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452A -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452A
KR20210075452A KR1020190166529A KR20190166529A KR20210075452A KR 20210075452 A KR20210075452 A KR 20210075452A KR 1020190166529 A KR1020190166529 A KR 1020190166529A KR 20190166529 A KR20190166529 A KR 20190166529A KR 20210075452 A KR20210075452 A KR 20210075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water
water tank
block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086B1 (ko
Inventor
이승혜
Original Assignee
이승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혜 filed Critical 이승혜
Priority to KR102019016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0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모터; 수조 내의 분진과 사료 잔여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체류하는 작업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수중모터의 입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작업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이물질을 체류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상기 수조 내의 물만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상기 수중모터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조 내 생물들의 섭식과 배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분진들을 포집 제거하여 깨끗한 수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DUST REDUCING APPARATUS FOR FISHTANK}
본 발명은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 내 생물들의 섭식과 배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분진들을 포집 제거하여 깨끗한 수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조는 각종 물고기나 갑각류 또는 양서류 및 파충류 등을 포함한 동물과 수초 등의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을 함께 모아 놓고 사육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수조는, 물속에 사는 생물들을 그들의 생태 조건에 적합한 환경 속에서 기르고 진열하여 생물들의 생태나 습성 따위를 여러 사람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조는 주로 거실과 같은 곳에서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에 사용되는 여과기의 종류는 실로 다양하며, 설치 위치에 따라 분류하면 상면 여과기, 저면 여과기, 측면 여과기 및 외부 여과기 등이 있다.
또한 수조에 사용되는 여과기의 종류는, 여과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물리적 여과, 화학적 여과 및 생물학적 여과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이용자가 처한 설치 조건 및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내부 환경은 공간과 개체수량, 적정 수온 및 용존산소량 등이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과다하게 높은 개체수의 생물들을 수조 내부에 함께 넣어 기르거나, 수온이 생육에 알맞지 않거나 용존산소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수조 내부의 생물들이 폐사할 수 있다.
아울러, 수조는 여러 생물들을 함께 모아 놓은 시설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수조 내부에 물고기류의 먹이와 배설물로 인하여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므로 일정 시간마다 내부에 담긴 물을 자주 교환하거나 여과기를 설치하여 물을 정화시켜 청결성을 유지해야 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49925호의 "좌대식 분리형 수조여과장치"(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관상어용 수조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받침부와, 이러한 받침부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조립 체결되어 흡입되는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흡입여과부와, 전술한 받침부에 끼움 결합식으로 조립 체결되면서 수조 내의 물을 흡입여과부를 통해 흡입하여 외부 공기와 함께 수조 내부로 순환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기존의 스펀지 여과기와 같이 에어의 압력과 기포를 이용한 여과 방식과 크게 차이가 없어 여과를 위한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외부 공기와 함께 수조 내부로 물을 순환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작동될 때 기포가 터지며 발생하는 소음이 매우 커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99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수조 내 생물들의 섭식과 배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분진들을 포집 제거하여 깨끗한 수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모터; 수조 내의 분진과 사료 잔여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체류하는 작업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수중모터의 입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작업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이물질을 체류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상기 수조 내의 물만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상기 수중모터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중모터의 입수관을 수용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의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개방된 하면을 가지는 체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류부에 상기 포집수단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중모터의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체결통이 형성된 회동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편의 내부에 상기 수중모터의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입수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제1 포집블록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집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포집블록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집블록과 상기 제2 포집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포집블록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포집블록의 상면에 배치되는 포집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물은 상기 수중모터에 의하여, 상기 제1 포집블록과 상기 제3 포집블록과 상기 포집패드 및 상기 제2 포집블록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포집패드는, 상기 제3 포집블록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진 패드 코어와, 상기 패드 코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3 포집블록의 외측면 상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 고정되는 패드 윙과, 상기 패드 코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수중모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수류통과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수중모터; 수조 내의 분진과 사료 잔여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체류하는 작업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수중모터의 입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작업공간에 내장되어 이물질을 체류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며,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수조 내의 물만 입수관을 통하여 수중모터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수조 내 생물들의 섭식과 배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분진들을 포집수단이 수중모터의 가동에 따른 강력한 흡입력으로 포집 제거하여 깨끗한 수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수중모터의 입수관을 수용하는 네크부와, 네크부와 연결되어 작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입수관의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개방된 하면을 가지는 체류부를 포함하며, 체류부에 포집수단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청소할 때 