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749A -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749A
KR20210075749A KR1020190167183A KR20190167183A KR20210075749A KR 20210075749 A KR20210075749 A KR 20210075749A KR 1020190167183 A KR1020190167183 A KR 1020190167183A KR 20190167183 A KR20190167183 A KR 20190167183A KR 20210075749 A KR20210075749 A KR 2021007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additive
aluminum
weigh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999B1 (ko
Inventor
김지혜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102019016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1/00Obtaining aluminium
    • C22B21/06Obtaining aluminium refining
    • C22B21/062Obtaining aluminium refining using salt or flux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9/00Nitrat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1/00Obtaining aluminium
    • C22B21/0084Obtaining aluminium melting and handling molten aluminium
    • C22B21/0092Remelting scrap, skimmings or any secondary source 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에 투입하는 첨가제로서,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X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Y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Z는 Be, Mg, Ca, Sr, Ba, 또는 Ra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ADDITIVE FOR MOLTEN METAL COMPRISING ALUMINIUM, MOLTEN METAL INCLUDING THE ADDITIVE AND METHOD FOR TREATING THE MOLTEN METAL}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들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에 특정한 화학 첨가제를 투입함으로써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용탕 처리 방법과 특정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용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높다.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은 Si, Mg, Zn, Mn, Cu 등의 원소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고강도, 고내식성 합금으로 이용되는 금속이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은 음료수 캔, 차량, 가전용품, 건축, 기계, 전기, 항공기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은 재생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알루미늄 재생 원료를 용해하기 전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나, 이는 원가의 과중을 초래하므로 지양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알루미늄 재생 원료인 알루미늄 스크랩(scrap)은 그 종류가 수천 개에 달하며, 일정한 로(furnace)에 투입되어 용해된 후 불순물 처리 작업 등을 거쳐 목적에 맞는 알루미늄으로 다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러가지 스크랩에서 유입되는 불순물 및 이물질로 인해 드로스(dross)의 발생량이 많아진다. 드로스는 용탕(molten metal)의 표면에 생긴 금속 산화물 등의 불순물 덩어리를 말하고 찌끼라고도 한다.
한편, 알루미늄을 많이 생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작업하는 반사로가 사용되는데, 반사로의 경우 1100℃ 이상의 온도에서 조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등의 산화율이 높아져 이로 인해 드로스의 발생량이 증가하기도 한다. 또한 용탕에서 드로스의 분리가 효율적으로 되지 않아 드로스 내에 금속이 많이 엉기게 되어 드로스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에 특정한 화학 첨가제를 투입함으로써 용탕에서 드로스를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드로스 내 금속의 비율을 낮추고 최종적으로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이는 용탕 처리 방법과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용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에 투입하는 첨가제로서,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X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Y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Z는 Be, Mg, Ca, Sr, Ba, 또는 Ra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탕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으로서,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탕 처리 방법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고, 상기 용탕에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를 알루미늄 용탕에 투입하는 경우, 용탕에서 드로스를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비율을 낮추고,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조업 과정을 이롭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1 내지 15에서의 알루미늄 금속 회수율을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중량%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원료를 용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용탕로 내로 알루미늄 스크랩 등의 원료를 장입하여 계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한다. 이때 용해된 원료와 대기의 접촉면에서 원료의 산화가 일어나 금속산화막이 형성된다. 둘째, 용탕을 교반함으로써 상기 산화막을 붕괴시킨다. 이때 붕괴된 산화물 조각들이 부상과 침강을 반복하며 덩어리로 합체되어 드로스가 형성된다. 셋째, 용탕 표면으로부터 상기 드로스를 걷어내는 스키밍 작업을 한다.
그런데 여기서 드로스와 용탕의 분리는 쉽지 않다. 걷어낸 드로스에는 알루미늄 금속이 많게는 80% 이상, 적게는 50% 이상 포함되어 있어, 드로스 내에서 알루미늄 금속을 분리해 내는 2차적 회수 과정이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드로스를 긁어 모은 포트를 재처리장으로 옮겨 플러스(flux) 등의 도움을 받아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2차 회수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을 베이스로 하는 용탕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드로스를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비율을 낮추고 최종적으로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는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X는 1가 양이온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 없고 예를 들어 Li, Na, K, Rb, Cs, 또는 Fr이다. 상기 Y는 1가 양이온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 없고 예를 들어 Li, Na, K, Rb, Cs, 또는 Fr이며, 상기 Z는 2가 양이온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 없고 예를 들어 Be, Mg, Ca, Sr, Ba, 또는 Ra이다.
