 경사 램프를 정의하며, 이는 축방향으로 하부 플레이트(443)를 향하는 추력에 의해 응력을 받고 그러한 제 1 경사 스트레치에 작용할 때 (주로) 접촉 전극(52)을 길이방향 중심축(B)에서 멀리 반경방향으로 구부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축방향 추력은 수위 센서(30)의 관통 개구(444)에 수위 센서(30)를 (상호 접근하는 식으로) 삽입하는 동안 수위 센서(30)에 의해, 즉 중간 전기 접점(34)에 의해 가해진다.
도 1 내지 6에 예시된 예에서, 접촉 전극(52)은 또한 상기 접촉 전극 자체의 구속된 하단부에 가까운 (길이방향 중심축(B)에 접근하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제 2 스트레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 2 경사진 스트레치는 제 1 경사진 스트레치에 인접하고 그 사이에 길이 중심축(B)를 향하고 실제로 접촉 전극(52)을 정의하는 (둥근 또는 편평한) 에지(즉, 중간 전기 접점(34)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부분)를 정의한다.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예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중간 전기 접점(34)은 아래쪽을 향하는 축방향 접점이고, 따라서 접촉 전극(52)은 위쪽을 향하는 축방향 접점일 수 있다(즉, 길이방향 중심축(B)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쪽으로 배향된다); 다시 말해, 이는 길이방향 중심축(B)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바람직하게는 필터 요소(필터링 격막(41) 및/또는 제공된 경우 소수성 메시(42))의 상단을 향하는 전도성 요소(50)의(실질적으로 평면인) 표면에 의해 정의된다.
도 7-1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52)(즉, 전도성 요소(50)의 중심 길이방향 축(B)에 직교하는 상부면)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길이방향 중심축(B)과 동축이고,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의 하단부로부터 내부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접촉 전극(52)의 외경은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의 제 2 바디(347)의 외경보다 실질적으로 작거나 같다(또는 제한적으로 그보다 더 크다).
도 12-15의 제 3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52)(즉, 전도성 요소(50)의 중심 길이방향 축(B)에 직교하는 상부면)은 예를 들어 접촉하게 구성되도록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의 제 2 바디(347)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중심 길이방향 축(B)으로부터의 떨어져 배치된 (네일의) 확대된 헤드에 의해 정의된다.
실제로, 접촉 전극(52)(위에서 언급한 제 2 및 제 3 실시예 모두)은 중간 전기 접점(34)이 위치하는 케이싱(20)에서 동일한 축방향 높이로 배열되고 그 원주부(도 12-15 참조) 또는 전체 원주(도 7-12 참조)와 (바닥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므로, 중간 전기 접점(34) 자체와 축방향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52)(즉, 전체 전도성 요소(50))은 실질적으로 강체이며, 이는 작동 중에 받는 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없다.
이 구성에서, 중간 전기 접점(34)은 바람직하게는 바디(346)의 상술한 변형성으로 인해 우세한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중간 전기 접점(34)은 (아래에서 위로) 축방향 성분을 갖는 추력에 의해 응력을 받는 경우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로부터 떨어져) 축방향으로 구부러지고/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이 응력에 대한 탄성 반응을 가하도록(즉, 예를 들어 컵형 바디(21)의 바닥으로부터 0이 아닌 미리 결정된 거리에 제공된 지지 바디에 강제로 놓여 있는 수분 분리기 요소(40)를 누르고, 필요한 경우, 메인 바디(346)의 상부 축방향 단부와 제 1 바디(345) 사이의 접촉을 강제하는 경향이 있는 축방향 탄성 추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 지지체는 컵형 바디(21)의 바닥 및/또는 측벽으로부터 유도되는 복수의 판에 의해 정의된다.
대안으로서, 접촉 전극(52)이 주로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특히, 접촉 전극(52)은 (유도되는 하부 플레이트에 접근하는) 축방향 성분을 갖는 추력에 의해 응력을 받는 경우 (유도되는 하부 플레이트에 접근하는) 축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이러한 응력에 대한 탄성 반응을 가하도록(즉, 유도되는 하부 플레이트에서 멀리 축방향 탄성 추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강체의 또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중간 전기 접점(34)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또는 강체의) 접촉 전극(52)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은 강제 유형이므로 더 안전하다.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경우, 접촉 전극(52)은 예를 들어 길이방향 중심축(B)에 평행한 축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의해 정의되거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도 1-6 참조)에 따르면, 접촉 전극(52)은 90°보다 작은 원주의 호(弧), 예를 들어 15°보다 작은 호를 포함하도록 이러한 원주 폭을 가질 수 있다.