수중모터로부터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모터의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연장편과, 연장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네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체결통이 형성된 회동 커버를 더 포함하며, 연장편의 내부에 수중모터의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입수관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회동 커버가 연장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수조 내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히 출수관의 설치 방향이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치의 자유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집수단은, 본체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제1 포집블록과, 본체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1 포집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포집블록과, 본체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1 포집블록과 제2 포집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포집블록과, 본체에 내장되고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3 포집블록의 상면에 배치되는 포집패드를 포함하며, 수조의 물은 수중모터에 의하여, 제1 포집블록과 제3 포집블록과 포집패드 및 제2 포집블록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변이나 사료 잔여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나 이물질이 부패되기 전에 포집 제거하는 물리적 여과를 우선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항상 맑은 수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포집패드는, 제3 포집블록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진 패드 코어와, 패드 코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3 포집블록의 외측면 상부와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 고정되는 패드 윙과, 패드 코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수중모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수류통과 홀을 포함함으로써, 수중모터의 수류를 허용하면서도 수조 내의 분진을 포착 제거함으로써 확실한 물리적 여과에 따른 수질 정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 측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주요부인 포집수단 중 여과재를 제외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주요부인 포집수단 중 제1 포집블록과 제3 포집블록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청소시 수조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주요부인 포집수단(300) 중 여과재(350)를 제외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주요부인 포집수단(300) 중 제1 포집블록(310)과 제3 포집블록(33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청소시 수조(4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체류부(220)의 하부측을 향하는 점선 화살표는 분진이 포함된 물의 흐름을, 출수관(102)으로부터 배출되는 실선 화살표는 분진이 포집 제거된 물의 흐름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모터(100)와 연결된 본체(200)에 내장된 포집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체(200)는 수중모터(100)의 입수관(101)과 연결되는 것으로, 수조(400) 내의 분진과 사료 잔여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체류하는 작업공간(201)을 내부에 형성한 것이다.
포집수단(300)은 작업공간(201)에 내장되어 이물질을 체류시키는 것으로,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수조(400) 내의 물만 입수관(101)을 통하여 수중모터(100)의 출수관(102)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수중모터(100)의 바디(110)의 일측면에는 연장편(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장편(120)에는 회동 커버(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네크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0m)과 맞물리는 암나사산(131f)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체결통(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편(120)의 내부에 수중모터(100)의 바디(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입수관(101)이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수중모터(100)의 바디(110)의 타측면에 구비된 출수관(102)과 탈착 가능한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는, 수류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등 수조(400) 내 사육되는 생물들의 습성에 맞춰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장착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는, 출수관(102)과 연결되는 직관 형태의 메인 연결배관(1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는, 출수관(102)과 연결되거나, 메인 연결배관(151)과 연결되는 보조 연결배관(152a)과, 보조 연결배관(152a)으로부터 분지되어 에어레이션용 호스(이하 미도시)와 연결되는 에어분지 포트(152b)를 포함하는 에어레이션 배관(1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는, 출수관(102)과 연결되거나, 메인 연결배관(151)과 연결되며 절곡된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엘보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는, 출수관(102)과 연결되며 말단부가 폐쇄된 중공의 연장봉(154a)과, 연장봉(15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일정 직경을 가진 복수의 출수공(154b)을 포함하는 레인바(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 배관 어셈블리(150)는, 출수관(102)과 연결되는 연장배관(155a)과, 연장배관(155a)의 단부에 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조인트(155b)와, 볼 조인트(155b)의 단부에 구비되어 출수관(102)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분사 범위를 가변하는 출수 노즐(155c)을 포함하는 노즐부(155)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육자는 전술한 각종 부품(151~155)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은 수조(400)의 바닥면에 근접 또는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개방된 하면(202)이 수조(400)의 바닥면에 거의 닿도록 근접 배치(이하 제1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배치는 일명 탱크 수조(bare bottom fish tank)라 불리는 모래나 자갈과 같은 바닥재를 깔지 않은 수조(4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탱크 수조는 대형어를 사육하거나 수조(400)에 사육중인 개체의 수가 많은 과밀 사육을 실시하는 수조일 경우, 잔여 사료나 분변의 양이 많을 때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수조(400) 세팅 방식인데, 분변이나 잔여 사료로 인한 분진중 입자 크기나 중량이 있는 것들은 수조(400)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수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코리도라스(corydoras)나 플레코(pleco) 또는 안시스트러스(ancistrus)와 같은 저서성 어류나, 외부아가미(external gills)를 가지고 평생을 수생 생활하는 아홀로틀(axolotl) 또는 앤더슨 살라맨더(anderson's salamander)를 포함하는 양서류와 같이 바닥 생활을 하는 생물은 해당 개체의 배 부분에 전술한 이물질이 부패한 상태로 접촉될 경우 피부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배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개체들이나 대형어를 사육할 때 전술한 이물질들이 부패되기 전에 포집 제거하기 위한 탱크 수조에 적합한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배치는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이 수조(400)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탱크 수조일 경우에는 바닥재와 분진이 본체(200) 내부로 섞여 들어가는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조(400) 내부에 설치된 장식물 등의 구조물을 고려한 배치를 감안해 본체(200)를 눕히거나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개방된 하면(202)이 수조(4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대략 1~10cm 정도) 이격시켜 배치(이하 제2 배치)하는 경우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배치는 자갈이나 모래 등을 포함한 바닥재를 수조(400)의 바닥면에 깔아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조(400)의 이물질 제거에 적합하다.