상기 첨가제는 일종의 플럭스라고 할 수 있고, 화학 첨가제, 혼합염, 또는 첨가물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스키밍 작업을 하기 전에 용탕에 투입되어 용탕과 드로스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통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은 50% 이상이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을 50% 미만으로 낮출 수 있고, 40% 이하, 35% 이하, 또는 30% 이하로 낮출 수 있고 예를 들어 30% 이상 40% 이하의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를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 원료 중량 대비 회수된 알루미늄 금속의 중량의 비율, 즉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은 50%를 초과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2%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68% 이상, 또는 7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XCl, YNO3, ZCO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두 종류를 포함하거나 또는 세 종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NaCl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NaCl 및 KC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NaCl 및 NaNO3를 포함하거나 NaNO3 및 MgCO3를 포함할 수 있는 등, 어떤 조합이든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가 XCl을 포함하는 경우, 첨가제 전체 중량 대비 XCl을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00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또는 70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YNO3을 포함하는 경우, 첨가제 전체 중량 대비 YNO3을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00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또는 70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가 ZCO3을 포함하는 경우, 첨가제 전체 중량 대비 ZCO3을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고, 10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첨가제는 XCl, YNO3, 및 ZCO3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드로스를 용탕에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을 낮추고, 최종적인 알루미늄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은 45% 이하 또는 40% 이하일 수 있고,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은 55% 이상, 또는 60% 이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알루미늄의 생산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조업 과정을 이롭게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80 중량%의 XCl, 10 내지 80 중량%의 YNO3, 및 3 내지 20 중량%의 ZCO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30 중량%의 XCl, 60 내지 80 중량%의 YNO3, 및 5 내지 15 중량%의 ZCO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첨가제는 60 내지 80 중량%의 XCl, 10 내지 30 중량%의 YNO3, 및 5 내지 15 중량%의 ZCO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드로스를 용탕에서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을 낮추고, 최종적인 알루미늄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XCl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알루미늄 용탕에 투입하는 경우, 예상되는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1) 2Al + 3Cl2 -> 2AlCl3
(2) 3H+AlCl3 -> Al +3HCl
(3) 6HCl +2Al -> 2AlCl3 +3H2
상기 화학식(2)에서 AlCl3는 원자 상태로 활성화된 수소와 반응하여 Al과 안정화된 분자 상태의 수소로 분리되며, 상기 화학식(3)에서 생성된 2AlCl3는 산화물과 복합물이 되어 드로스로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는 반사로, 전기로, 용해로 등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어느 곳에든 투입 가능하며, 별도의 장입구가 없어도 투입 가능하고, 배치식이 아닌 연속식의 조업 과정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알루미늄 용탕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의미하며, 상기 알루미늄 용탕과 상기 용탕은 알루미늄 이외에 다른 금속이나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 탈산제, 첨가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으로서,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용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용탕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또는 3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용탕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용탕에 0.01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예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용탕에 0.1 중량%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용탕과 드로스를 효율적으로 분리해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을 낮추고,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탕에서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은 55% 이상, 또는 58% 이상일 수 있고,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함량은 45% 이하 또는 40%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의 생산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조업 과정을 이롭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와 상기 용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고, 상기 용탕에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용탕 처리 방법은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이는 방법일 수 있고, 알루미늄 용탕에서 드로스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일 수 있으며, 또는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비율을 낮추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첨가제와 상기 용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용탕 처리 방법에서 상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는 것은 반사로, 전기로, 용해로 등 종류에 상관없이 어느 장치에서도 진행 가능하고, 배치식 공정이든 연속식 공정이든 상관 없다. 