접촉 전극(5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상단부를 갖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이는 중간 전기 접점(34) 자체를 정의하는 접힌 스트립의 대향 결합(또는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단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원주간 공간의 중간 전기 접점(34)의 더 큰 원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접촉 전극(52)의 이러한 넓어진 상단부는 길이방향 중심축(B)에 평행한 곡률 축을 갖는 곡선 경로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곡률을 확대하는 것과 같은 주어진 변형성을 가질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중간 전기 접점(34)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싼다.
이러한 상황에서, 접촉 전극(52)은 중간 전기 접점(34)의 높이에 배치된 2 개의 접촉 영역을 정의하고, 중간 전기 접점(34) 자체의 외부면 상에 있는 임의의 전기적 불연속을 덮기 위해 적어도 2 개의 접촉부(52' 및 52")를 가질 수 있다.
접촉 전극(52)은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90°보다 큰, 예를 들어 360°(즉, 실질적으로 환형)와 같은 원주 호를 포함하는 그러한 원주 폭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52)은 수위 전극(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전도성 요소(50)는 접촉 전극(52)과 수위 전극(5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브리지(53)를 포함한다.
전기 브리지(53)는 (직접적으로 그와 접촉하는) 필터 요소 지지체에, 특히 소수성 메시 지지체(44)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 이 예에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브리지(53)는 실제로 축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예를 들어 도 1-6의 제 1 실시예 참조)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예를 들어 도 7-15의 제 2 및 제 3 실시예 참조)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실제로, 전기 브리지(53)가 바닥(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의 하부면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에 인입되고(즉, 출현하거나 표면 높이로부터 나오고), 이는 수위 전극(51)의 구속된 상단에 연결되고, 상부에(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의 상부면에) 인입되며(또는 출현하거나 표면 높이로부터 나오며), 접촉 전극(52)의 제한된 하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전기 브리지(53)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금속) 전도성 요소(50)를 소수성 메시 지지체(44)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플라스틱 하부 플레이트(443)와 함께 성형함으로써 또는 대안으로,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메시 지지체(44) 자체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에 만들어진 길이방향 중심축(B)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관통 축과 함께 관통 시트에 강제 삽입된 연동식 또는 스냅 삽입식 또는 나사식 또는 기타 연결에 의해 내부에 통합되거나 그로부터 돌출된(도 7-12 참조) 소수성 메시 지지체(44)(도 1-6 참조)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도 13 내지도 13 참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전기 브리지(53)는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 및/또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에 탈착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브리지(53)는 접촉 전극(52)과 수위 전극(51)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되고 이들 각각을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연장시킨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도 1-15 참조)에서, 전기 브리지(53)는 접촉 전극(52) 및/또는 수위 전극(51)과 함께 단일 바디로 제조된다; 실제로, 전도성 요소(50)는 접촉 전극(52), 수위 전극(51) 및 전기 브리지(53)를 포함(또는 구성)하는 모놀리식 바디(전도성 스트립 또는 호일 또는 전도성 네일 또는 실린더 또는 전도성 부싱)에 의해 정의된다(전기 브리지(53)는 접촉 전극(52)과 수위 전극(51)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브리지(53)가 접촉 전극(52) 및 수위 전극(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개의 바디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더욱이, 전기 브리지(53)는 접촉 전극(52)과 수위 전극(51)(및/또는 필터 요소 지지체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 필터 요소 지지체)이 만들어진 동일한 전기 전도성 재료(금속)로 만들어진다.
대안으로, 전기 브리지(53)는 접촉 전극(52) 및 수위 전극(51)이 만들어지는 재료와 다른, 예를 들어 더 저항성이 있는, 전기 전도성 재료(금속)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도 1-6 참조)에 예시된 예에서, 소수성 메시 지지체(44)의 하부 플레이트(443)로부터 나온 전기 브리지(53)의 상부는 전기 브리지(53)와 하부 플레이트(443) 자체 사이의 연결의 가이드 블록의 외부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되므로, 따라서 예를 들어 실질적인 축방향 프리즘 연결을 정의한다.
더욱이, 전기 브리지(53)가 단일 바디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때, 전기 브리지(53)가 필터 요소 지지체의 일부가 되도록, 즉 함께 단일 바디에 정의되도록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1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튜브형 바디에 의해 정의된) 전도성 요소(50)는 관통 개구(444)의 관통 축(즉, 필터 요소의 길이방향 중심축(B)과 동축)과 (일치하는) 동축인 중심축을 갖는다.