제2 배치에서 전술한 일정 거리는 수조(400)의 바닥에 깔린 바닥재의 입자 크기와 수중모터(100)의 출력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2 배치에서 바닥재가 일명 슈가 샌드(sugar sand)라 불리는 고운 입자를 가진 것들은 개방된 하면(202)이 수조(400)의 바닥면과 너무 가까울 경우 수중모터(100)의 흡입 압력에 의하여 이물질과 함께 빨려 올라갈 수 있으므로, 5~7cm 정도는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배치에서 바닥재의 입자 크기가 크고 무거운 흑사나 자갈과 같은 것들은 제1 배치보다는 이격시키지만 수조(400)의 바닥면, 즉 수조(400)의 바닥면에 깔린 바닥재에 근접하게 개방된 하면(202)을 배치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체(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수중모터(100)의 입수관(101)을 수용하는 네크부(210)와,
네크부(210)와 연결되어 작업공간(201)이 내부에 형성되며 입수관(101)의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개방된 하면(202)을 가지는 체류부(220)를 포함하며,
체류부(220)에 포집수단(300)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한편, 포집수단(300)은,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제1 포집블록(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집수단(300)은,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1 포집블록(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포집블록(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집수단(300)은,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1 포집블록(310)과 제2 포집블록(3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포집블록(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집수단(300)은,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3 포집블록(330)의 상면에 배치되는 포집패드(3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조(400)의 물은 수중모터(100)에 의하여, 제1 포집블록(310)과 제3 포집블록(330)과 포집패드(340) 및 제2 포집블록(320)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 배출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포집블록(310)은 외측면의 일부와 저면이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으로부터 노출되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제1 포집블록(310)과 제2 포집블록(320) 및 제3 포집블록(330)은 2~5mm 크기의 기공을 가진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하드 스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수중모터(100)가 가동되는 동안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크기, 즉 2~5mm 크기의 기공에 비교적 입자 크기가 큰 분진들이 수중모터(100)의 흡입압력으로 부착 고정됨으로써 수조(400) 속을 분진들이 날려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포집블록(310)의 외측면 하부와 저면이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은 전술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분진들 중 입자 크기가 큰 것들을 1차적으로 포집하여 수조(400) 바닥면을 청결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포집패드(340)는 퀼팅 솜(quilting cotton)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조(400) 속의 생물로부터 발생하는 분변으로 인한 슬러지를 물로부터 2차적으로 분리 포집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퀼팅 솜은 100% 면으로 제작된 섬유이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평직(平織, plain weave)된 소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퀼팅 솜은 제조사에 따라 그 재료의 무게나 두께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세탁후에도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여과재(350)로도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포집패드(340)는,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드 코어(341)와 패드 윙(342) 및 수류통과 홀(343)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패드 코어(341)는 제3 포집블록(33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진 것이다.
또한, 패드 윙(342)은 패드 코어(3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3 포집블록(330)의 외측면 상부와 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수류통과 홀(343)은 패드 코어(341)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수중모터(100)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것이다.