일반적으로, 상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는 것은 용탕로 내 알루미늄 원료를 장입하는 단계, 교반하는 단계, 및/또는 원료를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는 것은 500℃ 이상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0℃ 이상, 700℃ 이상, 750℃ 이상, 800℃ 이상, 900℃ 이상, 1000℃ 이상, 또는 1100℃ 이상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1300℃ 이하, 1250℃ 이하, 1200℃ 이하, 1150℃ 이하, 1100℃ 이하, 1000℃ 이하, 또는 900℃ 이하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용탕 처리 방법에서 상기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어도 상관 없고, 별도의 장입구가 존재하지 않아도 되며 배치식 공정뿐 아니라 연속식 공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와 투입량의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용탕 처리 방법은 교반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하는 장치는 어느 종류든 상관 없다. 교반 시간은 1분 이상, 3분 이상, 5분 이상, 또는 10분 이상일 수 있으며, 1시간 이하, 30분 이하, 20분 이하, 또는 10분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용탕 처리 방법에 따르면, 용탕에서 드로스가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의 비율을 낮추고,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인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과 드로스 내 알루미늄 금속 비율의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100톤 반사형 용해로에 알루미늄 스크랩 퍽(puck) 및 폐캔(UBCs, Used Aluminum Beverage Cans)의 혼합물을 용해시켜 교반하고, NaCl 70중량%, NaNO3 20중량%, 및 CaCO3 10 중량%를 혼합한 첨가제를 투입한다. 용융 온도는 720℃ 내지 1100℃로 한다. 상기 첨가제를 용탕에 산포한 후 지게차 스키머를 이용해 5분 내지 10분동안 교반한다. 상기 첨가제의 투입 함량은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1: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에서의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은 알루미늄 스크랩 퍽 및 폐캔 등의 재생 원료 전체 중량 대비 최종적으로 회수된 알루미늄 금속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이때, 회수율은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식 1]
회수율 = (100 ×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량)/ 알루미늄 장입량
(단, 식 1에서 알루미늄 함량은 품목에 따라 기준이 다름)
아래 표 1을 참고하면, 상기 첨가제를 투입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이 51%인데 반해, 상기 첨가제를 일정량 투입한 실시예 1 내지 10의 경우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이 54% 이상, 60% 이상, 또는 70% 이상으로 증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첨가제 함량 (중량%)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 (%)
비교예 1 0 51
실시예 1 0.1 58.67
실시예 2 0.2 65.77
실시예 3 0.3 61.4
실시예 4 0.4 66.1
실시예 5 0.5 67.96
실시예 6 0.75 54.96
실시예 7 1.0 68.38
실시예 8 1.5 70.09
실시예 9 2.0 69.59
실시예 10 3.0 70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
첨가제의 종류를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첨가제의 투입 함량은 0.10 중량%, 0.50 중량%, 및 1.00 중량% 세 종류로 하였다.
구분 첨가제 종류
실시예 11 NaCl 70중량%, NaNO3 20중량%, 및 CaCO3 10 중량%의 혼합물
실시예 12 NaCl 20중량%, NaNO3 70중량%, 및 CaCO3 10 중량%의 혼합물
실시예 13 NaCl
실시예 14 NaNO3
실시예 15 CaCO3
평가예 2: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
실시예 11 내지 15에서의 알루미늄 금속 회수율을 계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1 내지 13은 첨가제의 세 함량 값 모두에서 회수율이 60% 이상으로 평가되었고, 실시예 14의 경우 첨가제의 함량이 0.5 중량%와 1.0 중량%일 경우 회수율이 60%이상이며, 실시예 15의 경우 첨가제의 함량이 1.0 중량%일 경우 84%의 회수율이 나와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이 1.0 중량%인 경우 실시예 11 내지 15 모두 60% 이상의 회수율이 나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에 투입하는 첨가제로,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상기 X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Y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Z는 Be, Mg, Ca, Sr, Ba, 또는 Ra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XCl, YNO3, 및 ZCO3를 포함하는 첨가제.
  3. 제2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80 중량%의 XCl,
    10 내지 80 중량%의 YNO3, 및
    3 내지 20 중량%의 ZCO3를 포함하는 첨가제.
  4.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으로,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용탕.
    (상기 X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Y는 Li, Na, K, Rb, Cs, 또는 Fr이고, 상기 Z는 Be, Mg, Ca, Sr, Ba, 또는 Ra이다.)
  5. 제4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용탕.
  6. 제4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0.1 중량%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용탕.
  7. 제4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XCl, YNO3, 및 ZCO3를 포함하는 용탕.
  8. 제7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80 중량%의 XCl,
    10 내지 80 중량%의 YNO3, 및
    3 내지 20 중량%의 ZCO3를 포함하는 용탕.
  9. 제4항에서,
    상기 용탕은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이 55% 이상인 용탕.