이 경우, 전도성 요소(50)는 내부적으로 관통 개구(444)(즉, 관통 개구 자체를 정의하고 한정하며 이를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에 대한 제한된 축방향 스트레치에 의해 아래 및/또는 위로 연장하는 원통형 생크의 원통형 벽)(의 전체 내벽)를 덮는다.
실제로, 전도성 요소(50)는 관통 개구(444)에 삽입되는 (예를 들어 원통형이고 상부 원뿔형 플레어링이 제공된) 상술한 전기 브리지(53)를 정의하는 중심 스트레치와 상기 중심 스트레치 자체에서 캔틸레버식으로 반경방향으로 유도되는 2 개의 대향 자유 환형 단부를 포함한다.
특히, 하부 (환형) 자유 단부는 수위 전극(51)을 정의하고(그리고 수분 분리기 요소(40) 외부를 향하거나 배치되고) 상부 자유 (환형) 단부는 접촉 전극(52)을 정의한다(그리고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축방향으로 안쪽을 향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템(31)(즉, 길이방향 로드(311))과 관통 개구(444) 사이의 단단히 밀봉된 연결이 (길이방향 로드 자체에 장착된) 하부 환형 개스킷(3110)과 전도성 요소(50)(즉, 전기 브리지(53)의)의 중앙 스트레치의 내벽 사이에 가해지는 밀봉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예시된 것 외에도, 연료 필터(10)의 상이하고 동등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도시된 것과 달리, 대안적인 구현(도면에 미도시)은 필터 요소가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반경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수성 메시(42)(제공되는 경우)가 필터 격막(4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될 연료가 들어가는 입구 덕트는 상술한 중앙(또는 내부) 덕트, 즉 커버(22)의 케이싱(20)으로 중앙으로 인입되는 중앙(또는 내부) 덕트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 여과된 연료가 빠져 나가는 출구 덕트는 상술한 주변(또는 외부) 덕트, 즉 커버(22)의 케이싱(20)으로, (측벽에 가까운) 주변 영역으로 인입되는 또는 임의의 경우에 필터 요소와 케이싱(20)의 내벽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된 환경과 유체 연통하는 주변(또는 외부) 덕트이다.
이 상황에서, 유입 덕트(23)로부터 케이싱(20)으로 들어가는 연료는 (반경방향으로)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수분 분리기 요소(40)를 통과한다. 즉, 먼저 필터 격막(41)을 통과한 다음 소수성 메시(42)를 통과하여 배출 덕트(24)로부터 빠져 나간다(집수 챔버(26)에 축적되는 물로부터 여과되고 분리된다).
이 경우, 관통 개구(444)는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 및/또는 필터 격막(41)과 동축으로 연결된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제공되는 경우)의 하단 영역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일한) 전도성 요소(50)는 (또한) 필터 격막 지지체(43)의 하부 플레이트(434) 및/또는 필터 격막(41)과 동축으로 연결된 외부 길이방향 캔들(437)(제공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를 고려하여, 연료 필터(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수분 분리기 요소(40)가 케이싱(20)에 정확하게 삽입되고 케이싱이 닫히면, 수위 센서(30), 즉 수위 센서의 스템(31)(즉, 제공된 경우, 길이방향 로드(311))이 필터 요소, 즉 필터 격막(41) 및/또는 소수성 메시(4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수분 분리기 요소(40)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더욱이, 수위 센서(30), 특히 스템(31)/길이방향 로드(311)(즉, 그 하단)가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 개구를 내부에서 커버하고 그 주변 에지(또는 전도성 요소(50)의 내벽) 상에 (밀봉에 의해) 접합되는 관통 개구(444)(및/또는 전도성 요소)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작동 구성에서, 수위 센서(30)의 전기 수위 접점(33)이 집수 챔버(26)에 직접 배치되고,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은 대신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내부 체적에 있는 집수 챔버(26) 외부에 배치된다.
더욱이,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접촉 전극(52)은 그러한 중간 전기 접점(34)과 직접 (강제) 전기 접촉하고 있으며 수분 분리기 요소(40)의 수위 전극(51)이 집수 챔버(26)에 직접 배치된다.
실제로, 중간 전기 접점(34)은 전도성 요소(50)의 전기적 개재에 의해 집수 챔버(26)에 실질적으로 간접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기 수위 접점(33)과 수위 전극(51)은 모두 집수 챔버(26)에 있는 동일한 유체에서 출현한다.