퀼팅 솜으로 이루어진 포집패드(340)의 작용은 일반적으로 수조(400)속 생물들의 분변으로부터 발생하는 슬러지를 포집하여 여과하기 위한 물리적 여과재(35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포집패드(340)를 본체(200)로부터 분리하여 살펴보면, 제3 포집블록(330)의 상면과 맞닿은 포집패드(340)의 하면과, 제2 포집블록(320)의 하면과 마주보는 포집패드(340)의 상면과의 색깔 차이가 확연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포집패드(340)의 하면이 더 짙은 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여 분변 슬러지가 대량 포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수류통과 홀(343)의 직경은 5~2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이 3w~5w 출력의 수중모터(100)를 사용하여 사용한 결과 수류통과 홀(343)의 직경이 10mm 내외인 경우에는 수중모터(100)의 흡입압력이 약하여 집진 및 여과 기능이 다소 원활하지 않은 것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수류통과 홀(343)의 직경을 18mm 내외로 하였을 때 수중모터(100)에 따른 흡입수량이 많아지고 집진력 또한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류통과 홀(343)의 직경을 18mm 내외로 하였을 때는 수중모터(100)의 출력에 관계없이 고르게 집진력을 보이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포집패드(340)의 두께는 2 내지 6 mm의 범위 내에서 설치 환경에 맞게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퀼팅솜 중 4온스와 7온스를 기준으로 할 때 두께가 약 2배 가량 차이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압축솜은 생산과정이나 온도 및 습도 등의 생산환경 및 압축 강도에 따라 압축률이 달라져 그 두께가 입고시마다 달라질 수 있으으므로, 실제로는 4온스의 경우 두께가 3.5mm, 7온스의 경우 5mm이다.
여기서, 온스는 원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국내에서는 퀼팅솜의 두께를 온스로 표기하고 있는 바, 이러한 온스의 숫자가 커질수록 퀼팅솜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다.
그런데, 온스는 두께 단위가 아닌 무게의 단위이므로, 솜을 동일한 면적에 어떻게 펼쳐놓는 지에 따라 밀도가 달라진다.
즉, 온스 값이 같더라도 두께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퀼팅솜으로 이루어진 포집패드(340)는 두께가 2mm인 3온스의 것과, 3.5mm인 4온스의 것을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온스의 포집패드(340)는 출력이 대략 3w 내지 5w 수준으로 저용량의 수조(400)에 사용하는 수중모터(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온스의 포집패드(340)는 출력이 대략 7w 이상으로 강하며 대용량의 수조(400)에 사용하는 수중모터(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4온스의 포집패드(340)와 출력이 약한 3w 내지 5w의 수중모터(100)의 조합에 의하면, 압축 평직된 퀼팅솜의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수중모터(100)의 흡입력이 포집패드(340)를 통과하는 순간 약해지면서 물의 통과량 또한 줄어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집진 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수초를 풍성하게 식재하여 새우나 수초 사이를 유영하는 관상어 어항을 셋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닥재로 진흙을 작은 환약 형태로 구워 제조된 소일(soil)이라는 바닥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4온스의 포집패드(340)를 고출력의 7w 이상인 수중모터(100)와 함께 사용하면 수조(400) 셋팅 초기에 소일로 인한 분진을 대부분 제거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때, 포집패드(340)에는 수류통과 홀(343)을 생략하여 소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우선적으로 포집 제거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포집수단(300)은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2 포집블록(320)과 포집패드(340) 사이에 배치되어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여과를 수행하는 여과재(3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여과재(350)는, 생물학적 여과재(351)와 화학적 여과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생물학적 여과재(351)는 박테리아의 흡착 서식이 가능한 다공질 소재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이나 볼 형상 또는 양단 관통인 링 형상을 가진 것이다.
화학적 여과재(352)는 수조(400)내의 불순물을 흡착하는 나노 크기의 미세한 다공질 구조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것이다.
생물학적 여과재(351)로는 황토를 원형 블록 또는 볼 형상으로 구운 것이나 석영 분말을 소결하여 링 형상으로 만든 것 등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여과재(351)는 수류가 원활해야 하며, 원활한 수류의 유지를 통하여 박테리아가 서식하고 활성화되는 것이다.