  10.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탕을 준비하고,
    상기 용탕에 XCl, YNO3, ZC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탕 처리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첨가제를 0.01 중량% 내지 5 중량% 투입하는 용탕 처리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첨가제를 0.1 중량% 내지 3 중량% 투입하는 용탕 처리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XCl, YNO3, 및 ZCO3를 포함하는 용탕 처리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첨가제는
    10 내지 80 중량%의 XCl,
    10 내지 80 중량%의 YNO3, 및
    3 내지 20 중량%의 ZCO3를 포함하는 용탕 처리 방법.
  15. 제10항에서,
    상기 용탕은 알루미늄 금속의 회수율이 55% 이상인 용탕 처리 방법.
  16. 제10항에서,
    상기 용탕 처리 방법은 연속식 공정에 적용되는 것인 용탕 처리 방법.
  17. 제10항에서,
    상기 용탕 처리 방법은 700℃ 이상 1200℃ 이하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인 용탕 처리 방법.
KR1020190167183A 2019-12-13 2019-12-13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KR10240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183A KR102403999B1 (ko) 2019-12-13 2019-12-13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183A KR102403999B1 (ko) 2019-12-13 2019-12-13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49A true KR20210075749A (ko) 2021-06-23
KR102403999B1 KR102403999B1 (ko) 2022-05-30

Family

ID=7659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183A KR102403999B1 (ko) 2019-12-13 2019-12-13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07A (ko) * 1997-09-11 1999-04-06 마사루 다카시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용탕처리용 융제
JP2004143483A (ja) * 2002-10-22 2004-05-20 Pechiney Japon Kk アルミニウム溶湯の処理方法
JP2005023367A (ja) * 2003-07-02 2005-01-27 Nippon Light Metal Co Ltd アルミニウム溶湯処理用フラ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溶湯の処理方法
KR20130011317A (ko) * 2011-07-21 2013-01-30 (주)디에스리퀴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칼슘 불순물 제거용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칼슘 불순물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07A (ko) * 1997-09-11 1999-04-06 마사루 다카시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용탕처리용 융제
JP2004143483A (ja) * 2002-10-22 2004-05-20 Pechiney Japon Kk アルミニウム溶湯の処理方法
JP2005023367A (ja) * 2003-07-02 2005-01-27 Nippon Light Metal Co Ltd アルミニウム溶湯処理用フラ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溶湯の処理方法
KR20130011317A (ko) * 2011-07-21 2013-01-30 (주)디에스리퀴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칼슘 불순물 제거용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칼슘 불순물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999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448586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luminous abrasives
CN115369262B (zh) 一种复杂粗锡绿色高效的精炼方法
US2516863A (en) Process of producing tantalum, columbium, and compounds thereof
CN107723475A (zh) 提高铝渣中再生铝回收率的方法
US1321684A (en) William lawrence turner
CN112877541B (zh) 一种基于钕铁硼油泥料制备的再生合金及其制备方法
KR102403999B1 (ko) 알루미늄 용탕 투입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용탕 및 용탕 처리 방법
CN1018847B (zh) 铌铁精矿制取优质铌铁合金的方法
KR101287559B1 (ko)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마그네슘 불순물 제거용 비나트륨계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마그네슘 불순물 제거방법
US3257199A (en) Thermal reduction
CN107400783A (zh) 一种高纯镁精炼剂及高纯镁精炼工艺
CN1006904B (zh) 从废铝熔渣中回收金属的熔剂
EP2083092B1 (en) Process for recycling spent pot linings (SPL) from primary aluminium production
CN110714134A (zh) 一种铝硅合金高效打渣剂及其制备和应用
KR101287558B1 (ko)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마그네슘 불순물 제거용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탕 내의 마그네슘 불순물 제거방법
CN113999996B (zh) 一种复杂含铜物料火法精炼制备阳极板的方法
US4451287A (en) Flux in recovery of aluminum in reverberatory furnace
Zhou et al. Study on continuous crystallization and purification of bismuth from Pb-Bi alloy
US3114627A (en) Producing metallic magnesium from a
DE60011227T2 (de) Karbothermische herstellung von aluminium unter verwendung von aluminium-schrott als kühlmittel
US4501614A (en) Flux in recovery of aluminum in reverberatory furnace and method of making
CN113416882A (zh) 一种利用废富物料生产多晶相钒系合金的方法
CN106929684A (zh) 一种铜冶炼电炉贫化渣回收铜、铁用的改性添加剂及应用
CN111850321A (zh) 一种降低锡精炼渣中锡含量的方法
KR101874202B1 (ko) 알루미늄 잉곳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