물은 연료(가스 오일)보다 전기 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전기 수위 접점(33)과 수위 전극(51)이 모두 연료에서 나오면, 일단 수위 센서의 전자 회로가 공급된 다음 유체(연료)를 통해 전기 수위 접점(33)과 수위 전극(51)이 서로 간에 실질적으로 분리되고, 수위 센서가 전기 수위 접점(33) 및 수위 전극(51)에 의해 정의된 회로 끝에서 가스 오일의 전기 저항에 따라 제 1 전류 세기 값을 측정한다.
집수 챔버(26)에서 케이싱(20)의 바닥에 축적된 물이 전기 수위 접점(33)와 수위 전극(51)을 또한 부분적으로만 포함할 수 있는 그러한 높이에 도달하면, 전자 회로는 전기 수위 접점(33)과 수위 전극(51)에 의해 정의된 회로 끝에서 물의 전기 저항에 따라 그리고 이에 따라 제 1 전류 세기 값보다 큰 제 2 전류 세기 값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배출 덕트(25)를 통해 집수 챔버에 축적된 물을 비울 필요성을 차량 제어 유닛에 신호한다.
이렇게 구상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더욱이, 모든 세부 사항은 기술적으로 동등한 다른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특정 모양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하기의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으로써 임의적일 수 있다.

Claims (16)

  1. -케이싱(20)의 바닥에 연료에서 분리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집수 챔버(26)를 갖는 케이싱(20);
    -상기 케이싱(20)으로 뻗어 있고,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는 전기 수위 접점(33)과 상기 케이싱(20) 내부 및 상기 집수 챔버(26) 외부에 배열된 중간 전기 접점(34)이 제공되는 수위 센서(30); 및
    -상기 케이싱(20)에 수용된 수분 분리기 요소(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분리기 요소(40)는:
    · 연료가 교차하도록 형성된 필터 요소(41, 42);
    · 상기 전기 수위 접점(33)이 상기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도록 수위 센서(30)가 교차하는 관통 개구(444)가 제공되는 필터 요소 지지체(43, 44); 및
    · 상기 필터 요소 지지체(43, 44)에 제공된 전도성 요소(50)를 구비하며,
    상기 전도성 요소(50)에는:
    · 상기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는 수위 전극(51); 및
    · 상기 수위 전극(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접촉 전극(52)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전극(52)은 상기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과 접촉하는 연료 필터(10).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 센서(30)와 관통 개구(444) 사이에 밀봉 연결부가 형성되는 연료 필터(10).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 센서(30)는 길이방향 축(A)을 따라 길이방향 전개부를 가지며 관통 개구(444)는 전기 수위 접점(33)과 중간 전기 접점(34)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수위 센서(30)의 연결부(35)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연료 필터(10).
  4.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41, 42)는 수위 센서(30)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길이방향 중심축(B) 주위에서 전개하는 실질적인 튜브 형상을 가지며,
    -필터 요소 지지체(43, 44)는 집수 챔버(26)에 가까운 필터 요소(41, 42)의 한 하단에 고정된 하부 플레이트(434, 443)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플레이트(434, 443)에서 관통 개구(444)가 만들어지는 연료 필터(10).
  5. 제 1 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444)는 수위 센서(30)용 가이드 바디(445)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연료 필터(10).
  6. 제 5 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디(445)는 복수의 개별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 측면은 관통 개구(444)를 향해 수렴하는 공통 원뿔형 표면 상에 놓이는 연료 필터(10).
  7. 제 4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는 연료에 있는 미립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격막(41)을 포함하는 연료 필터(10).
  8. 제 4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는 연료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소수성 메시(42)를 포함하는 연료 필터(10).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필터 격막(41) 및 소수성 메시(42)가 서로 동축인 연료 필터(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 전극(52) 및 중간 전기 접점(34)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료 필터(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필터 요소(41, 42)는 길이방향 중심축(B)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이며, 접촉 전극(52) 및 중간 전기 접점(34) 중 적어도 하나는 이러한 길이방향 중심축(B)에 대해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배향되고 각각 주로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료 필터(10).
  12.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 전극(52) 및 수위 전극(51)은 일체형 바디로 제조된 단일 세장형 전도성 요소(50)의 두 개의 대향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 필터(10).
  13.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 전극(52) 및 수위 전극(51)은 일체형 바디로 제조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단일 튜브형 전도성 요소(50)의 두 개의 대향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연료 필터(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중심축은 관통 개구(444)의 관통 축과 동축인 연료 필터(10).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전도성 요소(50)가 관통 개구(444)를 내부적으로 덮는 연료 필터(10).