화학적 여과재(352)로는 제올라이트나 활성탄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적 여과재(352)는 박테리아가 서식하기에는 그 공극이 매우 작은 나노 구조이므로, 항시 사용하는 대신에 생물학적 여과 과정이 생성되지 않는 초기 기간 동안 대략 2개월 정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화학적 여과재(352)는 초기에 각종 분진을 포집하고, 수조(400)에 장식물로 넣은 유목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슬러지나 탄닌 성분이 함유된 블랙워터를 감소시킴은 물론, 수조(400) 속 생물의 분변으로부터 발생하는 암모니아도 흡착하고, 물 비린내와 같은 냄새 유발 원인 물질을 흡착시키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화학적 여과재(352) 중에서 활성탄은 비교적 저렴하지만 2개월마다 새 것으로 교체해 줘야 하며, 제올라이트는 세척하면 재활용할 수 있지만 활성탄에 비하여 고가인 단점이 있다.
한편, 제1 포집블록(3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200)의 내부 폭 또는 직경보다 큰 제1 길이(D1)의 폭 또는 직경을 가지며, 제2 포집블록(320) 및 제3 포집블록(330)은 본체(200)의 내부 폭 또는 직경보다 크거나 같으며 제1 길이(D1)보다는 작은 제2 길이(D2)의 폭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포집블록(310)이 제2 포집블록(320) 및 제3 포집블록(330)보다 폭 또는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은, 강한 압착 고정력으로 본체(20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생물화학적 여과를 수행하기 위한 여과재(350)들의 하중도 받침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분진 포집량을 더욱 늘리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제1 통류포집 홈(311)과 제2 통류포집 홈(331)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제1 통류포집 홈(311)은 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제1 포집블록(31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형성되어 이격 배치되는 것이다.
복수의 제2 통류포집 홈(331)은 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제3 포집블록(33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형성되어 이격 배치되는 것이다.
제1 통류포집 홈(311)과 제2 통류포집 홈(331)은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분진중 입자의 크기가 큰 분진들을 더욱 많이 포집함은 물론, 수중모터(100)의 가동에 따른 원활한 수류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류포집 홈(311)과 제2 통류포집 홈(331)은 도 4(a)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통하도록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류 통과를 더욱 원활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통류포집 홈(311)과 제2 통류포집 홈(331)은 도 4(b)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류 통과보다는 더욱 많은 양의 큰 분진 입자들을 포집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회동 커버(130)의 외측으로부터 본체(200)의 내부 및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을 통해 형성되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은, 본체(200)와 포집수단(300) 및 수중모터(100)의 청소를 위하여 수조(400)로부터 수중모터(100)를 들어올릴 때 포집수단(300)에 포집되어 있던 분진과 슬러지 등 이물질들이 수조(400) 내부로 비산하여 낙하하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즉,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의 청소를 위하여는 수중모터(100)의 가동을 정지시킨 후, 수중모터(100)의 바디(110)를 고정시키는 흡착판 어셈블리(140)로부터 수중모터(100)의 바디(110)를 분리하여 들어올리게 되는데, 바디(110)를 흡착판 어셈블리(14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동과 충격으로 인하여 이물질들이 수조(400) 내부로 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포집수단(300)의 최하단부, 즉 제1 포집블록(310)의 저면을 받침 지지한 상태에서 수중모터(100)의 바디(110)를 분리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이물질의 낙하 및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이러한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은, 크게 작동봉(510)의 상하 양단부에 각각 손잡이편(530)과 받침판(520)이 장착된다.
작동봉(510)은 회동 커버(130)의 일측에 관통되어 본체(200) 내부의 작업공간(201)과 연결되는 설치홀(132)로부터 삽입되는 것이다.
받침판(520)은 작동봉(5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작동봉(510)의 승강에 연동하는 것이다.
손잡이편(530)은 회동 커버(130)의 일측 외부로부터 노출된 작동봉(51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육자가 파지하여 작동봉(510)과 받침판(520)을 들어올리는데 작업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받침판(520)의 상면은 본체(200)로부터 낙하하는 분진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은, 받침판(5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격 돌편(521)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복수의 이격 돌편(521)들은 탱크 수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배치의 구조에서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입자의 크기가 곱고 미세한 슈가 샌드와 같은 바닥재가 깔린 수조(400)에서는 받침판(520)이 바닥재에 밀착된 경우에는 수조(400)의 바닥재 위를 기어가듯 생활하는 생물들의 움직임에 의하여 바닥재가 받침판(520) 위에 일부 올려질 우려가 있다.
복수의 이격 돌편(521)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저서성 생물들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받침판(520)의 상면에 바닥재가 일부 비산하여 안착되는 것을 일정 정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분진낙하 방지수단(500)은, 받침판(520)의 상면에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의 가장자리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어 본체(20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 단차홈(5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동봉(510)의 하단부는 안착 단차홈(522)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육자가 도 5(a)와 같이 받침판(520)이 수조(400)의 바닥면에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편(530)을 잡고 작동봉(510) 및 받침판(520)을 들어올려 도 5(b)와 같이 안착 단차홈(522)에 본체(200)의 개방된 하면(202)과 제1 포집블록(310)의 하면이 안착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중모터(100)를 흡착판 어셈블리(140)로부터 분리하면 분진 낙하 및 비산을 최소화하면서 수조(400)로부터 장치 전체를 분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수중모터(100); 수조(400) 내의 분진과 사료 잔여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체류하는 작업공간(201)을 내부에 형성하고, 수중모터(100)의 입수관(101)과 연결되는 본체(200); 및 작업공간(201)에 내장되어 이물질을 체류시키는 포집수단(300)을 포함하며,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수조(400) 내의 물만 입수관(101)을 통하여 수중모터(100)의 출수관(102)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수조(400) 내 생물들의 섭식과 배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분진들을 포집수단이 수중모터의 가동에 따른 강력한 흡입력으로 포집 제거하여 깨끗한 수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200)는, 수중모터(100)의 입수관(101)을 수용하는 네크부(210)와, 네크부(210)와 연결되어 작업공간(201)이 내부에 형성되며 입수관(101)의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개방된 하면(202)을 가지는 체류부(220)를 포함하며, 체류부(220)에 포집수단(300)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청소할 때 수중모터(100)로부터 본체(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모터(100)의 바디(1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연장편(120)과, 연장편(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네크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0m)과 맞물리는 암나사산(131f)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체결통(131)이 형성된 회동 커버(130)를 더 포함하며, 연장편(120)의 내부에 수중모터(100)의 바디(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입수관(101)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회동 커버(130)가 연장편(1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수조(400) 내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히 출수관(102)의 설치 방향이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치의 자유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집수단(300)은,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제1 포집블록(310)과,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1 포집블록(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포집블록(320)과,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1 포집블록(310)과 제2 포집블록(3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포집블록(330)과, 본체(200)에 내장되고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제3 포집블록(330)의 상면에 배치되는 포집패드(340)를 포함하며, 수조(400)의 물은 수중모터(100)에 의하여, 제1 포집블록(310)과 제3 포집블록(330)과 포집패드(340) 및 제2 포집블록(320)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변이나 사료 잔여물로부터 발생되는 분진이나 이물질이 부패되기 전에 포집 제거하는 물리적 여과를 우선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항상 맑은 수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포집패드(340)는, 제3 포집블록(33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진 패드 코어(341)와, 패드 코어(3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3 포집블록(330)의 외측면 상부와 본체(2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 고정되는 패드 윙(342)과, 패드 코어(341)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수중모터(100)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수류통과 홀(343)을 포함함으로써, 수중모터(100)의 수류를 허용하면서도 수조(400) 내의 분진을 포착 제거함으로써 확실한 물리적 여과에 따른 수질 정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조 내 생물들의 섭식과 배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분진들을 포집 제거하여 깨끗한 수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수중모터
101...입수관
102...출수관
110...수중모터(100)의 바디
120...연장편
130...회동 커버
131...체결통
131f...암나사산
132...설치홀
140...흡착판 어셈블리
150...연장 배관 어셈블리
151...메인 연결배관
152...에어레이션 배관
152a...보조 연결배관
152b...에어분지 포트
153...엘보우
154...레인바
154a...연장봉
154b...출수공
155...노즐부
155a...연장배관
155b...볼 조인트
155c...출수 노즐
200...본체
201...작업공간
202...개방된 하면
210...네크부
210m...수나사산
220...체류부
300...포집수단
310...제1 포집블록
311...제1 통류포집 홈
320...제2 포집블록
330...제3 포집블록
331...제2 통류포집 홈
340...포집패드
341...패드 코어
342...패드 윙
343...수류통과 홀
350...여과재
351...생물학적 여과재
352...화학적 여과재
400...수조
500...분진낙하 방지수단
510...작동봉
520...받침판
521...이격 돌편
522...안착 단차홈
530...손잡이편
D1...제1 길이
D2...제2 길이

Claims (5)

  1. 수중모터;