  16. 연료에서 분리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챔버(26)를 갖는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20)으로 뻗어 있고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는 전기 수위 접점(33)과 상기 케이싱(20) 내부 및 집수 챔버(20) 외부에 배열된 중간 전기 접점(34)이 제공되는 수위 센서(30)를 포함하는, 연료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연료 필터(10)용 요소(40)로서,
    연료가 교차하도록 형성된 필터 요소(41, 42);
    전기 수위 접점이 필터 요소(41, 42)를 지나 집수 챔버(26)로 뻗도록 연료 필터(10)의 수위 센서(30)가 교차하게 형성된 관통 개구(444)가 제공된 필터 요소 지지체(43, 44); 및
    상기 필터 요소 지지체(43, 44) 상에 제공된 전도성 요소(50)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요소(50)에는:
    집수 챔버(26)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수위 전극(51); 및
    상기 수위 전극(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접촉 전극(52)이 제공되며,
    상기 접촉 전극(52)은 상기 집수 챔버(26) 외부에 배치된 상기 수위 센서(30)의 중간 전기 접점(34)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연료 필터용 요소(40).
KR1020217006679A 2018-10-19 2019-10-14 연료 필터 KR20210075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9624 2018-10-19
IT102018000009624A IT201800009624A1 (it) 2018-10-19 2018-10-19 Filtro carburante
PCT/IB2019/058732 WO2020079561A1 (en) 2018-10-19 2019-10-14 Fuel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70A true KR20210075970A (ko) 2021-06-23

Family

ID=6773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679A KR20210075970A (ko) 2018-10-19 2019-10-14 연료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40942A1 (ko)
EP (1) EP3867517A1 (ko)
JP (1) JP7461939B2 (ko)
KR (1) KR20210075970A (ko)
IT (1) IT201800009624A1 (ko)
WO (1) WO2020079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022B (zh) * 2020-05-22 2022-02-22 中国人民解放军92942部队 一种船用燃油系统监测与处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0560B1 (en) * 1998-10-20 2001-03-13 Avigen, Inc. Adeno-associated virus vectors for expression of factor VIII by target cells
DE102012005206A1 (de) * 2012-03-16 2013-09-19 Mann + Hummel Gmbh Kraftstofffilter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Heiz-Sensor-Modul eines Kraftstofffilters
DE102013211209B4 (de) * 2013-06-14 2016-02-25 Robert Bosch Gmbh Filtereinsatz für einen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stofffilter
ITRE20130066A1 (it) * 2013-09-19 2015-03-20 Ufi Filters Spa Gruppo filtrante con sensore di presenza dell'acqua nel gasolio
ES2663633T3 (es) * 2014-02-27 2018-04-16 Ufi Filters S.P.A. Cartucho filtrante y grupo filtrante con sensor de agua fijado al núcleo del filtro
DE102014010997B4 (de) * 2014-07-29 2016-08-11 Mann + Hummel Gmbh Wasserabscheideelement mit Wasserdetektionselektro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9561A1 (en) 2020-04-23
EP3867517A1 (en) 2021-08-25
US20210340942A1 (en) 2021-11-04
IT201800009624A1 (it) 2020-04-19
JP7461939B2 (ja) 2024-04-04
JP2022504978A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0522B1 (en) Filter cartridge and filter group with water sensor fixed to the filter core
US4276161A (en) Fuel filter provided with a water level detecting means
CN100496667C (zh) 用于柴油内燃机的燃料过滤器
US9248393B2 (en) Cup-shaped housing, device for separating liquid from air, and method for mounting the cup-shaped housing on a nipple
JP6517192B2 (ja) ディーゼル燃料中の水の存在検知器を備えたフィルタ群
RU2605129C2 (ru) Фильтр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элементом стыковки картриджа фильтра и корпуса
US20170157542A1 (en) Water Separator Element Comprising Water Detection Electrodes
CN102671459B (zh) 流体处理元件和组件
CN109996592B (zh) 阀门传感器组件
WO2015057809A1 (en) Electronic filter detection feature for liquid filtration systems
KR20210075970A (ko) 연료 필터
US20070241036A1 (en) Filter for filtering fuel
CN112443437B (zh) 燃油滤清器
WO2008011317A2 (en) Differential pressure indic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3657234B (zh) 具有单圈螺纹端口的过滤器外壳
EP1914417A2 (en) Fil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220168010U (zh) 快速组装式油滤
CN215370081U (zh) 一种结构稳定的滤清器
CN203742862U (zh) 用于内燃机的过滤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