    수조 내의 분진과 사료 잔여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체류하는 작업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수중모터의 입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작업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이물질을 체류시키는 포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상기 수조 내의 물만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상기 수중모터의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중모터의 입수관을 수용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의 일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개방된 하면을 가지는 체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류부에 상기 포집수단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중모터의 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체결통이 형성된 회동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편의 내부에 상기 수중모터의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입수관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제1 포집블록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집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포집블록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집블록과 상기 제2 포집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포집블록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기공이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포집블록의 상면에 배치되는 포집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물은 상기 수중모터에 의하여, 상기 제1 포집블록과 상기 제3 포집블록과 상기 포집패드 및 상기 제2 포집블록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집패드는,
    상기 제3 포집블록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진 패드 코어와,
    상기 패드 코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3 포집블록의 외측면 상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 고정되는 패드 윙과,
    상기 패드 코어에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수중모터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수류통과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KR1020190166529A 2019-12-13 2019-12-13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KR10238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29A KR102388086B1 (ko) 2019-12-13 2019-12-13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29A KR102388086B1 (ko) 2019-12-13 2019-12-13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452A true KR20210075452A (ko) 2021-06-23
KR102388086B1 KR102388086B1 (ko) 2022-04-18

Family

ID=7659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529A KR102388086B1 (ko) 2019-12-13 2019-12-13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0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134U (ko) * 1991-07-25 1993-02-26 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자동제빙장치의 탱크 스위치조립체 설치구조
JPH09205929A (ja) * 1996-01-29 1997-08-12 Gutsupii:Kk 水槽用ろ過装置
KR200449925Y1 (ko) 2008-03-27 2010-08-20 권영국 좌대식 분리형 수조여과장치
KR20110007711U (ko) * 2010-01-28 2011-08-03 조한준 수조내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20114698A (ko) * 2011-04-07 2012-10-17 이희용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1916108B1 (ko) * 2018-03-21 2018-11-08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에너지 절감형 다기능 순환여과식 사육수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134U (ko) * 1991-07-25 1993-02-26 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자동제빙장치의 탱크 스위치조립체 설치구조
JPH09205929A (ja) * 1996-01-29 1997-08-12 Gutsupii:Kk 水槽用ろ過装置
KR200449925Y1 (ko) 2008-03-27 2010-08-20 권영국 좌대식 분리형 수조여과장치
KR20110007711U (ko) * 2010-01-28 2011-08-03 조한준 수조내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20114698A (ko) * 2011-04-07 2012-10-17 이희용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1916108B1 (ko) * 2018-03-21 2018-11-08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에너지 절감형 다기능 순환여과식 사육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086B1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767B1 (ko) 저면 배출식 리빙박스용 어항
CN105613389B (zh) 一种对虾养殖系统
CN214593646U (zh) 一种水生甲壳类蜕壳及固态残渣收集装置
WO2021000999A1 (de) Landbasierte aquakulturanlage zur produktion von wassertieren und anwendung der anlage
CN101404877A (zh) 瞬间翻转冲洗的养鱼池和鱼塘过滤器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DE202019105193U1 (de) Mit einer Filterfunktion ausgestattetes Aquarium ohne innere Rohrstücke
KR102388086B1 (ko)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US4257893A (en) Portable purification device for use in aquariums
KR102388091B1 (ko) 수조용 분진저감 및 여과 장치
CN111974061A (zh) 一种可控层叠式水产养殖用水处理装置
CN110357349A (zh) 一种仿自然生物多样性的城市公园生态系统
KR101777674B1 (ko) 해삼 양식용 하우스
KR102627737B1 (ko) 양식장 정화장치
CN214781328U (zh) 一种水产养殖用排污器
CN209931253U (zh) 一种循环水养殖用集污排污装置
CN208708489U (zh) 一种水产养殖装置
CN210492199U (zh) 一种水产养殖池
CN210076366U (zh) 育苗用水过滤装置
CN208273911U (zh) 一种适用于水族缸或小型网箱的半自动清洁装置
CN113875687A (zh) 虾养殖池尾水过滤装置及使用方法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448038B1 (ko) 에어를 이용한 수조용 분진저감 장치
JPH11197681A (ja) 濾過装置
US20220201990A1 (en) Device for cultivating fish larva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